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262B1 -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262B1
KR101787262B1 KR1020160068327A KR20160068327A KR101787262B1 KR 101787262 B1 KR101787262 B1 KR 101787262B1 KR 1020160068327 A KR1020160068327 A KR 1020160068327A KR 20160068327 A KR20160068327 A KR 20160068327A KR 101787262 B1 KR101787262 B1 KR 10178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vehicle
mar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훈
조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36Instruction issuing, e.g. dynamic instruction scheduling or out of order instruction exec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스크 작업시간 및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에 따른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어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복수의 태스크 작업을 포함하는 태스크를 관리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상기 태스크 작업을 실행하는 제어부, 각 태스크 프레임에 할당된 태스크 작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인 태스크 작업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태스크 작업시간 및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는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Electronic control unit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aging task of electronic control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스크 작업시간 및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에 따른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어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차량 내부 기관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수의 센서들이 전송해 오는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초기의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점화시기, 연료분사 및 공회전 설정 등 엔진의 기능만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최근 대부분의 차량에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고,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 제품의 수가 무수히 많아지면서 차량 내 외의 많은 변수들을 고려하여 차량 시스템을 제어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의 기능뿐만 아니라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및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가 탑재된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운영체제는 차량 시스템 제어를 위한 작업을 여러 태스크(task)로 분산시키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통해 해당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스크에 할당된 작업은 일정한 시간에 처리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차량용 운영체제는 각 태스크에 할당된 작업을 완료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시 동일한 작업의 수행을 요청 받으면 정상적인 태스크 스케쥴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에러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태스크에 할당된 작업의 수행 시간은 차량 내 환경이나 외부 영향으로 인해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동 사항을 고려하여 태스크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각 태스크에 할당된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작업 여유 시간을 측정하지 못함으로써, 에러가 발생되기 전까지는 시스템 오류를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각 태스크에 걸리는 최대 로드를 파악할 수 없어 시스템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각 태스크에 걸리는 로드 정보를 비교할 수 없어, 어떤 태스크의 에러 발생 확률이 높은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각 테스크의 로드 정보에 따라 태스크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당하지 못함으로써, 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태스크 로드를 파악함으로써, 시스템 오류를 예측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진비율의 최소 값을 최종 마진비율로 결정하여 태스크에 걸리는 최대 로드를 파악함으로써, 시스템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진비율의 평균 값인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 프레임을 조절함으로써, 태스크의 부하를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른 태스크와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태스크 작업을 다른 태스크에 할당함으로써,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복수의 태스크 작업을 포함하는 태스크를 관리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상기 태스크 작업을 실행하는 제어부, 각 태스크 프레임에 할당된 태스크 작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인 태스크 작업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태스크 작업시간 및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는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은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에서 복수의 태스크 작업을 포함하는 태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상기 태스크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 각 태스크 프레임에 할당된 태스크 작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인 태스크 작업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작업시간 및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태스크 로드를 파악함으로써, 시스템 오류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진비율의 최소 값을 최종 마진비율로 결정하여 태스크에 걸리는 최대 로드를 파악함으로써, 시스템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진비율의 평균 값인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 프레임을 조절함으로써, 태스크의 부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다른 태스크와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태스크 작업을 다른 태스크에 할당함으로써,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작업이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실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작업이 복수의 태스크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진비율의 최소 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태스크와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태스크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100)은 제어부(110), 측정부(120) 및 산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작업이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실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 작업이 복수의 태스크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100)을 구성하는 제어부(110), 측정부(120) 및 산출부(1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태스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복수의 태스크를 이용한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통해 태스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는 운영체제에서 실행될 하나의 작업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본 발명에서 운영체제는 하나의 태스크를 멀티태스킹을 위한 여러 개의 태스크 작업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 A는 복수개의 태스크 작업(A1 내지 A8)로 분할될 수 있다.
한편, 태스크 프레임은 하나의 태스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태스크 프레임은 운영체제가 멀티태스킹을 이용하여 태스크 작업을 처리할 때, 특정 시간에 복수의 태스크 상에서 실행되는 태스크 작업이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스크 프레임은 일정한 주기를 갖고, 해당 주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는 일정한 반면 태스크 작업이 실행되는 시간은 운영체제의 멀티태스킹을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태스크 프레임의 시작 시점과 태스크 작업이 실행되는 시간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일정 주기에 따라 태스크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운영체제에 내장된 알람(alarm)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 작업을 다른 태스크에 할당하거나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증가시키는 등의 태스크 제어를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측정부(120)는 각 태스크 프레임에 할당된 태스크 작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인 태스크 작업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20)는 태스크 1에 할당된 태스크 1 #작업 1 내지 #작업 4에 대한 태스크 작업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20)는 #작업 2가 시작되는 시점인 5ms에서 #작업 2가 종료되는 시점인 8.1ms까지의 경과 시간인 3.1ms를 #작업 2에 대한 태스크 작업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부(120)는 #작업 1은 3.3ms의 작업시간, #작업 2는 3.1ms의 작업시간, #작업 3은 3.2ms의 작업시간, #작업 4는 3.1ms의 작업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130)는 태스크 작업시간 및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진비율은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에서 태스크 작업시간을 감산한 값을 태스크 프레임 주기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출부(130)는 마진비율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후술하는 [수학식 1]을 이용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53050723-pat00001
도 2를 참조하면, 산출부(130)는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작업 1의 마진비율을
Figure 112016053050723-pat00002
인 0.34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산출부(130)는 #작업 2의 마진비율을
Figure 112016053050723-pat00003
인 0.38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부(130)는 #작업 3의 마진비율을 0.36, #작업 4의 마진비율을 0.38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산출부(130)는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최종 마진비율은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의 최대 값, 최소 값 및 평균 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산출부(130)는 #작업 1 내지 #작업 4의 마진비율 중에서 0.34로 최소 값인 #작업 1의 마진비율을 최종 마진비율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태스크 로드(load)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마진비율 중 최소 값을 최종 마진비율로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해당 태스크에 최대 로드가 얼마나 걸리는지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로드는 각각의 태스크가 실행하는 작업의 양 또는 해당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부하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진비율의 최소 값을 이용한 최종 마진비율이 0.34인 경우, 사용자는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에 대한 태스크 작업시간이 최대 66%에 해당한다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작업 1 내지 #작업 4의 마진비율의 평균 값인 0.365를 최종 마진비율로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태스크 1에 걸리는 평균적인 로드가 63.5%라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하나 이상의 다른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태스크는 운영체제에서 처리될 다른 작업이 할당된 태스크를 포함할 수 있고, 도 2에서 설명한 태스크 1과 동일한 목적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태스크 A에서 5ms의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A1 내지 A8의 태스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태스크 B에서 10ms의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B1 내지 B4의 태스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태스크 C에서 20ms의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C1 및 C2의 태스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태스크 A 내지 태스크 C에서 실행되는 태스크 작업의 작업시간 및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 마진비율은 후술하는 [표 1]과 같을 수 있다.
작업시간[ms] 마진비율 작업시간[ms] 마진비율 작업시간[ms] 마진비율
A1 1.1 0.78 B1 2.4 0.76 C1 2.3 0.885
A2 1.2 0.76
A3 0.9 0.82 B2 2.3 0.77
A4 1.3 0.74
A5 1.1 0.78 B3 2.4 0.76 C2 2.2 0.89
A6 1.0 0.8
A7 1.2 0.76 B4 2.2 0.78
A8 1.3 0.74
이 때, 태스크 A 내지 C의 최종 마진비율은 각 태스크에서 실행되는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의 최소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스크 A의 최종 마진비율은 0.74, 태스크 B의 최종 마진비율은 0.76, 태스크 C의 최종 마진비율은 0.885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태스크 A 내지 C의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하여 태스크 A의 로드가 상대적으로 가장 크다는 것과 태스크 C의 로드가 상대적으로 가장 작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최종 마진비율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태스크에 포함된 태스크 작업을 다른 태스크에 할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보다 큰 최종 마진비율을 갖는 다른 태스크에 태스크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태스크 A에 걸리는 로드가 태스크 C에 걸리는 로드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어부(110)는 태스크 A에 할당된 A1 내지 A8 태스크 작업 중 일부를 태스크 C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프레임의 주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준 마진비율을 설장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최종 마진비율이 기준 마진비율 미만인 경우 태스크 프레임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최종 마진비율은 태스크 1에서 실행되는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작업 1 내지 #작업 4의 마진비율을 이용해 계산된 최종 마진비율은
Figure 112016053050723-pat00004
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마진비율은 0.37일 수 있고, 제어부(110)는 태크스 1의 최종 마진비율이 기준 마진비율 미만이므로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5ms보다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진비율의 최소 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태스크와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태스크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태스크 작업을 실행한다(S410). 그 다음,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각 태스크 프레임에 할당된 태스크 작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인 태스크 작업시간을 측정한다(S420). 그 다음, 태스크 작업시간 및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한다(S430). 그 다음,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고(S440), 마지막으로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제어한다(S450).
단계(S410) 및 단계(S450)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1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고, 단계(S420)은 도 1에 도시된 측정부(12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30) 및 단계(S440)은 도 1에 도시된 산출부(13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은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각 태스크 작업에 따른 마진비율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태스크 작업의 마진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S510). 그 다음, 계산된 마진비율을 현재까지 계산된 마진비율 중 최소 값인 마진비율 최소 값과 비교할 수 있다(S520). 비교 결과, 계산된 마진비율이 마진비율 최소 값 미만인 경우, 계산된 마진비율을 마진비율 최소 값으로 갱신할 수 있다(S530).
한편, 계산된 마진비율이 마진비율 최소 값 이상인 경우, 다음 태스크 작업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40). 판단 결과, 다음 태스크 작업이 존재하면 해당 태스크 작업의 마진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S510).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태스크 작업이 실행됨에 따라 마진비율 최소 값을 갱신할 수 있다. 단계(S510) 내지 단계(S540)은 도 1에 도시된 산출부(13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은 다른 태스크로 태스크 작업을 할당하기 위해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은 단계(S440)에서 결정된 최종 마진비율을 다른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과 비교할 수 있다(S610). 그 다음, 결정된 최종 마진비율이 다른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620). 판단 결과, 결정된 최종 마진비율이 다른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 미만인 경우 해당 태스크 작업을 다른 태스크로 할당할 수 있다(S630).
한편, 판단 결과 결정된 최종 마진비율이 다른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 이상인 경우 또 다른 태스크와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할 수 있다(S610). 단계(S610) 내지 단계(S630)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1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태스크 로드를 파악함으로써, 시스템 오류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진비율의 최소 값을 최종 마진비율로 결정하여 태스크에 걸리는 최대 로드를 파악함으로써, 시스템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진비율의 평균 값인 최종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태스크 프레임을 조절함으로써, 태스크의 부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다른 태스크와 최종 마진비율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태스크 작업을 다른 태스크에 할당함으로써,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복수의 태스크 작업을 포함하는 태스크를 관리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상기 태스크 작업을 실행하는 제어부;
    각 태스크 프레임에 할당된 태스크 작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인 태스크 작업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태스크 작업시간 및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는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마진비율이 기준 마진비율 미만이면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증가시키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비율은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에서 상기 태스크 작업시간을 감산한 값을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로 나눈 값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마진비율은
    상기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의 최대 값, 최소 값 및 평균 값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하나 이상의 다른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에 포함된 태스크 작업을 상기 다른 태스크에 할당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보다 큰 최종 마진비율을 갖는 다른 태스크에 상기 태스크 작업을 할당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6. 삭제
  7.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에서 복수의 태스크 작업을 포함하는 태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를 갖는 태스크 프레임에 따라 상기 태스크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
    각 태스크 프레임에 할당된 태스크 작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인 태스크 작업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작업시간 및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마진비율이 기준 마진비율 미만이면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에서 상기 태스크 작업시간을 감산한 값을 상기 태스크 프레임의 주기로 나누어 상기 마진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태스크 작업에 대한 마진비율의 최대 값, 최소 값 및 평균 값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최종 마진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을 하나 이상의 다른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태스크에 포함된 태스크 작업을 상기 다른 태스크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태스크의 최종 마진비율보다 큰 최종 마진비율을 갖는 다른 태스크에 상기 태스크 작업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12. 삭제
KR1020160068327A 2016-06-01 2016-06-01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KR10178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27A KR101787262B1 (ko) 2016-06-01 2016-06-01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27A KR101787262B1 (ko) 2016-06-01 2016-06-01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262B1 true KR101787262B1 (ko) 2017-11-16

Family

ID=6080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327A KR101787262B1 (ko) 2016-06-01 2016-06-01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2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810B1 (ko) 1998-05-23 2001-02-01 윤종용 멀티 타스크 시스템의 퍼포먼스 측정방법
JP2012252422A (ja) 2011-05-31 2012-12-20 Fujitsu Ltd 予測プログラム、予測装置および予測方法
KR101399758B1 (ko) 2012-11-27 2014-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에서 실행되는 태스크의 주기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JP2015064657A (ja) * 2013-09-24 2015-04-09 株式会社東芝 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システム、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810B1 (ko) 1998-05-23 2001-02-01 윤종용 멀티 타스크 시스템의 퍼포먼스 측정방법
JP2012252422A (ja) 2011-05-31 2012-12-20 Fujitsu Ltd 予測プログラム、予測装置および予測方法
KR101399758B1 (ko) 2012-11-27 2014-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에서 실행되는 태스크의 주기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JP2015064657A (ja) * 2013-09-24 2015-04-09 株式会社東芝 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システム、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6807B (zh) 车速控制方法、车速控制系统和车辆
US11675016B2 (en) Diagnostic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for battery
JP6599927B2 (ja) ワーク供給システム
JP2007203788A (ja) バッテリの状態量演算装置及び車両用電源電圧制御装置
DE102012212526B4 (de) Verfahren zur Betriebszustandsüberwachung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und Baugruppe
JP2007191097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US10764372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device
CN111731095B (zh) 加速踏板输出电压调整方法及其系统、计算机设备、车辆
CN111619563B (zh) 自适应巡航加速过程中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
JP2009175947A (ja) 車載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車載電子制御装置の情報更新方法
WO2012066643A1 (ja) 蓄電デバイスの状態検知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136416B (zh) 飞行器的飞行重量监测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1399785B1 (en) A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processes
JP6946654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787262B1 (ko)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유닛의 태스크 관리 방법
JP2021091269A (ja) 制御装置
CN109252970B (zh) 一种发动机转速控制方法、发动机及车辆
CN113829947A (zh) 控制车辆充电的方法及装置
US9495182B2 (en) Apparatus of reconfigurable software mode management using runtime execution engine
CN115071496A (zh) 电池电量的显示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586460B1 (ko) 배터리 사용 습관 및 배터리 방전 경향 예측 시스템
CN112952953A (zh) 用于电池充电的方法及相应的装置、车辆、设备和介质
CN114714845A (zh) 一种汽车空调温度调节方法及系统
US6816777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expediting floating point processing
US6434464B1 (en) Process for evaluating the driving dynamic request of the driver for the driving strategy of an automatic/automated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