KR101787297B1 - 모드 전환기를 가지는 적재물 캐리어 - Google Patents

모드 전환기를 가지는 적재물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297B1
KR101787297B1 KR1020167003339A KR20167003339A KR101787297B1 KR 101787297 B1 KR101787297 B1 KR 101787297B1 KR 1020167003339 A KR1020167003339 A KR 1020167003339A KR 20167003339 A KR20167003339 A KR 20167003339A KR 101787297 B1 KR101787297 B1 KR 10178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usher
load
wheel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139A (ko
Inventor
윌리엄 알. 깁슨
Original Assignee
도렐 홈 퍼니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2765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872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렐 홈 퍼니싱스, 인크. filed Critical 도렐 홈 퍼니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3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having more than two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2Collapsi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4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30Detachable, retractable or collapsible load supporting means
    • B62B2205/32Shelves
    • B62B2205/33Shelves stowed in a vertic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다중-모드 적재물 캐리어가 보관 모드, 카트 모드, 및 핸드-트럭 모드를 가지도록 변환될 수 있다. 적재물 캐리어가 롤링 베이스, 및 손잡이를 가지는 베이스 푸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드 전환기를 가지는 적재물 캐리어{LOAD CARRIER WITH MODE CHANGER}
우선권
본원은 35 U.S.C. § 119(e) 하에서 2013년 7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845,648호에 대해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가출원은 본원에서 참조로서 명백하게 포함된다.
본 개시 내용은 적재물 캐리어, 특히 콤팩트한(compact) 보관 모드를 가지도록 접혀질(collapsed) 수 있는 바퀴를 가지는 적재물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 내용은, 2가지 동작 모드로 기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서 현장에서(in field) 재구성될 수 있는 바퀴형 적재물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서,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가 롤링 베이스(rolling base) 및 롤링 베이스에 대한 이동을 위해서 롤링 베이스 상으로 장착되는 베이스 푸셔(pusher)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가 롤링 베이스로 그리고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를 더 포함한다. 모드 전환기가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히지 않은 롤링 위치까지 롤링 베이스의 동반(companion) 바퀴-지지 레일에 대해서 롤링 베이스의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피봇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롤링 베이스가 좌측 및 우측 바퀴-지지 레일을 포함하는 적재물-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베이스 푸셔가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한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레일 상에 장착된다. 롤링 베이스가 또한 접혀진 보관 위치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에서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좌측 바퀴-지지 레일 상에 장착되는 좌측 전방 바퀴 유닛, 및 접혀진 보관 위치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우측 바퀴-지지 레일 상에 장착되는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포함한다. 모드 전환기가 후방 단부에서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로 그리고 전방 단부에서 피봇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으로 커플링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가 롤링 베이스로 그리고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되고, 공구 없이 사용자의 선택으로, 편평한 보관 모드,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 또는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 적재물 캐리어를 변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모드 전환기가 전방 바퀴 유닛으로 커플링되고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바퀴-지지 레일 상에서 활주하도록 배열된 전방 링키지(linkage)를 포함한다. 모드 전환기가 또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제1 위치(FIRST POSITION) 또는 제2 위치(SECOND POSITION)에서,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로 그리고 전방 링키지로 커플링되는 후방 링키지를 포함한다. 3개의 바퀴가 적재물 캐리어의 대안적인 전방-및-후방 바퀴 카트 모드에서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 상에서 결합 및 롤링하도록, 단일의 후방 바퀴를 이용하는 것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롤링 베이스가 2개의 전방 바퀴를 포함하고, 베이스 푸셔가 2개의 후방 바퀴를 포함한다. 4개의 바퀴 모두가, 적재물 캐리어가 편평한 보관 모드에 있을 때, 롤링 베이스 하부의 지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적재물 캐리어가 전방-및-후방 바퀴 카트 모드를 가지도록 사용자에 의해서 현장에서 구성될 때, 4개의 바퀴 모두가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 상에서 결합 및 롤링하도록 배열된다. 대조적으로, 적재물 캐리어가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가지도록 사용자에 의해서 현장에서 구성될 때, 2개의 전방 바퀴만이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 상에서 결합 및 롤링하도록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재물 캐리어를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상단 상의 보관 위치로부터 롤링 베이스에 대해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베이스 푸셔를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180°각도를 통해서 피봇시킬 수 있다. 첫 번째로, 적재물 캐리어의 전방-및-후방 바퀴 카트 모드를 구축하기 위해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시키기 위해서 전방 및 후방 링키지가 유닛으로서 함께 이동하도록, 그리고 후방 바퀴(들)과 함께 전방 바퀴를 지면 상에 배치하도록, 후방 링키지가 전방 링키지 상에서 제1 위치에 있는 동안, 후방 바퀴(들)를 지면 상에 배치하기 위한 직립 카트 위치를 가지도록 베이스 푸셔가 약 90°각도를 통해서 후방의 제1 방향으로 피봇된다. 이어서,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구축하기 위해서 레이드-백(laid-back) 핸드-트럭 위치를 가지도록 베이스 푸셔를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상단과 선을 이루어(in line with) 배치하기 위해서, 전방 링키지 상의 제2 위치로의 후방 링키지의 이동 중에, 후방 바퀴(들)을 지면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다른 90°각도를 통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베이스 푸셔가 피봇된다.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가, 편평한 보관 모드, 전방-및-후방 바퀴 카트 모드, 또는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가지도록,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를 이용하여 공구 없이 사용자에 의해서 현장에서 변환될 수 있다.
현재 인지되는 개시 내용의 최적 모드의 실시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본 개시 내용의 부가적인 특징이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구체적인 설명은 특히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a는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의 콤팩트한 편평한 보관 모드에서의 사시도로서, 롤링 베이스의 상단 상의 보관 위치로 놓이도록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가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피봇된 것을 도시하고, 롤링 베이스 내의 2개의 전방 바퀴가 베이스 푸셔의 U-형상의 손잡이 아래의 접혀진 보관 위치에 놓인 것 그리고 베이스 푸셔에 포함된 2개의 후방 바퀴가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 위에 놓이도록 배열된 것을 도시하며, 적재물 캐리어가 또한,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로 그리고 전방 바퀴로 커플링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식적으로 그리고 도 5 내지 도 7 및 도 12 내지 도 14에서 예시적으로 제시된 방식으로 현장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동작되어 적재물 캐리어를 도 1a에 도시된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도 1b에 도시된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 1b는,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를 가지도록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현장에서 재구성된 후의 도 1a의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로서, 그러한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에서는, 전방 바퀴 유닛의 각각을 도 1a에 도시된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도 1b에 도시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결합 및 피봇시키기 위한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포함되는 2개의 수평 레일 상에서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전방 활주 이동을 유발하기 위한 직립 카트 위치를 가지도록,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약 90°의 각도를 통해서 롤링 베이스로부터 멀리 위쪽으로 베이스 푸셔를 피봇팅하는 것에 의해서 적재물 캐리어가 그 2개의 전방 바퀴 및 2개의 후방 바퀴 상에서 롤링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b는 모드 전환기가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으로 커플링된 전방 링키지 및 전방 링키지로 그리고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된 후방 링키지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 1c는,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가지도록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재구성된 후의 도 1a 및 도 1b의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로서, 그러한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서는,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를 가지도록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약 90°의 각도를 통해서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후방으로 베이스 푸셔를 피봇시키기 위해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보다 큰-직경의 전방 바퀴를 향해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전방 링키지 내에 포함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에서 전방 방향으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후방 링키지 내에 포함된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적재물 캐리어가 그 2개의 전방 바퀴 상에서만 롤링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c는 전방 링키지가 전개기 구동부 및 바퀴 전개기를 포함한다는 것 그리고 후방 링키지가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 및 푸시 막대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의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몇 개의 적재물 캐리어 하위 조립체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1) 좌측 및 우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 및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포함하는 롤링 베이스로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은 큰-직경의 전방 바퀴를 가지고 적재물 캐리어가 접혀진 보관 위치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전방-바퀴 지지 레일의 전방 단부 상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접혀진 보관 위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콤팩트한 편평한 보관 모드에 있을 때 단일의 수평 평면 내에 놓이고,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는 적재물 캐리어가 도 1b에 도시된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에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 있을 때 이격된 평행한 수직 평면들 내에 놓이는, 롤링 베이스; (2) 작은-직경 후방 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푸셔; 및 (3) 전방 링키지 및 후방 링키지를 포함하는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로서, 전방 링키지는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으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전방-바퀴 지지 레일 상에서의 전후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후방 링키지는 전방 링키지로 그리고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되도록 그리고 전방 링키지와 협력하여 전방 바퀴 유닛이, 도 1a에 도시된 보관 위치로부터 도 1b에 도시된 직립 카트 위치로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베이스 푸셔가 피봇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접혀지지 않은 보관 위치와 접혀진 롤링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게끔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보관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로 베이스 푸셔가 피봇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방 바퀴 유닛을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시키기 위한 롤링 베이스의 좌측 및 우측 레일 상에서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활주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d는 베이스 푸셔를 도 4c에서 제시된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도 4d에서 제시된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피봇시키기 위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전방 링키지 내에 포함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에서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후방 링키지 내에 포함된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의 활주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a의 콤팩트한 편평한 보관 모드에서의 적재물 캐리어의 도면으로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전방 링키지가 후방 링키지를 통해서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되고 롤링 베이스 내에 포함된 레일 상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및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와 피봇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열된 바퀴 전개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도시하며, 바퀴 전개기가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의 루트(ROOT) 섹션과 결합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도시하고,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후방 링키지 내에 포함된 피봇 가능한 베이스-푸셔 회전기가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되고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에서의 피봇 이동을 위해서 장착되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의 제1 위치(FIRST POSITION) 내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것을 제시한다.
도 4b는, 전방 바퀴 유닛을 향하는 방향을 따른 롤링 베이스의 좌측 및 우측 레일 상에서의 활주 가능한 전개기 구동부의 활주 이동 및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의 캠 섹션 상에서의 바퀴 전개기의 이동을 유발하기 위한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롤링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베이스 푸셔의 피봇팅 이동에 응답한 바퀴 전개기와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의 캠 섹션의 결합으로 인해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이 약 45°의 각도를 통해서 서로를 향해서 피봇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4a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직립 카트 위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 푸셔의 피봇팅 이동에 응답하여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를 가지도록 전방 바퀴 유닛이 레일 상에서 추가적으로 피봇된 것을 도시하고, 그리고 바퀴 전개기가, 전방 바퀴 유닛을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의 잠금부 섹션과 결합하도록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의 캠 섹션을 따라서 이동된 것을 제시한다.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1 위치로부터 베이스-푸셔 피봇 축으로부터 멀어지고 전방 바퀴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에서의 피봇 가능한 베이스-푸셔 회전자의 피봇팅 이동에 응답하여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를 가지도록 롤링 베이스에 대해서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후방 방향으로 베이스 푸셔가 피봇된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4a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 편평한 보관 모드에서 예시적인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베이스 푸셔를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상단 상의 보관 위치에서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베이스 푸셔 내에 포함된 U-형상의 손잡이 아래의 접혀진 보관 위치에서 도시한다.
도 5a는 도 5의 적재물 캐리어의 축소된 측면 입면도이다.
도 6은 도 4b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 전이 모드에서의 예시적인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5에 도시된 접혀진 보관 위치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의 중간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의 피봇 이동을 도시한다.
도 6a는 도 6의 적재물 캐리어의 축소된 측면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4c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에서의 예시적인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여기에서 전방 바퀴 양자 모두 및 후방 바퀴 양자 모두가 적재물 캐리어 아래의 지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도 7은 베이스 푸셔를 직립 카트 위치에서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도시한다.
도 7a는 도 7의 적재물 캐리어의 축소된 측면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적재물 캐리어의 일부를 절개한 구체적인 사시도로서, 전개기 구동부 유지기가, 베이스 푸셔가 직립 카트 위치에 도달할 때 적재물-지지 프레임을 따라서 제 위치에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를 유지하는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커플링된 활주부-유지기 핀의 쌍, 및 베이스 푸셔가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혀질 때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와의 결합 외부로 활주부-유지기 핀을 푸시하기 위해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로 커플링된 핀 해제부를 포함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a는 도 8의 일부의 구체적인 상단 평면도이고,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를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활주부-유지기 핀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내에 형성된 개구 내에 수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베이스 푸셔가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혀질 때,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가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전개기 구동부 유지기의 핀 해제부 내에 포함되는 활주부-해제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는 것을 도시하는 도 8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9의 일부의 구체적인 상단 평면도이고, 활주부-해제 버튼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내에 형성된 개구의 외부로 활주부-유지기 핀을 푸시하는 핀 푸셔를 핀 해제부가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롤링 베이스의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의 캠 섹션 상에서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바퀴 전개기의 결합을 도시하는 도 6의 적재물 캐리어의 일부의 확대된 구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적재물 캐리어의 일부의 확대된 부분적 사시도로서, 롤링 베이스의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의 잠금부(채널) 섹션 내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바퀴 전개기의 결합을 도시하고, 캠 섹션의 수직의 제1 다리부(leg)와 잠금부(채널)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는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의 캠 섹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다리부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부터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의 도 7의 적재물 캐리어의 변환을 도시한다.
도 12는, 롤링 베이스 내에 포함되고 전방 바퀴 위에 위치되는 피봇 가능한 토우-판 선반(toe-plate shelf)이 도 7에 도시된 비활성적인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활성적(active) 위치로 전방 방향으로 피봇된 후의, 도 7의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2의 적재물 캐리어의 축소된 측면 입면도이다.
도 13은 전이 모드에서의 도 12의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로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후방 링키지 내에 포함된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의 동작에 응답하여, 도 12에 도시된 직립 카트 위치와 도 14에 도시된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 사이의 중간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베이스 푸셔의 후방 피봇팅 이동을 도시한다.
도 13a는 도 13의 적재물 캐리어의 축소된 측면 입면도이다.
도 14는 도 4d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서의 도 12 및 도 13의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로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의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의 베이스 푸셔, 및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전방 링키지의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의 제2 위치에서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의 후방 링키지의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를 도시한다.
도 14a는 도 14의 적재물 캐리어의 축소된 입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적재물 캐리어 내에 포함된 후방 링키지의 구체적인 사시도로서, 푸시 막대의 푸셔 링크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전개기 구동부 유지기를 언록할 때까지 적재물 캐리어가 카트 모드에 있을 때 손잡이의 활주부 링크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제1 측면과 결합하는 제1 위치에서 놓이도록 배열된 푸셔 회전기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3의 적재물 캐리어 내에 포함된 후방 링키지의 도 15와 유사한 도면이고,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로부터 분리된 전개기 구동부 유지기, 및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부터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의 적재물 캐리어의 재구성 중에 베이스 푸셔가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이동할 때,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에 대해서 피봇된 손잡이의 활주부 링크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4의 적재물 캐리어 내에 포함된 후방 링키지의 도 15 및 도 16과 유사한 도면이고, 적재물 캐리어가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 있을 때 손잡이의 활주부 링크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제1 측면에 반대되는,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제2 측면과 결합하는 제2 위치에 놓이도록 배열된 푸셔 회전기를 도시한다.
도 18은, 후방 링키지의 위치를 유지하여 베이스 푸셔를 직립 카트 위치 또는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대안적인 푸셔 회전기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적재물 캐리어와 유사한 다른 예시적인 적재물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8a는 도 18의 적재물 캐리어의 일부의 상세도로서, 베이스 푸셔가 직립 카트 위치 또는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 중 하나에 있을 때 후방 링키지로 커플링되는 핸들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로 각각 커플링되는, 전방 잠금부 및 후방 잠금부를 대안적인 푸셔 회전기가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베이스(12),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14), 및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를 포함한다. 적재물 캐리어(10)를 도 1a,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도 1b, 도 4c, 및 도 7에 도시된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 그리고 도 1c, 도 4d, 및 도 12에 도시된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 변환하기 위해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가, 공구 없이,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식적으로 그리고 도 5 내지 도 7 및 도 12 내지 도 14에서 예시적으로 제시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현장에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베이스(12)가 적재물-지지 프레임(18), 좌측 전방 바퀴(21)를 포함하는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 및 우측 전방 바퀴(22)를 포함하는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을 포함한다.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이 좌측 바퀴-지지 레일(31), 우측 바퀴-지지 레일(32), 및 토우-판 선반(toe-plate shelf)(24)을 포함하고, 토우-판 선반은, 적재물 캐리어(10)의 편평한 보관 모드 및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에서 이용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비활성적 편평 위치와 적재물 캐리어(10)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서 이용되는 도 1c에 도시된 활성적 연장 위치 사이의 선반 피봇 축(24A) 주위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레일(31, 32)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다. 일단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이 좌측 레일(31) 상에 장착되면,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이,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좌측 레일(31)과 정렬된 좌측 피봇 축(36A) 주위로 피봇 가능하다. 일단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이 우측 레일(32) 상에 장착되면,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이,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우측 레일(32)과 정렬된 우측 피봇 축(38A) 주위로 피봇 가능하다.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이 또한,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이 좌측 레일(31) 상으로 장착된 후에 좌측 레일(31)의 전방 단부 상으로 장착되는 좌측 단부 캡(33)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이 우측 레일(32) 상으로 장착된 후에 우측 레일(32)의 전방 단부 상으로 장착되는 우측 단부 캡(34)을 포함한다.
베이스 푸셔(14)가 푸시 핸들(55), 및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푸시 핸들(55)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아웃리거(outrigger) 바퀴 유닛(60)을 포함한다. 푸시 핸들(55)이 좌측 다리부(55L), 우측 다리부(55R), 및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55L, 55R)의 상부 단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U-형상의 손잡이(55H)를 포함한다. 아웃리거 바퀴 유닛(60)이 좌측 후방 바퀴(61R)을 포함하는 좌측 캐스터(caster)(61), 우측 후방 바퀴(62R)를 포함하는 우측 캐스터(62), 그리고 베이스 푸셔(14)의 좌측 및 우측 다리부(55L, 55R)의 하부 단부로 그리고 각각의 캐스터(61, 62)로 커플링된 캐스터-지지 레일(64)을 포함한다.
모드 전환기(16)가, 도 2 및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링키지(70) 및 후방 링키지(72)를 포함한다. 전방 링키지(70)가 전개기 구동부(spreader driver)(80), 그리고 피봇 가능한 전개기 판(74P) 및 바퀴 링크(75, 76)를 포함하는 바퀴 전개기(74)를 포함하고, 바퀴 링크(75, 76)는, 도 2 및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피봇 가능한 전개기 판(74P)과 전개기 구동부(80) 사이에 개재되고 그들에 커플링된다. 전방 링키지(70)가 또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레일(31, 32)을 따른 전개기 구동부(80)의 활주 이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개기-구동부 유지기(retainer)(82)를 포함한다. 후방 링키지(72)가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 및 푸셔 링크(113, 114)를 포함하는 푸시 막대(86P)를 포함하고, 푸셔 링크(113, 1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에서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로 그리고 대향 단부들에서 캐스터-지지 레일(64) 아래의 푸시 핸들(55)의 좌측 및 우측 다리부(55L, 55R)의 하부 단부들에 위치되는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14)로 피봇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도 2 및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푸셔 회전기(86)가 피봇 링크(111, 112) 그리고 피봇 링크(111, 112) 및 가로대(116)와 연관된 손잡이-이동 차단기(118)를 상호 연결하는 가로대(116)를 포함하는 가동형 손잡이(117)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재물 캐리어(10)를 그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 또는 직립형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 용이하게 변환하기 위해서, 모드 전환기(16)가 공구 없이 사용자에 의해서 현장에서 동작될 수 있다. 편평한 보관 모드에서, 전방 바퀴의 트레드(tread)가 서로를 향해서 대면하도록 그리고 그들의 회전 축이 서로에 대해서 이격된 평행한 관계로 놓이도록, 전방 바퀴(20, 21)가 정렬된다. 다른 모드에서, 전방 바퀴의 트레드가 롤링 베이스(12) 하부의 지면(35)과 결합하고 그 지면 상에서 롤링하도록 그리고 전방 바퀴(21, 22)가 공통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전방 바퀴(21, 22)가 정렬된다.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이, 바퀴(21)를 따라서 놓이도록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서 개략적으로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서 예시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 캐리어(10)의 모드를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 변화시키기 위한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의 베이스 푸셔(14)의 피봇 이동 중에 모드 전환기(16)의 전방 링키지(70)의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배열되는 캠 블록(49)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우측-전방 바퀴 유닛(38)이 우측 바퀴(22) 근처의 캠 블록(59)을 포함한다. 캠 블록(49)이, 순차적으로, 루트(ROOT) 섹션(491), 캠(CAM) 섹션(492), 및 잠금부(LOCK) 섹션(493)을 포함하고, 캠 블록(59)이, 순차적으로, 루트 섹션(591), 캠 섹션(592), 및 잠금부 섹션(593)을 포함한다.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보관 모드에 있을 때,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이 루트 섹션(491, 591)에 인접하여 결합하거나 놓인다. 전개기 판(74P)이, 도 4b 및 도 4c 그리고 도 10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전방-및-후방-바퀴 모드로의 적재물 캐리어(10)의 변화를 동반하는 롤링 베이스(12)에 대한 전방 링키지(70)의 이동 중에 캠 섹션(492, 592)과 결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개기 판(74P)이 전방 바퀴(21, 22)를 향해서 이동되어 캠 섹션(492, 592)과 결합하고 캐밍(camming) 관계로 그 상부에 탑승하며(ride), 그에 따라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까지 동반 전방 바퀴 유닛(36 또는 38)을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전방 바퀴 유닛들(36, 38)을 멀리 전개시킨다. 마지막으로,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이, 전방 바퀴 유닛(36, 38)을 그들의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도 4c 및 도 4d에서 도식적으로 그리고 도 11에서 예시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캠 블록(49 또는 59) 내에 포함된 후크(41 또는 51) 내에 형성된 잠금부 섹션(493, 593)(예를 들어, 채널)과 결합한다.
베이스 푸셔(14)의 보관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까지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전방 바퀴 유닛(36, 38)이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롤링 베이스(12)의 좌측 및 우측 레일(31, 32) 상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의 활주 이동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c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4d에 도시된 제2 위치까지의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의 후방 링키지(72)에 포함된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의 이동은, 베이스 푸셔(14)가 도 4c에서 제시된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도 4d에서 제시된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까지 피봇하도록 유도한다.
도 4a에서 제공된 적재물 캐리어(10)의 도면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1a의 콤팩트한 편평한 보관 모드에서 유지된다.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의 전방 링키지(70)가 후방 링키지(72)를 통해서 베이스 푸셔(14)로 커플링되고 롤링 베이스(12) 내에 포함된 레일(31, 32) 상에서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활주 가능 전개기 분할기(80) 및 그러한 활주 가능 전개기 분할기(80)와 피봇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열된 바퀴 전개기(74)를 포함한다.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이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36, 38)의 루트 섹션과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의 후방 링키지(70) 내에 포함된 피봇 가능한 베이스-푸셔 회전기(86)가 베이스 푸셔(14)로 커플링되고 활주 가능한 전개기 구동부(80) 상에서의 피봇 운동을 위해서 장착되며 활주 가능한 전개기 구동부(80) 상에서 제1 위치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도 4b는, 전방 바퀴 유닛(36, 38)을 향하는 방향으로 롤링 베이스(12)의 좌측 및 우측 레일(31, 32) 상에서의 활주 가능한 전개기 구동부(80)의 활주 이동 및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36, 38)의 캠 섹션 상에서의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의 이동을 유발하기 위한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에서 롤링 베이스(12)로부터 멀어지는 베이스 푸셔(14)의 피봇팅 이동에 응답한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과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36, 38)의 캠 섹션의 결합으로 인해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이 약 45°의 각도를 통해서 방향(121, 122)으로 서로를 향해서 피봇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4a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4c는, 직립 카트 위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 푸셔(14)의 피봇팅 이동에 응답하여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를 가지도록 전방 바퀴 유닛(36, 38)이 레일(31, 32) 상에서 추가적으로 피봇된 것을 도시하고, 그리고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이, 전방 바퀴 유닛(36, 38)을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36, 38)의 잠금부 섹션과 결합하도록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36, 38)의 캠 섹션을 따라서 이동된 것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4d는,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1 위치로부터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으로부터 멀어지고 전방 바퀴(21, 22)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 상에서의 피봇 가능한 베이스-푸셔 회전기(86)의 피봇팅 이동에 응답하여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를 가지도록 롤링 베이스(12)에 대해서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로 후방 방향으로 베이스 푸셔(14)가 피봇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롤링 베이스(12)가 서로 이격된 평행한 관계로 놓이도록 배열된 좌측 및 우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31, 32)을 포함하는 적재물-지지 프레임(18), 좌측 피봇 축(36A) 주위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좌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31) 상에 장착된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 및 도 3, 도 4a, 및 도 5 내지 도 7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피봇 축(36A)에 대해서 이격된 평행한 관계로 놓이도록 배열된 우측 피봇 축(30A) 주위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우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32) 상에 장착된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을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의 각각이 도 1a에 도시된 접혀진 보관 위치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에서 그 피봇 축(36A 또는 38A) 주위로 피봇할 수 있을 것이다. 접혀진 보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 내의 전방 바퀴(21, 22) 중 어느 것도 도 1a 및 도 4a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롤링 베이스(12) 아래의 지면(35)과 결합하고 그 지면 상에서 롤링하도록 배열되지 않는다. 그러나,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전방 바퀴(21, 22)가 도 1b 및 도 1c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롤링 베이스(12) 아래에서 지면(35)과 결합하고 그 지면 상에서 롤링하도록 배열된다.
적재물 캐리어(10)가 또한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36, 38)을 그 피봇 축(36A 또는 38A) 주위로 일반적상태에서(normally) 그리고 항복 가능하게(yieldably) 피봇시켜 접혀진 보관 위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46, 56)을 포함하고, 그러한 접혀진 보관 위치에서, 전방 바퀴 유닛(36, 38) 내의 전방 바퀴(21, 22)가 롤링 베이스(12) 아래의 지면(35)과 분리되고,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 내의 전방 바퀴(21)가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 내지 도 7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 내에서 전방 바퀴(22)를 향해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스프링 수단(46, 56)이, 예시적으로, 좌측 레일(31) 및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으로 커플링된 좌측 비틀림 스프링(46) 및 우측 레일(32) 및 우측-전방 바퀴 유닛(38)으로 커플링된 우측 비틀림 스프링(36)을 포함한다.
베이스 푸셔(14)가 도 1a 내지 도 1c, 도 2, 및 도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측 후방 바퀴(61R, 62R)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단지 하나의 후방 바퀴를 베이스 푸셔(14) 내에 포함하는 것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포함된다.
베이스 푸셔(14)가, 베이스 푸셔(14)의 2개의 후방 바퀴(61R, 62R)가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 내의 2개의 전방 바퀴(21, 22)와 함께 적재물 캐리어(10) 아래의 지면(35) 상에서 롤링하는 적재물 캐리어(10)의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도 1b 참조)를 구축하기 위한 직립 카트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좌측 및 우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31, 32)로부터 멀리 먼저 약 90°각도를 통해서 적재물 캐리어(10)의 편평한 보관 모드(도 1a 참조)에서 롤링 베이스(12)의 상단 상에서 좌측 및 우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31, 32)을 따라서 놓이도록 배열된 보관 위치로부터 제1 방향을 따른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롤링 베이스(12)의 좌측 및 우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31, 32) 상에 장착된다. 이어서, 베이스 푸셔(14)가, 적재물 캐리어(10)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도 1c 참조)를 구축하기 위해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 내의 2개의 전방 바퀴(21, 22) 만이 적재물 캐리어(10) 아래의 지면(35) 상에서 롤링하는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다른 약 90°각도를 통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로 피봇될 수 있다.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1a 내지 도 1c, 도 2 및 도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푸셔(14)로 그리고 롤링 베이스(12)로 커플링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를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 내에 포함된 전방 바퀴(21, 22)가, 현장에서 사용자에 의한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의 롤링 베이스(12)에 대한 베이스 푸셔(14)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롤링 베이스(12) 아래에서 지면(35)과 결합하고 지면 상에서 롤링하며 공통 회전 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적재물 캐리어(10)의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를 구축하기 위해서 베이스 푸셔(14) 내에 포함된 후방 바퀴(61R, 62R)와 협력하도록 배열되는 도 1b, 도 7 및 도 7a에 도시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를 가지도록, 도 1a,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좌측 및 우측 전방-바퀴 지지 레일(31, 32)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스프링-편향된(biased)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을 그들의 피봇 축(36A 및 38A) 주위로 피봇팅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가 구성된다.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가, 도 2, 도 3, 도 4a, 및 도 5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피봇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으로 커플링된 전방 링키지(70) 및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14)로 커플링된 후방 링키지(72)를 포함한다. 후방 링키지(72)가 전방 링키지(70)와 항상 결합되어 함께 협력하며, 그에 따라, 전방 바퀴 유닛(36, 3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의 베이스 푸셔(14)의 피봇팅 이동에 응답하여, 피봇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이 스프링 수단(46, 56)에 의해서 제공되는 편향력에 대항하여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되도록 유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4a에서 도식적으로 그리고 도 2, 도 3에서 예시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링키지(70)가 롤링 베이스(12)의 전방-바퀴 지지 레일(31, 32) 상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 및 전개기 구동부(80)에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에 커플링된 바퀴 전개기(74)를 포함한다. 후방 링키지(7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전개기 구동부(80) 상에의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 및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에 그리고 피봇 가능한 베이스 푸셔(14)에 커플링된 푸셔 링크(113, 114)를 포함하는 푸시 막대(86P)를 포함한다. 일반적상태에서,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가 전개기 구동부(80) 상의 제1 위치에서 유지되어,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 적재물 캐리어(10)를 변환하기 위한 전방 바퀴 유닛(36, 3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의 베이스 푸셔(14)의 피봇팅에 응답하여, 전방 바퀴 유닛(36, 38)이 레일(31, 32) 상에서 그들의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그들의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하게 한다. 푸시 막대(86P)를 롤링 베이스(12)에 대해서 이동시켜 베이스 푸셔(14)를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로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약 90°의 각도를 통해서 피봇시키기 위해서 전개기 구동부(80) 상의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선택으로, 적재물 캐리어(10)가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부터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 변환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 캐리어(10)가, 편평한 보관 모드, 카트 모드, 및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가지도록, 공구 없이 현장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변환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편평한 보관 모드에서, 롤링 베이스(12) 내에 포함된 전방 바퀴(21, 22)의 쌍이 접혀진 보관 위치에 있고, 그리고 베이스 푸셔(14)가 보관 위치에서 롤링 베이스(12)의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라서 연장하며,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10)가 보관을 위해서 대체로 편평해진다. 도 1b에 도시된 카트 모드에서, 전방 바퀴(21, 22)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되고, 베이스 푸셔(14)가 롤링 베이스(12)의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직립 카트 위치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10)가 상품 운송을 위한 2-바퀴 핸드 트럭을 제공한다. 도 1c에 도시된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서, 전방 바퀴(21, 22)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유지되고, 베이스 푸셔(14)가 롤링 베이스(12)의 프레임(18)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10)가 상품 운송을 위한 2-바퀴형 직립형 짐수레(dolly)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1a 내지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베이스(12)로 그리고 베이스 푸셔(14)로 커플링된 모드 전환기(16)를 포함한다. 모드 전환기(16)가, 도 5 내지 도 7a,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로 베이스 푸셔(14)가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방 바퀴(21, 22)를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시키기 위한 전방-바퀴 이동기 수단을 제공한다. 모드 전환기(16)가, 도 7 내지 도 8a 및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푸셔(14)를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대해서 직립 카트 위치 또는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푸셔-유지기 수단을 제공한다.
적재물 캐리어(10)가, 예시적으로,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베이스(12), 그러한 롤링 베이스(12)로 커플링된 베이스 푸셔(14), 및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를 포함한다. 롤링 베이스(12)가 적재물 캐리어(10)에 의해서 운송하기 위한 상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푸셔(14)가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의 롤링 베이스(12)에 대한 이동을 위해서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제1 단부(17) 근처에서 롤링 베이스(12) 내에 포함되는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 커플링되고 적재물 캐리어(10)의 사용 중에 사용자를 위한 파지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가 롤링 베이스(12)로 그리고 베이스 푸셔(14)로 커플링되고, 롤링 베이스(12) 내에 포함된 전방 바퀴(21, 2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베이스 푸셔(14)를 롤링 베이스(12)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모드들 사이에서 적재물 캐리어(10)를 재구성하는 것을 돕는다.
롤링 베이스(12)가 적재물-지지 프레임(18), 및 선반 피봇 축(24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제2 단부(19) 부근에서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 커플링된 토우-판 선반(24)을 포함한다. 토우-판 선반(24)이 도 7 및 도 7a에 도시된 비활성적인 편평한 위치로부터 도 12 및 도 12a에 도시된 활성적인 연장된 위치로 선반 피봇 축(24A) 주위로 이동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이 좌측 레일(31), 좌측 레일(31)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우측 레일(32), 좌측 레일(31)을 수용하고 그에 커플링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좌측 단부 캡(33), 및 우측 레일(32)을 수용하고 그에 커플링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우측 단부 캡(34)을 포함한다. 좌측 전방 바퀴(21)가, 좌측 레일(31)을 따라서 연장하는 좌측 바퀴 축(36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좌측 레일(31)로 커플링된다. 우측 전방 바퀴(22)가 우측 레일(32)을 따라서 연장하는 우측 바퀴 축(38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우측 레일(32)로 커플링되고, 그에 따라 우측 바퀴 축(38A)이 좌측 바퀴 축(36A)으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평행하게 연장하게 배열된다. 토우-판 선반(24)이, 선반 피봇 축(24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좌측 및 우측 단부 캡(33, 34)으로 커플링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좌측 레일(31)로 커플링되고,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우측 레일(32)로 커플링된다.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이 좌측 전방 바퀴(21)를 포함하고 좌측 바퀴 축(36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좌측 전방 바퀴(21)를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좌측 레일(31)로 커플링시킨다.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이 우측 전방 바퀴(22)를 포함하고 우측 바퀴 축(38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우측 전방 바퀴(22)를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우측 레일(32)로 커플링시킨다. 전방 바퀴(21, 22)가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도 7 및 도 7a에 도시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바퀴 축(36A ,38A) 주위로 이동한다. 전방 바퀴(21, 22)의 이동이 토우-판 선반(24)의 이동과 독립적이다.
접혀진 보관 위치에서, 전방 바퀴(21, 22)가 서로를 향해서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어,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1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해지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혀진 보관 위치에 있을 때, 좌측 전방 바퀴(21)가 좌측 레일(31)로부터 우측 전방 바퀴(22) 및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우측 레일(32)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그에 따라, 접혀진 보관 위치에 있을 때, 우측 전방 바퀴(22)가 우측 레일(32)로부터 좌측 전방 바퀴(21) 및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좌측 레일(31)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전방 바퀴(21, 22)가, 도 1b, 도 1c,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연장하여 적재물 캐리어(10) 아래의 바닥(35)과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 전방 바퀴(21) 및 우측 전방 바퀴(22)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 있을 때,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부터 멀리 동일한 하향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향된다.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레일(31)에 커플링된 브레이스 브래킷(brace bracket)(42), 좌측 바퀴 축(36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좌측 레일(31)에 커플링된 바퀴 지지부(44), 및 바퀴 지지부(44)로 커플링된 좌측 전방 바퀴(21)를 포함한다. 바퀴-편향 스프링(46)이 좌측 레일(31)로 그리고 바퀴 지지부(44)로 커플링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지지부(44)가 레일 수용부(47), 포크(48), 및 캠 블록(49)을 포함한다. 도 1a,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편향 스프링(46)이 좌측 레일(31)의 일부 주위로 연장하도록 그리고 브레이스 브래킷(42) 및 바퀴 지지부(44)와 결합하여 바퀴 지지부(44)를, 좌측 전방 바퀴(21)와 함께, 접혀진 보관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의 바퀴 지지부(44)가, 예시적으로, 레일 수용부(47), 포크(48), 캠 블록(49), 및 후크(41)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단일체(monolithic) 구성요소이다. 레일 수용부(47)가 좌측 레일(31)로 커플링된다. 포크(48)가 레일 수용부(47)로 커플링되고 바퀴 지지부(44)에 대한 회전을 위해서 좌측 전방 바퀴(2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캠 블록(49)이 포크(48)로 커플링되고, 좌측 전방 바퀴(21)가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될 때,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의 전방 링키지(70)의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과 상호 작용한다. 후크(41)가 캠 블록(49)으로부터 연장하고, 베이스 푸셔(14)가 도 1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푸셔(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베이스 푸셔(14)가 롤링 베이스(12)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이 좌측 전방 바퀴 유닛(36)과 유사하고, 우측 레일(32)로 커플링된 브레이스 브래킷(52), 우측 바퀴 축(38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우측 레일(32)로 커플링된 바퀴 지지부(54), 및 바퀴 지지부(54)로 커플링된 우측 전방 바퀴(22)를 포함한다. 바퀴-편향 스프링(56)이 우측 레일(32)로 그리고 바퀴 지지부(54)로 커플링된다. 도 1a,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편향 스프링(56)이 우측 레일(32)의 일부 주위로 연장하도록 그리고 브레이스 브래킷(52) 및 바퀴 지지부(54)와 결합하여 바퀴 지지부(54)를, 우측 전방 바퀴(22)와 함께, 접혀진 보관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전방 바퀴 유닛(38)의 바퀴 지지부(54)가, 예시적으로, 레일 수용부(57), 포크(58), 캠 블록(59), 및 후크(51)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단일체 구성요소이다. 레일 수용부(57)가 우측 레일(32)로 커플링된다. 포크(58)가 레일 수용부(57)로 커플링되고 바퀴 지지부(54)에 대한 회전을 위해서 우측 전방 바퀴(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캠 블록(59)이 포크(58)로 커플링되고, 우측 전방 바퀴(22)가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될 때,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의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과 상호 작용한다. 후크(51)가 캠 블록(59)으로부터 연장하고, 베이스 푸셔(14)가 도 1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보관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푸셔(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베이스 푸셔(14)가 롤링 베이스(12)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푸셔(14)는, 예시적으로, 푸시 핸들(55) 및 아웃리거 바퀴 유닛(60)을 포함한다. 푸시 핸들(55)이,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의 이동을 위해서 롤링 베이스(12)의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 커플링된다. 아웃리거 바퀴 유닛(60)이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에서 푸시 핸들(55)과 함께 이동하기 위해서 푸시 핸들(55)로 커플링되고, 예시적으로, 좌측 캐스터(61), 우측 캐스터(62), 및 좌측 캐스터(61)와 우측 캐스터(62)를 상호 연결하도록 배열된 캐스터-지지 레일(64)을 포함한다. 베이스 푸셔(14)가 도 5에 도시된 보관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직립 카트 위치로,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도 1a 및 도 5에 도시된 보관 위치에서, 베이스 푸셔(14)가 롤링 베이스(12)의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10)가 보관을 위해서 대체로 편평해지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푸셔(14)가 보관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푸셔(14)의 푸시 핸들(55)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부분 위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아웃리거 바퀴 유닛(60)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제1 단부(17)의 대체로 외부에 놓이도록 배열되고, 그에 따라, 베이스 푸셔(14)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관 위치에 있을 때, 좌측 및 우측 캐스터(61, 62)가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 내에 놓이도록 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직립 카트 위치에서, 베이스 푸셔(14)가 롤링 베이스(12)의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1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운송을 위한 4-바퀴형 카트를 제공하도록 유도한다. 베이스 푸셔(14)가 직립 카트 위치에 있을 때, 푸시 핸들(55)이 하부 바닥(35)으로부터 멀리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베이스 푸셔(14)가 직립 카트 위치에 있을 때, 아웃리거 바퀴 유닛(60)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그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캐스터(61, 62)가 하부 바닥(35)과 결합한다.
도 1c 및 도 14에 도시된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 위치에서, 베이스 푸셔(14)가 롤링 베이스(12)의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10)가 도 1c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운송을 위한 2-바퀴형 직립형 짐수레를 제공하도록 유도한다. 베이스 푸셔(14)가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 있을 때, 푸시 핸들(55)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제1 단부(17)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베이스 푸셔(14)가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 있을 때, 아웃리거 바퀴 유닛(60)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제2 단부(19)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그러한 제2 단부를 향해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16)가,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링키지(70) 및 후방 링키지(72)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a,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로 베이스 푸셔(14)가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방 바퀴(21, 22)를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전방 링키지(70)가 구성된다. 후방 링키지(72)가, 도 7 내지 도 8a 및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푸셔(14)를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대해서 직립 카트 위치 또는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링키지(70)가, 전개기 판(74P) 및 바퀴 링크(75, 76)를 포함하는 바퀴 전개기(74), 및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를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36, 38) 및 그러한 유닛(36, 38) 내의 전방 바퀴(21, 22)를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푸싱하기 위해서,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이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36, 38)의 캠 블록(49, 59)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적재물 캐리어(10)의 사용 중에 전방 바퀴(21, 22)를 접혀지지 않은-롤링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전방 바퀴(21, 22)를 지지하기 위해서 전방 바퀴(21, 22)가 접혀지지 않은-롤링 위치로 이동할 때 상응하는 전방 바퀴(21, 22)로 부착되는 후크(41, 51)로 형성된 잠금부(채널) 섹션(493, 593) 내에 바퀴 전개기(74)의 전개기 판(74P)이 수용된다. 바퀴 링크(75, 76)가, 전개 판(74P)에 대해서 피봇하도록 전개 판(74P)으로 그리고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에 대해서 피봇하도록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로 피봇식으로 커플링된다.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가,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링키지(72)가 전개기-구동부 유지부(82), 피봇 가능한 푸셔 회전기(86), 및 푸시 막대(86P)를 포함한다.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가,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대해서 그리고 베이스 푸셔(14)에 대해서 후방 링키지(72)를 통해서 활주하도록 적재물-지지 프레임(18)으로 커플링된다.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로의 베이스 푸셔(14)의 이동을 돕는다. 전개기-구동부 유지부(82)가,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른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의 이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후방 링키지(72)가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로 그리고 베이스 푸셔(14)로 커플링되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 및 베이스 푸셔(14)를 상호 연결한다. 후방 링키지(72)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 푸셔(14)의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의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 및 적재물-지지 프레임(18)에 대한 이동을 돕는다.
전개기-구동부 유지부(8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스프링 핀(91), 우측 스프링 핀(92), 및 핀 해제부(95)를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좌측 스프링 핀(91)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좌측 레일(31)로 커플링되고, 우측 스프링 핀(92)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의 우측 레일(32)로 커플링된다. 도 7, 도 8,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푸셔(14)가 보관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로 이동될 때, 좌측 및 우측 스프링 핀(91, 92)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 내에 형성된 상응하는 좌측 및 우측 핀 수용부(93, 94) 내로 연장한다. 스프링 핀(91, 92)이 핀 수용부(93, 94) 내에 수용될 때,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이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사용자가 베이스 푸셔(14)를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역으로 이동시킬 준비가 되었을 때, 핀 해제부(95)가 핀(91, 92)을 핀 수용부(93, 94)의 외부로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해제부(95)가 좌측 및 우측 핀 푸셔(101, 102), 버튼(104), 및 편향 스프링(106)을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핀 푸셔(101, 102)가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로 장착되어, 핀(91, 92)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 내에 형성된 핀 수용부(93, 94) 외부로 푸시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버튼(104)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외측으로 활주된다. 버튼(104)이, 좌측 및 우측 핀 푸셔(101, 102)가 핀(91, 92)에 의해서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분리 위치로부터 좌측 및 우측 핀 푸셔(101, 102)를 외측으로 푸싱하는 결합 위치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버튼(104)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로 커플링된다. 버튼(104)을 분리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편향 스프링(106)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와 버튼(104) 사이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링키지(72)가 활주부 링크(111, 112) 및 푸셔 링크(113, 114)를 포함한다. 활주부 링크(111, 112)가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로 커플링되어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에 대해서 피봇된다. 푸셔 링크(113, 114)가 상응하는 활주부 링크(111, 112) 및 베이스 푸셔(14) 모두로 피봇식으로 커플링되어, 상응하는 활주부 링크(111, 112) 및 베이스 푸셔(14) 모두에 대해서 피봇된다. 후방 링키지(72)의 푸셔 회전기(86)가, 베이스 푸셔(14)가 직립 카트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위치와 베이스 푸셔(14)가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회전기(8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활주부 링크(111, 112)가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로부터 베이스 푸셔(14)를 향해서 연장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회전기(8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활주부 링크(111, 112)가 베이스 푸셔(14)로부터 멀리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로부터 연장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 캐리어(10)를 편평한-보관 모드로부터 카트-푸셔 모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도 7에서 화살표(120)로 제시된 바와 같은 제1 방향으로 보관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로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을 주위로 베이스 푸셔(14)를 피봇시킨다. 베이스 푸셔(14)의 이동에 응답하여, 도 8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전개기-구동부 유지기(82)가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른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의 추가적인 이동을 차단할 때까지,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가 화살표(125)에 의해서 제시된 바와 같은 전방 방향으로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라서 이동된다. 또한, 베이스 푸셔(14)의 이동에 응답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 화살표(121, 122)에 의해서 제시된 바와 같이 축(36A, 38A) 주위로 전방 바퀴(21, 22)가 이동된다.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또한 토우-판 선반(24)을 비활성적인 편평한 위치로부터 활성적인 연장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 캐리어(10)를 4-바퀴 카트 모드로부터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도 16에서 화살표(124)에 의해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푸셔 회전기(86)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베이스 푸셔(14)가, 도 14에서 화살표(126)에 의해서 제시된 바와 같이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제1 방향을 따라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로 피봇하도록 유도한다. 만약 그렇게 이미 이동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또한 토우-판 선반(24)을 비활성적인 편평한 위치로부터 활성적인 연장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적재물 캐리어(10)를 2-바퀴 핸드-트럭 모드로부터 4-바퀴 카트 모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푸셔 회전기(86)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베이스 푸셔(14)가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부터 직립 카트 위치로 푸셔 축(14A) 주위로 피봇하도록 유도한다.
적재물 캐리어(10)를 4-바퀴 카트 모드로부터 편평한 보관 모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토우-판 선반(24)이 연장된 위치로 이전에 이동되었다면, 사용자는 먼저 토우-판 선반(24)을 편평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사용자가 도 9에서 화살표(130)에 의해서 제시된 바와 같이 활주부 유지기(82)의 버튼(104)을 누른다. 사용자가 버튼(104)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핀 푸셔(101, 102)가 외측으로 이동되고 스프링 핀(91, 92)을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의 외부로 푸시하여,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80)를 자유롭게 하고 그에 따라 적재물-지지 프레임(18)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베이스 푸셔(14)를 베이스-푸셔 피봇 축(14A) 주위로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피봇시킨다. 베이스 푸셔(14)가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바퀴 이동기(70)는, 바퀴-편향 스프링(46, 56)이 전방 바퀴(21, 22)를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부터 접혀진 보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허용한다.
다른 예시적인 적재물 캐리어(210)가 도 18 및 도 18a에 도시되어 있다. 적재물 캐리어(210)가 도 1 내지 도 17에서 도시되고 본원에서 설명된 적재물 캐리어(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200/300 계열의 유사한 참조 번호는, 적재물 캐리어(210) 및 적재물 캐리어(10) 사이에서 공통되는 특징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핸드 트럭(21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과 충돌할 때를 제외하고, 적재물 캐리어(10)에 관한 설명이 핸드 트럭(210)에 대해서 적용되도록 참조로서 포함된다.
적재물 캐리어(10)와 달리, 적재물 캐리어(210)은 (단일 잠금부(118) 대신에)전방 및 후방 잠금부(318, 319)을 가지는 푸셔 회전기(286)를 포함한다. 푸셔 회전기(286)가, 베이스 푸셔(214)의 직립 카트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위치와 베이스 푸셔(214)의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에 상응하는 제2 위치 사이의 링크(213, 214)의 이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푸셔 회전기(286)가, 도 18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15), 가로대(316), 전방 잠금부(318), 및 후방 잠금부(319)를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핸들(315) 및 가로대(316)가 활주부 링크(311, 312)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호 연결한다. 전방 잠금부(318)가, 베이스 푸셔(214)에 대면하는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280)의 측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280)로 커플링된다. 후방 잠금부(319)가, 토우-판 선반(224)에 대면하는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280)의 다른 측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280)로 커플링된다. 링크(213, 21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전방 잠금부(318)가 핸들(315)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시프터(shifter) 링키지(278)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후방 잠금부(319)가 핸들(315)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잠금부(318, 319)가 상응하는 벽(338, 339) 및 상응하는 차단부(348, 349)를 포함한다. 핸들(315)이 잠금부(318, 319)에 의해서 결합될 때, 핸들(315)이 벽(338, 339)과 차단부(348, 349) 사이에 수용된다. 차단부(348, 349)가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280)에 대해서 피봇하여, 핸들(315)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고, 다시 링크(213, 214)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한다. 차단부(348, 349)가 편향 스프링(미도시)에 의해서 핸들(315) 및 링크(213, 214)의 이동 차단을 향해서 편향된다.

Claims (20)

  1.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이며:
    롤링 베이스로서, 적재물-지지 프레임, 접혀진 보관 위치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에서 좌측 피봇 축 주위로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된 좌측 전방 바퀴 유닛, 적재물 캐리어의 편평한 보관 모드와 연관된 접혀진 보관 위치와 적재물 캐리어의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와 연관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에서 우측 피봇 축 주위로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된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및 일반적상태에서(normally) 접혀진 보관 위치를 가지도록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을 그 피봇 축 주위로 항복 가능하게 피봇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접혀진 보관 위치에서, 상기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가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분리되고 좌측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가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를 향해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상기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가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결합하고 롤링하도록 그리고 공통 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롤링 베이스,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상단을 따르고 그 상부에 놓이도록 배열되고 제1 방향을 따른 적재물 캐리어의 편평한 보관 모드와 연관된 보관 위치로부터, 베이스 푸셔 내에 포함된 후방 바퀴가 상기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결합하고 그 지면 상에서 롤링하도록 하기 위한 직립 카트 위치까지,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된 베이스 푸셔, 및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상단 상의 보관 위치로부터, 제1 피봇 각도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 푸셔 내에 포함된 후방 바퀴가 상기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결합하고 그 지면 상에서 롤링하도록 하여 적재물 캐리어의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를 구축하기 위한 직립 카트 위치까지의,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한 베이스 푸셔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전방 바퀴 유닛 내에 포함된 전방 바퀴가 상기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결합하고 그 지면 상에서 롤링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까지,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그들의 피봇 축 주위로 피봇팅시키기 위한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 수단을 포함하는, 적재물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푸셔가 또한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보관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상기 직립 카트 위치를 지나서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 도달하도록 이동 가능하여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대해서 공통 평면적인 관계로 놓여져 그 사이에 180°의 협각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구축할 수 있고, 상기 2-바퀴 핸드-트럭 모드에서 상기 롤링 베이스가 상기 롤링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푸셔가 하나의 유닛으로 이동할 때 전방 바퀴 상에서만 롤링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베이스 푸셔 내의 임의의 후방 바퀴를 상기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적재물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 수단이 전방 링키지 및 후방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링키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에 커플링되고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에서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되고, 상기 후방 링키지는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편평한 보관 모드 및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와 연관된 전방 링키지 상에서의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전방 바퀴 유닛 사이에서 전방 링키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과 연관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방 링키지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되고, 상기 베이스 푸셔는,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구축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전방 링키지에 대해서 후방 링키지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전방 링키지가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정지적인(stationary)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에서 상기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2-바퀴 핸드-트럭 위치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적재물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키지가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로 커플링된 바퀴 전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 전개기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이 멀리 전개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가 공통 축 주위로 그리고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후방 링키지,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및 상기 바퀴 전개기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조화되게(in unison),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방향을 따른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상기 베이스 푸셔의 이동에 응답하여,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으로 인가되는 이동-저지력에 대항하여 상기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의 각각에 제공되는 캠과 결합하도록 배열되는, 적재물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링키지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전방 링키지의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의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푸셔 회전기, 및 푸시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막대는, 상기 푸셔 회전기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되어 상기 푸셔 회전기가 제1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푸셔 회전기와 협력하여,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베이스 푸셔의 피봇 운동을 상기 전방 바퀴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활주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바퀴 전개기를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과의 캐밍 결합으로 압박하고, 그에 따라 그러한 바퀴 유닛을 그들의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그들의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시키는, 적재물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 수단이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되는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및 상기 전개기 구동부로 커플링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의 각각 상에 제공된 캠과 결합하도록 배열된 바퀴 전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이, 상기 바퀴 전개기를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전방 바퀴를 향한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활주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바퀴 전개기와의 캐밍 결합 중에 상기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하는, 적재물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전개기가 전개기-피봇 축 주위의 피봇 가능 운동을 위해서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에 장착된 근위(proximal) 부분, 및 상기 전개기-피봇 축 주위로 피봇하도록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의 각각 상에 제공된 캠과 결합하도록 배열되는 자유 부분을 포함하는, 적재물 캐리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전개기가 상기 롤링 베이스 상에서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전개기 판,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활주 이동을 상기 전개기 판의 피봇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상기 전개기 판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각각으로 피봇 가능하게 커플링된 바퀴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기 판을 피봇시키는 것은, 상기 적재물 캐리어를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 변화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상기 베이스 푸셔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내에 포함된 캠으로 피봇-유도력을 인가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시키는, 적재물 캐리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가 전방 링키지 및 후방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링키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에 커플링되고, 상기 후방 링키지는 상기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되고,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상기 편평한 보관 모드 및 상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와 연관된 제1 위치와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와 연관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방 링키지 상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링키지가 협력하여, 상기 후방 링키지가 상기 전방 링키지 상의 제1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피봇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 푸셔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전방 링키지에 대한 후방 링키지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구축하기 위해서 상기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상기 전방 바퀴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피봇 각도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피봇하도록 배열되는, 적재물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키지가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로 커플링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과 캐밍 결합으로 놓이도록 배열되는 바퀴 전개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링키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의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푸셔 회전기 및 상기 푸셔 회전기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된 푸시 막대를 포함하는, 적재물 캐리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전개기가 상기 롤링 베이스 상에서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전개기 판,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활주 이동을 상기 전개기 판의 피봇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상기 전개기 판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각각으로 피봇 가능하게 커플링된 바퀴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기 판을 피봇시키는 것은, 상기 적재물 캐리어를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 변화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상기 베이스 푸셔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내에 포함된 캠으로 피봇-유도력을 인가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시키는, 적재물 캐리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및 베이스 푸셔가 협력하여, 상기 베이스 푸셔의 상기 직립 카트 위치로의 이동 시에, 90°의 협각을 그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푸셔가 협력하여, 상기 베이스 푸셔의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의 이동 시에, 180°의 협각을 그 사이에 형성하는, 적재물 캐리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봇 각도의 각각이 90°인, 적재물 캐리어.
  14. 접혀질 수 있는 적재물 캐리어이며,
    롤링 베이스로서, 적재물-지지 프레임, 접혀진 보관 위치와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에서 좌측 피봇 축 주위로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된 좌측 전방 바퀴 유닛, 적재물 캐리어의 편평한 보관 모드와 연관된 접혀진 보관 위치와 적재물 캐리어의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와 연관된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 사이에서 우측 피봇 축 주위로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에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된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및 일반적상태에서 접혀진 보관 위치를 가지도록 각각의 전방 바퀴 유닛을 그 피봇 축 주위로 항복 가능하게 피봇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접혀진 보관 위치에서, 상기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가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분리되고 좌측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가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를 향해서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에서, 상기 전방 바퀴 유닛 내의 전방 바퀴가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결합하고 롤링하도록 그리고 공통 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롤링 베이스,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의 상단을 따르고 그 상부에 놓이도록 배열되고 제1 방향을 따른 적재물 캐리어의 편평한 보관 모드와 연관된 보관 위치로부터, 베이스 푸셔 내에 포함된 후방 바퀴가 상기 롤링 베이스 아래의 지면과 결합하고 그 지면 상에서 롤링하도록 하기 위한 직립 카트 위치까지,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피봇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장착된 베이스 푸셔, 및
    전방 링키지 및 후방 링키지를 포함하는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로서, 상기 전방 링키지가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에서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되고 상기 전방 바퀴 유닛의 각각과 캐밍 관계로 결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후방 링키지가 전방 링키지 및 베이스 푸셔의 각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를 구축하기 위해서 상기 전방 바퀴 유닛의 각각을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적재물 캐리어가 편평한 보관 모드에 있을 때 베이스 푸셔의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피봇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전방 바퀴 유닛의 각각으로 캐밍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전방 링키지와 협력하도록 배열되는, 적재물-캐리어 모드 전환기를 포함하는, 적재물 캐리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키지가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및 상기 전방 바퀴 유닛과 캐밍 결합으로 놓이도록 배열되고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와 상기 전방 바퀴 사이에 놓이도록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로 커플링되는 바퀴 전개기를 포함하는, 적재물 캐리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전개기가 상기 롤링 베이스 상에서의 피봇 가능한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전개기 판,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활주 이동을 상기 전개기 판의 피봇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상기 전개기 판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의 각각으로 피봇 가능하게 커플링된 바퀴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기 판을 피봇시키는 것은, 상기 적재물 캐리어를 편평한 보관 모드로부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로 변화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의 상기 베이스 푸셔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 내에 포함된 캠으로 피봇-유도력을 인가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피봇시키는, 적재물 캐리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링키지가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상기 편평한 보관 모드 및 상기 전방-및-후방-바퀴 카트 모드와 연관된 제1 위치와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와 연관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방 링키지 상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링키지가 협력하여, 상기 후방 링키지가 상기 전방 링키지 상의 제1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접혀진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접혀지지 않은 롤링 위치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을 피봇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 푸셔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전방 링키지에 대한 후방 링키지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적재물 캐리어의 2-바퀴 핸드-트럭 모드를 구축하기 위해서 상기 직립 카트 위치로부터 레이드백 핸드-트럭 위치로 상기 롤링 베이스의 적재물-지지 프레임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제1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푸셔 피봇 축 주위로 피봇하도록 배열되는, 적재물 캐리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링키지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방 링키지 상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된 푸셔 회전기, 및 상기 푸셔 회전기 및 상기 베이스 푸셔의 각각으로 피봇 가능하게 커플링된 푸시 막대를 포함하는, 적재물 캐리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회전기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기 피봇 축 주위로 피봇 가능하게 운동하도록 상기 전방 링키지 상에 장착되는, 적재물 캐리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키지가 상기 적재물-지지 프레임 상의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및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로 커플링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방 바퀴 유닛과 캐밍 결합으로 놓이도록 배열되는 바퀴 전개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링키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활주 가능 전개기 구동부 상의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 푸셔 회전기 및 상기 푸셔 회전기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 푸셔로 커플링된 푸시 막대를 포함하는, 적재물 캐리어.
KR1020167003339A 2013-07-12 2014-07-14 모드 전환기를 가지는 적재물 캐리어 KR101787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45648P 2013-07-12 2013-07-12
US61/845,648 2013-07-12
PCT/US2014/046490 WO2015006760A1 (en) 2013-07-12 2014-07-14 Load carrier with mode c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139A KR20160033139A (ko) 2016-03-25
KR101787297B1 true KR101787297B1 (ko) 2017-10-18

Family

ID=5227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339A KR101787297B1 (ko) 2013-07-12 2014-07-14 모드 전환기를 가지는 적재물 캐리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096249B2 (ko)
EP (3) EP3798091A1 (ko)
KR (1) KR101787297B1 (ko)
CN (2) CN107323496B (ko)
CA (1) CA2918059C (ko)
DE (1) DE202014011052U1 (ko)
MX (1) MX2016000435A (ko)
TW (1) TWI609809B (ko)
WO (1) WO2015006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8091A1 (en) 2013-07-12 2021-03-31 Dorel Home Furnishings, Inc. Load carrier with mode changer
US9365225B2 (en) * 2014-08-22 2016-06-14 Elvis Henao Transformative hand cart
USD749812S1 (en) 2014-10-02 2016-02-16 Ameriwood Industries, Inc. Hand truck
US10093380B2 (en) * 2014-10-05 2018-10-09 Skyer Motors Technologies LTD Method and system for folding a personal vehicle
WO2016115519A1 (en) * 2015-01-15 2016-07-21 Ameriwood Industries, Inc. Load carrier with mode changer
US9616907B1 (en) 2015-10-06 2017-04-11 Dorel Home Furnishings, Inc. Multi-mode hand truck
USD809730S1 (en) 2015-12-22 2018-02-06 Veltek Associates, Inc. Cart
EP3190026B1 (de) 2016-01-05 2017-12-27 Kompernass Handelsgesellschaft MbH Zusammenfaltbarer transportwagen
US9637149B1 (en) * 2016-01-31 2017-05-02 Wen-Fa Wang Multi-function cart
US10974751B2 (en) * 2016-04-29 2021-04-13 Out Of The Box Concepts, Llc Folding cart
CN205671686U (zh) * 2016-05-31 2016-11-09 梁胜忠 能朝底盆折收的行李箱
JP6697768B2 (ja) * 2016-06-29 2020-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歩行支援ロボット及び歩行支援方法
US10850760B2 (en) * 2016-08-03 2020-12-01 Richard Neal Shapiro Foldable wheeled carrier including wheel folding actuation handle
US10160467B2 (en) * 2017-01-11 2018-12-25 Greg Josephsen Convertible cart device
WO2018223096A1 (en) * 2017-06-02 2018-12-06 Harper Trucks, Inc. Four position hand truck
TWM550247U (zh) * 2017-06-03 2017-10-11 Best Caddy Co Ltd 易於展開定位之手推車
US10703397B1 (en) * 2018-02-26 2020-07-07 Harper Trucks, Inc. Hand truck with folding toe plate
EP3593955A1 (de) * 2018-07-09 2020-01-15 Hilti Aktiengesellschaft Wandbefestigung
CN209079949U (zh) * 2018-10-16 2019-07-09 广东顺和工业有限公司 两用折叠手推车
TW202045390A (zh) 2019-03-08 2020-12-16 美商哈柏卡車有限公司 二形態手推車
KR102027733B1 (ko) * 2019-03-29 2019-10-01 송재호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TWI692426B (zh) * 2019-06-21 2020-05-01 財團法人亞洲大學 多功能可背式手推車
CN110316233B (zh) * 2019-07-12 2023-12-22 永康市原野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折叠手推车
CN110406577A (zh) * 2019-08-05 2019-11-05 徐州鑫路达配送服务有限公司 一种两用式折叠搬运推车
CN110466295A (zh) * 2019-08-30 2019-11-19 贵州大学 一种井下钻机搬运车
JP1661735S (ko) * 2019-09-20 2020-06-15
JP1661733S (ko) * 2019-09-20 2020-06-15
US11897530B2 (en) * 2019-10-17 2024-02-13 Dawson Manufactures Llc Self-contained multi-axis articulable platform and containment system for facilitating transport and dispersal of bulk materials and methods for employing such a system
CN111252440B (zh) * 2020-03-26 2022-01-11 广州代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仓库的便于收纳的搬运设备
CN213782324U (zh) 2020-10-30 2021-07-2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高压连接器的单极性连接端子及连接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354A (ja) * 2011-01-06 2012-08-16 Yee Shiuann Enterprise Co Ltd 手押し車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3619A (en) 1942-11-20 1944-11-28 Miguel G Prieto Carrier
US2598168A (en) 1947-05-19 1952-05-27 Hooz Additional wheel attachment for two-wheel hand trucks
US2786692A (en) 1954-08-30 1957-03-26 Timpson Amos Jackson Collapsible cart
DE6751061U (de) 1968-09-27 1969-01-23 Dominikus Bauer Zweiradkarren mit einklappbarer und gefederter lenkrolle
US3785669A (en) 1972-08-28 1974-01-15 Coca Cola Co Convertible bulk hand truck
US3873118A (en) 1973-05-31 1975-03-25 Shozo Takagi Manual carrier
US4358124A (en) 1978-09-26 1982-11-09 Concept Engineering, Inc. Utility cart
US4227709A (en) 1978-12-04 1980-10-14 Gradwohl Donald R Convertible hand truck-wagon
IT8321973V0 (it) 1983-05-26 1983-05-26 Black & Decker Inc Carrello universale multiuso a ruote spostabili e ad assetto verticale.
JPH0234142Y2 (ko) 1984-12-14 1990-09-13
US4659096A (en) 1985-03-06 1987-04-21 John Leimgruber Carriage device
US4921270A (en) 1988-08-10 1990-05-01 Liberty Diversified Industries Convertible hand truck
US5476282A (en) 1991-09-17 1995-12-19 Dahl; Gary-Michael Convertible transport cart
US5207439A (en) 1992-02-21 1993-05-04 Magline, Inc. Improvements in hand trucks with pivotally connected, spreadable, wheel-supported, auxiliary support frames
US5709400A (en) 1993-01-20 1998-01-20 Mgb Folding assembly for the support or transportation of a person
US5779251A (en) 1994-01-10 1998-07-14 Meier; James W. Brake and retractable rear stabilizer apparatus for a hand dolly
US5536034A (en) 1994-10-12 1996-07-16 Miller; Walter A. Convertible bulk hand truck and table top
US5810373A (en) 1996-01-16 1998-09-22 Miranda; Eduardo E. Removable stepwise adjustable dolly support adjustable to fit various dollies
US6419244B2 (en) 1997-08-23 2002-07-16 Fred E. Meabon Convertible hand dolly and cart
FR2780932B1 (fr) * 1998-07-08 2000-09-22 Ampafrance Poussette pliante pour enfant, a memorisation de l'inclinaison du hamac
US6053514A (en) * 1998-08-27 2000-04-25 Su; Chung-Shiu Push cart
US6053515A (en) 1998-12-31 2000-04-25 Kelley; Earnest Handy carrier
US6273438B1 (en) 1999-08-05 2001-08-14 Vuthisit Prapavat Hand truck
US6328319B1 (en) 2000-03-16 2001-12-11 Wesco Industrial Products, Inc. Hand truck convertible to a cart
US6308967B1 (en) 2000-06-02 2001-10-30 Harper Trucks, Inc. Dual hand truck
US6364328B1 (en) 2000-08-29 2002-04-02 Wesco Industrial Products, Inc. Three-position hand truck using multiple locking mechanisms and/or a combination connecting member and channel
US6588775B2 (en) * 2001-10-23 2003-07-08 Gleason Industrial Products, Inc. Convertible hand cart with improved locking means
US6945545B2 (en) 2003-01-22 2005-09-20 Giuliano Celli Multi function hand truck
US6877586B2 (en) * 2003-04-11 2005-04-12 Sylmark Holdings Limited Hinge system for combination hand truck, step ladder and dolly device
US6880835B2 (en) * 2003-04-11 2005-04-19 Sylmark Holdings Limited Combination hand truck, step ladder and dolly
US6971654B2 (en) 2003-06-19 2005-12-06 Amsili Marc A Compact collapsible cart with vertical lift
TWI381963B (zh) * 2007-02-16 2013-01-11 Haiming Tsai Improvement of trolley structure
US8100430B2 (en) * 2007-02-23 2012-01-24 Cosco Management, Inc. Convertible hand truck
DE202008004375U1 (de) * 2008-03-28 2008-08-14 Cosco Management, Inc., Wilmington Umwandelbarer Hand-Förderkarren
US7784816B2 (en) * 2008-09-12 2010-08-31 Jian Shikun Flat platform cart with collapsible casters
US8091916B2 (en) * 2008-09-22 2012-01-10 Shapiro Richard N Fold flat carrier wagon/cart with stowable walls, wheels and handle, and manufacturing methods
US7819409B2 (en) 2008-12-10 2010-10-26 Chin-Lin Chang Foldable wheel seat
US20100253025A1 (en) * 2009-03-17 2010-10-07 Don Smith Utility Hand-Truck
CN101758845A (zh) * 2010-01-25 2010-06-30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便携式折叠手拉车
MX2012000027A (es) * 2010-12-17 2014-03-06 Dg Mfg Llc Ensamble sin herramientas de carretillas manuales y metodos relacionados.
US20120242063A1 (en) * 2011-03-22 2012-09-27 Carl Bruckner Device and System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Cables and Wires
CN202378916U (zh) * 2011-12-28 2012-08-15 吕阳 折叠便携下拉杆购物车
TWM456952U (zh) * 2013-03-19 2013-07-11 Univ Ling Tung 電子磅秤推車
EP3798091A1 (en) 2013-07-12 2021-03-31 Dorel Home Furnishings, Inc. Load carrier with mode cha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354A (ja) * 2011-01-06 2012-08-16 Yee Shiuann Enterprise Co Ltd 手押し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9383A4 (en) 2017-03-29
EP3798091A1 (en) 2021-03-31
TWI609809B (zh) 2018-01-01
CN107323496A (zh) 2017-11-07
CN105531173A (zh) 2016-04-27
US9211894B2 (en) 2015-12-15
EP3269617B1 (en) 2020-11-11
CA2918059C (en) 2018-06-12
KR20160033139A (ko) 2016-03-25
WO2015006760A1 (en) 2015-01-15
EP3019383A1 (en) 2016-05-18
TW201515896A (zh) 2015-05-01
CN105531173B (zh) 2017-08-08
US9096249B2 (en) 2015-08-04
EP3019383B1 (en) 2018-05-30
MX2016000435A (es) 2016-08-03
DE202014011052U1 (de) 2017-07-24
US20150298714A1 (en) 2015-10-22
CA2918059A1 (en) 2015-01-15
US20150014965A1 (en) 2015-01-15
EP3269617A1 (en) 2018-01-17
CN107323496B (zh)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297B1 (ko) 모드 전환기를 가지는 적재물 캐리어
US10118633B2 (en) Load carrier with mode changer
US20230406382A1 (en) Pallet sled
CN101513893B (zh) 可变换的手推车
CN102673619A (zh) 随意手拉车
EP1222101A1 (en) Rapidly demountable multiple platform utility cart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operating it
EP2819909B1 (fr) Chariot de transport transformable à paire de jambes rabattables et roues rabattables simultanément
CA2877262A1 (en) Pallet lift
WO2006094958A1 (en) Shopping cart
WO2007070950A1 (en) Hand trolley
NZ788530A (en) Pallet Sled
JP2006044456A (ja) 脚部格納式手押し車及びその格納構造
JP2006151317A (ja) 脚部格納式手押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