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979B1 -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979B1
KR101786979B1 KR1020170000781A KR20170000781A KR101786979B1 KR 101786979 B1 KR101786979 B1 KR 101786979B1 KR 1020170000781 A KR1020170000781 A KR 1020170000781A KR 20170000781 A KR20170000781 A KR 20170000781A KR 101786979 B1 KR101786979 B1 KR 10178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kitchen
fir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0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8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bursting 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식소화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화재 검출시 폭발식 소화액 분사구조를 바꾸어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다단 검출을 통해 자동식소화기의 동작 전에 가정용 차단기의 주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레인지로 공급되는 전기의 원천을 끊어 화재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Electric range power cut-off device using automatic fire extinguisher set in the kitchen}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식소화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화재 검출시 폭발식 소화액 분사구조를 바꾸어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다단 검출을 통해 자동식소화기의 동작 전에 가정용 차단기의 주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레인지로 공급되는 전기의 원천을 끊어 화재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레인지는 전기를 가열수단으로 사용하는 가열기기로, 전기를 코일히터에 공급하여 발생하는 열로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가열하여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전기레인지는 가스레인지의 대용품으로 사용되는데, 가스레인지의 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해물질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깨끗하며 설치가 용이한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전기레인지는 두 가지 타입으로 형성되는데, 코일히터가 레인지의 상부로 노출되어 조리기구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직접가열식과, 열전도율이 높은 핫플레이트가 코일히터의 상단에 형성되어 조리기구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간접가열식이 있다.
이 중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간접가열식이 많이 사용되는데, 간접가열식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코일히터가 내장된 본체(10)의 상면에 핫플레이트(20)가 구비되어 안전성을 갖춘 채 전원인가시 발열되어 조리기구를 간접 가열함으로써 조리대상물을 끓여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전기레인지의 가열 작동 중에 터치키의 입력 변화 상태가 조리물의 넘침으로 판별되면 전기레인지를 자동으로 안전 차단하고 조리물의 넘침 상태를 외부에 경보하거나, 혹은 전기레인지의 복수의 코일히터가 수용된 본체의 적소에 배치되어 각각의 코일히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코일히터의 온도 변화값이 조리물의 넘침으로 판별되면 가열량을 자동으로 줄여 조리물을 특정 시간 동안 보온하고 특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전기레인지를 자동으로 안전 차단하고 조리물의 넘침 상태를 외부에 경보함으로써 안전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의 도시와 같이, 가정용 가스레인지는 물론 전기레인지 주변에는 소화기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전기레인지의 화염원을 향해 소화액을 분무함으로써 화재발생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된 자동식소화기가 구비되기도 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 과열되고 있음에도 전기레인지로 공급되는 본체 전원스위치가 차단되지 않아 화재를 예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자동식소화기의 경우도 분무노즐이 펼쳐져야 소화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장기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분모노즐 펼침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생겨 화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3930호(2012.09.12.) '전기 레인지 안전 차단 제어 방법'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463751호(2012.11.16.) '전기레인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자동식소화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화재 검출시 폭발식 소화액 분사구조를 바꾸어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다단 검출을 통해 자동식소화기의 동작 전에 가정용 차단기의 주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레인지로 공급되는 전기의 원천을 끊어 화재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방에 설치되어 전기레인지를 구성하는 레인지본체(100)와, 레인지본체(100)의 직상방인 천정면에 설치되는 배기후드(200)와, 레인지본체(100)와 배기후드(200) 사이의 주방 측벽에 설치된 폭발형 소화기(3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본체(100)에는 다수의 코일히터(110)가 설치되고, 상기 코일히터(110)의 상부에는 핫플레이트(120)가 설치되며, 상기 레인지본체(10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레인지본체(100)와 핫플레이트(120)를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는 고정림(13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림(130)에는 상기 코일히터(110)와 대응되게 고정홈(132)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32)에는 적외선 온도계(140)가 매입 설치되되, 상기 상기 적외선 온도계(140)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하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검출결과 취득시 특정신호를 가정용 차단기(CUT)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정용 차단기(CUT)에는 솔레노이드제어기(150)가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온도계(140)가 송출한 특정신호에 반응하여 가정용 차단기(CUT)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폭발형 소화기(300)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302)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2)의 양측면에는 앵커볼트 체결용 볼트홀(304)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304) 사이의 플레이트 판폭 중앙에는 'ㅓ' 형상으로 돌출된 걸림구(30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306)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끼워 슬라이딩방식으로 조립 고정되는 유닛케이스(310)가 구비되며,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구(306)에 끼워지는 조립구(312)가 돌출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일부가 개구된 상태로 방출구(314)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출구(314)는 그물(320)로 커버되며, 상기 그물(320)은 섬유로 조직된 격자형 망이고, 상기 그물(320)의 둘레에는 그물테두리(322)가 구비되며, 상기 그물테두리(322)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방출구(314) 주변의 유닛케이스(310) 상에 접착고정되고,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내부에는 발포하우징(330)이 내장되는데 상기 발포하우징(330)의 전면에는 개구부(33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찢어질 수 있는 내열성 원통형 부재(336)가 장입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336)에는 내화발포재가 내장되며, 상기 내화발포재는 아파트를 포함한 건축물의 입상배관에 설치되는 공지된 물질로서 화재시 고온에 의하여 자기 몸집의 300-400배로 볼륨이 커지는 발포재이며;
상기 원통형 부재(336)는 화염에 의한 주변온도가 순간 600℃를 초과하면 충전된 내장물인 내화발포재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터질 수 있도록 내열성, 내습성, 내산화성, 이물방지성을 갖는 성형조성물로 성형하되,
상기 성형조성물은 폴리에틸렌수지 70중량%와 실리카 30중량%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의 입도를 갖는 입자상 흑연에 붕소가 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배합물 4중량부, 모노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 3중량부, 폴리락트산 10중량부, 1-2㎛의 입도를 갖는 알루미나 분말 2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 3중량부, Ds(Dichlorodimethylsilane) 7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5중량부, 규산소다(Sodium Silicates) 5중량부, 에르소르빈산나트륨 5중량부, 살리실산에스테르 3중량부, 테르븀 2중량부,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 5중량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중량부, 방향족 폴리아민 2중량부, 산화나트륨(Na2O) 1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2중량부, 삼산화이철(Fe2O3) 1중량부 및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식소화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화재 검출시 폭발식 소화액 분사구조를 바꾸어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다단 검출을 통해 자동식소화기의 동작 전에 가정용 차단기의 주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레인지로 공급되는 전기의 원천을 끊어 화재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전기레인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방용 자동식소화기의 동작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전기레인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를 구현하는 폭발형 소화기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는 레인지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인지본체(100)는 싱크대 일측에 가정용 조리대 상에 매립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와 같이 단순 안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인지본체(100)의 상부에는 배기후드(200)가 설치되고, 레인지본체(100)와 배기후드(200) 사이의 측벽에는 폭발형 소화기(3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인지본체(100)에는 다수의 코일히터(110)가 설치되고, 상기 코일히터(110)의 상부에는 핫플레이트(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핫플레이트(120)는 통상 고강도 고내열성 유리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레인지본체(100)의 내부에는 메인제어부(MC)가 설치되어 조리물의 넘침을 판별하여 가열량을 조절하거나 전원을 오프시켜 화재 발생을 억제하는 통상의 안전유닛이 기존과 같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인지본체(100)의 테두리에는 상기 레인지본체(100)와 핫플레이트(120)를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는 고정림(130)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림(130)에 상기 메인제어부(MC)와 별도로 비상 제어가 가능한 안전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코일히터(110)의 갯수에 맞춰 가장 지근거리의 고정림(130) 상에 매입설치되는 적외선 온도계(140)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림(130)의 해당 적소에는 상기 적외선 온도계(140)를 매입할 수 있는 고정홈(132)이 요입 형성되고, 적외선 온도계(140)는 검출측이 각 코일히터(110)를 향하도록 배열된다.
특히, 상기 적외선 온도계(140)는 단순히 온도만을 검출하는 수단에 그치지 않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일종의 유닛 형태로서 최근 홈 오토메이션과 관련하여 개발되고 있는 IoT에 기반한 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한 온도계이며, 설정된 검출온도 이상의 온도값이 검출되면 자동으로 특정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이 가능한 적외선 온도계는 단품으로 제품화되어 시판(예. DT-8855, 제조사 CEM)되고 있기도 하므로 이를 공지기술로 이용함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그리고, 두꺼비집이라고 불리우던 가정용 차단기(CUT)에는 솔레노이드제어기(150)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제어기(150)는 상기 적외선 온도계(140)가 송출한 특정신호에 반응하여 가정용 차단기(CUT)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정용 차단기(CUT)는 퓨즈형이 아닌 솔레노이드형 이어야 한다.
따라서, 레인지본체(100)에 탑재된 메인제어부(MC)에서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전기레인지 전원을 차단하지 못할 경우, 핫플레이트(120)는 급격히 과열되게 되며 일정 수준을 넘어 과열되면 화재로 번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중 안전차단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메인제어부(MC)에서 레인지본체(100) 전원을 차단하지 못하더라도 화재 발생 직전 온도까지 상승한 경우 설정온도 이상값을 적외선 온도계(140)가 검출하면 즉시 솔레노이드제어기(150)로 이상신호가 송출되어 가정용 차단기(CUT) 자체를 오프시켜 가정내로 유입되는 전원을 아예 원천 봉쇄시킴으로써 레인지본체(100)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가정내로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화재로 번진 상태에서는 폭발형 소화기(300)가 자동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폭발형 소화기(300)는 벽면에 고정 설치를 위해 가이드플레이트(302)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2)의 양측면에는 앵커볼트 체결용 볼트홀(304)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304) 사이의 플레이트 판폭 중앙에는 'ㅓ' 형상으로 돌출된 걸림구(306)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구(306)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끼워 슬라이딩방식으로 조립 고정되는 유닛케이스(3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구(306)에 끼워지는 조립구(312)가 돌출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일부가 개구된 상태로 방출구(314)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빈 공간에 발포하우징(330)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닛케이스(310)는 종방향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다수의 스크류(S)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유닛케이스(310)를 분리한 상태에서 내부 공간에 발포하우징(330)을 장입한 다음 유닛케이스(310)를 조립하여 스크류(S)로 고정하게 되면 상기 발포하우징(330)은 유닛케이스(310)에 갇힌 상태로 방출구(314)를 통해서만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출구(314)는 그물(320)로 커버되는데, 상기 그물(320)은 섬유로 조직된 격자형 망이고, 상기 그물(320)의 둘레에는 그물테두리(322)가 구비되며, 상기 그물테두리(322)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방출구(314) 주변의 유닛케이스(310) 상에 접착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그물(320)은 쉽게 찢어질 수 있고, 또한 그물테두리(322)가 쉽게 떨어질 수 있어 원통형 부재(336)에 충전된 내화발포재가 쉽게 폭발하여 터져 나올 수 있도록 하되, 그물(320)이 찢어지면서 그 파편이 주변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단순 섬유망 그물(320)이므로 폭발에 의해 찢어져도 주변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포하우징(330)의 전면에는 개구부(33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백커버(334)가 고정되며, 내부에는 찢어지기 쉬운 비닐 형태의 원통형 부재(336)에 내화발포재가 충전된 상태로 내장된다.
이때, 상기 내화발포재는 공지된 물질로서 화재시 고온에 의하여 자기 몸집의 약 300-400배로 볼륨이 커지는 발포재이다. 따라서,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에 의해 급격히 팽창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화발포재는 아파트 등의 입상배관에 설치되는 내화발포재와 동일한 공지의 물질이므로 더 이상 설명할 필요는 없으며, 다만 상기 내화발포재에는 화재발생시 생기는 유해가스를 순간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유해가스흡착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해가스흡착재는 내화발포재 100중량부에 대해 0.1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백토분말 5중량부, 0.1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숯분말 5중량부, 황산에스테르 5중량부, 0.1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원두커피분말 5중량부, 0.1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몬모릴로나이트 분말 5중량부, 0.1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수련(water lily) 분말 5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백토(Terra abla)는 산성 백토가 바람직하며, 강한 흡착성이 있기 때문에 유해가스 물론 미세 미스트 등도 효과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는 바, 강한 흡착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또한, 숯분말은 항균기능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제습, 탈취효과가 우수한데, 이는 숯 사이의 많은 기공 때문에 흡착력이 우수하므로 흡착 및 공기 정화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황산에스테르는 자외선에 대한 광열화 작용으로 분해 결합되면서 내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원투커피 분말은 냄새를 포집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몬모릴로나이트 분말은 백토와 유사하지만 극히 작은 수화 규산알루미늄에 의해 수분을 흡수성이 뛰어나고, 특히 아민, 글리콜, 글리세롤 및 다가 아콜 같은 유기액체와 반응하거나 흡수하기 때문에 유해물질 제거능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도니다.
나아가, 수련(water lily) 분말은 수련을 채취하여 충분히 건조한 다음 빻아서 분말화시킨 것으로, 천연 흡습제이면서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 친환경적이다. 수련은 특히 탄화수소나 오일미스트를 흡착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원통형 부재(336)는 일정 온도까지는 터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가 실재 화재에 의해 고열, 이를 테면 화염에 의한 주변온도가 순간 600℃를 초과하면 충전된 내장물인 내화발포재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터질 수 있도록 내열성, 내습성을 갖는 성형조성물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성형조성물은 폴리에틸렌수지 70중량%와 실리카 30중량%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의 입도를 갖는 입자상 흑연에 붕소가 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배합물 4중량부, 모노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 3중량부, 폴리락트산 10중량부, 1-2㎛의 입도를 갖는 알루미나 분말 2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 3중량부, Ds(Dichlorodimethylsilane) 7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5중량부, 규산소다(Sodium Silicates) 5중량부, 에르소르빈산나트륨 5중량부, 살리실산에스테르 3중량부, 테르븀 2중량부,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 5중량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중량부, 방향족 폴리아민 2중량부, 산화나트륨(Na2O) 1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2중량부, 삼산화이철(Fe2O3) 1중량부,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베이스 수지이며, 상기 30㎛의 입도를 갖는 입자상 흑연에 붕소를 첨가하게 되면 내산화성을 증대시켜 내화성을 강화시키므로 내화기능 향상을 위해 첨가되고, 모노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는 블루밍(blooming) 현상없이 전자이동회로를 형성케 하여 대기중의 습기에 관계없이 정전기 방지성능을 얻어 스파크에 의한 폭발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합성고분자 타입의 수지로서 내습성, 가공성이 우수한 물성이 있으며, 용융온도는 150-200℃이고, 연성에 의한 연질화, 인장강도, 신장율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알루미나는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로서, 내구성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켜 이물부착방지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몬모닐로나이트는 일종의 무기필러로서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Ds(Dichlorodimethylsilane)는 강한 소수성을 가진 물질로서 방습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스테아린산칼슘은 분산제로서 윤활기능을 촉진하여 첨가물들의 균질한 분산성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부착력을 강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는 소르비톨에서 파생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중 하나로서 수분의 번짐을 막기 위해 첨가되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면서 점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며, 에르소르빈산나트륨은 산화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살리실산에스테르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해 수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아울러,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전성과 연성이 커 코팅층의 완충 및 내마모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은 결합력을 증대시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은 멜라민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와 무기재료와의 커플링을 위한 실란커플링제로서 결합성, 접착성, 표면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방향족 폴리아민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산화나트륨은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규산염을 형성함으로써 내화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산화나트륨은 산화방지기능도 수행하며, 이산화규소는 유리화반응을 통해 쇄상격자를 이루면서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때문에, 상기 산화나트륨과 이산화규소는 1:2의 중량비 범위 내에서 혼합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삼산화이철은 방청기능을 위해 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계면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산화철이라는 특성상 미량 첨가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조성에 따른 이물방지성 및 내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10cm × 5cm × 0.5cm 크기의 철판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한 후 표면에 물을 스프레이 한 후 철판을 90도까지 세웠을 때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15도를 넘어서자 마자 물이 흘러내려 내습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이물방지성이 높다는 것도 의미한다.
또한, KSF2271에 의거 난연성을 테스트한 결과, 난연3급, 즉 불에 잘 타지 않는 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레인지본체 200: 배기후드
300: 폭발형 소화기

Claims (1)

  1. 주방에 설치되어 전기레인지를 구성하는 레인지본체(100)와, 레인지본체(100)의 직상방인 천정면에 설치되는 배기후드(200)와, 레인지본체(100)와 배기후드(200) 사이의 주방 측벽에 설치된 폭발형 소화기(3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본체(100)에는 다수의 코일히터(110)가 설치되고, 상기 코일히터(110)의 상부에는 핫플레이트(120)가 설치되며, 상기 레인지본체(10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레인지본체(100)와 핫플레이트(120)를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는 고정림(13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림(130)에는 상기 코일히터(110)와 대응되게 고정홈(132)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32)에는 적외선 온도계(140)가 매입 설치되되, 상기 상기 적외선 온도계(140)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하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검출결과 취득시 특정신호를 가정용 차단기(CUT)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정용 차단기(CUT)에는 솔레노이드제어기(150)가 설치되어 상기 적외선 온도계(140)가 송출한 특정신호에 반응하여 가정용 차단기(CUT)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폭발형 소화기(300)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302)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02)의 양측면에는 앵커볼트 체결용 볼트홀(304)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304) 사이의 플레이트 판폭 중앙에는 'ㅓ' 형상으로 돌출된 걸림구(30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306)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끼워 슬라이딩방식으로 조립 고정되는 유닛케이스(310)가 구비되며,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구(306)에 끼워지는 조립구(312)가 돌출 형성되고, 반대면에는 일부가 개구된 상태로 방출구(314)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출구(314)는 그물(320)로 커버되며, 상기 그물(320)은 섬유로 조직된 격자형 망이고, 상기 그물(320)의 둘레에는 그물테두리(322)가 구비되며, 상기 그물테두리(322)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방출구(314) 주변의 유닛케이스(310) 상에 접착고정되고, 상기 유닛케이스(310)의 내부에는 발포하우징(330)이 내장되는데 상기 발포하우징(330)의 전면에는 개구부(33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찢어질 수 있는 내열성 원통형 부재(336)가 장입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336)에는 내화발포재가 내장되며, 상기 내화발포재는 아파트를 포함한 건축물의 입상배관에 설치되는 공지된 물질로서 화재시 고온에 의하여 자기 몸집의 300-400배로 볼륨이 커지는 발포재이며;
    상기 원통형 부재(336)는 화염에 의한 주변온도가 순간 600℃를 초과하면 충전된 내장물인 내화발포재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터질 수 있도록 내열성, 내습성, 내산화성, 이물방지성을 갖는 성형조성물로 성형하되,
    상기 성형조성물은 폴리에틸렌수지 70중량%와 실리카 30중량%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의 입도를 갖는 입자상 흑연에 붕소가 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배합물 4중량부, 모노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 3중량부, 폴리락트산 10중량부, 1-2㎛의 입도를 갖는 알루미나 분말 2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 3중량부, Ds(Dichlorodimethylsilane) 7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5중량부, 규산소다(Sodium Silicates) 5중량부, 에르소르빈산나트륨 5중량부, 살리실산에스테르 3중량부, 테르븀 2중량부,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 5중량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중량부, 방향족 폴리아민 2중량부, 산화나트륨(Na2O) 1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2중량부, 삼산화이철(Fe2O3) 1중량부 및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KR1020170000781A 2017-01-03 2017-01-03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KR101786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81A KR101786979B1 (ko) 2017-01-03 2017-01-03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81A KR101786979B1 (ko) 2017-01-03 2017-01-03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979B1 true KR101786979B1 (ko) 2017-10-18

Family

ID=6029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81A KR101786979B1 (ko) 2017-01-03 2017-01-03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9419A (en) * 2020-09-30 2022-04-06 Stephen Wade Oliver ASAFEAS- A Self-Activating Fire Extinguisher and Alarm System for applian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53Y1 (ko) * 2002-06-25 2002-09-16 (주)바이오텔 주방용 쿠킹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JP2005203211A (ja) * 2004-01-15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加熱調理器
KR101689372B1 (ko) * 2016-04-19 2016-12-23 주식회사 이 건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200482272Y1 (ko) * 2016-03-15 2017-01-17 주식회사 하이텍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전기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53Y1 (ko) * 2002-06-25 2002-09-16 (주)바이오텔 주방용 쿠킹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JP2005203211A (ja) * 2004-01-15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加熱調理器
KR200482272Y1 (ko) * 2016-03-15 2017-01-17 주식회사 하이텍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전기차단기
KR101689372B1 (ko) * 2016-04-19 2016-12-23 주식회사 이 건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9419A (en) * 2020-09-30 2022-04-06 Stephen Wade Oliver ASAFEAS- A Self-Activating Fire Extinguisher and Alarm System for appli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443B1 (ko) 방화벽재
KR100650931B1 (ko) 단열재용 난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2403B1 (ko) 환기 및 소방용 다기능 복합 댐퍼
KR101733635B1 (ko) 주방용 자동식소화기 전기레인지 전원 자동 차단장치
ES2524801T3 (es) Sistema de aislamiento flexible para altas temperaturas
GB2422191A (en) Fire Resistant Light Fitting
RU2509951C2 (ru) Изоляционная кассета
KR101786979B1 (ko) 공동주택 세대별 주방용 자동식 전기레인지 전원 차단 소화설비 장치
KR20150010280A (ko)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도어
KR101999686B1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KR101689372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CN207765829U (zh) 一种具有灭火功能的配电箱
KR101564402B1 (ko) 전기공급 관련기기나 전력구,공동구,맨홀 내의 부식 또는 결로 방지방법
CN110330262A (zh) 一种高强度耐火的防火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3893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N104150848A (zh) 一种环保型建筑材料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037360Y (zh) 一种门
CN103408829A (zh) 一种复合建筑用板材
CN210985397U (zh) 一种防火降温配电柜
CN221118823U (zh) 一种高阻燃保温板
KR102580721B1 (ko)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CN209593780U (zh) 一种智能温控发热模块
US20190170369A1 (en) Device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comprising an insulating product, insulating product suitable for such a device, and processes for using and obtaining such an insulating product
CN109449770A (zh) 一种开闭所防凝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