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21B1 -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21B1
KR101786821B1 KR1020170018783A KR20170018783A KR101786821B1 KR 101786821 B1 KR101786821 B1 KR 101786821B1 KR 1020170018783 A KR1020170018783 A KR 1020170018783A KR 20170018783 A KR20170018783 A KR 20170018783A KR 101786821 B1 KR101786821 B1 KR 10178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filtration membrane
storage tank
membran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곽제욱
성하범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이
동우건설산업(주)
(주)자운이앤씨
주식회사 성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이, 동우건설산업(주), (주)자운이앤씨, 주식회사 성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이
Priority to KR102017001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는, 유입수 배관; 상기 유입수 배관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1차 저류조; 상기 1차 저류조에 저류된 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 상기 스크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2차 저류조; 상기 2차 저류조에 마련되는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을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3차 저류조; 및 상기 3차 저류조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유출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표면에는 일정 투수율이 유지되도록 바이오필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gravity-driven type}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건물 또는 소규모 단지에서 집수된 빗물이나 지표수, 그레이워터(grey water) 등을 정화할 수 있는,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응집·침전/모래여과는 수 ㎚~수 ㎛의 콜로이드 입자성 물질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플록을 형성시킨 후 침전지와 여과지에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침전지에는 1 cm/min의 침강 속도로 하여 중력 침강에 의해 플록을 제거시키고, 침강되지 않은 미세 플록은 여과지에서 제거시킨다. 이때의 모래 입자와 모래 입자 사이의 간격은 100~200㎛ 정도의 간격을 가진다.
막여과 공정은 공경의 크기에 따라서 공경보다 큰 것은 막에서 제거되며, 작은 것은 통과하는 분리의 한계가 정확한 방법이다. 정밀여과막은 공경의 크기가 0.01~0.1㎛ 이상의 입자 제거가 가능하며, 한외여과막은 분자량 5,000~10,000 이상의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여과막이 제거할 수 없는 0.01~0.1㎛ 이하의 입자는 한외여과막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시스템인 급속 여과방식과 완속 여과방식에서는 모래 여과 후에 약간의 탁질이 누출되었지만, 정밀여과막과 한외여과막에서는 여과시가 막여과수에는 탁질이 전혀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밀여과막과 한외여과막으로 처리된 막 여과수는 종래의 급속 여과방식과 완속 여과방식의 여과수에 비교하면 탁도, 대장균군, 일반세균과 같은 수질에서는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막여과 연속 운전에 있어서 수질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에너지가 절감되는 방향의 운전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막여과 연속 운전시 막의 성능 악화나 막오염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기존 정수처리 시스템에서 침전공정과 같은 별도의 전처리 공정을 두고 모래여과 공정을 가압형 또는 침지형 정밀여과막으로 교체하거나, 전처리 없이 처리하더라도 침지형 구조의 이단 막여과 시스템을 구성하여 막여과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첨전지 등의 전처리 공정을 두고 막여과 시스템을 두는 경우 전처리 공정에 대한 설치, 운전 비용 및 소요부지가 증가 되고, 전처리 없이 침지형 구조의 이단 막여과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가압형보다 저플럭스로 설계되어 운영되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수처리용 분리막의 경우 가압 또는 진공식 기계식 펌프가 필수적이고, 수중의 오염물질은 막오염을 유발시켜 분리막의 성능을 저해시켰다. 특히, 막 표면의 바이오 필름 형성은 여과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유해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고, 바이오 필름 형성 제어를 위하여 산화성/비산화성 살균제를 투여하거나 전처리 기술을 강화하여 이를 제어하였다. 또한, 펌프를 가동하지 않기 위하여 수두차를 고려하여 상당한 높이의 탱크로부터 원수를 낙하시켜 분리막에 의해 처리하는 기술 또한 원수공급을 위한 별도의 펌프가동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계식 펌프나 높은 수두차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중력 구동 방식으로 다공성 분리막을 이용하여 빗물이나 지표수, 그레이워터 등을 정화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는, 유입수 배관; 상기 유입수 배관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1차 저류조; 상기 1차 저류조에 저류된 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 상기 스크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2차 저류조; 상기 2차 저류조에 마련되는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을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3차 저류조; 및 상기 3차 저류조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유출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표면에는 일정 투수율이 유지되도록 바이오필름이 형성된다.
상기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는,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전후차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2차 저류조로부터 상기 유입수 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2차 저류조의 물을 상기 유입수 배관으로 재투입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 배관으로의 재투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는,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전후차압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전후차압은 50~120 mbar 일 수 있다.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공극 크기는 10~50㎚ 일 수 있다.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은 상기 2차 저류조에 침지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2차 저류조에 저류된 물의 수두까지의 높이는 0.5~1.5m 일 수 있다.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1차 저류조에 저류된 물의 수두까지의 높이는 1~2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식 펌프나 높은 수두차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중력 구동 방식으로 다공성 분리막을 이용하여 빗물이나 지표수, 그레이워터 등을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세척과 화학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이나 반응조가 필요하지 않고, 한외여과 분리막 표면의 바이오필름 층에 의한 안정화된 투수율과 수질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수처리용 분리막 해석 모델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운전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기술적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분리막 표면상에 입자들에 의해 생기는 케익에 의한 여과저항은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거대분자가 분리막 표면상에 축적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삼투-겔 모델은 비선형 특성을 가지고 여과저항이 측정된다. 특히, 이러한 비선형 특성에는 농도분극 현상과 비가역적 막오염 현상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위 두 모델에서는 공통적으로 분리막 표면상에서 생물학적 활동도에 대한 기작 현상을 고려하고 않고, 단지 입자와 거대분자에 의한 여과저항을 수학적으로 묘사하고 이를 가지고 해석하는 것이 전통적인 접근이다. 그러나 분리막 표면상 생물학적 활동도는 거대분자가 축적되면서 동시에 감소하며, 뿐만 아니라 바이오필름이 생성되는 일련의 현상들은 수학적인 모델로 정립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필름은 실제 중력 구동 분리막에서는 하나의 투과층으로 존재하고 안정된 투수량과 수질을 유지하며 투수시키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할 경우 별도의 기계식 펌프와 주기적인 역세척이나 화학세정 설비가 필요없을 수 있다. 즉, 분리막 표면에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것은 실제로 투과 플럭스를 안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수처리용 분리막 해석 모델들을 나타낸다.
도 1(a)는 일반적인 수처리용 분리막 해석 모델로서, 분리막 표면상에 입자성 물질이 분리막 여과저항을 여과시간에 따라 비례하여 발생시키는 이른바 케익 형성 모델(cake formation model)을 나타낸다. 케익 형성 모델에서 입자의 크기와 모양이 케익층의 공극율과 밀도를 결정하고, 이것은 여과저항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익 형성 모델은 입자성 물질을 가정한 모델로, 용존되어 전하를 띠는 비유기성 물질과 바이오필름과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여과현상을 완벽하게 해석할 수 없다.
도 1(b)는 단백질과 같은 거대분자가 분리막 표면상에 쌓이게 되어 분리막 표면상에 삼투층이나 겔 층이 형성되는 모델을 나타낸다. 초기에는 삼투압 저항 ROSM이 투과수에 작용하게 된다. 농축된 분자들은 점성 증가로 인한 고형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도 1(a)에서 살펴본 비유기성 입자와 다른 유동현상을 보이게 된다. 여과시간이 진행될수록 분리막 표면상의 거대분자의 농도가 증가하고 겔층이 형성되며, 이는 겔 저항 Rgel로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로 겔이 형성되는 것은 어려우며, 겔은 날카로운 상 경계, 제로 확산 계수 및 유동성을 갖는다. 10-100 kDa 크기의 입자들은 주로 삼투압 저항을 유도하고, 거대분자 분리막 농도와 높은 막 차압에 대해 더 높을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도 1(a)와 도 1(b)의 모델은 플럭스 예측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량여과 한외여과 분리막에서 여과 플럭스는 결국 막 표면으로부터 거대 분자의 확산에 주로 의존하게 된다.
분리막에서의 삼투압은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7014128794-pat00001
i=1 무차원 van't Hoff facto
M : Molarity
R = 0.08206 L atm/K mol
T = 온도 (K)
중력 구동 분리막에서 삼투압 한계는 분자량이 낮은 입자들에서는 매우 확연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삼투압이 분리막에 배제된 입자의 분자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1(a)의 케익에 의한 여과저항은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도 1(b)의 삼투-겔 모델은 비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요약된다. 특히 이러한 비선형 특성은 농도분극 현상과 비가역적 막오염 현상을 가정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입자의 크기, 전위, 극성과 대상 원수의 pH, 이온 세기 등에 따라 달리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막 표면상의 여과저항은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7014128794-pat00002
여기서, Rtotal 은 전체 막여과 저항을, Rmembrane 은 사용된 분리막 자체에서 발생하는 막여과 저항을, Rcake 는 분리막 표면상 케익층에서 발생하는 막여과 저항을, Rbioflim 은 바이오 필름층에 의해 발생하는 막여과 저항을, Rosmotic 은 분리막 표면상 거대분자의 삼투압에 의한 막여과 저항을, Rgellayer 는 분리막 표면상 거대분자의 겔층에 의한 막여과 저항을, Rirrev 는 기타 비가역적 막여과 저항을 나타낸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a)와 도 1(b)의 두 모델에서는 공통적으로 분리막 표면상에서의 생물학적 활동도에 대한 기작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입자와 거대분자들만 고려할 뿐이다.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막 표면상의 생물학적 요인에 형성된 바이오필름 내부에서는 도 1(a) 및 도 1(b)와 달리 막 여과저항이 초기에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나 일정시간 이후 안정화 되는 특성이 있고, 바이오필름 층은 분리막과 함께 별도의 투수층으로 존재하고 안정된 투수량과 수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중력 구동 방식으로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을 사용하며, 교차흐름(cross flow)이 없는 저플럭스의 완전여과(dead-end) 방식의 수처리 장치이다. 본 발명은 기존 도 1(a) 및 도 1(b)의 해석모델과 다른 도 1(c)의 바이오필름 형성 모델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은 한외여과 분리막 표면에 바이오필름을 형성시키고 이를 일정한 농도로 유지하여 분리막의 투과 플럭스를 안정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중력 구동 한외여과 분리막 방식은 수중의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대한 배제율이 높은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역세척 없이 분리막 표면상에 막 오염층을 생성시킨다. 막 오염이 심화되면 일반적으로 플럭스가 저감하게 되지만, 종국적으로는 투수량이 '0'이 되지 않고, 비록 낮지만 일정하게 안정화된 투수율을 보이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분리막 표면상의 이질적인 오염층에는 높은 세균 군집활동과 포식자가 있어서 분리막 플럭스에 긍정적 효과를 주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생물학적 현상을 유지하면서 분리막에 의한 투수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유입수 배관(110), 유입수 배관(110)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1차 저류조(130), 1차 저류조(130)에 저류된 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140), 스크린 필터(140)를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2차 저류조(150), 2차 저류조(150)에 마련되는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160), 한외여과 분리막(160)을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3차 저류조(180) 및 3차 저류조(180)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유출수 배관(1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1차 저류조(130)와 2차 저류조(1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소규모(5m3/day 미만) 수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2개 모듈의 병렬처리 구조이나, 단일 모듈 또는 3개 이상 모듈의 병렬처리 구조일 수도 있다.
유입수 배관(110)으로는, 주택, 빌딩, 건축물 옥상 등에서 집수된 빗물 또는 세차용수나 주방에서 버려지는 하수 등과 같은 그레이워터(grey water)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수 배관(110)에는 1차 저류조(130)로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밸브(12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 필터(140)는 1차 저류조(130)에 저류된 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그래뉼(granule) 타입의 원형 여재 또는 모래 등과 같은 일반 여재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 필터(140)를 통하여 협잡물이 제거된 물은 2차 저류조(150)에 저류된다. 2차 저류조(150)에는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160)이 침지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공극 크기(pore size)는 10~50㎚ 일 수 있다.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표면에는 바이오필름(165)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정 여과시간 이후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160)에 일정 투수율이 유지되도록 바이오필름(165)이 형성되고 유지되도록 한다. 즉, 일정 여과시간 이후 바이오필름(165)이 생물학적 활동도로 인해 새로운 여과층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2차 저류조(150)의 수두(水頭)와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전후차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2차 저류조(150)로부터 유입수 배관(110)으로 연결되어 2차 저류조(150)의 물을 유입수 배관(110)으로 재투입시키는 배출관(170)과, 배출관(170)에 설치되어 재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전후차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73)와, 배출관(170)에 설치되어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전후차압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75)가 구비된다.
바이오필름(165)에 의해 일정 투수율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압력계(175)와 조절밸브(173)를 이용하여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전후차압을 50~120 mbar 사이로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전후차압이 50 mbar 아래일 경우 낮은 압력으로 인해 플럭스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전후차압이 120 mbar를 초과할 경우 케익층 오염이 심화되어 한외여과 분리막(160)에 폐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계(175)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값에 따라, 조절밸브(173)의 개방량을 늘려서 전후차압을 줄이거나, 조절밸브(173)의 개방량을 줄여서 전후차압을 늘릴 수 있다.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전후차압은 조절밸브(173)를 통해 조절할 수도 있지만, 유입밸브(120)를 통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유입밸브(120)의 개방량을 줄여서 전후차압을 줄이거나, 유입밸브(120)의 개방량을 늘려서 전후차압을 늘릴 수도 있다.
한외여과 분리막(160)을 통과한 여과수는 배관(185)을 거쳐 3차 저류조(180)에 저류된다. 3차 저류조(180)에 저류된 물은 유출수 배관(190)을 통해 배출되어 음용수 또는 친수용수로 활용될 수 있다. 유출수 배관(190)에는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밸브(19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표면으로부터 2차 저류조(150)에 저류된 물의 수두까지의 높이(d1)는 최소 0.5m 이상일 수 있으며, 2차 저류조(150)의 높이에 따라 최대 1.5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표면으로부터 1차 저류조(130)에 저류된 물의 수두까지의 높이는 1~2m 일 수 있다. 기존의 수두차에 의한 분리막 시스템의 경우 20m 이상의 수두차가 확보되어야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한외여과 분리막(160)과 1차 저류조(130)의 수두차가 2m 이내의 범위로도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의 분리막 시스템에 비하여 약 1/10의 수두차로도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기존의 수처리 장치와 달리 역세척과 화학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이나 반응조가 필요하지 않고, 한외여과 분리막(160) 표면의 바이오필름(165) 층에 의한 안정화된 투수율과 수질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유입수 배관(210), 유입수 배관(210)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1차 저류조(230), 1차 저류조(230)에 저류된 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240), 스크린 필터(240)를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2차 저류조(250), 2차 저류조(250)에 마련되는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260), 한외여과 분리막(260)을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3차 저류조(280) 및 3차 저류조(280)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유출수 배관(2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1차 저류조(230)와 2차 저류조(250)가 분리형으로 구현된 구조로서, 중규모(5m3/day 이상) 수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2차 저류조(250) 이하가 2개 모듈의 병렬처리 구조이나, 단일 모듈 또는 3개 이상 모듈의 병렬처리 구조일 수도 있다.
유입수 배관(210)으로는, 주택, 빌딩, 건축물 옥상 등에서 집수된 빗물 또는 세차용수나 주방에서 버려지는 하수 등과 같은 그레이워터(grey water)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수 배관(210)에는 1차 저류조(230)로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밸브(22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 필터(240)는 1차 저류조(230)에 저류된 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그래뉼(granule) 타입의 원형 여재 또는 모래 등과 같은 일반 여재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 필터(240)를 통하여 협잡물이 제거된 물은 배관(245)을 통해 2차 저류조(250)에 저류된다. 2차 저류조(250)에는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260)이 침지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공극 크기(pore size)는 10~50㎚ 일 수 있다.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표면에는 바이오필름(265)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정 여과시간 이후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260)에 일정 투수율이 유지되도록 바이오필름(265)이 형성되고 유지되도록 한다. 즉, 일정 여과시간 이후 바이오필름(265)이 생물학적 활동도로 인해 새로운 여과층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2차 저류조(250)의 수두(水頭)와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전후차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2차 저류조(250)로부터 유입수 배관(210)으로 연결되어 2차 저류조(250)의 물을 유입수 배관(210)으로 재투입시키는 배출관(270)과, 배출관(270)에 설치되어 재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전후차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273)와, 배출관(270)에 설치되어 한외여과 분리막(160)의 전후차압을 측정하는 압력계(275)가 구비된다.
바이오필름(265)에 의해 일정 투수율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압력계(275)와 조절밸브(273)를 이용하여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전후차압을 50~120 mbar 사이로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전후차압이 50 mbar 아래일 경우 낮은 압력으로 인해 플럭스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전후차압이 120 mbar를 초과할 경우 케익층 오염이 심화되어 한외여과 분리막(260)에 폐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계(275)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값에 따라, 조절밸브(273)의 개방량을 늘려서 전후차압을 줄이거나, 조절밸브(273)의 개방량을 줄여서 전후차압을 늘릴 수 있다.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전후차압은 조절밸브(273)를 통해 조절할 수도 있지만, 유입밸브(220)를 통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유입밸브(220)의 개방량을 줄여서 전후차압을 줄이거나, 유입밸브(220)의 개방량을 늘려서 전후차압을 늘릴 수도 있다.
한외여과 분리막(260)을 통과한 여과수는 배관(285)을 거쳐 3차 저류조(280)에 저류된다. 3차 저류조(280)에 저류된 물은 유출수 배관(290)을 통해 배출되어 음용수 또는 친수용수로 활용될 수 있다. 유출수 배관(290)에는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밸브(29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표면으로부터 2차 저류조(250)에 저류된 물의 수두까지의 높이(d2)는 최소 0.5m 이상일 수 있으며, 2차 저류조(250)의 높이에 따라 최대 1.5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한외여과 분리막(260)의 표면으로부터 1차 저류조(230)에 저류된 물의 수두까지의 높이는 1~2m 일 수 있다. 기존의 수두차에 의한 분리막 시스템의 경우 20m 이상의 수두차가 확보되어야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한외여과 분리막(260)과 1차 저류조(230)의 수두차가 2m 이내의 범위로도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의 분리막 시스템에 비하여 약 1/10의 수두차로도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기존의 수처리 장치와 달리 역세척과 화학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이나 반응조가 필요하지 않고, 한외여과 분리막(260) 표면의 바이오필름(265) 층에 의한 안정화된 투수율과 수질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운전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초기에는 플럭스가 입자와 유기물, 거대분자 등 케익에 의한 여과 저항으로 급격히 떨어지지만, 일정시간 이후에는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한외여과 분리막의 일정한 투수율로 인해 안정적인 플럭스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유입수 배관;
    상기 유입수 배관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1차 저류조;
    상기 1차 저류조에 저류된 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 필터;
    상기 스크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2차 저류조;
    상기 2차 저류조에 마련되는 평판형 한외여과 분리막;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을 통과한 물이 저류되는 3차 저류조; 및
    상기 3차 저류조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유출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표면에는 일정 투수율이 유지되도록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전후차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2차 저류조로부터 상기 유입수 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2차 저류조의 물을 상기 유입수 배관으로 재투입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 배관으로의 재투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전후차압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전후차압은 50~120 mbar 인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공극 크기는 10~50㎚ 인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은 상기 2차 저류조에 침지식으로 설치되는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여과 분리막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2차 저류조에 저류된 물의 수두까지의 높이는 0.5~1.5m 인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8. 삭제
KR1020170018783A 2017-02-10 2017-02-10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10178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783A KR101786821B1 (ko) 2017-02-10 2017-02-10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783A KR101786821B1 (ko) 2017-02-10 2017-02-10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821B1 true KR101786821B1 (ko) 2017-10-19

Family

ID=6029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783A KR101786821B1 (ko) 2017-02-10 2017-02-10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67A (ko) 2018-11-16 2020-05-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이펀 구동수위 조절 방식의 침지형 수처리 및 저류 일체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7916A (ko) 2020-10-30 2022-05-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서지역 가뭄대응 지하 저류시설 연계형 중력구동 방식의 비상급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00663A1 (en) * 2022-04-15 2023-10-19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Llc Water treatment system with bioconta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968B1 (ko) 1999-09-27 2001-12-12 정순착 흡입진공압 해제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968B1 (ko) 1999-09-27 2001-12-12 정순착 흡입진공압 해제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67A (ko) 2018-11-16 2020-05-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이펀 구동수위 조절 방식의 침지형 수처리 및 저류 일체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7916A (ko) 2020-10-30 2022-05-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서지역 가뭄대응 지하 저류시설 연계형 중력구동 방식의 비상급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8109B1 (ko) * 2020-10-30 2023-0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서지역 가뭄대응 지하 저류시설 연계형 중력구동 방식의 비상급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00663A1 (en) * 2022-04-15 2023-10-19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Llc Water treatment system with biocont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w et al. The behavior of suspensions and macromolecular solutions in crossflow microfiltration: An update
Ghernaout et al. Water reuse: Extenuating membrane fouling in membrane processes
KR101367155B1 (ko) 여과막 오염 지수 측정 장치
Kumar et al. Fouling behaviour, regeneration options and on-line control of biomass-based power plant effluents using microporous ceramic membranes
KR101786821B1 (ko) 중력 구동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101441493B1 (ko) 여과막 오염 지수 측정 방법
Cancino-Madariaga et al. Combination treatment of corn starch wastewater by sedimentation, micr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Rahimpour et al. Development of pilot scale nanofiltration system for yeast industry wastewater treatment
Peters et al. Exploring the limitations of osmotically assisted reverse osmosis: Membrane fouling and the limiting flux
US20100032373A1 (en) Method for the optimised management of a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equipment for realising the same
JPWO2008096585A1 (ja) ろ過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20120001845A (ko) 수처리 장치
KR101550702B1 (ko)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3473309B2 (ja) 膜分離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2006272218A (ja) 二段膜ろ過システム、および二段膜ろ過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102452749B (zh) 一种钢铁企业污水高转化率制备除盐水的工艺
KR20160057595A (ko) 막차압(TMP:Trans Membrane Pressure)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막세정을 하는 막여과 공정 운영방법
KR101693100B1 (ko) 스마트 막여과 수처리 시스템
Jeong et al. Pre-treatment of SWRO pilot plant for desalination using submerged MF membrane process: Trouble shooting and optimization
JP2009195818A (ja) 浄水膜ろ過設備の運転方法
KR101522254B1 (ko) 유동적 회수율을 갖는 2단 막여과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
JPH07275671A (ja) 外圧型中空糸限外濾過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
KR20200046240A (ko)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을 이용한 산업폐수의 처리장치
KR101418738B1 (ko) 가압형-침지형 하이브리드 막 여과시스템
JP2009195893A (ja) 浄水膜ろ過設備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