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35B1 -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 Google Patents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35B1
KR101466635B1 KR1020130142791A KR20130142791A KR101466635B1 KR 101466635 B1 KR101466635 B1 KR 101466635B1 KR 1020130142791 A KR1020130142791 A KR 1020130142791A KR 20130142791 A KR20130142791 A KR 20130142791A KR 101466635 B1 KR101466635 B1 KR 10146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needle
discharge
needle
groove
static eli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150A (ko
Inventor
최경화
홍대주
정규훈
이재홍
연상훈
Original Assignee
(주)동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일기연
Priority to KR102013014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6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는 내부에 고압송풍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덮개가 설치되는 압출성형된 고정대와, 상기 고압송풍홈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방전을 방생시키는 방전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방전침부는 구조가 단순하게 제조되므로 정전기제거효율이 향상되게 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어느 경사각도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A electrostatic remove apparatus }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로나 방전을 통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이를 대전물체까지 송풍시켜서 대전물체상에 형성된 정전기를 중성화하도록 정전기 제거를 위하여 압출제조되는 고정대상에 원하는 갯수의 방전부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방전부의 설치대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벤츄리형 송풍공에 의하여 풍속이 빠르게 되어 단시간에 대전물체를 제전시킬 수 있으며, 적은 에어량으로도 제전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방전침주위로 송풍되는 고압공기가 방전침의 원주를 모두 지나가므로 방전침의 주위가 깨끗하게 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송풍기가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작동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가 있게 되어 어느 각도에서도 설치가 편리한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근거리 정전기 제거용으로는 전압방식 중에서 교류전압이 이용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보통 정전기 제거장치와 대전물체까지의 거리가 100cm 이상의 원거리 정전기 제거용에는 직류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사용되나, 대전물체와의 거리가 30cm 이내의 근거리에서는 교류고주파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적합하며 고주파를 사용함에 따라 고속으로 이동하는 대전물체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는 유도전극측과 방전전극측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때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은 고주파 교류전압에 의해 (+)극성과 (-)극성을 가지며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환하여 대전물체에 발생된 정전기를 중성화하게 되는데 극성의 변환이 빠르고 자체 중화량이 많아 근거리에 존재하는 정전기의 제거에는 교류 고주파 고전압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근거리 정전기 제거를 위한 상기의 교류 고주파 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는,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방전침(2)이 환형의 침설치부(1)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방전침(2)에 (+) 또는 (-) 고전압이 인가되면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이온들을 대전물체에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방전침(2)의 후방에 모터(3a) 및 팬(3b)으로 구성된 송풍장치(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송풍장치(3)에 의해 발생된 이온들이 대전물체의 정전기 쪽으로 이송되어 정전기와 이온들이 반응하여 정전기를 중성화하여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는 이온이 발생하는 방전침(2)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고 모터(3a)는 케이스(4)의 외부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며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대전물체를 향해 정전기 제거장치의 각도가 조절이 되지 않은 채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침(針) 형상의 상기 방전침(2)이나 방전침(2)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생산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을 입힐 위험성이 있고 또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방전침(2)이나 모터(3a)는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일단 설치가 되면 이동이나 각도 조절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는 모터(3a)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그 설치비용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30989호에 '코로나 방전원리가 사용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라는 발명을 제안한 바가 있으며, 상기의 특허에서는 위의 문제점인 모터가 사용되지 않으며 방전침이 노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개선된 바가 있으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허에서는 방전침(2)이 고정되는 방전침지지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가 복잡하게 되고 방전침(2)을 포함하는 방전부(5)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가 고가로 됨은 물론이고, 유지보수작업도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특허는 오링(4)이 위에 삽입되므로 하방으로 조금만 밀려도 고압공기가 누출되고 위로도 공기가 누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압공기에 의하여 많은 압력을 받게 되므로 연결되는 부분이 마모되어서 이탈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지브라켓(6)은 상부가 절곡된 절곡연결부가 형성된 제1브라켓(6a)과, 상기 제1브라켓(6a)에 착탈고정되는 하부절곡연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경사설치가 가능하도록 경사공이 형성된 제2브라켓(6b)과, 상기 제2브라켓의 경사공에 맞는 반원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설치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고정면이 형성된 제3브라켓(6c)으로 구성되어 일정한 정도의 각도의 조절기능이 있으나, 약간의 범위에서만 각도 조절의 기능이 있을 뿐이고, 어느 정도의 각도를 벗어나면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제1브라켓(6a)과 제2브라켓(6b)과의 결합이 해제가 용이하게 되어 결합이 불안정할 뿐 아니라, 구성부품이 3개로 구성되어 제조가 불편하고 조립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098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전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단순하게 되고 방전침을 지지하는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인력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되는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를 어떠한 경사각도라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내부에 고압송풍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덮개가 설치되는 압출성형된 고정대와, 상기 고압송풍홈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방전을 방생시키는 방전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의 측면에는 고압공기송풍관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가 고정되는 고정관이 형성되고 고정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측면덮개와, 상기 측면덮개와 고정대의 측면에 배치되며 고압송풍홈에 연통되는 송풍홈이 형성된 가스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상에 설치되는 방전침부는, 방전침이 중간에 고정되고 상기 방전침을 따라 하방으로 통기홈이 형성된 방전침고정부와, 상기 방전침고정부를 둘러싸고 상기 방전침고정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지지부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전침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 금속관과, 상기 고정부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패킹과, 고정부지지부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접지선과 접하고 절개된 자유단부를 갖아 신축성이 있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는 내부에 고압송풍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덮개가 설치되는 압출성형된 고정대와, 상기 고압송풍홈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방전을 방생시키는 방전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방전침부는 구조가 단순하게 제조되므로 정전기제거효율이 향상되게 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어느 경사각도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종래 제1실시예의 정전기 제거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2a,2b는 종래 제2실시예의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의 종단면도 및 지지브라켓에 의하여 설치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a,3b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사시도 및 종방향으로 절단된 절단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방전침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고정대의 측면과 상부에 조립되는 지지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이 설치된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폭방향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이 설치된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길이방향 종단면도
도 8은 도 6의 상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이 설치된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길이방향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이 설치된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폭방향 종단면도
도 13a,13b는 도 8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방전침의 종단면도
도 14는 지지브라켓의 상기 회전대의 조립돌부의 종단면도
도 15a,15b,15c는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가 여러 각도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사시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A)는, 정전기 제거장치(10)와 상기 정전기 제거장치(10)를 다양한 각도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00)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제거장치(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압송풍홈(111)이 형성되고 상부는 지지덮개(31)가 설치되는 개방홈(112)이 형성되게 압출성형된 고정대(11)와, 상기 고압송풍홈(111)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침부(21)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대(11)는 고압송풍홈(111)과 개방홈(112)사이에 수직으로 연장된 연장부(113)가 형성되어 제어부본체(41)가 설치되는 제어부설치공간(114)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11)의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공기송풍관(51)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구(124)와, 상기 고정구(124)가 고정되는 고정관(125a)이 형성되고 고정나사(126)에 의하여 고정되는 측면덮개(125)와, 상기 측면덮개(125)와 고정대(11)의 측면에 배치되며 고압송풍홈(111)에 연통되는 송풍홈(127a)이 형성된 가스켓(1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11)의 측면에는 접지선(P)에 연결된 연결판(1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11)상에 설치되는 방전침부(21)는, 도 4 및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침(210)이 중간에 고정되고 상기 방전침(210)을 따라 하방으로 통기홈(221a)이 형성된 방전침고정부(220)와, 상기 방전침고정부(220)를 상부에서 둘러싸고 상기 방전침고정부(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부(230)와, 상기 고정지지부(230)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전침(210)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 금속관(240)과, 상기 고정지지부(230)의 상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패킹(250)과, 고정지지부(230)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접지선(P)과 접하고 절개된 자유단부를 갖아 스프링기능을 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접지판(260)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침고정부(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침(210)은 방전침고정공(221)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방전침(210)의 주위에는 상기 방전침(210)의 직선구간(210a)에는 상기 방전침고정공(221)의 외측으로 십(十)자 형태로 통기홈(221a)이 형성되고, 방전침(210)의 경사구간(210b)에는 십자형 통기홈(221a)이 사라지고 방전침(210)보다 약간 크게 원형으로 형성된 방전침고정공(221)이 형성되어, 고압송풍홈(11)내의 고압의 공기가 화살표방향을 따라 송풍되어 방전침(21)의 주위의 통기홈(221)을 따라 하방으로 송풍되게 된다. 즉, 고압공기는 방전침고정공(221)의 통기홈(221a)을 따라 하방으로 송풍되다가 하부의 방전침고정공(221)상에서는 원형으로 토출되어 방전침(210)의 하단의 모두 스치고 지나가기 때문에 방전침(210)의 청소주기가 길게 될 수 있다.
상기 방전침고정부(220)의 상부에는 오링홈(222)이 형성되고 오링(223)이 배치되어, 방전침고정부(220)와 고정지지부(230)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고압공기의 방전침(210)주위로의 송풍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고정지지부(23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침고정부(220)가 접하며 측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나사(270)로 고정되는 저면연장부(230a)와 상기 저면연장부(230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연장부(230b)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연장부(230a)는 상기 방전침고정부(220)의 상부의 오링(223)과 외측에 돌출형성된 삽입돌기(224)가 삽입되는 삽입공(231)과 삽입홈(23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고정나사(270)가 고정되는 고정공(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연장부(230b)는 상기 저면연장부(230a)의 삽입홈(232)의 상부에 방전침고정부(220)의 삽입돌기(224)가 걸리게 고정되는 걸림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234)의 상부에는 오링홈(235)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235)에는 오링(236)이 배치되어, 고정대(11)와 고정지지부(230)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고압공기의 방전침(210)주위로의 송풍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오링홈(235)의 상부에는 고압송풍홈(111)과 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압공기를 상기 방전침(210)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공(237)이 형성되어, 고압송풍홈(111)내의 고압공기가 방전침(210)주위로 송풍되게 된다.
상기 원통연장부(230b)의 상단에는 가압돌조(238)가 형성되어 접하는 원통패킹(250)의 가압면을 압박하여 고압공기의 누출이 방지된다. 상기 원통연장부(230b)의 내측의 중앙에는 방전침(210)의 상단이 삽입되게 고정시키는 금속관(240)이 배치되는 내측지지공(2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관(240)은 하부에는 방전침(210)이 삽입되는 삽입관(24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도전판(7)에 연결된 연결나사(6)에 연결되는 연결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관(240)과 고정지지부(230)의 제조는 금속관(240)을 가공하고 가공된 금속관(240)을 고정지지부(230)를 제조하는 금형(도시되지 않음)에 배치하고 사출시켜서 금속관과 고정지지부가 일체로 제조되게 되나, 별도로 분리되어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원통패킹(250)은 금속관(240)에 연결된 연결나사(6)를 통하여 고압송풍홈(111)내의 고압공기가 연결나사(6)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으로서, 하부가 개방된 하향연장부(251)는 고정지지부(230)의 원통연장부(230b)를 감싸고, 상부의 수평부(252)는 원통연장부(230b)의 상단의 가압돌조(238)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압송풍홈(111)내의 고압공기의 누출이 방지된다.
상기 접지판(260)은 상기 고정지지부(230)의 상기 저면연장부(230a)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인접한 접지선(P)에 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방전침부(21)와의 방전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대(11)의 상방의 개방홈(112)상에 설치된 지지덮개(31)는 양 측면에는 상지 고정대(11)의 연장부(113)의 절곡단(113a)에 조립되는 측면조립홈(311)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되어 지지브라켓(100)이 고정되는 측면에 걸림턱(312a)이 형성된 중앙조립홈(3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정전기 제거장치(10)는, 고압공기송풍관(51)을 통하여 유입된 고압공기가 고압송풍홈(111)을 통하여 방전침부(2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방전침부(21)로 유입된 고압공기는 송풍공(237)을 통하여 방전침(210)의 방전침고정공(221)으로 유입되게 된다. 방전침고정공(221)으로 유입된 고압공기는 상기 방전침(210)의 직선구간(210a)에는 상기 방전침고정공(221)의 외측으로 십(十)자 형태로 형성된 통기홈(221a)을 통과하게 되고, 방전침(210)의 경사구간(210b)에는 방전침(210)보다 약간 크게 원형으로 형성된 방전침고정공(221)을 통과하게 되면서,고압송풍홈(111)내의 고압의 공기가 화살표방향을 따라 송풍되어 방전침(21)의 주위의 통기홈(221)을 따라 하방으로 송풍되므로, 고압공기는 방전침고정공(221)의 통기홈(221a)을 따라 하방으로 송풍되다가 하부의 방전침고정공(221)상에서는 원형으로 토출되어 방전침(210)의 하단의 모두 스치고 지나가기 때문에 고압공기가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게 토출되어 정전기제거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노폐물이 방전침의 하단에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전침(210)의 청소주기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압공기에 대한 패킹도 고압송풍홈(111)의 상부에 대한 패킹은 고정지지부(230)의 상부의 원통패킹(25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고압송풍홈(111)의 하부에 대한 패킹은 고정지지부(230)의 오링홈(235)내에 오링(236)이 배치되어 고정대(11)와 고정지지부(230)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전침고정부(220)와 고정지지부(230)사이의 패킹은 방전침고정부(220)의 상부에 형성된 오링홈(222)에 오링(223)이 배치되어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패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방전침(210)의 상부에 연결되는 금속관(240)이 설치되므로 금속관(240)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금속관(240)과 방전침(210)의 접속이 간편하게 되어 제조시간이 단축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대(11)에 설치된 지지덮개(31)상에는 지지브라켓(10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대(11)를 여러 가지의 설치에 편리한 다양한 각도로 지지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브라켓(100)은 상기 지지덮개(31)의 중앙조립홈(312)에 삽입되는 중앙조립홈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대(151)와, 상기 고정대(151)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면(152)과 상기 고정면(152)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153)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153)의 가장자리에는 반원형으로 절삭된 회전공(154)이 형성되고 수직면(153)의 중앙에는 2개의 다른 크기의 조립돌부(155)를 갖는 회전대(156)와, 상기 회전대(156)의 수직면(153)의 조립돌부(155)가 삽입되며 2개의 다른 크기의 조립돌부(155)에 대응되게 연이어 형성된 조립공(157)과 상기 회전공(154)을 통하여 조립되는 나사(171)가 삽입되는 나사홈(158)이 형성된 수직면(159)과 고정위치에 부착되는 수평면(160)을 갖는 조립고정대(16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대(156)의 조립돌부(155)는 외측에는 큰 직경의 대반원돌부(155a)가 형성되고 이어서 작은 직경의 소반원돌부(15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게 조립고정대(161)의 조립공(157)은 상기 대반원돌부(155a)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대반원공(157a)과 소반원돌부(155b)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소반원공(157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브라켓(100)의 설치는 회전대(156)가 조립고정대(161)와 회전공(154)을 통하여 180도의 각도로 설치가 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 제거장치(10)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5a,15b,15c는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가 여러 각도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의 사시도로서, 도 15a는 정전기 제거장치(10)의 방전침이 수평으로 배치되게 지지브라켓(100)이 설치되어 정전기 제거에 필요한 이온이 수평으로 토출되게 배치되고, 도 15b는 정전기 제거장치(10)가 상방으로 배치되게 지지브라켓(100)이 설치되고, 도 15c는 정전기 제거장치(10)가 하방을 향하게 배치된 구조가 도시된 것으로,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정전기 제거장치를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는 일반적인 제전기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1. 고정대 21. 방전침부 31. 지지덮개
41. 제어부본체 111. 고압송풍홈 112. 개방홈
113. 연장부 114. 제어부설치공간

Claims (4)

  1. 삭제
  2. 고정대(11)의 고압송풍홈(111)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방전이 발생되는 방전침부(21)가 설치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방전침부(21)의 방전침(210)이 삽입되는 방전침고정공(221)과 일체의 사출물로 구성된 복수의 통기홈(221a)이 형성되어 방전침(210)의 삽입시에는 상기 방전침(210)의 직선구간(210a)에는 방전침(210)이 방전침고정공(221)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통기홈(221a)만이 통로가 되고, 방전침(210)의 경사구간(210b)에는 상기 통기홈(221a)이 사라지고 방전침(210)보다 크게 원형으로 형성된 방전침고정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침부(21)의 중간에는, 방전침(210)이 중간에 고정되고 방전침고정부(220)를 상부에서 둘러싸고 상기 방전침고정부(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지지부(2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접지선(P)과 접하고 스프링기능을 하도록 신축성이 있는 접지판(260)이 설치되고,
    상기 접지판(260)은 상기 고정지지부(230)의 저면연장부(230a)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인접한 접지선(P)에 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방전침부(21)와 방전전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침부(21)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230)의 상부에 삽입되어 방전침(210)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원통형 금속관(24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지지부(230)의 상부 및 원통형 금속관(240)의 상부에 삽입되게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패킹(25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지지부(230)의 상단에는 가압돌조(238)가 형성되어 접하는 원통패킹(250)의 가압면을 압박하여 고압공기의 누출이 방지되고,
    상기 금속관(240)은 하부에는 방전침(210)이 삽입되는 삽입관(24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도전판(7)에 연결된 연결나사(6)에 연결되는 연결홈(24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나사(6)의 조립시에 상기 금속관(240)이 상승되어 원통패킹(250)의 가압면을 압박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4. 삭제
KR1020130142791A 2013-11-22 2013-11-22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KR10146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791A KR101466635B1 (ko) 2013-11-22 2013-11-22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791A KR101466635B1 (ko) 2013-11-22 2013-11-22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24A Division KR101429940B1 (ko) 2012-04-23 2012-04-23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150A KR20130133150A (ko) 2013-12-06
KR101466635B1 true KR101466635B1 (ko) 2014-11-28

Family

ID=4998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791A KR101466635B1 (ko) 2013-11-22 2013-11-22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97A (ko) * 2016-11-22 2018-05-30 (주)선재하이테크 정전기 제거 장치의 탈착이 용이한 브라켓 구조
KR102043424B1 (ko) * 2019-04-17 2019-11-11 (주)하이브리드앰디 진공과 대기에서 사용 가능한 전기력선 방식의 이오나이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8069A (ja) * 2002-11-29 2004-08-12 Sunx Ltd 除電装置
KR20110030989A (ko) * 2009-09-18 2011-03-24 (주)동일기연 코로나 방전원리가 사용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8069A (ja) * 2002-11-29 2004-08-12 Sunx Ltd 除電装置
KR20110030989A (ko) * 2009-09-18 2011-03-24 (주)동일기연 코로나 방전원리가 사용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150A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940B1 (ko)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CN103379810A (zh) 磁环固定装置及具有该固定装置的空调室外机
KR101787322B1 (ko) 전자발생장치
EP2108095A2 (en) A ventilation cover with a light source
KR101466635B1 (ko) 코로나 방전식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구조체
AU2010249250B2 (en)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of a bar belonging to a busbar to an electric bushing belonging to the insulating enclosure of an electric switchgear apparatus
KR101146621B1 (ko) 코로나 방전원리가 사용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
CN204122234U (zh) 一种高压静电油烟分离装置
CN107575940B (zh) 静电除尘装置、空气净化设备以及空调器
KR101754391B1 (ko) 전기 집진기용 절연애자
JP4536586B2 (ja) イオン化装置の放電電極バー
CN204445301U (zh) 电炊具
KR101079866B1 (ko) 층류형 제전기구조체
US20140187065A1 (en) Grounding System for Terminal Block
CN202652819U (zh) 磁环固定装置及具有该固定装置的空调室外机
CN211625608U (zh) 带净化功能的风幕机
CN202900728U (zh) 一种方便拆装的套接式风机接电装置
CN211233168U (zh) 转角空气净化器
CN205065635U (zh) 一种led吸顶灯底座及其应用的灯具
CN217849744U (zh) 一种立柱式离子风蛇
CN204006392U (zh) 壁挂式空气净化器
CN211267348U (zh) 一种防尘效果好且便于安装的电气控制柜
CN104197422A (zh) 负离子空气净化器
CN208368746U (zh) 一种电气设备用接地线
KR101841457B1 (ko) 이온발생기용 방전전극 및 이를 구비한 이온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