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168B1 -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168B1
KR101785168B1 KR1020150171594A KR20150171594A KR101785168B1 KR 101785168 B1 KR101785168 B1 KR 101785168B1 KR 1020150171594 A KR1020150171594 A KR 1020150171594A KR 20150171594 A KR20150171594 A KR 20150171594A KR 101785168 B1 KR101785168 B1 KR 10178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earer
curled
wearing
wea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318A (ko
Inventor
홍의신
Original Assignee
홍의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의신 filed Critical 홍의신
Priority to KR102015017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1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Abstract

기능성 압박보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와,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 및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를 소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거나 상기 제1원사,제2원사 및 제3원사가 합쳐진 복합사를 소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의 제1원사에 의해 신체의 피부를 탄력적으로 압박하고, 상기 착용부의 제2원사에 의해 흡수된 물과 혼합된 혼합물의 기능성 약제가 상기 착용부와 접하는 신체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착용부의 제3원사에 의해서 제2원사에 흡수된 혼합물의 수분이 건조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Functional Pressing Aritificial Memb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체의 특정부위를 압박하면서 미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의 피부 탄력이 감소되고 중력에 대한 저항력을 잃어 가면서 피부가 처지는 현상인 주름이 신체 곳곳에 생기게 된다.
특히, 얼굴에 주름이 많이 발생하게 되면 자의든 타의든 더욱 나이 들어 보인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대부분의 사람에게 주름은 적지 않은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산업 및 경제발전으로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단순히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욕구를 넘어, 더욱 젊고 아름다운 얼굴 및 신체를 갖기를 원할 뿐만 아니라 평생토록 유지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성형이나 미용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화장품산업 또한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얼굴에 생기는 주름을 제거하거나 팔이나 다리의 피부를 팽팽하게 유지하면서 갸름하고 날씬하게 만들기 위해 개선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2013-0028192 A
(특허문헌 2) KR10-1099994 B1
특허문헌 1에는 피부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는 구성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천연 미용재료와 오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미용 재료 팩 조성물이 시트재에 함침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마스크 시트팩과 같은 기능성 보형제를 게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해충 특히 모기기피와 퇴치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야래향 나무를 이용한 정유 추출물을 스타킹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기능성 보형제를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능성 보형제는 활동성이 많은 사람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 부착성이 부족하고, 신체의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사용해야만 하고 약제의 전달효율이 미약하여 기능성 제품으로서의 제기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의 특정부위에 대한 착용 및 탈의가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신체의 특정 착용부위에 압박력을 제공하여 신체부위를 곡선미로 교정하는 미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착용되는 신체의 피부표면을 체온보다 낮추어 냉감효과와 더불어 화장품 원료를 피부에 흡수시켜 미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와,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 및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를 소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거나 상기 제1원사,제2원사 및 제3원사가 합쳐진 복합사를 소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의 제1원사에 의해 신체의 피부를 탄력적으로 압박하고, 상기 착용부의 제2원사에 의해 흡수된 물과 혼합된 혼합물의 기능성 약제가 상기 착용부와 접하는 신체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착용부의 제3원사에 의해서 제2원사에 흡수된 혼합물의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착용부의 개구된 양단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부의 신체 착용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약제는 냉감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 용액을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원사는 폴리우레탄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5 내지 4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7 내지 39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원사는 면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27 내지 3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원사는 폴리에스터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는 제3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0 내지 3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2 내지 34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와,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 및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사로 하거나 나머지를 위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거나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제3원사가 합쳐진 복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는 착용부를 준비하는 단계 ; 상기 착용부의 개구된 일단을 외측으로 말아서 상기 착용부를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로 전환시키는 단계 ; 상기 제2원사에 기능성 약제가 함침되어 흡수되도록 기능성 약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상기 말림체를 흡수시키는 단계 ; 상기 말림체를 신체부위에 끼운 다음, 상기 말림체의 말려진 상단을 상부로 밀어올려 펼침으로써 피부와 접하여 압박하는 착용부로 전환시켜 압박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착용부로 전환시켜 압박하는 단계는 상기 말림체를 신체의 목부위에 끼워 배치상태에서 상기 말림체의 말려진 상단을 얼굴부위측으로 밀어 올려 펼침으로써 펼침전환되는 착용부의 내부면이 코밑과 턱밑사이에 해당하는 피부에 밀착되어 압박하도록 착용부가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부로 전환시켜 압박하는 단계는 상기 말림체를 신체의 다리의 발목이나 팔의 팔목에 끼워 배치상태에서 다음, 상기 말림체의 말려진 상단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 펼침으로써 펼침전환되는 착용부의 내부면이 상기 다리 또는 팔의 피부와 밀착되어 압착하도록 착용부가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부의 개구된 양단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부의 신체 착용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를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탄성고정부을 갖는 착용부의 일단부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약제는 냉감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 용액을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신체의 턱선이나 하관 그리고 신체의 다리나 팔에 착용부를 간편하게 착용함으로써 착용부와 접하는 부위를 일정시간 동안 압박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부가 접하게 되는 신체부위를 곡선형으로 교정할 수 있는 미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착용부와 접하는 부위의 피부표면에 냉감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 용액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온도를 체온보다 낮은 온도로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층의 혈관을 수축시켜 혈액순환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압박보형제의 착용부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압박보형제의 말림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압박보형제를 신체의 얼굴부위에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압박보형제의 착용부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압박보형제의 말림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압박보형제를 신체의 다리부위에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압박 보형제(100)는 사용자의 신체중 하나인 얼굴이나 팔,다리에 착용되어 피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신체의 특정부위에 간편하게 착용되는 착용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부(110)는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 및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를 중 어느 하나를 경사로 하거나 나머지를 위사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 원통형의 직물체로 편직되어 직조되거나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제3원사가 합쳐진 복합사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 원통형의 직물체로 편직되어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부(110)의 개구된 양단은 직조된 제1,2 및 3원사 또는 복합사가 풀려지는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칭으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110)는 양단이 각각 개구된 일정길이의 중공 원통체로 이루어진 초기 상태에서 신체의 목부위나 신체의 발목 또는 손목에 간편하게 끼움배치할 수 있도록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110a)로 전환된 다음 얼굴의 특정부위나 팔, 다리와 같은 신체부위의 피부와 고르게 접하도록 펼쳐지면서 착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착용부(110)를 구성하도록 직조되는 제1원사는 탄력성을 갖도록 폴리우레탄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원사는 수분이나 액체에 대한 흡수율 및 함침율이 높은 고흡수성의 극세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3원사는 제2원사에 흡수된 수분이나 액체에 대한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속건성을 갖는 섬유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한 탄성섬유로 스판덱스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 원사 함유량 100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4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8중량% 를 포함하는 37 내지 39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착용부를 구성하는 제1원사의 함유비율이 35중량% 이하가 되면, 착용후 낮은 탄력성에 의해서 팔,다리와 같은 신체 착용부위에서 흘러내려 착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고, 40% 중량% 이상이면 착용시 높은 탄성력에 의해서 착용시 제1원사를 신장시키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여 착용부의 착용이 불편하고 착용후에는 너무 높은 압박력에 의해서 착용감을 저하시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원사는 고무처럼 잘 늘어나 원상태에서 6배 이상으로도 늘어나고 회복성도 좋은 탄성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산화, 땀, 화장품 및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세탁시 내구성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섬유는 아주 가는 직경의 실까지도 만들 수 있어 10 dtex(데니텍스) 정도의 극세사까지도 생산이 가능하여 다른 섬유와 5~6%의 혼용율로 직조하여도 충분한 탄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착용부(110)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원사의 혼용율 38%의 강한 탄성도로 인하여 압박력을 가지는 사이즈에 맞게 중공 원통체로 직조하게 되면, 체형 보정을 하기 위해서 매우 이상적이며, 흡수성은 공정수분율 1% 이하로 대단히 낮은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는 기능성 약제인 냉감제나 화장품등이 물과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의 함침 및 흡수가 가능하도록 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원사는 상기 착용부(110)의 전체원사 함유량 100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 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9중량% 를 포함하는 27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착용부를 구성하는 제2원사의 함유비율이 25중량% 이하가 되면, 기능성 약제를 포함하는 혼합액의 흡수율이 낮아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35중량% 이상이면 혼합액의 흡수율이 너무 높아 착용시 혼합액이 흘러내리게 되어 착용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면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원사는 젖으면 보온 기능성을 상실할 뿐 아니라 단위 면적당 수분함유량이 가장 높아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함침, 흡수되어 보존된 냉감제나 기능성 화장품 등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면의 공정수분율은 8.5%로 친수성 섬유 중 가장 유용하다.
그리고, 증발기능 및 발산기능을 포함하는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는 제2원사에 흡수된 수분이나 액체를 빠르게 증발 및 발산시켜 착용부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스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3원사는 상기 착용부(110)의 전체 원사 함유량 100중량% 에 대하여 30 내지 35 중량% 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적의 속건성을 위해서는 33 중량% 를 포함하는 32 내지 34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착용부를 구성하는 제3원사의 함유비율이 30중량% 이하가 되면, 흡수된 홉합액의 수분에 대한 건조나 알콜의 휘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냉각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고, 35 중량% 이상이면 수분의 건조나 알콜의 휘발이 착용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이루어져 냉각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곤란하여 냉각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폴리에스터를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3원사는 공정수분율이 0.4%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은 거의 없으나 건조속도는 구조상 나일론 소재에 비하여 10배 정도 빠르게 수분을 건조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제2원사에 흡수되는 기능성 약제인 냉감제, 화장품 등은 기본적으로 알코올 성분을 많이 함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냉감제나 화장품 등의 알코올 성분이 빠르게 휘발하면, 휘발되는 알콜성분에 의해서 체온을 낮춤으로써 신체피부의 표면온도를 차갑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부(110)는 신체의 특정부위에 접하도록 착용된 후 신축성을 갖는 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제1원사가 초기상태보다 팽창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력복원력에 기인하는 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착용부와 접하는 피부를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용부(110)는 신체의 특정부위에 접하도록 착용된 후 액체흡수성이 높은 극세사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원사에 냉감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이 물과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이 함침되어 흡수됨에 따라 이러한 혼합액에 포함된 기능성 약제가 배출되어 피부측으로 전달되고, 기능성 약제가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감제는 상기 착용부와 접하는 피부의 표면온도를 낮추거나 외부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알코올, 자일리톨 또는 에리스리롤 및 이들이 1종이상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감제는 수용액에 용해되는 수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부(110)는 도 1a 와 도 1b 그리고 도 3a 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목부위이나 팔의 팔목이나 다리의 발목에 간편하게 끼움배치할 수 있도록 상단 외측테두리를 하방으로 말아서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110a)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말림체(110a) 상단에는 말림부위가 외측으로 노출되는바, 상기 말림체의 말림부위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원상태로 펼쳐서 종공 원통체의 착용부(110)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부(110a)의 입구단이 출구단에는 활동성이 큰 신체의 팔이나 다리에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를 위사로 하여 더 두껍고 조밀하게 직조함으로써 링형상의 탄성고정부(120)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부(120)는 외력에 의한 당김시 내경이 탄력적으로 확장되는 실리콘 소재의 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용 탄성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단면상을 갖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이에 따라, 팔이나 다리와 같은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110)의 상단은 상기 착용부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탄성고정부(120)의 압착고정력에 의해서 착용시 하부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용부(110)를 말림체(110a)로 전환하거나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110a)를 착용부(110)로 복귀전환하는 작업시 상기 착용부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탄성고정부(120)는 말림체의 심재역활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고정부(120)를 말림체의 말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착용부를 하방으로 말아서 말림체를 형성하거나 상기 말림체의 말림부위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착용부를 복귀전환시키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턱선을 올바르게 교정하거나 팔이나 다리를 갸름하게 하고 날씬하게 만들기 위해서 신체 얼굴의 특정부위인 턱이나 신체의 팔, 다리를 압박하도록 착용부를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와,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 및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사로 하거나 나머지를 위사로 하여 직조되는 중공 원통형 직물체의 착용부(110)를 준비하거나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제3원사가 합쳐진 복합사를 경사와 위사로 직조되는 중공원통형 직물체의 착용부(110)를 준비한다.
이러한 착용부(110)는 개구된 일단의 외측테두리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하방으로 말아서 상기 착용부(110)를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110a)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도우넛 형태로 말려진 말림체(110a)는 상기 제2원사에 기능성 약제를 포함하는 혼합액이 함침되어 흡수되도록 기능성 약제가 물과 더불어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이 일정량 채워진 수조에 대략 5분간 침지시킨 다음 꺼낸다.
연속하여, 상기 혼합액이 흡수된 말림체(110a)를 신체부위인 목부위, 팔목, 발목 중 어느 하나에 끼운 다음, 사용자가 손바닥이나 손을 이용하여 상기 말림체(110a)의 말려진 상단을 상부로 밀어올려 펼치면서 피부와 접하여 압박력을 제공하는 착용부(110)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말림체(110a)의 말려진 상단이 상부로 밀어 올려질 때 신체의 목부위 또는 팔이나 다리부위를 압박하기 때문에 지압효과를 유발할 수 있고, 목부위이나 팔,다리 근육의 혈관내 혈액을 얼굴쪽이나 상체 몸통쪽으로 일시에 밀어내면서 혈관 내 혈압을 일시적으로 낮추는 한편,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신체의 팔이나 다리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말림체로 전환하고, 상기 말림체를 착용부로 전환시키는 작업은, 상기 착용부의 개구된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탄성고정부에 의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한편, 착용부의 말림이나 말림체의 펼침시 해당하는 피부를 압박하는 지압효과와 더불어 혈액순환을 도모하도록 혈관을 수축이완시킬 수 있는 외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말림체(110a)가 도 2a 와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의 목부위에 끼워져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말림체(110a)의 말려진 상단을 얼굴부위측으로 밀어 올려 펼치고, 중공원통체의 초기상태로 펼침 전환되는 착용부의 내부면이 코밑과 턱밑사이에 해당하는 피부를 덮도록 밀착되면, 상기 착용부(110)의 제1원사에 의해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하관이나 턱선의 피부표면을 압박하는 외력을 착용부가 착용되는 시간동안 일정하게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하관이나 턱선이 상기 착용부의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에 의해서 균일하게 압박유지되고, 착용부의 사용을 장시간에 걸쳐 반복하게 되면, 사용자의 하관이나 턱선은 곡선미를 갖도록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림체(110a)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의 발목이나 팔목에 끼워져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말림체(110a)의 말려진 상단을 상체몸통측인 상방으로 밀어 올려 펼치고, 중공원통체의 초기상태로 펼침 전환되는 착용부의 내부면이 팔이나 다리의 피부를 덮도록 밀착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착용부의 제1원사에 의해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팔이나 다리의 피부표면을 압박하는 외력을 착용부가 착용되는 일정시간 동안 일정하게 흘러내림 없이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착용부는 다리의 종아리에 착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허벅지까지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팔이나 다리가 상기 착용부(110)의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에 의해서 균일하게 압착유지되고, 착용부의 사용을 장시간에 걸쳐 반복하게 되면, 사용자의 팔과 다리는 갸름하고 날씬한 곡선을 갖도록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부(110)의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에 흡수되어 있던 기능성 약제를 포함하는 혼합액은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에 의해서 혼합액의 수분이 증발 및 발산되어 빠르게 건조됨으로써 상기 기능성 약제에 포함된 알코올이 휘발되거나 수분이 건조되면서 사용자의 피부표면에서의 체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착용부위의 피부에 발생된 붓기를 가라앉힐 수 있고, 피하층에서 확장되었던 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3원사에 의한 체온 냉각효과는 상기 제2원사에 흡수되는 혼합액에 포함되는 냉감제에 의해서 상기 착용부를 일정시간 30분 내지 60분 정도 착용하는 동안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약제에 보습제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 용액이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표면에 기능성 화장품 용액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흡수되면서 피부를 개선하는 미용 및 미백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착용부
110a : 말림체
120 : 탄성고정부

Claims (14)

  1.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와,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 및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를 소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거나 상기 제1원사,제2원사 및 제3원사가 합쳐진 복합사를 소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의 제1원사에 의해 신체의 피부를 탄력적으로 압박하고, 상기 착용부의 제2원사에 의해 흡수된 물과 혼합된 혼합물의 기능성 약제가 상기 착용부와 접하는 신체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착용부의 제3원사에 의해서 제2원사에 흡수된 혼합물의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개구된 양단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부의 신체 착용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약제는 냉감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 용액을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사는 폴리우레탄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5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보형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7 내지 39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보형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사는 면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면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25 내지 3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보형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27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보형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원사는 폴리에스터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는 제3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0 내지 3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보형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원사는 상기 착용부의 전체원사에 대하여 32 내지 34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보형제.
  10. 신축성을 갖는 제1원사와, 흡수성을 갖는 제2원사 및 속건성을 갖는 제3원사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사로 하거나 나머지를 위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거나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제3원사가 합쳐진 복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직물체로 직조되는 착용부를 준비하는 단계 ;
    상기 착용부의 개구된 일단을 외측으로 말아서 상기 착용부를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로 전환시키는 단계 ;
    상기 제2원사에 기능성 약제가 함침되어 흡수되도록 기능성 약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상기 말림체를 흡수시키는 단계 ;
    상기 말림체를 신체부위에 끼운 다음, 상기 말림체의 말려진 상단을 상부로 밀어올려 펼침으로써 피부와 접하여 압박하는 착용부로 전환시켜 압박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사용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로 전환시켜 압박하는 단계는 상기 말림체를 신체의 목부위에 끼워 배치상태에서 상기 말림체의 말려진 상단을 얼굴부위측으로 밀어 올려 펼침으로써 펼침전환되는 착용부의 내부면이 코밑과 턱밑사이에 해당하는 피부에 밀착되어 압박하도록 착용부가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사용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로 전환시켜 압박하는 단계는 상기 말림체를 신체의 다리의 발목이나 팔의 팔목에 끼워 배치상태에서 다음, 상기 말림체의 말려진 상단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 펼침으로써 펼침전환되는 착용부의 내부면이 상기 다리 또는 팔의 피부와 밀착되어 압착하도록 착용부가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사용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개구된 양단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부의 신체 착용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를 도우넛 형태의 말림체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탄성고정부을 갖는 착용부의 일단부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사용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약제는 냉감제 또는 기능성 화장품 용액을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압박보형제 사용방법.
KR1020150171594A 2015-12-03 2015-12-03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 KR101785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94A KR101785168B1 (ko) 2015-12-03 2015-12-03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594A KR101785168B1 (ko) 2015-12-03 2015-12-03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318A KR20170065318A (ko) 2017-06-13
KR101785168B1 true KR101785168B1 (ko) 2017-10-16

Family

ID=5921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594A KR101785168B1 (ko) 2015-12-03 2015-12-03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1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760A (ja) 2003-02-18 2004-09-09 Sansho Shigyo Kk 薬液を含浸したスキンケア用品
KR100687559B1 (ko) 2006-05-08 2007-02-27 손대업 손목밴드
KR101447957B1 (ko) 2013-12-16 2014-10-13 이원석 밀착 밴드 토시
JP2015171423A (ja) 2014-03-11 2015-10-01 竹中繊維株式会社 経編包帯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760A (ja) 2003-02-18 2004-09-09 Sansho Shigyo Kk 薬液を含浸したスキンケア用品
KR100687559B1 (ko) 2006-05-08 2007-02-27 손대업 손목밴드
KR101447957B1 (ko) 2013-12-16 2014-10-13 이원석 밀착 밴드 토시
JP2015171423A (ja) 2014-03-11 2015-10-01 竹中繊維株式会社 経編包帯及び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318A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3593B2 (ja) 帽子等に用いる冷却部材
US11375800B2 (en) Facial mask
JPH01164304A (ja) 皮膚又は毛髪の処理用のシート材料
EP3001991A1 (en) Health care sock
WO2015061928A1 (zh) 一种具有缓冲脚掌压力的丝袜及其生产工艺
KR101785168B1 (ko) 기능성 압박 보형제 및 사용방법
CN208425562U (zh) 一种护髌骨的护膝
CN107173854A (zh) 一种睡袜
KR200481570Y1 (ko)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KR200446175Y1 (ko) 다리 교정용 밴드
KR101752712B1 (ko) 한지양말 및 그 제조 방법
JP5860184B1 (ja) 繭のローラー体を用いたマッサージローラー及び繭のローラー体を用いたリング状マッサージローラー並びにその作成用キット
WO2016019928A1 (en) Wrapping means
JP3169213U (ja) 弾性靴下
KR102369609B1 (ko) 신고 벗기가 쉬운 기능성 지퍼 스타킹
KR102259077B1 (ko) 통기성 및 시술성이 향상된 의료용 캐스트
CN215459043U (zh) 用于患者脚部的肌张力锻炼机构
CN209610977U (zh) 一种多功能搓澡巾
WO1999044449A1 (de) Textiles fussbekleidungsstück
CN208030294U (zh) 暖底袜
CN217339762U (zh) 一种用于头部中药湿敷的敷药帽
CN209643930U (zh) 一种支撑护膝
KR960009915Y1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가발
KR102074756B1 (ko) 주름 개선을 위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110004A (ja) 靴 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