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631B1 - 차량용 이온발생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온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631B1
KR101786631B1 KR1020140055835A KR20140055835A KR101786631B1 KR 101786631 B1 KR101786631 B1 KR 101786631B1 KR 1020140055835 A KR1020140055835 A KR 1020140055835A KR 20140055835 A KR20140055835 A KR 20140055835A KR 101786631 B1 KR101786631 B1 KR 10178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electrode
support portion
ben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450A (ko
Inventor
이권
한창규
도승선
김영창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6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6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온발생기가 장착될 소켓홀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극 지지부와, 상기 전극 지지부의 상면 일측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상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의 절곡된 상부 내부에 매립되고, 아래쪽의 전극 지지부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를 구비하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의 제1 방전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방전전극의 첨단부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를 구비하는 제2 방전전극;과, 상기 베이스부, 전극 지지부 및 수직 지지부 안에 매립, 고정되면서 상기 제1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배선;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전극 지지부 안에 매립, 고정되면서 상기 제2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온발생기{Ioniz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 공간을 최소화하고, 장착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배선 피복의 벗겨짐 문제와 소음 문제를 해결한 수직배치형 차량용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는 좁고 밀폐되어 있어 오염되기 쉬우며, 특히 실내로 유입된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때문에 실내의 공기오염은 더욱 가중된다. 또한, 비가 오거나 습도가 매우 높은 날씨에 에어컨을 가동하게 되면, 증발기 표면에 응축되어 있는 수분으로 인하여 세균과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고, 이러한 세균, 곰팡이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기 청정장치들이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특히,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이온발생기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실외로부터 도입하는 도입구(4)와 도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 사이에 송풍기(7), 냉각기(8) 등이 형성되는 공기정화통로(6)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공기정화통로(6) 내에 다량의 음이온과 양이온을 형성하는 이온발생기(3)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이온발생기는 공기정화통로 내에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이온 방전전극(1)과 음이온 방전전극(2)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1)과 음이온 방전전극(2)으로 구성된 이온발생기(3)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각각의 전극에서 음이온 및 양이온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발생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공기정화통로 상에 방출하여 결과적으로 공기정화통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중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구성되는 이온발생기는 공기정화통로 상에 필연적으로 2개의 홀을 형성하여 설치하여야만 하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가공비 및 재료비 등에 있어서 비용 소요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이 동일 높이로 배치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한 쇼트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다분히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도 2 및 도 3에는 종래의 수평배치형 이온발생기의 사시도 및 분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이온발생기(100)는 상부 케이스(11), 하부 케이스(12) 및 케이스(11, 12) 내부에 수납되는 회로기판(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20)에는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방전전극들(30)이 탑재되어 있고, 이들 방전전극들(30)은 상부 케이스(11)의 방전전극 케이스(13)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외부로 날카롭게 돌출된 방전전극들(30)은 다수의 개구부(41)가 형성된 방전전극 커버(40)에 의해 보호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온발생기(100)의 방전전극들(30)은 평면상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되어 있어 넓은 장착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전전극들(30)은 이온 발생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날카로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이온발생기(100) 조립 공정에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온발생기의 이온 발생량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이온발생기의 장착공간을 최소화하고, 조립 공정에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이온발생기를 한국특허출원 제2013-0055412호로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출원의 대략적인 구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이온발생기(500A)는 본체부(200), 제1 방전전극(411), 제2 방전전극(421) 및 고정부(300)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단 지지부(210)와 하단 지지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두 개의 수직 지지부들(220) 및 수직 지지부들(2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단 지지부(230)로 구성된 본체부(200)에 있어 제1 방전전극(411)은 하단 지지부(21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방전전극(421)은 제1 방전전극(4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 지지부(23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형 배치구조를 이룸으로써 도 4의 이온발생기(500A)는 날카로운 구조의 제1 방전전극(411)과 제2 방전전극(421)을 본체부(200)의 이온방출 공간(240) 내부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출원의 이온발생기의 구조에 의하면, 날카로운 구조의 제1 방전전극(411)과 제2 방전전극(421)이 본체부(200)의 이온방출 공간(240) 내부를 향하는 수직형 배치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이온발생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한 쌍의 방전전극(411,421)이 본체부(200)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도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방전전극 커버와 같은 추가 구성품이 필요하지 않고 발생된 이온의 전달효율도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4913호
위와 같이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출원은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다만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방전전극이 두 개의 수직 지지부와 상·하단 지지부로 밀폐된 이온 방출 공간 안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공간을 흘러지나 가는 공기로 인해 휘슬 노이즈가 발생하기 쉽고, 상단 지지부에 위치한 방전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길게 연장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그 피복이 벗겨질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출원이 가진 위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직배치형 차량용 이온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온발생기는, 이온발생기가 장착될 소켓홀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극 지지부와, 상기 전극 지지부의 상면 일측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상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의 절곡된 상부 내부에 매립되고, 아래쪽의 전극 지지부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를 구비하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의 제1 방전전극;과, 상기 전극 지지부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방전전극의 첨단부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를 구비하는 제2 방전전극;과, 상기 베이스부, 전극 지지부 및 수직 지지부 안에 매립, 고정되면서 상기 제1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배선;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전극 지지부 안에 매립, 고정되면서 상기 제2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방전전극은 제1 방전전극과 동일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부의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상부에는 상기 제1 방전전극의 첨단부 주위로 보호용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전전극, 또는 제1 방전전극 및 제2 방전전극은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한 쌍의 첨단부가 상기 일단의 양측으로 각각 대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첨단부는 상기 방전전극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한 쌍의 첨단부는 상기 방전전극 일단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첨단부는 상기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전전극의 절곡부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지지부, 또는 상기 수직 지지부 및 전극 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부 및 전극 지지부의 외면에는 상기 소켓홀 안에 형성된 구조물과 상호 결합되는 결속수단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은 상기 손잡이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전전극 및 제2 방전전극의 양 첨단부 사이의 직선거리가 4∼12㎜ 범위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온발생기에 의하면, 한 쌍의 방전전극이 배치되는 이온 방출 공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공간을 지나가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휘슬 노이즈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방전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배선 모두가 이온발생기 안에 매립된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배선의 피복이 손상될 염려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에 구비된 각 방전전극은 그 첨단부가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이온발생기 안에 매립되는 배선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이온발생기 전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차량용 이온발생기로 적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해진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된 일단에 양측으로 대향 형성된 한 쌍의 첨단부를 구비한 방전전극에 의하면 동일한 형상을 가진 하나의 방전전극을 제1/제2 방전전극으로서 수직형 배치구조의 이온발생기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가 용이한 것은 물론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부품 관리가 간단해진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이온발생기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청정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온발생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이온발생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출원에 따른 단일 구조의 이온발생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온발생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차량용 이온발생기의 평면도로서 그 안에 매립된 방전전극의 배치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방전전극에 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전극에 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방전전극이 매립된 차량용 이온발생기에 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인데, 다만 본 발명의 범주가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온발생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차량용 이온발생기의 평면도로서 그 안에 매립된 방전전극의 배치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방전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전극 및 이 방전전극이 매립된 차량용 이온발생기에 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온발생기(1)는 그 구조를 크게 나누어볼 때 베이스부(10), 본체부(20), 제1/제2 방전전극(30,35), 제1/제2 배선(40,45)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이온발생기(1)가 장착될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장착구, 예를 들면 차량의 공기정화통로 상에 형성된 소켓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면상으로는 베이스부(10)가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장착구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부분이다.
본체부(20)는 이온발생기(1)의 주요 부품인 방전전극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극 지지부(24)와, 상기 전극 지지부(24)의 상면 일측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상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직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 지지부(22) 및 전극 지지부(24)에는 각각 하나씩의 방전전극이 매립 배치되며, 특히 수직 지지부(22)는 평평한 전극 지지부(24)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상하, 즉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이온 방출 공간(S)이 외부에 대해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수직 지지부(22)와 전극 지지부(24) 사이의 공간(이온 방출 공간)을 흐르는 공기에 의한 휘슬 노이즈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제1 방전전극(30)은 수직 지지부(22)의 절곡된 상부 내부에 매립되는데, 아래쪽의 전극 지지부(24)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38)를 구비하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제1 방전전극(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배선(40)은 베이스부(10), 전극 지지부(24) 및 수직 지지부(22) 안에 매립,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방전전극(30)에 절곡된 첨단부(38)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수직 지지부(22)에 배치되는 제1 방전전극(30)(수직형 배치구조에서의 상측 방전전극)이 절곡되지 않은 일자형 전극일 경우에서 발생하는 제1 배선(40)과 제1 방전전극(30)과의 전기적 결속 지점이 첨단부(38) 반대편이기 때문에 제1 배선(40)이 길게 위로 올라간 후 한번 꺾이게 된다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즉, 제1 배선(40)이 꺾이는 구조는 배선의 길이를 길게 하고, 꺾인 부분이 강도상 취약해질 뿐만 아니라 꺾여서 접힌 부분의 두께만큼 수직 지지부(22), 더 나아가 이온발생기(1)의 사이즈를 불필요하게 키우게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인데, 첨단부(38)가 절곡되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전전극(30)의 첨단부(38)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38)를 구비하는 제2 방전전극(35)은 전극 지지부(24) 내부에 매립되며, 제2 방전전극(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선(45)은 베이스부(10) 및 전극 지지부(24) 안에 매립, 고정된다. 이때 제2 방전전극(35)은 제1 방전전극(30)과 다르게 일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부품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제1 방전전극(30)과 동일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제2 방전전극(30,35)과 제1/제2 배선(40,45)은,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납땜 및/또는 압착과 같은 통상적인 배선-단자의 결속구조로 연결되며, 배선과 연결된 방전전극은 금형 안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후 인서트 사출에 의해 베이스부(10) 및 본체부(20) 안에 매립된 상태로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온발생기(1)에 구비되는 제1/제2 방전전극(30,35)을 동일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할 때, 두 개의 방전전극이 완전히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한 특별한 형상을 고려하였다.
즉, 제1 방전전극(30) 및 제2 방전전극(35)은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 특히 일단의 단부에 한 쌍의 첨단부(38)를 그 양측으로 각각 대향 형성하였으며, 이는 도 6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방전전극(30)을 기준으로 할 때 제2 방전전극(35)은 제1 방전전극(30)을 좌 또는 우로 180° 뒤집은 동일한 형상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이온발생기(1)의 밖으로 노출되어 서로 마주보는 첨단부(38)가 제1 방전전극(30)에 있어서는 내측변("ㄱ"자로 절곡된 방전전극의 2개 장변 중 내측에 있는 좀 더 짧은 변을 의미함)에 위치한 첨단부(38)이고, 제2 방전전극(35)에 있어서는 외측변(내측변보다 더 긴 외측의 장변을 의미함)에 위치한 첨단부(38)임을 알 수 있다. 즉, 하나의 방전전극을 기준으로 할 때 이온발생과 무관한 더미(dummy) 첨단부(38)를 하나 더 형성함으로써 제1/제2 방전전극(30,35)이 하나의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배치구조의 차량용 이온발생기(1)에 구비되는 제1/제2 방전전극(30,35)을 하나의 방전전극으로 공용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방전전극의 공용화가 가능한 것은 본 발명에 구비된 방전전극이 "ㄱ"자로 절곡된 일단 양측으로 각각 첨단부(38)가 대향 형성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첨단부(38)가 방전전극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배치된 구성을 가진 것인데, 이에 대한 변형례로서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방전전극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방전전극은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첨단부(38)가 그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d)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첨단부(38) 사이에 형성된 오프셋 간격(d)은 이온발생기(1)의 폭을 좀 더 줄이기 위한 것인데, 이는 이온발생기(1) 안에 배립되는 하나의 첨단부(38)는 더미(dummy)로서 이온발생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밖으로 노출되는 첨단부(38)가 중요하게 되고, 따라서 이온발생기(1)의 수직 지지부(22)에 위치한 제1 방전전극(30)에 있어서는 내측변에 위치한 첨단부(38)가 노출되는 반면 제2 방전전극(35)에 있어서는 외측변에 위치한 다른 첨단부(38)가 노출되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방전전극 일단의 단부에 형성되는 첨단부(38)는 내측변에 배치하고 이 첨단부(38)와 오프셋 간격(d)을 두고 외측변에 다른 첨단부(38)를 형성하면 이 오프셋 간격(d)만큼 이온발생기(1)의 폭을 줄일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방전전극(30,35)은 몸체(36)와 첨단부(38)를 "ㄱ"자로 연결하는 절곡부(37)에 가이드 홀(39)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이온발생기(1) 안에 제1/제2 방전전극(30,35)이 일체로 매립 제조될 때 작은 크기의 방전전극을 금형 안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가이드 핀에 삽입되는 홀)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는 방전전극을 금형안에 고정시킬 때 방전전극을 직접 압박하여 잡게 되면 방전전극이 변형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제1/제2 방전전극(30,35)의 절곡부(37)에 가이드 홀(39)이 형성됨에 따라 수직 지지부(22)와 전극 지지부(24)에도 상기 가이드 홀(39)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7)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홀(27)은 인서트 사출 금형의 가이드 핀의 구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구멍이다.
아울러 수직 지지부(22)에는 제1 배선(40)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관통구(28)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관통구(28)는 제2 방전전극(35)과 연결되는 제2 배선(45)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 제1 배선(40)을 인서트 사출 금형의 정해진 위치에 잡아주기 위한 클램프 수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멍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이온발생기(1)에 공급되는 승압된 전압이 통상 3∼3.5㎸ 범위에 있음을 고려하여, 제1 방전전극(30)과 제2 방전전극(35)의 양 첨단부(38) 사이의 직선거리가 4∼12㎜ 범위에 있도록 설정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부(22)의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상부에는 제1 방전전극(30)의 첨단부(38) 주위로 보호용 돌기부(23)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방전전극(30)의 첨단부(38)가 휘어지거나 꺾이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 지지부(22) 및 전극 지지부(24)의 외면에는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1)가 장착될 소켓홀 안에 형성된 구조물과 상호 결합되는 결속수단(26)(이를 테면, 끼움편)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0)의 하면에는 손잡이부(15)가 돌출 형성되어 이온발생기(1)의 탈착 조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할 수 있는데, 이때 손잡이부(15)가 베이스부(10)의 하면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면 제1 배선(40) 및 제2 배선(45)은 손잡이부(15)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선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거나 꺾이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이온발생기 10: 베이스부
15: 손잡이부 20: 본체부
22: 수직 지지부 23: 보호용 돌기부
24: 전극 지지부 26: 결속수단
27: 관통홀 28: 관통구
30: 제1 방전전극 35: 제2 방전전극
36: 몸체 37: 절곡부
38: 첨단부 39: 가이드 홀
40: 제1 배선 45: 제2 배선
S: 이온 방출 공간 d: 오프셋 간격

Claims (12)

  1. 이온발생기가 장착될 소켓홀에 삽입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극 지지부와, 상기 전극 지지부의 상면 일측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상부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수직 지지부의 절곡된 상부 내부에 매립되고, 아래쪽의 전극 지지부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를 구비하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의 제1 방전전극;
    상기 전극 지지부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방전전극의 첨단부를 향해 노출된 첨단부를 구비하는 제2 방전전극;
    상기 베이스부, 전극 지지부 및 수직 지지부 안에 매립, 고정되면서 상기 제1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배선;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전극 지지부 안에 매립, 고정되면서 상기 제2 방전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선;
    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전전극은 제1 방전전극과 동일한 절곡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의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상부에는 상기 제1 방전전극의 첨단부 주위로 보호용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전전극, 또는 제1 방전전극 및 제2 방전전극은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한 쌍의 첨단부가 상기 일단의 양측으로 각각 대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첨단부는 상기 방전전극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첨단부는 상기 방전전극 일단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방전전극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첨단부는 상기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의 절곡부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지지부, 또는 상기 수직 지지부 및 전극 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 및 전극 지지부의 외면에는 상기 소켓홀 안에 형성된 구조물과 상호 결합되는 결속수단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은 상기 손잡이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전전극 및 제2 방전전극의 양 첨단부 사이의 직선거리가 4∼12㎜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온발생기.
KR1020140055835A 2014-05-09 2014-05-09 차량용 이온발생기 KR10178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835A KR101786631B1 (ko) 2014-05-09 2014-05-09 차량용 이온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835A KR101786631B1 (ko) 2014-05-09 2014-05-09 차량용 이온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450A KR20150128450A (ko) 2015-11-18
KR101786631B1 true KR101786631B1 (ko) 2017-10-18

Family

ID=5483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835A KR101786631B1 (ko) 2014-05-09 2014-05-09 차량용 이온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6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1017A (ja) 2000-05-22 2001-11-30 Ricoh Co Ltd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41848A (ja) 2002-08-27 2004-05-20 Daikin Ind Ltd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0165487A (ja) 2009-01-13 2010-07-29 Kondo Denki:Kk 放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1017A (ja) 2000-05-22 2001-11-30 Ricoh Co Ltd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41848A (ja) 2002-08-27 2004-05-20 Daikin Ind Ltd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0165487A (ja) 2009-01-13 2010-07-29 Kondo Denki:Kk 放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450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1408B (zh) 除电装置和放电组件
KR101245409B1 (ko) 이온 발생 장치 및 전기 기기
US7883342B2 (en) Electric junction box
ES2334288T3 (es) Configuracion de antenas, en particular para una estacion de base de telefonia movil.
WO2017022255A1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WO2017038111A1 (ja) イオン発生装置、イオン発生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機器
KR20150128447A (ko) 이오나이저와 uv 램프가 일체화된 공기청정기용 모듈
KR101786631B1 (ko) 차량용 이온발생기
KR101884814B1 (ko) 수직배치형 이온발생기용 쉴드 케이스
KR101843939B1 (ko) 차량용 이온발생기
KR101843944B1 (ko) 차량용 이온발생기
KR101816261B1 (ko) 이온발생기용 방전전극 및 이를 구비한 이온발생기
KR101841457B1 (ko) 이온발생기용 방전전극 및 이를 구비한 이온발생기
KR20160056712A (ko) 정션 블록
KR101841462B1 (ko) 이온발생기용 방전전극 및 이를 구비한 이온발생기
KR101684363B1 (ko) 단일 구조의 이온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6635B1 (ko)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ES2931457T3 (es) Unidad de descarga
KR20110032438A (ko) 층류형 제전기구조체
JP2012228109A (ja) 板金部材、バスバ及びこのバスバ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18189279A5 (ko)
JP5134109B2 (ja) 除電装置
CN109690893A (zh) 放电装置及电气设备
JP2007137381A (ja) トリムの固定構造
JP5322865B2 (ja) 制御盤装置およびカバー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