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546B1 - 상이한 타입의 보정 코일을 사용하여 mr 시스템을 환자 맞춤형으로 b0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상이한 타입의 보정 코일을 사용하여 mr 시스템을 환자 맞춤형으로 b0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546B1
KR101784546B1 KR1020140107158A KR20140107158A KR101784546B1 KR 101784546 B1 KR101784546 B1 KR 101784546B1 KR 1020140107158 A KR1020140107158 A KR 1020140107158A KR 20140107158 A KR20140107158 A KR 20140107158A KR 101784546 B1 KR101784546 B1 KR 101784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magnetic field
gsc4
lsc1
gsc3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894A (ko
Inventor
슈테판 비버
랄프 라데벡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2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8Systems for generation, homogenisation or stabilisation of the main or gradient magnetic field
    • G01R33/387Compensation of inhomogeneities
    • G01R33/3875Compensation of inhomogeneities using correction coil assemblies, e.g. active shim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22Magnetic induction tom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45MR involving a non-standard magnetic field B0, e.g. of low magnitude as in the earth's magnetic field or in nanoTesla spectroscopy, comprising a polarizing magnetic field for pre-polarisation, B0 with a temporal variation of its magnitude or direction such as field cycling of B0 or rotation of the direction of B0, or spatially inhomogeneous B0 like in fringe-field MR or in stray-field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공명 단층 촬영 방법 및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은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을 구비하며, 상기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은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의 보어(103)를 둘러싸는 영역(BRG, GSC1, GSC2, GSC3, GSC4, 112x, 112y, 112z) 내부에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은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의 로컬 코일(106) 내부에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은,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보정 전류(IGSC, ILSC, m*IGSC, n*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보정 제어 장치(11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이한 타입의 보정 코일을 사용하여 MR 시스템을 환자 맞춤형으로 B0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A METHOD, ESPECIALLY FOR PATIENT-ADAPTIVE B0 HOMOGENIZATION OF MR SYSTEMS USING DIFFERENT TYPES OF SHIM COILS}
본 발명은 자기 공명 단층 촬영 방법 및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기 공명 단층 촬영을 통해 피검체 또는 환자를 검사하기 위한 자기 공명 장치(MRT)는 예를 들어 DE 103 14 215 B4호, DE 10 2011 080 275호, DE 10 2011 087 485호, DE 10 2011 086 658호, DE 10 2011 081 039호, DE 10 2011 077 724호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MRT 영상 촬영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각각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가능한 구성들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을 토대로 한 하기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명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RT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다른 무엇보다도 특히 기술적 배경을 제시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튜브 형태인 공간(103)을 갖는 전신 코일(102)을 구비한 [차폐된 공간 또는 패러데이 케이지(F) 내에 있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MRT)(101)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튜브형 공간 내부에서는 영상 생성 기법에 의해 환자(105)의 사진을 작성하기 위해 예컨대 피검체[예컨대 환자(105)]의 신체가 놓인 환자용 침상(104)이 [로컬 코일 장치(106)와 함께 또는 상기 장치 없이] 화살표(z)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는 환자에게 로컬 코일 장치(10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로컬 코일 장치에 의해 MRT의 로컬 영역[field of view 또는 FOV로도 명명됨] 내부에서 FOV 내에 있는 신체(105) 부분 영역의 사진이 작성될 수 있다. 로컬 코일 장치(106)의 신호는 예컨대 동축 케이블을 통해 또는 무선 통신부(167) 등에 의해 로컬 코일 장치(106)에 연결될 수 있는 MRT(101)의 평가 장치(168, 115, 117, 119, 120, 121 등)에 의해 평가(예컨대 영상로 변환되거나,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자기 공명 장치(MRT, 101)를 이용하여 자기 공명 영상 기법에 의해 신체(105)(피검체 또는 환자)를 검사하기 위해, 시공간적 특성에 있어서 매우 정확하게 상호 매칭된 다양한 자기장이 신체(105)로 방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널 모양의 개구(103)를 갖는 측정 케이지 내에 있는 강한 자석[종종 저온 자석(cryomagnet, 107)]은 예컨대 0.2 테슬라 내지 3 테슬라 또는 그 이상의 정적이고 강한 주 자기장(B0)을 발생시킨다. 검사할 신체(105)는 환자용 침상(104) 위에 지지되어 관찰 영역(FoV; "Field of View") 내에서 주 자기장(B0)의 대략 균일한 영역 내로 이동된다. 신체(105)의 원자 핵의 핵 스핀 여기는, 본 실시예에서 (예컨대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진 = 108a, 108b, 108c) 신체 코일(108)로서 매우 단순하게 도시된 고주파 안테나(및/또는 경우에 따라 로컬 코일 장치)를 통해 방사되는 자기 고주파 여기 펄스[(B1(x, y, z, t)]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주파 여기 펄스는 예컨대 펄스 시퀀스 제어 유닛(110)에 의해 제어되는 펄스 발생 유닛(109)에 의해 발생한다. 고주파 증폭기(111)에 의한 증폭 이후에는, 이와 같은 증폭이 고주파 안테나(108)로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고주파 시스템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명시되어 있다. 종종 하나 이상의 펄스 발생 유닛(109), 하나 이상의 고주파 증폭기(111) 및 복수의 고주파 안테나(108)(a, b, c)가 하나의 자기 공명 장치(101) 내에서 사용된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1)는 경사 코일(112x, 112y, 112z)을 구비하며, 이 경사 코일에 의해서는 측정 시 선택적 절편 여기(slice excitation) 및 측정 신호의 공간 부호화를 위해 경사 자기장[BG(x, y, z, t)]이 방사된다. 상기 경사 코일(112x, 112y, 112z)은 경사 코일 제어 유닛(114)[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증폭기(Vx, Vy, Vz)]을 통해 제어되며, 이 경사 코일 제어 유닛도 펄스 발생 유닛(109)과 마찬가지로 펄스 시퀀스 제어 유닛(110)에 접속되어 있다.
(피검체 내 원자 핵의) 여기된 핵 스핀에 의해 송출된 신호는 신체 코일(108) 및/또는 하나 이상의 로컬 코일 장치(106)에 의해 수신되고, 관련 고주파 전치 증폭기(116)에 의해 증폭되며, 수신 유닛(117)에 의해 후처리되고 디지털화된다. 기록된 측정 데이터는 디지털화되어 복합 수치값으로서 k-공간 매트릭스 내에 저장된다. 값들로 채워진 k-공간 매트릭스로부터 다차원 푸리에 변환에 의해 관련 MR 영상이 복원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수신 모드에서도 작동될 수 있는 코일, 예컨대 신체 코일(108) 또는 로컬 코일(106)을 위해, 상류에 접속된 트랜시버 스위치(118)에 의해 정확한 신호 전송이 조절된다.
영상 처리 유닛(119)은 측정 데이터로부터 영상을 생성하며, 그 영상은 조작 콘솔(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그리고/또는 메모리 유닛(121)에 저장된다. 중앙 처리 장치(122)는 개별 시스템 요소들을 제어한다.
요즘에는 MR 단층 촬영의 경우, 신호 대 잡음비(SNR)가 높은 영상은 일반적으로 소위 로컬 코일 장치(Coils, Local Coils)에 의해 기록된다. 이러한 로컬 코일 장치는 신체(105)의 바로 위(anterior) 혹은 바로 밑(posterior) 혹은 바로 옆에 혹은 내측에 설치되는 안테나 시스템이다. MR 측정 시 로컬 코일의 개별 안테나 내에서 여기된 코어가 전압을 유도하며, 이 전압은 이어서 저잡음 전치 증폭기(예컨대 LNA, Preamp)에 의해 증폭되어 최종적으로 수신 전자 장치로 전달된다. 고해상도 영상의 경우에도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소위 (1.5T 내지 12T 또는 그 이상의) 고자기장 시스템(high-field system)이 사용된다. MR 수신 시스템에 수신기로서 존재하는 더 많은 개별 안테나가 접속될 수 있는 경우에는, 수신 안테나와 수신기 사이에 예컨대 스위칭 매트릭스(RCCS로도 명명됨)가 장착된다. 이 스위칭 매트릭스는 현재 활성 상태인 수신 채널(대개 바로 자석의 FOV 내부에 놓여 있는 채널)을 기존의 수신기로 라우팅한다. 그럼으로써, 수신기로서 존재하는 더 많은 코일 부재가 접속될 수 있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전신을 덮는 경우에는 자석의 FoV(Field of View) 내에 혹은 균일 체적 내에 있는 코일들만 판독 출력되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일 안테나 소자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복수의 안테나 소자(특히 코일 부재)로 구성된 어레이 코일로서 형성될 수 있는 안테나 시스템을 보통 로컬 코일 장치(106)라 칭한다. 이들 개별 안테나 소자는 예컨대 루프 안테나(Loops), 버터플라이(Butterfly), 플렉스코일(Flex Coil) 또는 새들 코일(Saddle Coil)로서 구현된다. 로컬 코일 장치는 예컨대 코일 부재들, 전치 증폭기, 추가 전자 장치(피복 전류 필터 등), 하우징, 지지부, 및 대개 플러그를 구비한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로컬 코일 장치가 MRT 시스템에 접속된다. 시스템 측에 설치된 수신기(168)는 로컬 코일(106)에 의해 예컨대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고 디지털화하며,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측정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로부터 대개 하나의 영상 또는 하나의 스펙트럼을 유도하여, 예컨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에 의한 후속 진단 및/또는 저장을 위해 제공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shimming) 방법 및 보정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아래와 같은 2가지 타입의 보정 코일(shim coil)이 구별될 수 있다:
1. 예컨대 경사 코일(112x, 112y, 112z)의 영역에 장착된 "글로벌 보정 코일"(= Global Shim Coils =) GSC (이하에서는 보어 보정 코일로도 명명됨), 예컨대 대부분 1차 및 2차 항,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예컨대 지멘스 헬쓰케어의 "Second Order Shimming of High Field Magnets" (http://healthcare.siemens.com/siemens_hwem-hwem_ssxa_websites-context-root/ wcm/idc/siemens_hwem-hwem_ssxa_websites-context-root/wcm/idc/groups/public/ @global/@imaging/@mri/documents/download/mdaw/mtqy/~edisp/second_hot_topic_brochure-00017029.pdf)에서와 같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글로벌 보정 코일의 2개의 보정 코일 쌍(GSC1, GSC2 및 GSC3, GSC4)과 같은 더 높은 차수의 항들까지도 보상하기 위한 3개 이상의 보정 코일. [도 1에서 글로벌 보정 코일 내 보정 전류(IGSC)는 동일한 크기이고, 보정 케이블을 통해 (여기서는 예컨대 전류(m)=4 x IGSC) 공급되며, 이 경우 각각의 보정 코일에 개별적으로 전류가 공급될 수도 있으며, 로컬 보정 코일 내 보정 전류(IGSC)는 동일한 크기이고, 보정 케이블을 통해 (여기서는 예컨대 전류(n)=2 x IGSC) 공급되며, 이 경우에도 역시 각각의 보정 코일에 개별적으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및 GSC3, GSC4)이 도 1의 (보어 종방향-)축(z)의 방향으로의 보정을 위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글로벌 보정 코일이 도 1의 (보어 횡방향-)축(x)의 방향으로의 보정을 위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글로벌 보정 코일이 도 1의 (보어 수직 방향-)축(y)의 방향으로의 보정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2. 환자(105) 가까이에 설치된 - 그리고 예컨대 로컬 코일(들)(106, 106a)의 HF-송신 코일 및/또는 HF-수신 코일(RX 및/또는 RX, TX)의 부분일 수도 있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예컨대 도 1의 (흉부-(B)) 로컬 코일(106) 내에 도시된 것과 같은 2개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또는 (척추-(WS)) 로컬 코일(106a) 내에 도시된 것과 같은 2쌍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특히 [예컨대 로컬 코일(106)의 흉부 포트(B1) 내 흉부(B)와 같은 검사할 부위의 영역(ROI)에] 강하게 국한된 B0 자기장 불균질성을 0 내지 10ppm의 범위 내에서 보상하기 위해서는, 환자(105) 가까이에, 예컨대 경우에 따라서는 수신 코일 또는 트랜시버 코일(TX, RX)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이 특히 적합하다.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한 가지 장점으로서, 현재 예컨대 경사 코일 영역에서 장착될 수 있는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더 적은 전류 및 구성 비용(경비)으로써 국부적인 불균질성이 훨씬 더 양호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과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동시에 사용하면, 글로벌 코일이 (MRT 기본 자기장) 자석(107) 및/또는 검사할 환자(105)에 의해 야기되는 대면적 B0 자기장 편차를 보상하고,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이 공간적으로 집중된 불균질성을 보상함으로써, 우수한 영상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과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적의 결과를 야기하거나 알고리즘의 복잡성과 결과의 유리한 절충을 유도하는 모든 보정 코일을 위한 (경우에 따라 상이한) 보정 전류(ILSC, IGSC)를 위해 MRT 시스템(101)이 전류를 어떻게 가장 적절하게 조절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이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과 달리 운송 가능한 유닛이라는 사실 외에, 상기 로컬 보정 코일이 환자용 테이블(PTAB) 상에서 자석에 영구적으로 고정 부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과 구별될 수 있다.
요즘은 적어도 내부적으로 공지된 선행 기술에 따라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만 제품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보정 전류(ILSC, IGSC)를 위한 환자별 그리고 해부학적 구조별 전류 조절을 결정하기 위해, 예컨대 사전에 B0 자기장 맵(대개 3D B0 자기장 맵과 위상 맵)이 기록된다.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발생시키는 자기장은 예컨대 저장된 기술(description)에 의해 MRT 시스템(101)에 공지되며, MRT(101)의 알고리즘은 계산된 보정 자기장과 측정된 B0 자기장 곡선의 중첩으로부터 총합에 있어서 가급적 균일한 B0 자기장 곡선이 생성될 때까지 보정 전류를 변동시킬 수 있다. 하나의 보정 코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기장의 기술은 예컨대 직교 구면 함수(orthogonal sphere function) 및/또는 [예컨대 어느 보정 코일의 얼마나 많은 (비율의) (자기)장이 공간 내 어느 지점에서 보정 코일 내부의 전류의 함수로서 발생하는지를 지시하는] 픽셀 맵의 계수들을 포함한다.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과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중첩을 위해, 내부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현재 임상적인 작업 시퀀스에 전자동으로 통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전용 방법은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한다:
[메모리(Sp101)의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 내에 저장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발생 가능한 자기장의) 자기장에 대한 기술 내용에 추가로, [예컨대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 내에 저장된]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발생 가능한 자기장)에 대한 기술 내용도 있다.
이러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 내의] 기술 내용은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사용 시 (그리고 MRT에 의한 상기 로컬 코일의 검출 시) 호출되는, MRT 시스템(101)의 제어 장치(110, 117) 내 소프트웨어의 부분[예컨대 보정 코일의 특성과 관련된 소위 코일 파일(Coilfile) = 코일 데이터 세트로서의 부분]일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로컬 코일(106) 및/또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디지털 메모리(EEPROM, FLASH 등)(SP-106) 내에 저장되고 그곳으로부터 예컨대 MRT(101)의 제어 장치(107)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보정 특성들의 개별적인 보상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MRT(101)의 제어 장치(107)에 다음과 같은 사실이 공지된다:
1. 보정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예컨대 레이저 측정에 의해 또는 센서 등을 이용한 환자용 침상의 위치 측정에 기초하여) 하나/복수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위치(Pos)[예컨대 축(x,y,z) 방향으로 보정 코일(LSC1, LSC2)의 중심점의 위치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공간 내 2개의 각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코일 타입[= 예컨대 흉부 코일(106) 또는 척추 코일(106a)]이 [예컨대 로컬 코일(106; 106a)이 환자용 테이블(104)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는 이유 때문에] 예컨대 두 방향(x, y)에서 상기와 같은 위치(Pos)를 사전에 미리 결정했다면, 기본 계자석(107)의 (예컨대 FoV의 중앙에 있는) 등각점에 대한 위치(Pos)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상기 파라미터 중에 단 하나[예컨대 보어 세로 축(z) 방향으로의 침상 위치]만으로도 충분하다.
2. [위에서 예로서 예컨대 픽셀 맵 또는 직교 함수(구형 고조파)의 계수 또는 다항식 계수 등과 같은 3D 자기장 맵으로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보정 코일들 중 하나(GSC, LSC1, LSC2)에 의해 각각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GSC, B-Shim-V-LSC).
3. '하나의 보정 코일(GSC, LSC1, LSC2) 내부에서 암페어 보정 전류(ILSC, IGSC) 당 얼마나 많은 B0 보정 자기장(예컨대 테슬라로 표시됨)을 발생시키는지', 그리고/또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및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자기장이 어떻게 공동의 최적화(B0 불균질성의 감소)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보정 펄스(GSC 및/또는 LSC)의 감도와 관련된 글로벌 보정 코일 데이터(GSC-D 및/또는 LSC-D).
가장 먼저 예컨대 정렬 측정 단계에서 기존의 B0 자기장 분포가 (예컨대 자기장 맵 1 = FM1로서) 측정되고, 그 다음에 제어 장치(117) 내 알고리즘이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보정 전류(ILSC, IGSC)를 위해 적합한 보정 전류 조절이 결정된다.
상기 결정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직교화:
1) 하나의 보정 코일 내에서 보정 전류(IGSC, ILSC) 단위 (예컨대 암페어) 당 발생하는 3D 자기장 분포[본 경우에는 보정 벡터(코일)(Shim Vector coil = SVc)로도 명명됨]는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해 (예컨대 MRT 제품 개발 시 한 번의 단계로서) 측정되고 저장된다(SP101).
2)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위치에 따라, 상기 로컬 보정 코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기장 분포는 추후 환자의 현재 영상 측정 시 (예컨대 직교화 이전의 방향(z)에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자기장 분포의 이동으로서) 고려된다.
3) 그 다음에 자기장 분포(SVc)가 직교화(SVo) 됨으로써, 상기 자기장 분포는 가능한 보정 공간의 베이스 벡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교화된 자기장 분포(SVo)는 말하자면 실제 보정 코일의 선형 조합으로서 기술되는 가상의 보정 코일이다.
4) 그 다음에 예컨대 환자(105) 등에 의하여 [하나의 심에 의해 보정되어야 하는 자기장(B0)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자기장 에러가 MR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5) 상기 자기장 에러는 자기장 분포(SVo)에 대한 직교 투영에 의해 재현된다. 그럼으로써, 가상의 보정 코일 내에서는 어떤 보정 전류가 필수적인지가 곧바로 나타나게 된다.
6) 그 다음에, 이전에 [상기 단계(2)에서] 결정된 직교화로부터의 선형 조합이 상응하게 역으로 적용됨으로써, 상기 보정 전류가 실제 보정 전류로 환산된다.
접근 방식 1:
전체 최적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및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자기장은 하나의 선형 조합에서 완전히(3D = 3차원적으로) 합산될 수 있다.
[예컨대 최소 제곱(Least Squares)과 같은] 일 최적화 방법에서는, 어느 보정 전류(IGSC, ILSC) 및 그에 기인하는 자기장이 측정된 B0 자기장과 비교되어 (보정을 통헤) B0 불균질성이 최소화되도록 조절되는지에 대한 설정이 검색된다.
접근 방식 2:
단계적으로(Step by Step):
대면적 불균질성이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에 의해 제거된 다음에 비로소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보정 전류가 계산된다.
변형예 1:
가장 먼저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전류가 계산된다. 상기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설정의 자기장이 측정된 자기장과 중첩된다. 그로부터 새로운 자기장 맵(FM2)이 생성된다.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자기장 맵이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최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변형예 2:
제2 자기장 맵(FM2)이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전류 세팅에 의해 적용되고, 상기 제2 자기장 맵(FM2)은 새로운 측정으로부터 획득된다는 점만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측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3D 체적을 덮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 과정을 가속하기 위해 단 하나의 또는 소수의 절편들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측정을 위한 절편의 선택은 보정할 체적에 매칭되어야 한다(예컨대, 완전한 3D 측정 대신 목덜미에서 하나의 시상 절편(sagital slice)만 선택).
접근 방식 3:
N회의 측정을 이용한 블라인드 탐색(Blind Search)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전류는 오늘날 적어도 내부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제1 자기장 맵(일반적으로는 FM1으로도 명명됨)으로부터 계산된다. 그 다음에 로컬 보정 코일의 전류(ILSC)가 (예컨대 최소 전류로부터 최대 전류까지) 다양하게 설정된 복수의 자기장 맵(N)이 측정된다. 이때 이러한 여러 번의 측정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해상도가 낮은 3D 영역 또는 단일 절편 또는 소수의 절편을 측정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그 다음에 N개의 자기장 맵으로부터 최상의 최적화 결과를 제공해주는 보정 전류(ILSC)가 계산된다.
접근 방식 4:
의도된 최적화: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전류는 현재 적어도 내부적으로 공개된 바와 같이 제1 자기장 맵(FM1)으로부터 계산된다. 그 다음에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전류가 다양하게 설정된 복수의 자기장 맵(N)이 측정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여러 번의 측정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해상도가 낮은 3D 영역 또는 단일 절편 또는 소수의 절편을 측정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전체 다이내믹 영역을 탐색한 다음, 그로부터 (예컨대 선형으로) 보간이 이루어지는 접근 방식 3에서와 달리, 본 경우에 상기 알고리즘은 변동에 의해 B0 불균질성의 최소값을 탐색하고, 이 최소값이 발견된 경우에는 새로운 자기장 맵의 기록을 중단한다.
변형예들:
제1 자기장 맵(FM1)을 측정할 때에 이미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또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또는 이들 두 가지 보정 코일 모두가, 관련 해부학 분야에서 통상적인 불균질성을 개선해주고(경험적으로 검출된 값을 특정 해부학/코일을 위해 고정적으로 설정함) 그와 더불어 상기 제1 자기장 맵(FM1)을 이용해서 최적화의 출발점을 최적점에 접근시키는 보정 전류(IGSC, ILSC)로써 사전에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 방식들이 상황에 따라 더욱 유리하게 수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전류가 해부학 전용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특히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해서 바람직한 접근 방식이 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들이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 "부 조정(Sub-adjust) 체적" 변형예:
알고리즘에서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보정 자기장을 단지 전체 보정 체적의 일부분에서만 최적화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보정 체적이 (로컬 보정 자기장의 크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이 자기장 발생에 거의 기여를 하지 않는 영역이 생성될 수 있고,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이 단지 적은 자기장만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지점이 최적화와 관련된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최적화가 에러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 보정 체적을 서브 체적으로 세분하고, 로컬 보정 자기장을 서브 체적을 통해서만 최적화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다. 서브 체적의 정의는 경우에 따라 (예컨대 코일 파일 내에 있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자체의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낮은 자기장 비율을 갖는 영역들이 점점 희미해짐으로써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다.
- "전류 한계에 도달한" 변형예: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에 대하여 최대 전류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새로운 일반적인 보정 전류 세팅으로써 최대 전류 한계에 도달하지 않는 LSC1, LSC 세팅을 발견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도록 알고리즘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각각의 방법의 마지막에는, 일부분[FoV(작은 3D 체적 또는 하나 혹은 소수의 절편)]에서 측정된 B0 자기장을 계산된 B0 자기장과 비교하는 검증 단계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자기장의 일치성이 양호한 경우에는 측정이 속행되고, 일치성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상호 작용(User Interaction)(경고, 질의)이 수행될 수 있거나 (예컨대 보정 전류를 위한 다른 개시 파라미터에 의해) 측정이 새로 개시될 수 있다.
따라서, MRT(101)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이 내부에 장착된 보정 코일 시스템과 하나의 (또는 복수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이 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내부에 장착된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은 환자(105)의 모든 신체 부위(B, WS)에 적합한 시스템일 수 있다.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은 예컨대 신체 형상[3D 자화율(susceptibility) 분포]에 의해 야기되는 불균질성에 맞추어 최적화된다. 척추 코일(WS) 및/또는 목덜미 코일은 오히려 흉부 검사를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 편이 좋을 것이다. 하나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이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는 있지만, 내부에 장착된 (글로벌) 보정 코일에 의해 이미 균질화되어 있으므로 상이한 검사 대상의 나머지 변동량만 보정하면 된다. 그 결과, 그리고 환자(105) 바로 가까이에 있는 위치로 인해 전력 요구는 확연히 감소할 수 있고, 복합 자기장 프로파일이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Claims (29)

  1.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이며,
    -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으로서,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의 보어(103)를 둘러싸는 영역(BRG, GSC1, GSC2, GSC3, GSC4, 112x, 112y, 112z) 내부에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포함하고,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의 로컬 코일(106) 내부에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포함하는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과,
    -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보정 전류(IGSC, ILSC, m*IGSC, n*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보정 제어 장치(117)를 구비하고,
    기본 자기장 균질성의 최소화를 야기하는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탐색하기 위한 최적화 방법을 이용해서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LSC, B-Shim-GSC)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과의 3차원 선형 조합을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은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의 보어(103)를 둘러싸는 영역(BR-G) 내부에 복수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상기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은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의 로컬 코일(106) 내부에 복수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은 이들 보정 시스템(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의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모리(SP-101, SP-106) 내에 저장된 글로벌 보정 코일 데이터(GSC-D)는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GSC)의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GSC)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의 보정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그리고/또는
    메모리(SP-101, SP-106) 내에 저장된 로컬 보정 코일 데이터(GLSC-D)는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LSC)의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 및/또는 상기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보정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 상기 보정 제어 장치(117)는 저장된 글로벌 보정 코일 데이터(GSC-D) 및 로컬 보정 코일 데이터(LSC-D)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 및 로컬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GSC)의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GSC) 및/또는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LSC)의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가 로컬 코일(106) 외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LSC)의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가 로컬 코일(106)의 메모리(Sp-106)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정 제어 장치(117)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위치(POS)를 나타내는 로컬 보정 코일 위치 데이터(LSC-Pos) 및/또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타입을 나타내는 데이터(LSC-Typ)를 고려해서,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V-GSC)의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GSC) 및/또는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V-LSC)의 공간적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가 각각 하나의 보정 코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적 자기장 분포를 3D 자기장 맵, 픽셀 맵 또는 함수의 계수로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글로벌 보정 코일 데이터(GSC-D) 및/또는 로컬 보정 코일 데이터(LSC-D)는, 각각 하나의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LSC) 내에서 암페어 보정 전류(IGSC, ILSC) 당 얼마나 많은 자기장(B0-Shim)이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LSC)의 감도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정 제어 장치(117)는, 이전의 정렬 측정 단계에서 결정되어 저장된(SP-101), MRT(101)의 기본 계자석(107)만으로 그리고/또는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LSC)에 의한 자기장 발생 없이 발생하는 기본 자기장(B0)의 B0 자기장 분포(FM1)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정 제어 장치(117)는,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해서도 측정되어 저장된(SP-101), 보정 전류(IGSC, ILSC) 단위(암페어) 당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 강도(SVc)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로써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LSC)의 자기장 분포 및 그의(LSC; 106) 위치(POS)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LSC-Pos)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정 제어 장치(117)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로써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의 자기장 분포를 나타내는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기장 분포 데이터(B-Shim-V-LSC)는 하나의 보정 코일(LSC, GSC1, GSC2, GSC3, GSC4)에 대해, 가능한 보정 공간의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베이스 벡터 방향(x, y, z) 중 하나의 방향으로의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를 각각 나타내고, 보정 코일(LSC, GSC1, GSC2, GSC3, GSC4)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LSC, B-Shim-GSC)의 자기장 분포를 함께 선형 조합으로서 나타내는 각각 3개의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검사할 환자(105)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기본 자기장(B0)의 변동을 나타내며,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내부의 그리고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로써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GSC, B-Shim-LSC)에 의해 줄어들 수 있는 자기장 에러와 관련된 저장된 데이터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검사할 환자(105)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기본 자기장(B0)의 변동을 나타내며, 가능한 보정 공간의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베이스 벡터(x, y, z) 중에 하나의 방향으로의 자기장 분포의 변동과 관련된 자기장 분포 데이터를 각각 나타내고, 기본 자기장(B0)의 자기장 분포의 변동을 함께 선형 조합으로서 나타내는 3개의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는 자기장 에러와 관련된 저장된 데이터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되며, 이 경우 자기장 에러와 관련된 데이터 세트 및 보정 코일(LSC, GSC1, GSC2, GSC3, GSC4)로써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의 자기장 분포와 관련된 데이터 세트(B-Shim-V-LSC, B-Shim-V-GSC)를 토대로 하여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5. 삭제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정 제어 장치(117)는, 가장 먼저 공간적인 불균질성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가 결정되고, 그 다음에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GSC)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정 자기장(B-Shim-GSC) 및 환자(105)에 의해 야기되는 기본 자기장 불균질성 및 기본 자기장(B0)을 고려하는 새로운 자기장 맵(FM2)이 결정되며, 그 다음에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LSC)가 결정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장 먼저 공간적인 불균질성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가 결정되며, 그 다음에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GSC)에 의해 발생하고 측정된 보정 자기장(B-Shim-GSC) 및 환자(105)에 의해 야기되는 기본 자기장 불균질성 및 기본 자기장(B0)을 고려하는 새로운 자기장 맵(FM2)이 결정되며, 그 다음에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가 결정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장 먼저 MRT(101)의 기본 계자석(107)에 의해 단독으로 그리고/또는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LSC)에 의한 자기장 생성 없이 발생하는 기본 자기장(B0)의 정렬 측정 단계에서 결정된 B0 자기장 분포(FM1)로부터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가 계산되며, 그 다음에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LSC)의 가능한 영역에 걸쳐 분배된 다양한 설정을 갖는 복수의 자기장 맵이 각각 관찰 영역(FoV) 내에서 또는 관련 영역(B, WS)의 단일 절편 또는 복수의 절편 내에서 측정되며, 그 다음에 이어서 기본 자기장(B0)의 변동을 나타내는 측정된 자기장 에러가 최소이거나 최적화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LSC)의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장 먼저 MRT(101)의 기본 계자석(107)만으로 그리고/또는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LSC)에 의한 자기장 생성 없이 발생하는 기본 자기장(B0)의 정렬 측정 단계에서 결정된 B0 자기장 분포(FM1)로부터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가 계산되며, 그 다음에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LSC)의 다양한 설정을 갖는 복수의 자기장 맵이 각각 관찰 영역(FoV) 내에서 또는 관련 영역(POI)의 단일 절편 또는 복수의 절편 내에서 최소값이 나타날 때까지 측정되며, 그 다음에 이어서 기본 자기장(B0)의 변동을 나타내는 측정된 자기장 에러가 최소이거나 최적화로부터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LSC)의 영역이 선택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장 먼저 MRT(101)의 기본 계자석(107)만으로 그리고/또는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LSC)에 의한 자기장 생성 없이 발생하는 기본 자기장(B0)의 정렬 측정 단계에서 결정된 B0 자기장 분포(FM-1)로부터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가 계산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또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은 B0 자기장 분포(FM-1)를 측정할 때 이미 보정 전류(IGSC, ILSC)로써 사전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의 보정 자기장(B-Shim-LSC)이 단지 전체 보정 체적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만 최적화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내부의 목표 보정 전류(ILSC)의 가능한 영역에 걸쳐 분배된 다양한 설정을 갖는 복수의 자기장 맵(N)이 각각 관찰 영역(FoV) 내에서 또는 관련 영역(B, WS)의 단일 절편 또는 복수의 절편 내에서 측정되며, 그 다음에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에 대한 최대 전류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새로운 글로벌 보정 전류 세팅을 이용해서 최대로 허용되는 전류 한계에 도달하지 않는 LSC 세팅을 발견하기 위한 시도를 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방법의 마지막에는 관찰 영역(FoV)의 한 부분에서 측정된 B0 자기장이 계산된 B0 자기장과 비교되며, 이들 자기장의 일치성이 양호한 경우에는 측정이 속행되고, 일치성이 좋지 못한 경우에는 질의가 수행되거나 보정 전류를 위한 다른 개시 파라미터에 의해 측정이 새로 개시됨으로써,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보정 제어 장치(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의 로컬 코일(106) 영역에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로컬 보정 코일(들)(LSC1, LSC2)이 로컬 코일(106)의 고주파 송신 안테나의 영역에 그리고/또는 상기 고주파 송신 안테나의 부분으로서 그리고/또는 환자용 침상(104)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컬 코일에 의해 검사될 수 있는 신체 영역(B, K, WS)과 관련하여 어떤 타입의 로컬 코일(106, 106a)이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101) 및/또는 환자용 침상(104)에서 연결 및/또는 검출되었는지를 고려해서,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또는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을 위한 목표 보정 전류(IGSC, ILSC)를 결정하도록 형성된 보정 제어 장치(1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또는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은 경사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사 코일(112z)이거나, 고주파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HF 송신 코일 및/또는 HF 수신 코일(RX, TX; 108 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 및 하나 이상의 로컬 보정 코일(LSC1, LSC2) 외에, MRT(101) 및/또는 로컬 코일(106) 내에 경사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경사 코일(112z)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각각의 글로벌 보정 코일(GSC1, GSC2, GSC3, GSC4)은 MRT(101) 보어(103)의 외부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보정 코일이며, 그리고/또는 상기 MRT(101) 보어(103)의 하우징 케이스(UM) 외부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보정 코일이며, 그리고/또는 MRT 하우징 보정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단층 촬영 시스템.
  29. 삭제
KR1020140107158A 2013-08-21 2014-08-18 상이한 타입의 보정 코일을 사용하여 mr 시스템을 환자 맞춤형으로 b0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KR101784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6529.3 2013-08-21
DE102013216529.3A DE102013216529B4 (de) 2013-08-21 2013-08-21 Verfahren insbesondere zur patientenadaptiven B0-Homogenisierung von MR-Systemen unter Verwendung unterschiedlicher Typen von Shim-Spu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894A KR20150021894A (ko) 2015-03-03
KR101784546B1 true KR101784546B1 (ko) 2017-10-11

Family

ID=5244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158A KR101784546B1 (ko) 2013-08-21 2014-08-18 상이한 타입의 보정 코일을 사용하여 mr 시스템을 환자 맞춤형으로 b0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51423B2 (ko)
JP (1) JP2015039635A (ko)
KR (1) KR101784546B1 (ko)
CN (1) CN104422915B (ko)
DE (1) DE10201321652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6007A1 (de) * 2012-09-10 2014-03-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R Patiententisch mit integrierten RF Einrichtungen (RF PA)
DE102014219682B4 (de) 2014-09-29 2019-06-06 Siemens Healthcare Gmbh Shimspulenvorrichtung sowie ein Magnetresonanzspulensystem mit einer Shimspulenvorrichtung
DE102015222114A1 (de) * 2015-11-10 2017-05-11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Shimeinheit, Steuereinheit und Magnetresonanzgerät
DE102016206069A1 (de) 2016-04-12 2017-10-12 Siemens Healthcare Gmbh Bestimmung einer Shimeinstellung
US11300643B2 (en) 2016-07-11 2022-04-12 Synaptive Medical Inc. Adaptive shim coils for MR imaging
DE102017202878A1 (de) 2017-02-22 2018-08-23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himeinrichtung für ein Grundfeld in einer Magnetresonanzeinrichtung, Magnetresonanzeinrichtung, Computerprogramm und elektronisch lesbarer Datenträger
WO2019126934A1 (zh) 2017-12-25 2019-07-04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用于磁共振成像的局部匀场系统及匀场方法
EP3511727A1 (en) * 2018-01-11 2019-07-17 Koninklijke Philips N.V. Active b1+ shimming of transmission coils
CN109709503B (zh) * 2019-02-13 2021-03-23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磁共振系统控制方法、磁共振系统、计算机设备
MX2021009756A (es) 2019-02-15 2021-11-17 Promaxo Inc Sistemas y métodos para la dispersión de relajación en campo ultrabajo.
EP3736591A1 (de) * 2019-05-09 2020-11-11 Siemens Healthcare GmbH Grundfeldmagnetanordnung für ein magnetresonanztomographie-system
EP3748374B8 (en) 2019-06-06 2023-02-15 Rohde & Schwarz GmbH & Co. KG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radio frequency test chambers
CN112798994A (zh) * 2019-11-14 2021-05-14 西门子(深圳)磁共振有限公司 局部匀场装置及补偿主磁场的不均匀性的方法
CN113075598B (zh) * 2020-01-03 2022-05-27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磁共振系统的磁场分布检测方法、磁共振系统及成像方法
US20210239777A1 (en) * 2020-02-03 2021-08-05 Quality Electrodynamics, Llc Single shim coil design for b0 shimming
EP4100755B1 (en) * 2020-02-07 2024-03-27 MR Shim GmbH Method to shim a magnetic field and magnetic resonance arrangement
CN113219389B (zh) * 2021-05-07 2023-04-14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磁共振射频模式确定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625212A (zh) * 2021-08-18 2021-11-09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磁共振系统b0场图的校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3536A1 (en) 2003-03-21 2004-09-23 Jinhua Huang Method of magnetic field controlled shimming
WO2007113992A1 (ja) * 2006-03-31 2007-10-11 Hitachi Medical Corporation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方法
JP2011229632A (ja) * 2010-04-27 2011-11-17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シミング方法
US20120139538A1 (en) 2010-06-02 2012-06-07 Sebastian Schmidt Mrt receiver coil with local data storag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6410A (ja) * 1987-06-18 1988-12-23 Yokogawa Medical Syst Ltd 静磁場マグネット
JPH039728A (ja) * 1989-06-08 1991-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Nmr分光装置の静磁場調整方法
DE3937150A1 (de) * 1989-11-08 1991-05-23 Bruker Analytische Messtechnik Kernresonanzspektrometer
JPH0779942A (ja) 1993-09-13 1995-03-28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5602480A (en) * 1994-04-19 1997-02-11 Hitachi Medical Corporation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US5587658A (en) * 1995-08-25 1996-12-24 Bruker Instruments, Inc. Shimming method for NMR magnet using unshielded gradient systems
JPH10262947A (ja) * 1997-03-25 1998-10-06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検査装置
DE19741748A1 (de) 1997-09-22 1998-12-03 Siemens Ag Kernspinresonanzgerät
DE10156036A1 (de) 2001-11-15 2003-06-05 Evote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tenverarbeitung
DE10314215B4 (de) 2003-03-28 2006-11-16 Siemens Ag Magnetresonanzantenne und Verfahren zur Verstimmung deren Eigenresonanzfrequenz
US20050154291A1 (en) * 2003-09-19 2005-07-14 Lei Zhao Method of using a small MRI scanner
US7215123B2 (en) * 2004-05-05 2007-05-08 New York University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software arrangement for homogenizing a magnetic field in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EP1991887B1 (en) * 2006-02-17 2018-10-1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High field magnetic resonance
US7592812B2 (en) * 2006-04-13 2009-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static magnetic field correction method
DE102006048423A1 (de) * 2006-10-12 2008-04-17 Siemens Ag Verfahren zur Ermittlung und Bewertung eines Shimparametersatzes zum Ansteuern einer Shimeinrichtung in einer Magnetresonanzeinrichtung
DE102006048425A1 (de) * 2006-10-12 2008-04-17 Siemens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Shimeinrichtung eines Magnetresonanzgeräts
US7414401B1 (en) * 2007-03-26 2008-08-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hielded dynamic shimming in an MRI scanner
JP5558737B2 (ja) * 2008-06-26 2014-07-23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DE102009052197B4 (de) 2009-11-06 2013-06-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R-Signal-Übertragung in einer Lokalspulenanordnung
JP5481216B2 (ja) * 2010-01-28 2014-04-23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5502682B2 (ja) * 2010-09-28 2014-05-28 株式会社東芝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DE102011077724A1 (de) 2011-06-17 2012-12-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Lokale Shim- Spule innerhalb einer Lokalspule, als lokale BO -Homogenisierung in einem MRT
US8866478B2 (en) * 2011-07-13 2014-10-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processor and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for designing RF pulses to mitigate off-resonance effects
DE102011080275B4 (de) 2011-08-02 2018-10-25 Siemens Healthcare Gmbh Lokalspule, insbesondere Halsspule, mit mehreren separat schaltbaren Lokalspulen- Shimspulen
DE102011081039A1 (de) 2011-08-16 2013-0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Lokalspulenanordnung mit integriertem Shimleiter
DE102011086658B3 (de) 2011-11-18 2013-03-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n Gradienten unabhängige Shimspule für eine Lokalspule einer Magnetresonanzeinrichtung, Lokalspule, Magnetresonanz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r Platzierung einer Shimspuleneinrichtung
DE102011087485B3 (de) 2011-11-30 2013-05-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tomographie-Anlage, Verfahren zum Ausgleichen einer Feldinhomogenität in der Anlage und Shimspulenanordnung
DE102011089448B4 (de) 2011-12-21 2023-03-16 Siemens Healthcare Gmbh Brustspul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Magnetresonanzaufnahmen der Brust
US9678184B2 (en) * 2012-01-11 2017-06-13 Hitachi, Ltd. Method for increment of RF-phase based on static magnetic field inhomogeneity in MRI apparatus
US20150077107A1 (en) * 2012-04-19 2015-03-19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Method for B0 Field Correction in Magnetic Resonance
US9513359B2 (en) * 2012-09-04 2016-12-0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him current calculation
DE102014207314B4 (de) * 2014-04-16 2017-08-10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System und Magnetresonanzanlage zum Ausgleichen von Inhomogenitäten des Magnetfelds
DE102014210778B4 (de) * 2014-06-05 2016-01-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rzeugung einer Parameterkarte in der Magnetresonanztechnik
DE102014211354A1 (de) * 2014-06-13 2015-1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Magnetresonanz-Bildgebung
DE102014213443A1 (de) * 2014-07-10 2016-01-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erbesserung von Shimvoreinstellungen eines Magnetresonanzgeräts
CN105676155B (zh) * 2014-11-19 2019-02-22 西门子(深圳)磁共振有限公司 磁共振成像系统的磁场不均匀性值获取方法和装置和失真校正方法和装置
DE102015204953B3 (de) * 2015-03-19 2016-08-11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r Magnetresonanz-Bildgebung
DE102015204955B4 (de) * 2015-03-19 2019-05-16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r Magnetresonanz-Bildgeb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3536A1 (en) 2003-03-21 2004-09-23 Jinhua Huang Method of magnetic field controlled shimming
WO2007113992A1 (ja) * 2006-03-31 2007-10-11 Hitachi Medical Corporation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方法
JP2011229632A (ja) * 2010-04-27 2011-11-17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シミング方法
US20120139538A1 (en) 2010-06-02 2012-06-07 Sebastian Schmidt Mrt receiver coil with local data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2915B (zh) 2019-10-15
US20150054510A1 (en) 2015-02-26
CN104422915A (zh) 2015-03-18
JP2015039635A (ja) 2015-03-02
KR20150021894A (ko) 2015-03-03
US9851423B2 (en) 2017-12-26
DE102013216529B4 (de) 2019-05-23
DE102013216529A1 (de)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546B1 (ko) 상이한 타입의 보정 코일을 사용하여 mr 시스템을 환자 맞춤형으로 b0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EP2646843B1 (en) Mr imaging using a multi-point dixon technique
US8111070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US8125225B2 (en) Transmit profile control in MRI
US9689941B2 (en) Passive B1 field shimming
US6650118B2 (en) RF coil system for an MR apparatus
RU2614648C2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градиентных катушек для коррекции неоднородностей поля b0 высших порядков при формировании изображения методом магнитного резонанса
US9606205B1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RF shimming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US89817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a patient using local shim coils
US9157977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with optimal excitation angle
RU2686879C2 (ru) Мр томография с нулевой эхо-задержкой
KR20150011325A (ko) 복수의 tx 코일들의 사용
US10048331B2 (en) Displaceable local coil
JP6433653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コイル選択支援方法
US9678181B2 (en) Automatic positioning and adaptation in an adjustment for a shim field map
RU2716870C2 (ru) Система магнитно-резонанс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имеющая зонды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ля
US20150234019A1 (en) Local SAR Behavior of MRI Transmission Coils by Use of Orthogonal Loop Antennas
Lopez‐Rios et al. An 8‐channel Tx dipole and 20‐channel Rx loop coil array for MRI of the cervical spinal cord at 7 Tesla
KR20150010639A (ko) 기계적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브레스트 코일
US11698432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and main magnetic field correction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EP4266071A1 (en) Mr electric properties tomography
US10761164B2 (en) Generating a spatially resolved magnetic resonance data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