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956B1 -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956B1
KR101784956B1 KR1020160113111A KR20160113111A KR101784956B1 KR 101784956 B1 KR101784956 B1 KR 101784956B1 KR 1020160113111 A KR1020160113111 A KR 1020160113111A KR 20160113111 A KR20160113111 A KR 20160113111A KR 101784956 B1 KR101784956 B1 KR 10178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
group
wireless
recep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은,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수신 신호 모드 판단부,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무선 신호 상태 판단부 및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무선 수신 신호 그룹 판단부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를 이용하고,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ceived Signal Processing}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전기라 함은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호 간에 음성 정보를 교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무전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서로 무선주파수를 일치시켜 통화하게 되고, 전파 방해 시에는 사전에 정해두거나 또는 그때 그때마다 다른 채널을 지정하여 변경 후 통화를 재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다양한 무기 체계에서 전장시스템을 도입함에 따라, 전술 무전기를 활용한 데이터 전송의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종래의 음성 신호 위주의 운용으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운용하는 수요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종래 이용되는 무전 장치에 있어서는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구분 없이 동일한 커넥터를 통하여 전송하였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연동보드에서 입력 신호의 음성 출력단자 레벨 및 시간을 탐지하여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연동보드에서 음성 출력단자 레벨 및 시간을 탐지하여 신호를 구별하는 경우, 노이즈 또는 서지성 전압에 의하여 음성을 인식하는 기능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고, 접지상태 등의 설치 환경 또는 전투 체계별 노이즈 레벨이 상이한 경우가 있어, 일괄적으로 음성레벨의 기준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00-0015750
본 발명은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고,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약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가 고정된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수신 신호 모드 판단부, 상기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무선 신호 상태 판단부 및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무선 수신 신호 그룹 판단부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모드는 도약 모드이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상기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혹은 신호 처리 모드는 고정 모드이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상기 무선 수신 신호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이고,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신호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 고정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된 모드가 도약 모드인 경우 도약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의 수선 수신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은, 무선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가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약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가 고정된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것은, 도약 모드 또는 상기 고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모드는 고정 모드이고,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 수신 신호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이고,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신호 처리 모드는 도약 모드이고,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 신호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 고정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된 모드가 도약 모드인 경우 도약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의 수선 수신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정보, 동기 종류, 동기 사이클, 동기 주파수, 코릴레이션 정보 및 시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는, 무선 신호 또는 디지털화 된 무선 신호를 입력 받고, 신호의 상태 및 그룹을 판단하여,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는 신호 모드 판단부(100), 신호 상태 판단부(200) 및 신호 그룹 판단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는 신호 송출부(4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무선 수신 신호로서, RF 신호 또는 IF 신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신호 모드 판단부(100)는,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약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가 고정된 고정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신호 모드 판단부(100)는 입력 받은 무선 수신 신호에 대하여 고정 모드인지 도약 모드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신호 상태 판단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약 모드는, 무전기 등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주파수로만 통신하는 방식이 아닌 캐리어 주파수를 수시로 또는 임의적으로 시간에 따라 변경하면서 통신하는 방식이고, 고정 모드는, 무전기 등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고 일정한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모드 판단부(100)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것은, 도약 모드 또는 상기 고정 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신호 상태 판단부(200)는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 상태 판단부(200)는 신호 모드 판단부(100)로부터,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에 대하여 판단한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신호가 정상인지 판단하고, 신호 그룹 판단부(300)에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는 것은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는 특정 Byte신호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 종류 정보, 동기 종류, 동기 사이클, 동기 주파수, 코릴레이션(correlation) 정보 및 시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운영 모드 정보는 PTT(Push To Talk) 정보로서,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도약, 중계 모드에 대한 PT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하드웨어 코릴레이션 정보, 소프트웨어 코릴레이션 정보, PTT 종류 등을 포함하는 제1 프리앰블 또는 TOD(Time of Day)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및 제3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상태 판단부(200)에 있어서,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신호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 고정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된 모드가 도약 모드인 경우 도약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의 수선 수신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신호 그룹 판단부(300)는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 그룹 판단부(300)에서는, 신호 상태 판단부(200)로부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무선 수신 신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여 판별한 결과를 신호 송출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그룹 판단부(300)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드는 도약 모드이고,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룹의 신호는 음성 신호이고, 제2 그룹의 신호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으며, 무선 수신 신호의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판단하는 것은,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되는 PTT(Push To Talk)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그룹 판단부(300)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드는 고정 모드이고,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 수신 신호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이고,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Tone Signal)를 검출하는 것은, 150Hz의 톤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신호 송출부(400)는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신호 송출부(400)에서는 신호 그룹 판단부(300)가 무선 수신 신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여 전송한 신호에 따라,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송출부(400)에서는, 신호 그룹 판단부(300)에서 전달 받은 무선 수신 신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한 결과에 따라, 해당 그룹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내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호 송출부(400)는,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하이(High)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로우(Low)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각각 반대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무선 신호 또는 디지털화 된 무선 신호를 입력 받고, 신호의 상태 및 그룹을 판단하여,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0) 및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무선 수신 신호로서, RF신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가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약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가 고정된 고정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에서는, 입력 받은 무선 수신 신호에 대하여 고정 모드인지 도약 모드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신호 상태 판단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약 모드는, 무전기 등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주파수로만 통신하는 방식이 아닌 캐리어 주파수를 수시로 또는 임의적으로 시간에 따라 변경하면서 통신하는 방식이고, 고정 모드는, 무전기 등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고 일정한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모드 판단부(100)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것은, 도약 모드 또는 상기 고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되는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에 대하여 판단한 결과를 전송 받고, 전송 받은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신호가 정상인지 판단하고, 신호 그룹 판단부(300)에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는 것은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는 특정 Byte신호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 종류 정보, 동기 종류, 동기 사이클, 동기 주파수, 코릴레이션(correlation) 정보 및 시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운영 모드 정보는 PTT(Push To Talk) 정보로서,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도약, 중계 모드에 대한 PT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하드웨어 코릴레이션 정보, 소프트웨어 코릴레이션 정보, PTT 종류 등을 포함하는 제1 프리앰블, TOD(Time of Day)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및 제3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 있어서,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신호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 고정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된 모드가 도약 모드인 경우 도약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의 수선 수신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정보, 동기 종류, 동기 사이클, 동기 주파수, 코릴레이션 정보 및 시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운영 모드 정보는 PTT(Push To Talk) 정보로서,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도약, 중계 모드에 대한 PT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00)로부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무선 수신 신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여 판별한 결과를 신호 송출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드는 도약 모드이고,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룹의 신호는 음성 신호이고, 제2 그룹의 신호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으며, 무선 수신 신호의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판단하는 것은,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되는 PTT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드는 고정 모드이고,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 수신 신호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이고,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Tone Signal)를 검출하는 것은, 150Hz의 톤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가 무선 수신 신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여 전송한 신호에 따라,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 전달 받은 무선 수신 신호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한 결과에 따라, 해당 그룹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내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00)는,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High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Low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 처리 보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고정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10), 고정 모드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10), 고정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그룹에 따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10),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20),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20) 및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그룹에 따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보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가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약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가 고정된 고정 모드인지 판단 할 수 있다.
고정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1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모드가 고정 모드를 가지는 경우에,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정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수신 되고 있는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고정 모드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10)에서는,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고정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그룹에 따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10)에서는, 고정 모드의 무선 수신 신호의 그룹을 판별한 결과,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20)에서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를 가지는 경우에,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약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수신 되고 있는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인지 제2 그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S320)에서는,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약 모드 무선 수신 신호의 그룹에 따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20)에서는 도약 모드의 무선 수신 신호의 그룹을 판별한 결과,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장치(1)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 복조부(20), 데이터 변환부(30), 제1 그룹 신호 출력부(40) 및 제2 그룹 신호 출력부(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의 상세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장치(1)는 FM 무전기로 구현되거나 FM 무전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복조부(20)는, 입력되는 RF 또는 IF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아날로그(Analog)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3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digital)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의 신호 모드 판단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그룹 신호 출력부(40)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의 신호 송출부(400)로부터,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 신호로 판단되어 신호가 전달된 경우, 신호 송출부(400)의 경로 제어에 따라 음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그룹 신호 출력부(50)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10)의 신호 송출부(400)로부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 신호로 판단되어 신호가 전달된 경우, 신호 송출부(400)의 경로 제어에 따라 음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1 그룹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그룹 신호 출력부(40) 또는 제2 그룹 신호 출력부(50)가 출력한 신호는, 변조되어 외부 장치로 전송되거나 음성 신호의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무선 송수신 장치(1)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마련된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무선 송수신 장치
10: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
100: 신호 모드 판단부
200: 신호 상태 판단부
300: 신호 그룹 판단부
400: 신호 송출부
20: 복조부
30: 데이터 변환부
40: 제1 그룹 신호 출력부
50: 제2 그룹 신호 출력부

Claims (13)

  1.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가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약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가 고정된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드는 도약 모드이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드는 고정 모드이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수신 신호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이고,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드가 도약 모드인지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도약 모드 또는 상기 고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 고정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된 모드가 도약 모드인 경우 도약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의 수선 수신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는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운영 모드 정보, 동기 종류, 동기 사이클, 동기 주파수, 코릴레이션 정보 및 시간 정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방법.
  8.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신호 처리 모드가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약 모드인지 아니면 주파수가 고정된 고정 모드인지 판단하는 수신 신호 모드 판단부;
    상기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무선 신호 상태 판단부; 및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무선 수신 신호 그룹 판단부; 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1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제2 그룹의 신호인 경우 제2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드는 도약 모드이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수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운영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드는 고정 모드이고,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그룹의 신호인지, 아니면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음성 신호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수신 신호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파수 값에 따른 톤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이고, 상기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모드에 따른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무선 신호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단된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 고정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된 모드가 도약 모드인 경우 도약 모드의 동기화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수신 신호가 정상 상태의 수선 수신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신호의 신호 처리 장치
  13.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60113111A 2016-09-02 2016-09-02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8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11A KR101784956B1 (ko) 2016-09-02 2016-09-02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11A KR101784956B1 (ko) 2016-09-02 2016-09-02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956B1 true KR101784956B1 (ko) 2017-10-12

Family

ID=6014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11A KR101784956B1 (ko) 2016-09-02 2016-09-02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95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2374B (zh) 在一个或多个网络可共存的环境下确定特定信道是否可用的方法、接收用于检测的信号的方法和与不同类型的网络共存通信的方法
KR101085756B1 (ko) 무허가 대역에서의 스펙트럼 공유
US10348939B2 (en)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television signals embedded in noise using cyclostationary toolbox
US6907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mobile terminals
US20080240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spectrum opportunities
KR960039706A (ko) 송신 다이버시티 시스템
US20090252095A1 (en) Cognitive radio system and method
JPH05509216A (ja) Rds情報を用いてラジオ受信機を同調する方法
KR20140063334A (ko)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JP4367479B2 (ja) デジタル無線局識別方法及びデジタル無線局識別装置
CN111064479B (zh) 一种基于无线音频系统的射频信号传输方法及装置
KR101784956B1 (ko) 무선 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1077799A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受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無線通信システム
JP5704704B2 (ja) コグニティブ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245291B (zh) 声学信息传递
JP2005203898A (ja)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
JP2006033318A (ja) 周波数ホッピング信号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波監視システム
US20070294325A1 (en) Activity history record apparatus and method
JP5040767B2 (ja) デジタル無線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44041B2 (ja) 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92659B1 (ko) 인접 셀 간섭 잡음 제거 방법
JP2015211369A (ja) 受信装置
KR101325454B1 (ko) Tv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JP2004349757A (ja) 復調装置
KR20080084510A (ko)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