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94B1 -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94B1
KR101784194B1 KR1020150175003A KR20150175003A KR101784194B1 KR 101784194 B1 KR101784194 B1 KR 101784194B1 KR 1020150175003 A KR1020150175003 A KR 1020150175003A KR 20150175003 A KR20150175003 A KR 20150175003A KR 101784194 B1 KR101784194 B1 KR 10178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aser
kimchi
storage
doubl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143A (ko
Inventor
유승란
김재환
한응수
양지희
이혜진
정수연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사)광주명품김치산업화사업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사)광주명품김치산업화사업단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23K26/382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H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보관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 용기 주변부와 커버를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보다 장시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가스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보관 용기의 부풀음과 파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이다.

Description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KIMCHI CONTAINER OF DOUBLE WINDING TYPE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김치 보관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 용기를 캔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보관 용기의 주변부와 커버를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보다 장시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가스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보관 용기의 부풀음과 파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의 경우 발효 과정 동안 이산화 탄소 등의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 발생으로 인하여 보관 또는 유통 과정 동안 상기 김치를 보관하는 보관 용기에 파손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캔을 이용하여 김치를 포장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1-0001972호에 의하면, 채소류를 염지 및 세척한 후, 양념에 버무려 숙성시키는 김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김치와 국물을 혼합하여 캔에 충진하고 밀봉한 후, 60 ~ 80℃에서 10 ~ 30 분간 살균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특허 출원 제1991-149276호에 의하면 캔에 김치를 충전하기 전에, 김치의 주재료를 선도 지지제를 녹인 선도 지지제액에 침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캔에 충진되는 김치에 대한 기술은 기재되어 있으나, 캔 자체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김치가 보관되는 캔을 제조하기 위해 보관 용기 주변부와 커버를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보다 장시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가스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보관 용기의 부풀음과 파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김치보관용 캔은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부(120)상에 배치되는 커버(11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110-1)와 상기 보관부(120)의 상단부(120-1)는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상호 권취되어 고정되고, 상기 보관부(120)의 내부 압력 상승 시 보관부(120)의 체적이 증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부(120) 측벽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1개 이상의 접힘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10)는 중앙에 개방부(111a)가 형성된 커버 본체(111)와, 상기 개방부(111a)에 설치되는 pH변색성 필름(1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관용 캔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커버(110) 일 측에 다수 개의 미세 천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개방부(111)에 상기 pH 변색성 필름(112)을 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와 상기 보관부(120)의 상단부를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상호 고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보관 용기 제조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미세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되, 레이저 발진기(210)에서 발진된 레이저를 시 분할하는 음향광변조소자(220)를 경유한 후 상기 시 분할된 레이저를 가공 필름(110)에 조사하여 상기 커버(110)를 미세 천공하되, 상기 음향광변조소자(220)는 상기 레이저 발진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다수 개로 시 분할하는 한편, 상기 커버(110) 일 측에 배치되는 이송부를 통해 상기 커버(110)를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커버(110)에 다수 개의 미세 천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용기를 캔으로 형성하여 상기 포장 용기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한편 가스 배출이 용이하게 되어 보관 용기의 부풀음과 파손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김치소비 및 유통을 촉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로서 커버와 보관부의 이중 권취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로서 커버와 변색성 필름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미세 천공을 위한 레이저 천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로서 커버와 보관부의 이중 권취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로서 커버와 변색성 필름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미세 천공을 위한 레이저 천공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김치 보관 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부(120)상에 배치되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110-1)와 상기 보관부(120)의 상단부(120-1)는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상호 권취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캔 형상의 보관 용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110-1)의 끝단을 하향 절곡하여 보관부(120)의 상단부(120-1)의 저면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곡된 부분의 내측 즉,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부분의 내측은 실링재(S)로 충진된다.
이후,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110-1)와 보관부(120)의 상단부(120-1)를 동시에 압착하는 이중 권취를 수행하여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110-1)가 보관부(120)의 상단부(120-1)의 내측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상호 고정 및 밀봉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커버(110)와 보관부(12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부(120)의 외측면에 접힘부(121)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힘부(121)에 의해 본 발명의 보관부(120) 내부에 압력 상승 시 상기 접힘부(121)가 펴지면서 보관부(120) 내부 체적이 증가되고 이에 의해 압력 상승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보관 용기에 담겨져 있는 김치의 숙성 정도를 알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다. 즉, 적절히 성숙된 김치를 선별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는 중앙에 개방부(111a)가 형성된 커버 본체(111)와, 상기 개방부(111a)에 설치되는 pH변색성 필름(11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pH변색성 필름(112)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PH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기능을 가진 물질로서 단순 합성물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원리는 수소결합이나 이온결합 등을 하고 있는 본래의 물질구조가 산성이나 염기성 물질과 만나면서 구조적으로 결합력에 변화가 생기면서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영역대가 달라짐으로서 색상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다만 이러한 pH변색성 필름이 친수성 성질을 가지는 경우 김치와 접하는 경우 용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물이나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고형의 화합물로 제조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프탈레인계, 술폰프탈레인계, 아조계, 니트로계 등이 있으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메틸레드, 메틸오렌지, 브롬크레졸그린, 메타크레졸퍼플 등을 필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 수지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인 아크리릭에시드, 메타아크리릭에시드, 말레익에시드, 이타코닉에시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인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아크릴아미드, 메틸올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그리고 그리시딜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이 가능하다. 또한 고분자화 하기 위하여 에멀젼화 하기 위한 요소들로서는 이중결합을 갖는 모든 아크릴 모노머들이 사용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해 숙성 정도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10) 상에 성숙 정도에 따른 색채 지시표를 게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관 용기 내부에 김치의 숙성에 따라 이산화 탄소가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 압력 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110)에 미세 천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우선 상기 커버(110) 일 측에 다수 개의 미세 천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개방부(111)에 상기 pH 변색성 필름(112)을 배치하는 제1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미세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레이저 가공 장치(200)를 이용한다. 상기 레이저 가공 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발진하는 레이저 발진기(210)와 상기 레이저 발진기(210) 일 측에 음향광변조소자(220)를 배치한다. 이 때, 상기 음향광변조소자(Acoustic optical modulator)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레이저를 시 분할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레이저 발진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다수 개로 시 분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향광변조소자(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발진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2개(221,222)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 분할된 레이저가 2열로 생성되어 2열의 미세 천공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보다 많은 음향광변조소자(220)를 배치하면 보다 많은 열의 미세 천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커버(110)에 미세 천공(H)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되, 레이저 발진기(210)에서 발진된 레이저를 시 분할하는 음향광변조소자(220)를 경유한 후 상기 시 분할된 레이저를 가공 필름(110)에 조사하여 상기 커버(110)를 미세 천공한다.
이때, 상기 음향광변조소자(220)는 상기 레이저 발진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다수 개로 시 분할하는 한편, 상기 커버(110) 일 측에 배치되는 이송부를 통해 상기 커버(110)를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커버(110)에 다수 개의 미세 천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선형 가스 배출부(112)를 얻기 위해서는 커버(110)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 일 측에 배치되는 이송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예를 들어 상기 커버(1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전후진 이동하는 실린더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시 분할된 레이저는 각 미러(M)를 통해 커버(110)측으로 향할 수 있고, 댐퍼(D)를 통과하여 안정적인 레이저 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10)에 조사되는 레이저를 집광 렌즈(230)를 경유하게 하여 가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진기(210)와 음향광변조소자(220)는 제어부(CON)에 의해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1단계 수행 후,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와 상기 보관부(120)의 상단부를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상호 고정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보관 용기를 제조하게 된다.
110 : 커버 120 : 보관부
110-1 : 주변부 120-1 : 상단부
111 : 커버 본체 112 : pH변색성 필름

Claims (6)

  1. 김치가 보관되는 보관부(120)상에 배치되는 커버(11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110-1)와 상기 보관부(120)의 상단부(120-1)는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상호 권취되어 고정되고,
    상기 보관부(120)의 내부 압력 상승 시 보관부(120)의 체적이 증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부(120) 측벽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1개 이상의 접힘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10)는 중앙에 개방부(111a)가 형성된 커버 본체(111)와, 상기 개방부(111a)에 설치되는 pH변색성 필름(112)이 구비된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용 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기재된 김치 보관용 캔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커버(110) 일 측에 다수 개의 미세 천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개방부(111a)에 상기 pH 변색성 필름(112)을 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커버(110)의 주변부와 상기 보관부(120)의 상단부를 이중 권취 방식에 의해 상호 고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고,
    레이저 발진기(210)에서 발진된 레이저를 시 분할하는 음향광변조소자(220)를 경유한 후 상기 시 분할된 레이저를 가공 필름(110)에 조사하여 상기 커버(110)를 미세 천공하되,
    상기 음향광변조소자(220)는 상기 레이저 발진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를 다수 개로 시 분할하는 한편,
    상기 커버(110) 일 측에 배치되는 이송부를 통해 상기 커버(110)를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커버(110)에 다수 개의 미세 천공을 형성하는 보관용 캔 제조 방법.
  6. 삭제
KR1020150175003A 2015-12-09 2015-12-09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KR10178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03A KR101784194B1 (ko) 2015-12-09 2015-12-09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03A KR101784194B1 (ko) 2015-12-09 2015-12-09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43A KR20170068143A (ko) 2017-06-19
KR101784194B1 true KR101784194B1 (ko) 2017-11-06

Family

ID=5927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003A KR101784194B1 (ko) 2015-12-09 2015-12-09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36B1 (ko) * 2001-02-14 2004-05-20 박상규 pH변화를 이용한 식품 품질 식별표시계
JP2010095293A (ja) * 2008-10-17 2010-04-30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36B1 (ko) * 2001-02-14 2004-05-20 박상규 pH변화를 이용한 식품 품질 식별표시계
JP2010095293A (ja) * 2008-10-17 2010-04-30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43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933B1 (ko)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JP5412275B2 (ja) 医療用容器
PT1279002E (pt) Medicao da espessura de parede media de um recipiente de plastico
CN107709820B (zh) 膜片阻尼器
WO2004000100A3 (en) Sterile filling machine having needle filling station within e-beam chamber
KR101784194B1 (ko) 이중 권취 방식의 김치 보관 용기 및 제조 방법
JPWO2021009890A1 (ja) 医療用機器コンテナー
JP2006317153A (ja) 蛍光x線分析用試料保持具ならびにそれを用いる蛍光x線分析方法および装置
JP5932323B2 (ja)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9057700B2 (en) Separation/detection column and kit thereof
DE69807557T2 (de) Verfahren zur Sterilisation von intraocularen Linsen durch Bestrahlung mit einem Elektronenstrahl
JP6368496B2 (ja) レーザ透過溶着装置、レーザ透過溶着方法および、それらにより製造されたシート閉鎖容器
KR830005921A (ko) 금속제 용기,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5161620A (ja) レーザー溶着方法
KR20170068146A (ko) 분리 방식의 김치 재료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즉석 김치 제조 방법
KR101819597B1 (ko) 신선 또는 발효 식품 포장지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EP40416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joining a sheet element to a container
JP2013140682A (ja)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7281397B2 (ja) ガス封入モジュール及びガス分析計
JPS6326933Y2 (ko)
SU548996A1 (ru)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 вирусов
US11830707B2 (en) Methods of treating a surface of a polymer material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CN110342069A (zh) 一种内圆边底盖
CN207557590U (zh) 激光光束整形器和新型激光光源
JP2021102164A (ja) 医療用機器コンテ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