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125B1 -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 - Google Patents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125B1
KR101787125B1 KR1020127013049A KR20127013049A KR101787125B1 KR 101787125 B1 KR101787125 B1 KR 101787125B1 KR 1020127013049 A KR1020127013049 A KR 1020127013049A KR 20127013049 A KR20127013049 A KR 20127013049A KR 101787125 B1 KR101787125 B1 KR 10178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diameter
base
check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945A (ko
Inventor
다이스께 야마시따
노리오 기무라
마사까즈 요시다
미쯔오 다시로
Original Assignee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젖꼭지 선단부가 포유와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어, 적절하게 눌려 찌부러질 수 있고, 그 상태에서 확실하게 포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질 수지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한 전체가 대략 원뿔 형상의 중공체로 된 성형품이며, 장착 대상에 대응하여 직경 확대되어 있는 기부(21)와, 상기 기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연장되는 유륜부(22)와, 상기 유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륜부보다도 더욱 직경 축소된 젖꼭지부(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설치한 플랜지부(41)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어, 상기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두께 치수 내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밸브체를 형성한 역지 밸브(4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ARTIFICIAL NIPPLE AND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본 발명은, 포유기에 적용되는 인공 젖꼭지의 개량과, 개량된 인공 젖꼭지를 구비하는 포유기에 관한 것이다.
우유나 미리 짜놓은 모유를 수용하는 보틀에 장착하는 인공 젖꼭지는,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아가 인공 젖꼭지를 물고, 포유기로부터 수유하고 있을 때에, 포유병에 수용되어 있는 우유를 흡인함으로써 우유의 용적이 감소하면, 그만큼 보틀 내의 압력이 낮아져, 우유를 흡인하기 어려워지고, 인공 젖꼭지도 부압(負壓)에 의해 찌부러져 버리거나 한다.
따라서, 인공 젖꼭지의 하단부의 기부의 플랜지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밸브체를 설치하여, 보틀 내로 외기를 유도하는 역지 밸브를 형성한 것도 몇 가지 예가 보여진다(특허 문헌 1, Fig2, 특허 문헌 2, 도 2 각 참조).
US2005/0252875 A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6809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것은, 인공 젖꼭지의 플랜지부로부터 하방으로 노출시켜 밸브체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 밸브체가 손상되기 쉽고, 특히, 경시 열화에 의해 가동편인 밸브체가 변형되기 쉬워 겹쳐지지 않게 되어, 초기의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2의 것은, 밸브체가 플랜지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 일부는 플랜지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밸브체 자체의 구조가 반원형으로 가동 범위가 작고, 강도에 대한 고안도 그다지 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 밸브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반복 개폐하면 손상되기 쉽다.
또한 인공 젖꼭지를 보틀에 장착하기 위한 캡과 인공 젖꼭지 사이에 간극이 없어, 외기를 보틀 내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인공 젖꼭지의 기부를 밀어 넣어 강제적으로 간극을 만들 필요가 있어, 실용상 불편하다.
또한, 인공 젖꼭지의 기부를 변형시켰을 때에 보틀에 수용된 음료가 누출되어 버릴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상을 받기 어렵고 반복 개폐해도 변형되기 어렵고, 또한 세정시나 장착시에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외부의 공기를 보틀 내로 유도할 수 있는 역지 밸브를 구비하는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질 수지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한 전체가 대략 원뿔 형상의 중공체로 된 성형품이며, 장착 대상에 대응하여 직경 확장되어 있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연장되는 유륜부와, 상기 유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륜부보다도 더욱 직경 축소된 젖꼭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 치수 내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밸브체를 형성한 역지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역지 밸브의 밸브체는, 플랜지부의 두께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밸브체에 무언가가 접촉하는 것은 거의 생각할 수 없다. 특히, 세정시 등에도 밸브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어, 밸브체가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지 밸브는, 2매의 밸브체가 단면 삼각 형상으로 되도록 선단끼리를 맞대고 개폐하는 슬릿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의 기단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밸브체의 기단부를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인공 젖꼭지의 성형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밸브체의 기단부를 별개의 부재가 아닌 일체로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튼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체의 기단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체 개소가 대략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체의 기단부를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테두리 부분이 끊어지거나 하는 것과 같은 손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튼튼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지 밸브는, 2매의 가동편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직선적 개구인 슬릿을 개폐하는 구성이고, 또한 상기 슬릿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플랜지부의 주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인공 젖꼭지를 보틀에 장착하기 위한 캡을 상기 보틀에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캡을 비틀어 결합할 때에, 주위 방향으로의 비틀림력이 작용해도 역지 밸브의 각 밸브체가, 서로의 선단인 슬릿의 개소가 옆으로 미끄러져, 밸브체끼리가 겹쳐지지 않는 상태로 어긋나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간극 치수보다도 큰 치수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밸브체의 상기 슬릿 부분이 서로 부착되어, 개방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체의 개폐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륜부보다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와, 상기 팽출부의 오버행 형상의 하면과 잘록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잘록부에, 음료 수용용 보틀에 장착되는 경질인 캡의 내향 플랜지부가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캡이 장착되게 되어, 적어도 상기 잘록부의 일부의 깊이가, 상기 내향 플랜지부의 내측 단부보다도 안쪽측에 설정됨으로써, 상기 잘록부의 일부와 상기 캡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역지 밸브는 상기 간극과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외기는, 상기 슬릿과 상기 캡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간극과 연통되는 역지 밸브를 통과하므로, 종래와 같이 인공 젖꼭지를 손으로 눌러 변형시키지 않아도, 보틀 내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공 젖꼭지와, 상기 인공 젖꼭지가 장착되는 보틀을 구비하는 포유기이며, 상기 인공 젖꼭지가, 연질 수지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한 전체가 대략 원뿔 형상의 중공체로 된 성형품이고, 장착 대상에 대응하여 직경 확장되어 있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연장되는 유륜부와, 상기 유륜부보다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륜부보다도 더욱 직경 축소된 젖꼭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 치수 내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밸브체를 형성한 역지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을 받기 어렵고 반복 개폐해도 변형되기 어렵고, 확실하게 외부의 공기를 보틀 내로 유도할 수 있는 역지 밸브를 구비하는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포유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포유기의 젖꼭지부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포유기에 있어서, 보틀과 인공 젖꼭지를 접속하는 데 사용되는 캡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D-D선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젖꼭지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E-E선 절단 단부면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인공 젖꼭지의 개략 정면도.
도 8은 도 2의 A-A선 개략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인공 젖꼭지와 캡의 접합 부분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F-F선 개략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밸브체의 접합 부분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1의 밸브체의 슬릿과 플랜지의 방향을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다양한 한정이 부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포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포유병 등에 사용되는 보틀이며, 음료 용기의 일례이다.
보틀(1)의 상단부 외주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캡(3) 내면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캡(3)에는, 인공 젖꼭지(20)의 하단부 기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끼워 넣어지고, 그 상태에서, 상기 캡(3)을 보틀(1)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시켜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인공 젖꼭지(20)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2의 D-D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인공 젖꼭지의 젖꼭지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E-E 절단 단부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젖꼭지(20)는 연질 합성 수지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경도 10 내지 40[JIS-K6253(ISO7619)에 있어서의 A형 듀로미터에 의함]인 실리콘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혹은 천연 고무가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리콘 고무가 선택되고, 경도 15 내지 35[JIS-K6253(ISO7619)에 있어서의 A형 듀로미터에 의함]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인공 젖꼭지의 젖꼭지부 등의 치수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보틀(1)에 대해, 인공 젖꼭지(2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캡(이하, 「캡」이라 함)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의 (a)는 캡(3)의 개략 사시도, 도 3의 (b)는 캡(3)의 절반 단면도이다.
캡(3)은 전체가 경질 합성 수지인 성형품이며, 편평한 원통체이다. 이 편평한 원통체 상의 개구(31)는 하방의 개구(32)보다도 개구 직경이 작고, 상기 편평한 원통체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캡(3)의 상부에는 상방의 개구(31)에 인접하여 하향 단차부를 구성하는 내향 플랜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인공 젖꼭지(20)는, 상기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전체가 대략 원뿔 형상의 중공체로 된 성형품이다.
인공 젖꼭지는, 장착 대상, 예를 들어 도 1의 보틀(1)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직경 확장되어 있는 기부(21)와, 상기 기부(21)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연장되는 유륜부(22)와, 상기 유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선단에 이르기까지 도중에서 직경 확장되는 일 없이, 또한 상기 유륜부의 상기 직경 축소율보다도 더욱 작은 직경 축소율로 약간씩 서서히 직경 축소되면서 연장되는 젖꼭지부(23)를 갖고 있다. 젖꼭지부의 도면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음료를 분출하기 위한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5)는 그 컷트 형상에 의해, 둥근 구멍, Y자 형상, 십자 형상, 일방향의 슬릿 형상 등의 적절한 형태가 선택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륜부(22)는 젖꼭지부(23)보다도 큰 두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륜부(22)와 젖꼭지부(23)의 경계에는, 이 유륜부(22)보다도 두께가 얇고, 젖꼭지부(23)보다도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당해 개소의 원주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 취약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취약부(24)는 유륜부(22)의 근방에서 두께가 두껍고, 젖꼭지부(23)의 근방에서 두께가 가장 얇아지도록 서서히 두께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취약부는 유륜부(22) 근방에서는 강성이 높고, 젖꼭지부(23)에 근접하면 강성이 낮아져, 변형(굴곡)을 발생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단, 유륜부(22)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두께는 충분히 두꺼우므로, 접혔을 때에 완전히 찌부러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유륜부(22)나 젖꼭지부(23)의 두께는 사용하는 재료의 경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되지만, 젖꼭지부(23)의 두께를 1.0㎜ 내지 2.5㎜로 하고, 유륜부(22)의 두께를 그것의 1.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젖꼭지부(23)의 두께를 1.5㎜ 내지 2.0㎜, 유륜부의 두께를 3.0㎜로 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젖꼭지부(23)의 내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리브(26)가 형성되어 있고, 각 리브는 동일한 높이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하단부가 취약부(24)의 상부와 겹쳐져 있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3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포유 운동시에 유아의 혀 아래의 연동 운동의 압력에 의해 젖꼭지부(23)가 찌부러졌을 때에, 젖꼭지부(23)의 내벽과의 사이에 리브(26)가 개재되어 간극이 생기므로 음료의 통과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젖꼭지부(23)의 내면에 리브(26)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젖꼭지부(23)에서의 변형(굴곡)을 방지하여, 상기 취약부(24)의 변형(굴곡)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리브(26)의 높이(내측으로의 돌출 치수)는, 도 5의 위쪽에서 낮고, 아래쪽에서 높게 하도록 하면, 제조시의 이형(離型)이 용이한 동시에, 취약부(24)의 개소의 가장 약한 영역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만일 취약부(24)가 접혀 찌부러지려고 해도 음료 통로를 완전히 폐색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젖꼭지부(23)의 길이 방향의 치수 L2는, 수유시(이하, 우유 이외의 과즙 그 밖의 음료를 섭취하는 경우도「수유시」라 함)에 유아의 구강 내에서 그 포유와(哺乳窩)에 젖꼭지부(23)가 도달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로 되도록 설정된다.
포유와는 통상, 유아의 입술로부터 10 내지 15㎜ 정도 구강 내에 들어간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젖꼭지부(23)의 길이 방향의 치수 L2가 15㎜ 이상이면, 젖꼭지부(23)의 선단은 확실하게 유아의 포유와에 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젖꼭지부(23)의 길이 방향의 치수 L2를 15㎜로 하고, 기부(21)의 하단부로부터 젖꼭지부(23)의 선단까지의 치수 L1을 38㎜로 하고 있다.
또한, 기부(21)의 직경 방향의 폭 W1은, 수유시에 유아가 입술을 크게 열어도, 유륜부(22)가 유아의 구강 내로 들어가지 않고, 확실하게 유아의 입술에 의해 유지되기 위해,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부(21)의 직경 방향의 폭 W1을 45㎜로 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한다.
도 7은 인공 젖꼭지(20)의 개략 정면도로, 도면에 있어서, 유륜부(22)의 메쉬 표시를 한 영역에 관해서는, 그 표면이 미세한 요철 가공되어 있다.
즉, 상기 표면이 미세한 조면(粗面)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포유 운동시에, 유륜 부분이 유아의 입술에 확실히 유지지되어 미끄러지기 어려워, 입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유효하게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 가공은, 예를 들어 성형에 사용되는 형 내면을 미리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조면으로 한 후,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혹은 인공 젖꼭지 전체를 성형 후, 젖꼭지 부분을 마스킹하여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부(21)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연장되는 유륜부(22)와, 상기 유륜부(22)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선단에 이르기까지 도중에서 직경 확장되는 일 없이, 또한 유륜부(22)의 직경 축소율보다도 더욱 작은 직경 축소율로 약간씩 서서히 직경 축소되면서 연장되는 젖꼭지부(23)를 갖고 있다. 또한, 젖꼭지부(23)는, 수유시에 유아의 구강 내에서, 그 포유와에 도달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유아의 구강 내에서 포유 운동에 있어서의 연동 운동에 있어서, 종래의 인공 젖꼭지에 있어서 발생한 문제인, 확대된 젖꼭지 선단부가 되밀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고, 젖꼭지부(23)를 신전시키지 않아도 무리없이 확실하게 젖꼭지부(23) 선단이 포유와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젖꼭지부(23)는 얇게 되어 있으므로, 포유와에 도달한 상태에서 눌려 찌부러짐으로써 엄마의 젖꼭지로부터의 수유와 마찬가지로 수유할 수 있다.
또한, 취약부(24)를 형성함으로써, 그곳에서 곡절됨으로써(찌부러지는 일은 없음), 젖꼭지부(23)를 포유와를 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연동 운동을 받았을 때에 눌려 찌부러지는 영역이 상기 젖꼭지부(23)에 한정되고, 유륜부(22)에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유륜부는 유아의 입술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약간 변형되지만, 눌려 찌부러지는 일이 없이, 상기 입술부에 확실히 유지될 수 있다.
도 4의 인공 젖꼭지(20)의 기부(21)에 대해 설명한다.
기부(21)는 유륜부(22)의 더욱 하부에 있어서, 전체 둘레에 걸쳐,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팽출되는 팽출부(42)와, 상기 팽출부의 하면에 형성된 오버행부(47)와, 이 오버행부(47)와 대향하고 있고, 인공 젖꼭지(20)의 하단부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체 둘레에 걸쳐 링 형상으로 외측으로 팽출되어 있는 소정 두께를 구비한 플랜지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부(21)의 영역에 특징 있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호 P로 나타내는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부분 단면도, 도 10은 캡(3)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9의 부분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도 9, 도 10에 있어서, 팽출부(42)는 유륜부(22)로부터 유방의 팽창에 연속되도록 크게 직경 확장되는 부분에 상당시켜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42)와 플랜지부(41)의 사이에는, 도 3의 (b)에서 설명한 내향 플랜지부(34)가 들어가는 치수의 홈 또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잘록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잘록부(51)의 적어도 일부는 깊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캡(3)의 플랜지부(34)의 침입 깊이보다도 더욱 깊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잘록부(51)에 캡(3)의 플랜지부(34)를 끼워 넣었을 때에, 캡(3)의 플랜지부(34)의 내측 단부보다도 D2의 치수분만큼 잘록부(51)는 깊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부(41)에는, 인공 젖꼭지(20)가 캡(3)을 통해 보틀(1)에 장착된 상태, 즉 도 1의 상태에서, 수유시에 보틀(1) 내의 우유 등이 흡인됨으로써 보틀(1)의 내압이 저하되었을 때에,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도입하고, 내부의 액체가 밖으로 나가려고 할 때에는 폐쇄되는 역지 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4)는 플랜지(41)의 상하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41)의 두께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41)의 소정 영역에,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은 원형의 형성 개소(43)를 설치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가 플랜지부(41)와의 일체부(49, 49)를 설치하여, 상기 일체부(49, 49)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 얇은 가동편인 밸브체(44a, 44b)를 형성하고 있고, 각 밸브체(44a, 44b)는 각각의 선단(도 11에서는 하단부)이 폐쇄되어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한편 화살표 A의 방향의 공기는, 상기 선단이 공기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슬릿(48)을 형성하여 보틀(1) 내로 유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일체부(49, 49)는, 도 12에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이 초생달 형상으로 혹은 원호 형상으로 각 가동편인 밸브체(44a, 44b)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즉, 역지 밸브(44)는 2매의 밸브체(44a, 44b)가 단면 삼각 형상으로 되도록 선단끼리를 맞대어 개폐하는 슬릿(48)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 밸브체의 기단부[일체부(49)]는, 대략 초생달 형상으로 상기 기부의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44)의 개구인 슬릿(48)은 직선적 개구이며, 플랜지부(41)의 주위 방향 S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캡(3)에 장착된 인공 젖꼭지(20)를 보틀(1)에 장착할 때에 캡(3)을 나사 결합할 때에, 주위 방향 S로의 비틀림력이 작용해도 각 밸브체(44a, 44b)가 서로의 선단[슬릿(48)의 개소]이 옆으로 미끄러져, 밸브체끼리가 겹쳐지지 않는 상태로 어긋나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슬릿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간극 치수보다도 큰 치수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슬릿(48)의 양단부에는 원형의 관통 구멍(48a, 48a)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밸브체의 상기 슬릿(48)의 부분이 서로 붙어, 개방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체의 개폐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48a)은 도시의 경우 원형이지만, 삼각 형상인 것 등 마찬가지의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면 형상은 상관없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44)의 형성 개소(43)는 그 외측 테두리(내측 단부)가, 장착된 캡(34)의 내측 단부보다도 약간 내측(안쪽측)으로 됨으로써 간극 D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44)의 바로 위의 위치에 있어서, 팽출부(42)에는 상하에 관통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6)의 내측 단부는, 장착된 캡(34)의 내측 단부보다도 약간 내측(안쪽측)으로 됨으로써 간극 D3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과 도 11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팽출부(42)의 오버행부(47)에는 역지 밸브(44)에 근접하여, 관통 구멍(46)을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근소한 두께를 갖는 볼록부 등으로 형성한 스페이서(52, 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52, 52)가 도 11의 간극 G1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수유시에 보틀(1)의 내압이 저하되어도 도 10의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42)의 관통 구멍(46)을 통해 외기가 간극 D1을 빠져나가고, 계속해서 간극 D1, D2를 빠져나가 역지 밸브(44)에 이른다. 이 역지 밸브(44)는, 도 11에 있어서, 밸브체(44a, 44b)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슬릿(48)으로부터 보틀(1) 내를 향해 도 10의 화살표 A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들어가므로, 인공 젖꼭지(20)는 보틀(1)의 내압의 저하에 의해 찌부러지는 일이 없어, 지장 없이 수유를 계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유시에, 가령 유아가 인공 젖꼭지(20)를 무는 위치가 변화되어 그 입술에 의해 관통 구멍(46)을 막아 버려도, 스페이서(52, 52)의 존재에 의해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가 간극 G1로 들어가므로 보틀(1)의 내압을 저하시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변형예의 개별 구성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설명하지 않은 다른 구성과 조합해도 된다.
20 : 인공 젖꼭지
22 : 유륜부
23 : 젖꼭지부
24 : 취약부
34 : (캡의) 플랜지부
41 : 플랜지부
42 : 팽출부
44 : 역지 밸브
48 : 슬릿
51 : 잘록부
52 : 스페이서
D1, D2, D3, G1 : 간극

Claims (7)

  1. 탄성 재료에 의한 전체가 원뿔 형상인 중공체로 된 성형품이고,
    장착 대상에 대응하여 직경 확장되어 있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연장되는 유륜부와,
    상기 유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륜부보다도 더욱 직경 축소된 젖꼭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 치수 내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밸브체를 형성한 역지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역지 밸브는, 2매의 밸브체가 단면 삼각 형상으로 되도록 선단끼리를 맞대고 개폐하는 슬릿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의 기단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젖꼭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기단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체 개소가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젖꼭지.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는, 2매의 가동편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직선적 개구인 슬릿을 개폐하는 구성이고, 또한 상기 슬릿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플랜지부의 주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젖꼭지.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륜부보다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와, 상기 팽출부의 오버행 형상의 하면과 잘록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잘록부에, 음료 수용용 보틀에 장착되는 경질인 캡의 내향 플랜지부가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캡이 장착되도록 되고, 적어도 상기 잘록부의 일부의 깊이가, 상기 내향 플랜지부의 내측 단부보다도 안쪽측으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잘록부의 일부와 상기 캡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역지 밸브는 상기 간극과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젖꼭지.
  7. 인공 젖꼭지와, 상기 인공 젖꼭지가 장착되는 보틀을 구비하는 포유기이며,
    상기 인공 젖꼭지가,
    탄성 재료에 의한 전체가 원뿔 형상인 중공체로 된 성형품이고,
    장착 대상에 대응하여 직경 확장되어 있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서서히 직경 축소되어 연장되는 유륜부와,
    상기 유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륜부보다도 더욱 직경 축소된 젖꼭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 치수 내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밸브체를 형성한 역지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유륜부의 하부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팽출되는 팽출부를 갖고, 상기 팽출부는 상기 역지 밸브의 바로 위의 위치에 있어서, 관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기.
KR1020127013049A 2009-10-30 2010-10-29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 KR101787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0881 2009-10-30
JP2009250881A JP5629082B2 (ja) 2009-10-30 2009-10-30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PCT/JP2010/006406 WO2011052229A1 (ja) 2009-10-30 2010-10-29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945A KR20120107945A (ko) 2012-10-04
KR101787125B1 true KR101787125B1 (ko) 2017-10-18

Family

ID=4392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049A KR101787125B1 (ko) 2009-10-30 2010-10-29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57135B2 (ko)
EP (1) EP2494949B1 (ko)
JP (1) JP5629082B2 (ko)
KR (1) KR101787125B1 (ko)
CN (1) CN102665645B (ko)
AU (1) AU2010312911B2 (ko)
HK (1) HK1174528A1 (ko)
TW (1) TWI488619B (ko)
WO (1) WO20110522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28B1 (ko) 2023-06-27 2023-12-05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젖꼭지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6073B1 (en) 2010-11-22 2020-03-24 Mimijumi, Llc Feeding bottle
EP2694012A4 (en) * 2011-04-07 2015-02-18 Tw Innovations Llc TETE FOR BIBERON
JP5450513B2 (ja) * 2011-06-02 2014-03-26 株式会社ナカニシ 液体槽及び歯科用機器
CN102397167A (zh) * 2011-12-19 2012-04-04 蒋一新 奶嘴
NZ701467A (en) * 2012-04-02 2016-04-29 Jackel Int Ltd Nipple
US9517182B2 (en) * 2012-11-02 2016-12-13 Dart Industries Inc. Multi flow multi venting nipple
CN103110525B (zh) * 2013-02-04 2016-06-08 广州健士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奶瓶
JP6157149B2 (ja) * 2013-02-28 2017-07-05 コンビ株式会社 人工乳首及び人工乳首を有する哺乳器
JP2014166267A (ja) * 2013-02-28 2014-09-11 Combi Corp 人工乳首及び人工乳首を有する哺乳器
CN103222929B (zh) * 2013-04-15 2015-05-0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防胀气奶瓶
USD739539S1 (en) * 2013-11-07 2015-09-22 Munchkin, Inc. Accordion nipple top
US20170079889A1 (en) * 2014-05-20 2017-03-23 Koninklijke Philips N.V. A mouthpiece for an infant feeding vessel
JP6447192B2 (ja) * 2015-01-30 2019-01-09 ジェクス株式会社 哺乳びん用乳首
US20170105902A1 (en) * 2015-10-16 2017-04-20 Kinetika, Inc. Mason Baby Bottle Lid
DE102015118252A1 (de) * 2015-10-26 2017-04-27 Mapa Gmbh Trinksauger und Abdeckkappe für eine Trinkflasche
GB201521474D0 (en) 2015-12-04 2016-01-20 Univ Manchester Textured surfaces for implants
IL305116A (en) * 2016-05-11 2023-10-01 Estab Labs S A Medical implant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CN206102990U (zh) * 2016-07-01 2017-04-19 王小娟 一种人工奶嘴及哺乳器
USD861895S1 (en) * 2018-01-11 2019-10-01 Mace Corporation Baby bottle nipple
CN111110569B (zh) * 2019-12-09 2022-09-27 汕头市德丰盛妇幼用品有限公司 一种深含乳奶嘴
USD962454S1 (en) * 2021-04-01 2022-08-30 Think Green Limited Nipple
KR102601093B1 (ko) * 2021-08-09 2023-11-20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수유용 젖꼭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796A (ja) * 2000-01-27 2001-07-31 Kooshin Kk 乳 首
JP2006006809A (ja) * 2004-06-29 2006-01-12 Pigeon Corp 人工乳首及び哺乳器
WO2006103379A1 (en) * 2005-03-31 2006-10-05 Ilan Zadik Samson Vented tea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6581A (en) * 1945-10-08 1952-11-04 Seamless Rubber Co Nursing outfit
US3593870A (en) * 1969-02-03 1971-07-20 Dave Chapman Goldsmith & Yamas Closure for fluid container
GB1432798A (en) * 1973-06-05 1976-04-22 Yamauchi A Nursing bottles
JPS54131469A (en) * 1978-04-04 1979-10-12 Pigeon Kk Nipple for nursing bottle
JPH02161950A (ja) * 1988-12-15 1990-06-21 Jiekusu Kk 乳首
NL8901204A (nl) * 1989-05-12 1990-12-03 Pack O Med Med Supply Syst Speen met terugslagklep en/of conische zuiggaten.
US5474028A (en) * 1994-01-25 1995-12-12 Merrick's, Inc. Animal feeding nipple
US5881893A (en) * 1996-12-21 1999-03-16 Playtex Products, Inc. Leakproof nipple valve
JP4289592B2 (ja) * 2001-11-09 2009-07-01 ピジョン株式会社 人工乳首及び哺乳器
US20030106872A1 (en) * 2001-12-10 2003-06-12 Hung-Hsiu-Hua Lin Nipple with air intake valve
FR2833829B1 (fr) * 2001-12-26 2004-09-24 Pierre Grasset Tetine en caoutchouc pour biberon d'allaitement et biberon d'allaitement pourvu d'une telle tetine
PA8578901A1 (es) * 2002-08-05 2004-04-23 Nouri E Hakim "productos para beber sin derrames" "no-spill drinking products"
JP3743410B2 (ja) * 2002-09-27 2006-02-08 ジェクス株式会社 哺乳用乳首
US20050252875A1 (en) * 2004-05-14 2005-11-17 Miin-Tsang Sheu Air inlet valve of a nipple used for a bottle
GB0414560D0 (en) * 2004-06-29 2004-08-04 Jackel Int Ltd Teat
ES2564047T3 (es) 2004-06-29 2016-03-17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Tetina
US20070102388A1 (en) * 2005-10-28 2007-05-10 Lewis Julie M Vented, low-drip nursing nipple
JP4556920B2 (ja) * 2006-06-28 2010-10-06 ジェクス株式会社 人工乳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796A (ja) * 2000-01-27 2001-07-31 Kooshin Kk 乳 首
JP2006006809A (ja) * 2004-06-29 2006-01-12 Pigeon Corp 人工乳首及び哺乳器
WO2006103379A1 (en) * 2005-03-31 2006-10-05 Ilan Zadik Samson Vented teat
US20100163508A1 (en) 2005-03-31 2010-07-01 Ilan Zadik Samson Vented t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28B1 (ko) 2023-06-27 2023-12-05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젖꼭지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74528A1 (zh) 2013-06-14
US8657135B2 (en) 2014-02-25
JP2011092551A (ja) 2011-05-12
JP5629082B2 (ja) 2014-11-19
EP2494949A4 (en) 2014-11-26
AU2010312911A1 (en) 2012-06-07
CN102665645A (zh) 2012-09-12
KR20120107945A (ko) 2012-10-04
TWI488619B (zh) 2015-06-21
EP2494949B1 (en) 2016-05-25
EP2494949A1 (en) 2012-09-05
WO2011052229A1 (ja) 2011-05-05
AU2010312911B2 (en) 2014-12-04
US20120267334A1 (en) 2012-10-25
TW201121537A (en) 2011-07-01
CN102665645B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125B1 (ko) 인공 젖꼭지 및 이것을 사용한 포유기
JP5629081B2 (ja)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ならびにおしゃぶり玩具
JP5346280B2 (ja) 哺乳瓶用乳首
ES2557468T3 (es) Tetina de biberón
KR20110020248A (ko) 흡입용 젖꼭지 유닛
US20070131637A1 (en) Artificial nipple for a nursing bottle
US20150202122A1 (en) Teat for Feeding Bottle
JP5629083B2 (ja)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US20190046413A1 (en) Teats for feeding bottles
EP3395320B1 (en) Baby bottle nipple and method of forming an opening therein
CN106572945B (zh) 奶嘴
CN107809992B (zh) 瓶喂装置及相关的瓶子
JP5588643B2 (ja) 飲料容器
JP2016140474A (ja) 哺乳びん用乳首
SK501032017U1 (sk) Uzáver nápojovej fľaš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