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027B1 -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027B1
KR101786027B1 KR1020090029800A KR20090029800A KR101786027B1 KR 101786027 B1 KR101786027 B1 KR 101786027B1 KR 1020090029800 A KR1020090029800 A KR 1020090029800A KR 20090029800 A KR20090029800 A KR 20090029800A KR 101786027 B1 KR101786027 B1 KR 10178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cell area
block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393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02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07Interleaved addr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15Address space extension
    • G06F12/0623Address space extension for memor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04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with main memory 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2Replacement control
    • G06F12/121Replacement control using replacement algorithms
    • G06F12/126Replacement control using replacement algorithms with special data handling, e.g. priority of data or instructions, handling errors or pi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중 양산 후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할 경우 메모리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 시간 당 메모리의 소정 영역의 사용 횟수를 소정치 이하로 제한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사용한 메모리 영역에 대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파손된 메모리 영역에 따라 단축된 메모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ECU, 메모리, 사용 횟수, 데이터

Description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METHOD FOR STORING DATA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전자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중 양산 후 데이터(calibration data)를 저장하는 경우 메모리의 소정 영역의 사용 횟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ECU(Electric Control Unit)은 엔진, 자동변속기, ABS 등의 상태를 컴퓨터로 제어하는 전자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특히, 점화시기와 연료분사, 공회전, 한계값 설정 등 엔진의 핵심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과 컴퓨터 성능의 발전과 함께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엔진제어를 예로 들면, 엔진의 회전수와 흡입 공기량, 흡입 압력, 액셀러레이터 개방 정도 등에 맞추어 미리 정해 놓은 점화시기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값과 연료분사 MAP 값 등을 조회하여 수온센서, 산소센서 등을 교정하고 인젝터의 개폐율을 조정한다. 이렇게 하여 연료의 분사량과 점화시기를 결정한다. 엔진이 망가지지 않도록 각 항목별 수치에 한계 값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 제어 유닛의 한계 값 및 각 종 데이터 및 교정 데이터값인 켈리브레이션 데이터들은 ECU 양산 후에도 계속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업데이트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의 항목에 따라 설정된 블럭(A)에 대해 다수의 셀(A1, A2) 영역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들이 메모리의 소정 셀에 반복적으로 쓰여지게 되어 미리 정해진 사용 횟수를 넘어서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로직이 없었다. 따라서, 해당 셀이 파손되고 그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되며, 손상된 데이터로 엔진 제어 유닛이 제어되는 경우 치명적인 교통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의 소정 셀에 대한 사용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셀의 사용 횟수 정보가 기 설정된 소정치 이하인 경우 다음 셀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라 단위 시간 당 메모리의 소정 영역의 사용 횟수를 소정치 이하로 제한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한 메모리의 셀 영역에 대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파손된 메모리 영역에 따라 단축된 메모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데이터의 항목에 따라 저장하고자 하는 메모리의 블럭 및 셀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셀 영역에 대응되는 사용 횟수 정보를 근거로 사용 횟수를 기 설정된 소정치 이상인 경우 해당 블럭의 셀 영역을 확장하고 확장된 셀 영역에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방법은,
상기 상기 설정된 셀 영역에 대응되는 사용 횟수 정보를 근거로 사용 횟수를 기 설정된 소정치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설정된 메모리 블럭 내의 셀 영역에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치는 해당 블럭을 제외한 나머지 블럭의 모든 셀의 사용 횟수의 평균치의 2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메모리의 소정 셀에 대한 사용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셀의 사용 횟수 정보가 기 설정된 소정치 이하인 경우 다음 셀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라 단위 시간 당 메모리의 소정 영역의 사용 횟수를 소정치 이하로 제한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한 메모리의 셀 영역에 대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파손된 메모리 영역에 따라 단축된 메모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메모리 손상으로 인한 데이터 손상에 따른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A, B, C 블럭 영역 내의 각각 A1, A2의 셀 영역, B1, B2의 셀 영역, 및 C1, C2, C3, C4의 셀 영역이 사용 중인 메모리 구조를 일예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구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엔진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모리의 블럭 영역(A)(B)(C)와, 각 블럭 단위(A)(B)(C) 내의 다수의 셀 영역(A1)(A2)(B1)(B2)(C1)-(C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럭 영역(A)(B)(C)는 동작 중 운행하는 차량의 조건에 맞는 제어를 하기 위해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항목 별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블럭 영역의 다수의 셀 영역에는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정된다. 즉, 해당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연산된 데이터값 또는 연산을 위한 켈리브레이션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해당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블럭(A) 내의 셀 영역(A1)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해당 블럭(A) 내의 셀 영역의 사용 횟수 정보(EM)는 미리 정해진 소정 블럭(C) 내의 소정 셀 영역(C4)에 저장된다.
이 후 동작 중에 해당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해 얻어진 연산값, 연산을 위한 각종 켈리브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새로운 데이터는 해당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항목에 대응되는 메모리의 블럭(A) 내의 셀 영역(A1)에 업데이트하여야 하는데, 메모리 해당 블럭(A)의 소정 셀 영역(A1)에 업데이트하기 이전에 해당 셀 영역(A1)의 사용 횟수 정보(EM)는 확인하여야 한다.
즉, 상기 해당 블럭(A)의 소정 셀 영역(A1)의 사용 횟수 정보(EM)가 기 설정된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해당 블럭(A) 내의 다른 셀 영역(A1-1)이 설정되고 설정된 해당 블럭(A) 내의 셀 영역(A1-1)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치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값으로 해당 블럭(A)을 제외한 나머지 블럭(B)(C)의 모든 셀영역(B1,B2)(C1-C3)에 대한 사용 횟수의 평균치의 2배로 설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201에서,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어 단계 203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메모리의 블럭 내의 셀 영역을 설정한다.
이어 단계 205를 통해 상기 단계 203에서 설정된 셀 영역의 사용 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207에서 수신된 사용 횟수 정보를 연산된 소정치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사용 횟수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단계 209에서 블럭 내의 셀 영역을 확장하고 확장된 셀 영역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단계 207에서 사용 횟수 정보가 소정치 이상이 아닌 경우 단계 211에서, 단계 203에서 설정된 블럭 내의 셀 영역에 상기 단계 201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메모리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메모리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모리 구조

Claims (3)

  1.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메모리의 다수의 블럭 중에서 상기 데이터의 항목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블럭 및 상기 블럭에 포함되는 제1 셀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셀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 영역들에 대한 사용 횟수 정보(EM)를 단일의 제2 셀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의 제2 셀 영역에 저장된 상기 사용 횟수 정보(EM)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 영역의 사용 횟수가 기 설정된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셀 영역 이외에 상기 블럭에 포함되는 다른 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다른 셀 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치는
    상기 다수의 블럭 중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상기 블럭을 제외한 다른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단일의 제2 셀 영역을 제외한 모든 셀 영역들의 사용 횟수의 평균치를 기초로 설정되는,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영역의 사용 횟수가 기 설정된 소정치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셀 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3. 삭제
KR1020090029800A 2009-04-07 2009-04-07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78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800A KR101786027B1 (ko) 2009-04-07 2009-04-07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800A KR101786027B1 (ko) 2009-04-07 2009-04-07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393A KR20100111393A (ko) 2010-10-15
KR101786027B1 true KR101786027B1 (ko) 2017-10-18

Family

ID=4313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800A KR101786027B1 (ko) 2009-04-07 2009-04-07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0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140A (ja) * 2002-08-22 2004-03-11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記録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8139689A1 (ja) * 2007-05-10 2008-11-20 Panasonic Corporation メモリコントローラ、半導体記録装置及び書き換え回数通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140A (ja) * 2002-08-22 2004-03-11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記録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8139689A1 (ja) * 2007-05-10 2008-11-20 Panasonic Corporation メモリコントローラ、半導体記録装置及び書き換え回数通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393A (ko)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4033A1 (en) Vehicle controller, program upd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that stores program for updating program
US9727325B2 (en) Method for reprogramming a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CN102567018A (zh) 一种车载控制器执行的应用程序下载方法及系统
CN105302482A (zh) 一种参数存储方法、装置及汽车控制器
US789497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ampering of vehicle software or calibrations
KR101786027B1 (ko) 자동차의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008446B1 (ko) Ecu 동작 제어 방법
WO20110731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fuel injectors specific parameters
US20130060418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JP2013004078A (ja) メモリへのデータ格納方法
US20070239332A1 (en)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230066683A1 (en) Apparatus for operating ota updat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20150007798A1 (en) Control method of fuel pump for vehicle and electronic controller
US20150308331A1 (en) Engine control method for cold start stabilization
KR101304050B1 (ko) 차량 고장 코드 연관 가변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53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토크 학습 장치 및 방법
US200901920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shifting between operating modes in hybrid vehicles
US965765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trol valve in diesel hybrid vehicle
JP5111486B2 (ja) 制御用プログラムの更新装置および更新方法
EP2916232B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WO20110874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of software
US2023002827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date of vehicle
JP713404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9138563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システム
US9773562B2 (en) Storage apparatus, flash memory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87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05

Effective date: 2017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