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308B1 -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308B1
KR101785308B1 KR1020150098091A KR20150098091A KR101785308B1 KR 101785308 B1 KR101785308 B1 KR 101785308B1 KR 1020150098091 A KR1020150098091 A KR 1020150098091A KR 20150098091 A KR20150098091 A KR 20150098091A KR 101785308 B1 KR101785308 B1 KR 10178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etachable
units
moving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827A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102015009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3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 형상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을 상호 이격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최소 침습 수술시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면적을 최소화하고, 최소 침습 수술 도중에 혈관이나 신경 등의 생체 조직이 끼어들어 수술에 지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RETRACTOR APPARATUS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본 발명은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면적을 최소화하고, 최소 침습 수술 도중에 혈관이나 신경 등의 생체 조직이 끼어들어 수술에 지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 표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크의 안쪽에 수용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허리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크로 인해 수반되는 질병 치료의 한 방법으로, 손상된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공간을 보형재, 소위 케이지(Cage)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즉, 보형재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형재를 척추 간에 삽입하는 수술방법으로, 배를 열고 척추 전방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ALIF(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30~40mm 떨어진 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보형재를 삽입하는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PLIF(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298059호의 "척추 수술용 근육 견인장치"(이하 '선행기술')는 제1, 2 견인기와, 확장기와, 슬라이더와, 보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 1,2 견인기는 각각 척추뼈와 근육을 지지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서 연장되는 한편 서로 마주하는 면이 개구된 삽입블럭을 갖는 것이다.
이때, 확장기는 상기 제 1,2 견인기의 삽입블럭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 1,2 견인기를 확장시키는 확장아암과, 상기 양 확장 아암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레일블럭과, 상기 레일블럭에서 이동되는 확장 아암에 설치되어 레일블럭의 기어부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래칫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견인기 또는 제 2 견인기의 블레이드에 돌출된 상태로 삽입되어 출입되는 한편 이의 출입여부에 따라 상대 견인기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것이다.
또한, 보조 블레이드는 상기 제 1,2 견인기 중 근육을 지지하는 제 1 견인기의 블레이드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견인기의 삽입블럭에 확장기의 확장아암이 삽입됨에 따라 회전되어 근육을 감싸 잡은 상태로 확장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고 불필요한 구성 부품이 많이 필요하며, 시술시 숙련도가 필요하며, 시술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시술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제1, 2 견인기를 이용하여 근육을 양쪽으로 견인할 때 제1, 2 견인기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혈관이나 조직의 간섭이 상당히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등록특허 제10-1298059호(척추 수술용 근육 견인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면적을 최소화하고, 최소 침습 수술 도중에 혈관이나 신경 등의 생체 조직이 끼어들어 수술에 지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개구를 형성하여 최소 침습 수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피시술자의 고통과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 형상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을 상호 이격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최소 침습 수술시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제1 폭과 제1 길이를 가진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1 폭과 상기 제1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호 대면하는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제2 폭과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직교를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폭과 상기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직교를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차단 블레이드와 상호 대면하는 제2 차단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 각각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홈이 외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는 제1 블록 헤드와,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홈이 외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는 제2 블록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헤드와 상기 제2 블록 헤드가 상호 맞물려 사각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1 블록 헤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간격 유지 채널과,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2 블록 헤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간격 유지 채널과, 상기 제1 간격 유지 채널에 삽입 관통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1 블록 헤드로부터 노출되는 제1 간격 유지봉과,
상기 제2 간격 유지 채널에 삽입 관통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2 블록 헤드로부터 노출되는 제2 간격 유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 본체와, 상기 탈착 본체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정 길이의 핸들과, 상기 제1 유닛 각각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탈착 본체 각각에 구비되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 본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중 일측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1 탈착홈에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중 타측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2 탈착홈에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탈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핸들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제1 출입로와, 상기 제1 출입로를 따라 일정 범위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1 탈착홈 및 제2 탈착홈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제1 걸림 헤드가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이동체와, 상기 제1 출입로와 상호 연통되며 상기 탈착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 공간과, 상기 작동 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출입로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탈착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출입로와, 상기 제2 출입로를 따라 일정 범위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체의 내측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외측면을 구비한 제2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체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제2 이동체의 외측면에 탈착되게 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탈착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이동체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걸림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외측면에 함몰된 중립홈과, 상기 중립홈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이동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제2 이동체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는 절개 슬롯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체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고정 안내편과, 상기 고정 안내편의 상기 중립홈측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안내편의 외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 사면과,
상기 안내 사면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안내편의 외측면에 함몰되어 상기 제2 이동체의 내측 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을 상호 이격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면적을 최소화하고, 최소 침습 수술 도중에 혈관이나 신경 등의 생체 조직이 끼어들어 수술에 지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시술시에는 제2 유닛을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시술토록 함으로써 시술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용이하게 조작하면서 시술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견인 장치에 비하여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대폭 줄이면서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하여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견인 장치와 같이 복잡하고 필요 이상으로 많은 구성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설계 비용 등을 대폭 감축하여 많은 의료 시설에 보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배의 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OLIF(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요근 전방접근법을 이용한 측방 요추체간 유합술)와 같은 수술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유닛이 상호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유닛에 제1, 2 간격 유지봉이 관통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2 간격 유지봉이 관통 삽입된 제1 유닛을 상호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에 제1, 2 간격 유지봉이 관통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응용예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에 관통 삽입되는 제1, 2 간격 유지봉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에 구비된 제1 이동체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 헤드가 제1 유닛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로, 도 9는 제1 걸림 헤드가 제1 유닛에 걸림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도 10은 제1 걸림 헤드가 제1 유닛에 걸림 고정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를 이용하여 최소 침습 수술을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1과 도 13과 도 15와 도 17 및 도 19는 평면 개념도이며, 도 12와 도 14와 도 16과 도 18 및 도 20은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유닛(100)이 상호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유닛(100)에 제1, 2 간격 유지봉(171, 172, 이하 도 7 참조)이 관통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2 간격 유지봉(171, 172)이 관통 삽입된 제1 유닛(100)을 상호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에 제1, 2 간격 유지봉(171, 172)이 관통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응용예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에 관통 삽입되는 제1, 2 간격 유지봉(171, 172)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에 구비된 제1 이동체(23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 헤드(231h)가 제1 유닛(100)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로, 도 9는 제1 걸림 헤드(231h)가 제1 유닛(100)에 걸림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도 10은 제1 걸림 헤드(231h)가 제1 유닛(100)에 걸림 고정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를 이용하여 최소 침습 수술을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1과 도 13과 도 15와 도 17 및 도 19는 평면 개념도이며, 도 12와 도 14와 도 16과 도 18 및 도 20은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 형상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유닛(100)과, 한 쌍의 제1 유닛(100)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에 삽입된 한 쌍의 제1 유닛(100)을 상호 이격시키는 제2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닛(200)은 최소 침습 수술시에는 한 쌍의 제1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제1, 2 대면 블레이드(111, 112)와 제1, 2 차단 블레이드(121, 122)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대면 블레이드(111)는 제1 폭과 제1 길이를 가진 것이며, 제2 대면 블레이드(112)는 제1 폭과 제1 길이를 가지고, 제1 대면 블레이드(111)와 상호 대면하는 것이다.
제1 차단 블레이드(121)는 제2 폭과 제2 길이를 가지며, 제1 대면 블레이드(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대면 블레이드(11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 대면 블레이드(112)측으로 연장되고, 제1 대면 블레이드(111)와 직교를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2 차단 블레이드(122)는 제2 폭과 제2 길이를 가지며, 제2 대면 블레이드(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대면 블레이드(112)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대면 블레이드(111)측으로 연장되고, 제2 대면 블레이드(112)와 직교를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차단 블레이드(121)와 상호 대면하는 것이다.
후술할 제2 유닛(200)은 제1 대면 블레이드(111)와 제2 대면 블레이드(112) 각각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2 폭은 제1 폭보다 넓거나 같도록 함으로써, 최소 침습 수술 도중에 혈관이나 신경 등의 생체 조직이 끼어들어 수술에 지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길이와 제2 길이는 서로 같다.
또한, 제1 유닛(100)은 사각 형상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제1, 2 블록 헤드(130, 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블록 헤드(130)는 제1 대면 블레이드(111)와 제1 차단 블레이드(121)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2 유닛(200)의 일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홈(101)이 외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제2 블록 헤드(140)는 제2 대면 블레이드(112)와 제2 차단 블레이드(122)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2 유닛(200)의 일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홈(102)이 외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블록 헤드(130)와 제2 블록 헤드(140)가 상호 맞물려 사각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블록 헤드(130)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대면 블레이드(11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1 탈착홈(101)이 형성되고, 제3 폭을 가진 제1 대면 블록(131)과, 제1 대면 블록(13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차단 블레이드(12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4 폭을 가진 제1 차단 블록(132)을 포함한다.
제2 블록 헤드(140)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대면 블레이드(112)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2 탈착홈(102)이 형성되고, 제3 폭을 가진 제2 대면 블록(141)과, 제2 대면 블록(14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차단 블레이드(122)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4 폭을 가진 제2 차단 블록(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4 폭은 제3 폭보다 넓거나 같고, 제3 폭은 제1 폭보다 넓거나 같으며, 제4 폭은 제2 폭보다 넓거나 같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2 블록 헤드(130, 140)에 의한 후술할 제2 유닛(200)의 탈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블록 헤드(130)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블록 헤드(140)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ㄱ'자 형상의 제1 블록 헤드(130)와 'ㄴ'자 형상의 제2 블록 헤드(140)가 상호 맞물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블록 헤드(130)와 제2 블록 헤드(140)가 상호 맞물려 이러한 직사각 형상의 상면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와 비교할 때, 피시술자의 개구를 많이 벌려서 시술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블록 헤드(130)와 제2 블록 헤드(140)의 상호 맞물림 구조는, 시술 도중에 내시경(이하 미도시)이나 케이지(이하 미도시) 등을 시술 부위에 삽입하기 위하여 제1 블록 헤드(130)와 제2 블록 헤드(140)를 상호 이격시키는 과정에서, 기존의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와 비교할 때, 이격된 틈을 통하여 혈관이나 신경 등의 조직이 끼어들어 시술을 방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제1 블록 헤드(130)와 제2 블록 헤드(140) 각각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1 차단 블레이드(121) 및 제2 차단 블레이드(122)가 이러한 조직들이 끼어드는 것을 차단해주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제1 차단 블레이드(121) 및 제2 차단 블레이드(122)가 이러한 조직들이 끼어드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해 줌은 물론, 도 6과 같이 제1, 2 변형 차단막(151, 152)을 더 구비하여, 전술한 조직들이 끼어들어 시술에 지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변형 차단막(151)은 제1 블록 헤드(130)와 제2 블록 헤드(1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차단 블레이드(121) 및 제2 대면 블레이드(112) 각각의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플렉시블하고 가요성을 지닌 것이다.
제2 변형 차단막(152)은 제1 블록 헤드(130)와 제2 블록 헤드(1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차단 블레이드(122) 및 제1 대면 블레이드(111) 각각의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플렉시블하고 가요성을 지닌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시술시 필요한 제1, 2 간격 유지봉(171, 172)을 제1 유닛(100)에 관통 삽입하기 위하여 제1, 2 간격 유지 채널(161, 16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간격 유지 채널(161)은 제1 대면 블레이드(111)와 제1 차단 블레이드(121)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는 제1 블록 헤드(1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제2 간격 유지 채널(162)은 제2 대면 블레이드(112)와 제2 차단 블레이드(122)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는 제2 블록 헤드(1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제1 간격 유지봉(171)은 제1 간격 유지 채널(161)에 삽입 관통되며, 상단부는 제1 블록 헤드(130)로부터 노출되는 것이다.
제2 간격 유지봉(172)은 제2 간격 유지 채널(162)에 삽입 관통되며, 상단부는 제2 블록 헤드(140)로부터 노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간격 유지봉(171) 및 제2 간격 유지봉(172)의 상단부에는, 각각 수술 도구로 파지하거나 수술 장치 등에 연결되기 위하여, 파지용 손잡이(191, 19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 간격 유지 채널(161)의 형성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대면 블레이드(111)와 제1 차단 블레이드(121)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제1 간격 유지 채널(161)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제1 리브(18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간격 유지 채널(162)의 형성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대면 블레이드(112)와 제2 차단 블레이드(122)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제2 간격 유지 채널(162)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제2 리브(18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시술시 제1, 2 척추뼈(410, 420, 이하 도 11 내지 도 20 참조)에 삽입 고정되는 제1, 2 스크류(310, 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크류(310)는 제1 대면 블레이드(111)와 제1 차단 블레이드(121)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제1 간격 유지봉(171)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피시술자의 제1 척추뼈(410)에 삽입되는 것이다.
제2 스크류(320)는 제2 대면 블레이드(112)와 제2 차단 블레이드(122)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제2 간격 유지봉(172)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피시술자의 제2 척추뼈(420)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유닛(100)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 본체(210)와, 탈착 본체(21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정 길이의 핸들(220)과, 제1 유닛(100) 각각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탈착 본체(210) 각각에 구비되는 탈착 수단(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탈착 본체(210)는 크게, 한 쌍의 제1 유닛(100) 중 일측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1 탈착홈(101)에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 본체(211)와, 한 쌍의 제1 유닛(100) 중 타측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2 탈착홈(102)에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 본체(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탈착 수단(230)은 탈착 본체(210)의 일단부로부터 핸들(220)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제1 출입로(231p)를 포함한다.
그리고, 탈착 수단(230)은 제1 출입로(231p)를 따라 일정 범위로 왕복 가능하며, 한 쌍의 제1 유닛(100)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1 탈착홈(101) 및 제2 탈착홈(102)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제1 걸림 헤드(231h)가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이동체(231)를 포함한다.
그리고, 탈착 수단(230)은 제1 출입로(231p)와 상호 연통되며 탈착 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 공간(233)을 포함한다.
그리고, 탈착 수단(230)은 작동 공간(233)을 관통하여 제1 출입로(231p)와 직교를 이루도록 탈착 본체(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출입로(232p)를 포함한다.
그리고, 탈착 수단(230)은 제2 출입로(232p)를 따라 일정 범위로 왕복 가능하며, 제1 이동체(231)의 내측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외측면을 구비한 제2 이동체(232)를 포함한다.
또한, 탈착 수단(230)은 제2 이동체(23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1 이동체(231)의 내측 단부가 제2 이동체(232)의 외측면에 탈착되게 하는 탈착부(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탈착 수단(230)은 탈착 본체(210)의 양측면으로부터 제2 이동체(2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이동체(23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걸림 헤드(232h)를 더 포함한다.
또한, 탈착부(240)는 제2 이동체(232)의 외측면에 함몰된 중립홈(241)을 포함한다.
그리고, 탈착부(240)는 중립홈(241)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2 이동체(23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2 이동체(232)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는 절개 슬롯(242s)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2 이동체(232)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고정 안내편(242)을 포함한다.
그리고, 탈착부(240)는 고정 안내편(242)의 중립홈(241)측 단부로부터 고정 안내편(242)의 외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 사면(243)을 포함한다.
또한, 탈착부(240)는 안내 사면(243)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고정 안내편(242)의 외측면에 함몰되어 제2 이동체(232)의 내측 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홈(244)을 포함한다.
따라서, 탈착부(240)는 도 9와 같이 제1 이동체(231)의 내측 단부가 중립홈(241)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이동체(231)가 제1 출입로(231p)를 따라 왕복 가능한 유격이 발생되므로, 탈착 본체(210)의 제1 블록 헤드(130) 및 제2 블록 헤드(140) 각각에 형성된 제1 탈착홈(101)과 제2 탈착홈(102)으로부터 제1 이동체(23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 헤드(231h)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제1 이동체(231)의 걸림 헤드(231h)가 제1 탈착홈(101)과 제2 탈착홈(102)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제2 이동체(232)를 도 10과 같이 제2 출입로(232p)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1 이동체(231)의 내측 단부가 제2 이동체(232)에 구비된 고정 안내편(242)의 고정홈(244)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 안내편(242)의 고정홈(244)에 제1 이동체(231)의 내측 단부가 위치하도록 제2 이동체(23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고정 안내편(242)의 중립홈(241)측 단부 부근에 형성된 안내 사면(243)은 이러한 이동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탈착부(240)의 메카니즘에 의하여 조작함으로써 탈착 본체(210)를 제1, 2 블록 헤드(130, 14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피시술자의 개구(이하 미도시)를 통하여 제1 유닛(100)을 삽입한다.
이후, 시술자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제1, 2 블록 헤드(130, 140)를 상호 이격시키며,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제1, 2 간격 유지봉(171, 172) 각각의 상단부의 파지용 손잡이(191, 192)가 노출되도록 한 쌍의 제1 유닛(100)에 관통시키며, 제1, 2 스크류(310, 320)를 제1, 2 척추뼈(410, 420)에 각각 삽입하게 된다.
계속하여, 시술자는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제1, 2 척추뼈(410, 420)에 각각 제1, 2 스크류(310, 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수술 도구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파지용 손잡이(191, 192)를 파지하고 더욱 제1, 2 블록 헤드(130, 140) 각각의 이격된 거리를 벌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종래 견인 장치보다 더 효율적으로 근육이나 인대를 견인할 수 있게 되며, 척추의 디스크 등을 더욱 쉽고 정교하게 수술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제1, 2 탈착홈(101, 102)으로부터 제2 유닛(200)을 각각 분리하고, 이격된 제1, 2 블록 헤드(130, 140) 사이를 통하여 내시경이나 케이지 등 보형재를 삽입하는 등의 본격적인 시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단면적을 최소화하고, 최소 침습 수술 도중에 혈관이나 신경 등의 생체 조직이 끼어들어 수술에 지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탈착홈
102...제2 탈착홈
111...제1 대면 블레이드
112...제2 대면 블레이드
121...제1 차단 블레이드
122...제2 차단 블레이드
130...제1 블록 헤드
131...제1 대면 블록
132...제1 차단 블록
140...제2 블록 헤드
141...제2 대면 블록
142...제2 차단 블록
151...제1 변형 차단막
152...제2 변형 차단막
161...제1 간격 유지 채널
162...제2 간격 유지 채널
171...제1 간격 유지봉
172...제2 간격 유지봉
181...제1 리브
182...제2 리브
191, 192...파지용 손잡이
200...제2 유닛
210...탈착 본체
211...제1 탈착 본체
212...제2 탈착 본체
220...핸들
230...탈착 수단
231...제1 이동체
231h...제1 걸림 헤드
231p...제1 출입로
232...제2 이동체
232h...제2 걸림 헤드
232p...제2 출입로
233...작동 공간
240...탈착부
241...중립홈
242...고정 안내편
242s...절개 슬롯
243...안내 사면
244...고정홈
310...제1 스크류
320...제2 스크류
410...제1 척추뼈
420...제2 척추뼈

Claims (9)

  1.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 형상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을 상호 이격시키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최소 침습 수술시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제1 폭과 제1 길이를 가진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1 폭과 상기 제1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호 대면하는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제2 폭과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직교를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 블레이드와,
    상기 제2 폭과 상기 제2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직교를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차단 블레이드와 상호 대면하는 제2 차단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 각각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홈이 외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는 제1 블록 헤드와,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가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홈이 외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는 제2 블록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헤드와 상기 제2 블록 헤드가 상호 맞물려 사각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1 블록 헤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간격 유지 채널과,
    상기 제2 대면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차단 블레이드 각각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위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2 블록 헤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간격 유지 채널과,
    상기 제1 간격 유지 채널에 삽입 관통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1 블록 헤드로부터 노출되는 제1 간격 유지봉과,
    상기 제2 간격 유지 채널에 삽입 관통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2 블록 헤드로부터 노출되는 제2 간격 유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 본체와,
    상기 탈착 본체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정 길이의 핸들과,
    상기 제1 유닛 각각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탈착 본체 각각에 구비되는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탈착 본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중 일측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1 탈착홈에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중 타측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2 탈착홈에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탈착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핸들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제1 출입로와,
    상기 제1 출입로를 따라 일정 범위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유닛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제1 탈착홈 및 제2 탈착홈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제1 걸림 헤드가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이동체와,
    상기 제1 출입로와 상호 연통되며 상기 탈착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 공간과,
    상기 작동 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출입로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탈착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출입로와,
    상기 제2 출입로를 따라 일정 범위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체의 내측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외측면을 구비한 제2 이동체와,
    상기 제2 이동체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체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제2 이동체의 외측면에 탈착되게 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탈착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이동체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걸림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외측면에 함몰된 중립홈과,
    상기 중립홈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이동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제2 이동체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는 절개 슬롯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체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고정 안내편과,
    상기 고정 안내편의 상기 중립홈측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안내편의 외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 사면과,
    상기 안내 사면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안내편의 외측면에 함몰되어 상기 제2 이동체의 내측 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KR1020150098091A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KR10178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091A KR101785308B1 (ko)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091A KR101785308B1 (ko)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27A KR20170006827A (ko) 2017-01-18
KR101785308B1 true KR101785308B1 (ko) 2017-10-17

Family

ID=5799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091A KR101785308B1 (ko) 2015-07-10 2015-07-10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39A (ko) 2018-06-12 2019-12-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리트렉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139A (en) 1998-04-24 1999-07-27 Koros; Tibor B. Retractor with adjustable length blades and light pipe guides
JP2003169809A (ja) 2001-12-05 2003-06-17 Pentax Corp 開創器のブレードおよび開創器
US20070156024A1 (en) 2006-01-04 2007-07-05 William Frasier Surgical Retractors and Method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059B1 (ko) 2013-02-04 2013-08-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수술용 근육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139A (en) 1998-04-24 1999-07-27 Koros; Tibor B. Retractor with adjustable length blades and light pipe guides
JP2003169809A (ja) 2001-12-05 2003-06-17 Pentax Corp 開創器のブレードおよび開創器
US20070156024A1 (en) 2006-01-04 2007-07-05 William Frasier Surgical Retractors and Method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39A (ko) 2018-06-12 2019-12-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리트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27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559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pine surgery
JP4889724B2 (ja) 側方進入路を含む脊椎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679004B2 (en) Sagittal balance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190982B1 (en) Retractor
KR102292185B1 (ko) 추간판 공간으로 케이지를 도입하기 위한 기구 세트
CN103690205B (zh) 最小侵入性脊柱融合术的手术设备和包括其的手术系统
KR100499543B1 (ko) 척추 연신기 및 삽입 장치
US7674265B2 (en) Minimally invasive instruments and methods for preparing vertebral endplates
JP6045497B2 (ja) 側方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US11723697B2 (en) Patient-mounted surgical support
KR20140028063A (ko) 천장관절 융합 시스템
CN105997165B (zh) 牵开器组件
US200601951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pinal conditions
US20120078253A9 (en) Mechanical tissue modif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230414259A1 (en) Patient-mounted surgical support
JP2002501784A (ja) 椎体間用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
JP2006521866A (ja) インプラントを前方側方アプローチ法にて脊柱の椎間板空間内に配置する方法及び器具
CA27234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rally accessing an intervertebral disc space
KR101674490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US20140276848A1 (en) Tissue modification devices
US20180289363A1 (en) Surgical access system, device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2011323194B2 (en) Device and method for safely expanding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cisions
US20060052812A1 (en) Tool for preparing a surgical site for an access device
KR101785308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리트렉터 장치
US20220273169A1 (en) Single-port spinal surgery instrument set and method for using single-port spinal surgery instrument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