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90B1 -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90B1
KR101784190B1 KR1020160027922A KR20160027922A KR101784190B1 KR 101784190 B1 KR101784190 B1 KR 101784190B1 KR 1020160027922 A KR1020160027922 A KR 1020160027922A KR 20160027922 A KR20160027922 A KR 20160027922A KR 101784190 B1 KR101784190 B1 KR 10178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hip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896A (ko
Inventor
이재인
Original Assignee
(주)마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린소프트 filed Critical (주)마린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02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90B1/ko
Priority to US15/084,770 priority patent/US20170262785A1/en
Publication of KR2017010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선박용 업무를 자동화하되, 위치 통신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는, 선박의 업무 구역에 설치되는 포지셔닝 수단;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 통신하는 포지셔닝 통신부와, 제1 데이터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 매칭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하여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제2 데이터에 상기 업무 정보가 입력된 제3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A smart ship work processing apparatus using pos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선박용 업무를 자동화하되, 포지셔닝 수단을 억세스하여 스마트 기기로 업무를 자동화시키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사고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하여 UN 산하의 국제해사기구인 IMO에서 안전관리시스템인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을 제정하여 각 해운기업에서 수립 및 시행토록 강제화하고 있다.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은, 해상안전 및 해양환경보전을 위해 선박 자체의 구조 및 설비의 물리적 안정성과, 선원의 자격검증 및 자질 등의 요건강화에 관한 사항을 총망라한다.
이에 선박은 안전관리시스템 규정에 의해 선박의 안전관리상태를 수집, 기록, 유지 운영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ISM 운영시 종이 문서에 의해 업무가 이루어지므로 접근성 및 활용성이 떨어지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ISM 제정의 근본 목적인 안전운항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많은 업무시간을 문서 작업에 할애하고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기록된 수기 자료를 PC 내의 문서파일 보고서에 재입력하는 등 비효율적인 이중 작업이 이루어지고, 자료의 오기, 누락과 같은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이에 선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사고예방 및 비용절감을 위하여, ISM 운영시 ICT 기술을 접목한 e-ISM 시스템(선박용 위치기반 자동업무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0482호에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선주나 화주로부터 선박정보와 화물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여 선주나 화주의 요구에 따라 선박/화물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이 기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96188호에는, 선박에서 발송한 전자메일을 육상의 전산시스템과 연동시키는 시스템이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선행 기술은 선박과 육상간 정보 제공 및 정보 공유 기술에 국한될 뿐, 선박내 ISM 활동과는 동떨어진 문제점이 있다.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30482호 2. 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96188호
본 발명은 선박내 근무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 업무문서나 체크 리스트가 자동으로 제공되며, 시스템 점검과 업무처리를 자동화할 수 있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는, 선박의 업무 구역에 설치되는 포지셔닝 수단;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 통신하는 포지셔닝 통신부와, 제1 데이터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 매칭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하여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제2 데이터에 상기 업무 정보가 입력된 제3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원이 특정 장소로 이동하였을 경우 그 곳에서 처리해야 하는 업무 내용 또는 체크 리스트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다.
선원이 점검 사항 등을 입력한 후 업무용 메인 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면, 누가 언제 해당 사항 등을 수행 또는 점검하였는지 여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작업 방식 대신 자동으로 문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PC 등을 이용하여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처리 시간이 단축되며, 오기 입력, 누락 발생 등을 사전에 줄일 수 있다.
선원들의 휴먼 에러(human error)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도 있다.
선원들이 미처 확인하지 못한 사항에 대하여도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선박내 소정 구역을 통과할 때 필요한 체크 항목들이 휴대 단말기에 자동으로 표시되므로, 업무 누락 가능성도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위치기반 자동 업무 시스템은 기존 수작업 대비 업무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선박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추출부 내의 활성화 위치지정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가 전달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고 문서의 양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선박(10)의 업무 구역에 따라 변화된 업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제공하고, 근무자가 입력한 업무 정보를 자동으로 취합 및 정리해서 완성된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는 ISM Code(국제안전관리규약)에 따른 업무 처리와 선박(10)의 안전 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처리하고, 스마트기기에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선박(10)의 서버(300)에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는 선박(10)의 업무 구역에 설치되는 포지셔닝 수단과 해당 업무 구역에 관련되는 업무 데이터들이 입출력되는 휴대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업무 데이터들은 최종적으로 선박(10)의 서버(300)로 전송되어 취합되고, 업무 내용은 육상의 선사로 보고될 수 있다.
업무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고, 이하, 이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데이터는 항해정보, 기관정보, E-ISM 문서, 체크리스트, 선박 장비 매뉴얼, 선박 업무 교육 자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는 선교, 사무실, 펌프실 등을 포함하는 선실과 같은 선박 업무 구역에서 열람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항해정보는 위도, 경도, 레이더 정보 및 항로 정보 등 운항에 대한 정보이다.
기관정보는 선박(10)의 각 기관에 대한 정보에 대한 것이다.
E-ISM 문서는 ISM Code(국제안전관리규약)에 따른 업무 처리와 선박(10)의 안전 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 문서화한 것이다.
체크리스트는 사용자가 선박(10) 내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그에 대한 기록이 필요한 항목에 대한 리스트이다.
선박 장비 매뉴얼은 선박(10) 내에 구비된 각종 장비에 대한 매뉴얼이다.
선박 업무 교육 자료는 선원들이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되는 정보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 자료이다.
제1 데이터는 포지셔닝 수단과의 통신 여부에 상관없이 외부에서 일괄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어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중에서 특정 장소에 맞도록 선택된 데이터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중 포지셔닝 수단의 위치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는 근무자가 선교, 사무실, 펌프실 등을 포함하는 선실에 진입하게 될 시에, 해당 선실에서 처리해야 할 항목들에 대한 업무 문서 또는 체크리스트(check list)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포지셔닝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고유한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통신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데이터로부터 해당하는 일부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가 제2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즉, 제2 데이터는 현재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선박 업무 구역에 관련된 업무 리스트일 수 있다. 따라서 근무자는 제2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서 인지하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수행 요구되는 업무 리스트인 제2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제2 데이터를 근무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하므로, 근무자의 업무를 전부 자동화시킨다.
한편, 제3 데이터는 필요한 업무 내용의 입력이 완료된 데이터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3 데이터는, 사용자가 제2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고,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된 업무 정보를 제2 데이터의 입력 필드별로 믹싱한 데이터이다.
제3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송부(160)를 통하여 선박(10)의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초기에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된 데이터로 정의되고,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중에서 포지셔닝 수단과 매칭되는 것으로 선택된 데이터로 정의되며, 제3 데이터는 제2 데이터에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 정보가 입력되거나 업무 정보가 결합된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비콘(beacon), NFC, 또는 RFID 방식을 채택하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선박(10) 내의 각종의 선교, 사무실, 펌프실, 기관실, 작업실을 포함하는 선실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실은 선박 업무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설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각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신호는 고유의 IP로 구별될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선박(10)의 선실에서 소정의 통신 신호를 자동 또는 항상 전송함으로써 근무자의 위치 식별을 도와 준다. 포지셔닝 수단은 해당 선실로 진입한 근무자의 휴대 단말기(100)와 반응하여 위치를 인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근무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가지고 임의의 선실에 도착했을 때, 휴대 단말기(100)는 자신과 페어링된 포지셔닝 수단의 고유 통신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휴대 단말기(100)는 포지셔닝 수단의 고유 통신 신호를 해석하여 어느 선실에 도착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자가 선교에 진입하였을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포지셔닝 통신부(110)는 특정 위치인 선교 내의 포지셔닝 수단의 IP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상기 IP를 변환하여 선교라고 하는 위치 관련 정보를 활성화하며, 해당 근무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기(100)가 선교에 위치함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포지셔닝 수단은, 선박(10)의 업무 구역에 대응되는 위치 관련 정보 또는 고유 통신 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범위 내에 들어오면, 휴대 단말기(100)와 포지셔닝 수단이 페어링되고,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포지셔닝 통신부(110)가 포지셔닝 수단으로부터 위치 관련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자신의 고유 IP를 송신할 수 있고, 포지셔닝 수단과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는 포지셔닝 수단으로부터 고유 IP를 입수한 다음, 고유 IP에 대응되는 위치값을 메모리나 룩업 테이블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지셔닝 수단은 자신의 고유 IP에 대응되는 위치 관련 정보를 직접 휴대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관련 정보'라 함은 위치값으로 변환될 수 있는 포지셔닝 수단의 고유 IP, 휴대 단말기와 페어링된 포지셔닝 수단이 직접 전달하는 위치값 ,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값 또는 포지셔닝 수단의 현재 위치값은 물론 이들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신호 또는 IP를 해석하여 근무자 또는 휴대 단말기가 어느 선실에 도착하였는지를 포함하는 위치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선박의 서버 또는 육상의 서버에서는 위치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선박용 업무 보고서가 작성될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선박의 업무 구역의 위치값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 관련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포지셔닝 수단은, 자신이 직접 통신 신호를 발생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능동형 통신 수단으로서, 능동형 비콘(beacon), 능동형 NFC, 능동형 RFID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자신이 직접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는 경우, 포지셔닝 수단은 선박의 서버와 연결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능동형 비콘은 자신의 고유 IP 또는 상기 고유 IP에 대응되는 위치 관련 정보를 상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비콘이 자신의 고유 IP를 발송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고유 IP가 비콘의 위치 관련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비콘이 자신의 고유 IP를 변환하여 위치 관련 정보를 발송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위치 관련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포지셔닝 수단은 자신이 직접 통신 신호를 발생할 수 없는 수동형 통신 수단으로서, 수동형 비콘, 수동형 NFC, 수동형 RFID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가 통신 신호를 상시 발송하고, 휴대 단말기의 통신 신호가 특정의 수동형 포지셔닝 수단을 인식하면 해당 포지셔닝 수단의 위치 관련 정보를 읽어오고, 위치 관련 정보를 제2 데이터 선택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수동형 포지셔닝 수단은 자신의 통신망을 연결할 필요 없이, 휴대 단말기의 통신 신호에 반응할 환경만 만족하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선박 내의 통신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아도 수동형 비콘과 같은 포지셔닝 수단을 휴대 단말기가 억세스하기만 하면 위치 관련 정보가 획득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를 더욱 확장하여 자체 통신망을 형성하는 통신 장치를 포지셔닝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포지셔닝 수단은 자체 통신망 형성이 가능한 무선 중계기일 수 있다. 여러 무선 중계기 중에서 어느 무선 중계기에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로서 무선 중계기의 IP 주소를 알면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관련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비콘이 설치되지 않아도, 선박 내에 설치된 무선 통신망 구축용 AP(Access Point)를 포지셔닝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로서, 포지셔닝 수단은, 선박(10) 내부에 설치되며 휴대 단말기(100)와 서버(300) 사이의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복수의 무선 중계기(AP : Access Point)일 수 있다. 서버(300) 또는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중계기마다 고유의 설치 위치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억세스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추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가 연결된 특정 무선 중계기의 설치 위치를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포지셔닝 수단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제2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휴대 단말기(100) 또는 서버(300)에 저장되며,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선박(10) 내에는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구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근무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휴대 단말기(100)와 서버(300)와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통신이 불가능한 위치에서도 항상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룩업 테이블은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를 더욱 확장하면, 통신 인프라가 잘 구비된 선박(10)의 업무 구역에서, 포지셔닝 수단은 휴대 단말기(100)와 서버(300) 사이의 LAN, WI-FI 등의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무선 중계기일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이 무선 중계기일 경우, 근무자는 포지셔닝 수단을 통해서 위치 인식은 물론, 작성된 제3 데이터를 포지셔닝 수단을 통해서 서버(300)로 즉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포지셔닝 수단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을 때, 휴대 단말기는 과연 어느 포지셔닝 수단에 연결되어 자신의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정한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신호는, 그 포지셔닝 수단이 설치된 선박 업무 구역 밖으로 송신되어 다른 선박 업무 구역의 통신 신호와 중첩될 수 있으며, 그럴 경우 위치 인식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
정확한 위치 인식을 위해서, 포지셔닝 수단은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범위를 일정 영역으로 제한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통신 신호가 비등방성으로 송신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beacon)의 경우, 통신 신호의 송신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제어하면 송신 범위가 일정 구획으로 제한되는 포지셔닝 수단으로 적합할 수 있다.
선박(10)은 철제 구조물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특정 선실 내에서 발생된 통신 신호는 선실 도어를 제외하면 철제 벽으로 가로막혀 선실 밖으로 나가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의 통신 신호가 퍼져나가는 방향이 선실 도어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거나, 선실 도어를 등지는 방향이면 통신 신호가 특정 선실 내에 국한되도록 한정할 수 있다.
한편, 포지셔닝 수단은 근무 환경이나 작업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자가 선박 업무 구역에 도착할 때, 특정 업무 구역에 대응되는 업무 문서 또는 체크 리스트가 휴대 단말기(100)를 통하여 활성화된다. 이때, 선박 업무 구역이 위험 요소가 없는 보통의 선실이라면 비콘(beacon)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의 통신 모듈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약, 선박 업무 구역이 위험물 등을 취급하는 선실이거나, 근무자의 접근이 어려운 영역이라면, 근무자의 접근없이도 위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NFC 또는 RFID 방식의 통신 모듈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근무자는 비콘과 직접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하여 위치 관련 정보를 비콘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위험 구역인 경우, 비콘은 위험 구역에 설치되고, 비콘의 신호를 안전 구역까지 중계하는 추가 통신 장치가 설치되며, 근무자는 안전 구역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추가 통신 장치에 연결하여 위험 구역의 비콘과 간접 통신함으로써 비콘의 위치 관련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포지셔닝 수단과 통신하는 포지셔닝 통신부(110)와, 제1 데이터로부터 포지셔닝 수단과 매칭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 추출부(130)와, 제2 데이터에 대하여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40)와, 제2 데이터에 상기 업무 정보가 입력된 제3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저장부(120)와,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저장부와,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통신부(110)는 포지셔닝 수단에 할당된 위치 관련 정보를 포지셔닝 수단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포지셔닝 통신부(110)는 포지셔닝 수단이 송신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신호를 식별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값을 획득할 수 있다. 포지셔닝 통신부(110)에는 각 구역의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신호나 IP주소를 각 구역의 포지셔닝 수단의 설치 위치에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를 구비할 수 있다. 포지셔닝 통신부(110)는 포지셔닝 수단이 송신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신호의 주소(IP 주소)를 분석하여 포지셔닝 수단의 설치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지셔닝 수단과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현재 위치값을 포함하는 위치 관련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위치 관련 정보는 제2 데이터 추출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추출부(130)는 포지셔닝 통신부(110)에서 인식한 위치 관련 정보를 전달받고, 위치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포지셔닝 수단과 매칭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추출부(130)는 제1 데이터 중에서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신호로부터 산출된 선박(10)의 업무 구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데이터 추출부(130)는, 포지셔닝 수단이 제공하는 위치 관련 정보 외에도 추가 정보를 적용하여, 제2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추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 개인정보, 현재 시간, 위치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의 제1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하여 제2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선박 업무 구역이라 할지라도, 근무자의 직책(선장, 일등항해사, 이등항해사, 삼등항해사, 갑판장, 통신장, 조리장, 기관장, 일등기관사, 이등기관사 등)에 따라 체크 및 기록해야 될 업무 항목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무자의 직책에 매칭되는 제2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근무자의 개인정보, 현재 시각, 위치 관련 정보 등의 파라미터를 제2 데이터 추출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근무자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업무 수행 결과(예를 들어 안전관리상태를 수집, 기록, 유지, 체크한 결과를 포함)를 입력부(140)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스마트 기기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제2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입력부(140)는 업무 결과를 입력받기 위한 스크린의 UI를 달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추출된 제2 데이터에 대하여 근무자가 업무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140)를 통해서 근무자는 제2 데이터에 관련된 업무 수행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생성부(150)는 제2 데이터 추출부(130)에서 받은 제2 데이터와, 입력부(140)에서 전달받은 업무 정보를 필드에 맞게 결합 및 재구성을 하여 제3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160)는 제3 데이터를 선박(10)의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는 전송부(160)를 통해서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서버(300)는 복수의 근무자가 전송부(160)를 통해 서버(300)에 입력한 각각의 제3 데이터를 취합 및 정리하여 완성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완성된 문서는 선박(10)의 서버(300)를 통해 육지(20)에 보고될 수 있다. 육지(20)에서 문서를 전송받는 대상은 선사, 선주, 항만 등이 될 수 있다.
전송부(16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박(10)의 서버(300)에 제3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유선 접속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통해 서버(300)인 PC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제3 데이터가 서버(300)에 입력될 수 있다. 무선 접속의 경우, 선박(10)의 서버(300)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무선 중계기의 통신 접속 가능 범위 안에 휴대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전송부(160)는 무선 중계기의 통신망을 통하여 제3 데이터를 선박(10)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중계기는 포지셔닝 수단과 별도로 구비된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포지셔닝 수단이 무선 중계기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수단은 무선 중계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 연결없이 고유의 특정 통신 신호를 지속적으로 방사하는 독립적인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전송부는(160)는, 제3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가장 최근에 저장된 제3 데이터 전체를 선박(10)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송부(160)는, 기존의 전송 시점 이후 제3 데이터의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새롭게 갱신된 제3 데이터만을 골라내어 선박(10)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박(10)의 서버(300)는 제3 데이터 또는 제3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된 업무용 보고 문서를 육상에 전달할 수 있다. 선박(10)의 서버(300)가 육상에 제3 데이터 또는 업무용 보고 문서를 전달할 때, 제3 데이터 또는 업무용 보고 문서가 가장 최근에 전달된 시점 이후에 새롭게 갱신된 것만을 골라내어 전송하거나, 제3 데이터 또는 업무용 보고 문서의 갱신여부를 따지지 않고 육상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선박(10)의 서버(300)에 통신 연결된 무선 중계기가 설치된 구역에 휴대 단말기(100)가 접근할 시에, 전송부(160)는 서버(300)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휴대 단말기(100)에 푸시 또는 알람할 수 있다. 따라서, 근무자는 전송부(160)의 푸시 또는 알람을 보고 현재 자신이 수행한 업무를 선박(10)의 서버(300)에 바로 업로드할 수 있는지 업데이트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저장부에는 데이터의 읽기, 쓰기 등의 데이터 변동에 대한 로그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는 제1 데이터 저장부(120), 제2 데이터 저장부 및 제3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저장부(120)에는 제1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 데이터 저장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와 통신 연결되어 제1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저장부는 제2 데이터 추출부(130)로부터 산출된 제2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포지셔닝 수단으로부터 인식된 위치 관련 정보, 사용자 개인정보, 현재 시각 등의 선택 기준에 따라서 추출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저장부는 제2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위치 관련 정보, 사용자 개인정보, 현재 시각에 따라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저장부는 제2 데이터의 입력 필드별로 근무자가 수행한 업무 정보가 결합 또는 믹싱된 제3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관련 정보, 사용자 개인정보, 현재 시각에 따라 구별하여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 모든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에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하여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는 휴대 단말기에 인스톨하고, 단순한 데이터는 OTG나 USB 메모리에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에 착탈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제1 단말기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는 외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모든 형태의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하는 블루투스와 WiFi 통신이 등 가능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일체형 장치인 경우, 제2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에 내장되는 메모리 칩일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OTG, USB, 외장하드 등의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 제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제2 단말기의 단순한 착탈만으로 제1 단말기에 새로운 시스템을 인스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대한 양의 선박 장비 매뉴얼이 제1 데이터로 입력되어야 하거나, 선박의 종류에 따라 제1 데이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거나, 제1 데이터의 수정이 빈번하거나, 전체 시스템을 수시로 업그레이드해야 할 경우, 모든 모듈과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다면, 프로그렘의 제거 및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로율 수 있다. 따라서, 자주 교체되는 항목은 이들을 저장한 제2 단말기 형태로 준비하고, 다양한 종류의 제2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에 착탈하면, 제1 데이터나 시스템 프로그램을 쉽게 교체 및 갱신할 수 있고 검색 및 추출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를 통한 근무자의 업무 결과물로서 완성된 제3 데이터는 선박(10)의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선박(10)의 서버(300)는 단일 또는 이중화될 수 있다. 선박(10)의 서버(300)는 선박(10)의 업무 데이터를 취합 또는 관리하는 업무 서버(310)와, 육상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서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 서버(310)는 휴대 단말기(100)로 입력되는 제3 데이터와, 유선 통신 구간을 통해 선박(10)의 각종 센서나 장비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선박(10) 장비의 정보는 AIS, RADAR, ECDIS, GYRO, INDICATOR, M/ENG, VTS 등으로부터의 정보일 수 있다.
AIS(Auto Identification System)는 선박(10)의 위치에 대해 자동 원격 인식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RADAR는 전파를 발신하고 목표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여 그 목표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비이다.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는 선박(10)에서 사용하는 종이 해도 대신 컴퓨터로 해도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해도 시스템이다. ECDIS는 전자해도(ENC:Electronic Navigational Chart)를 실제 항해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든 항해 시스템이다. ECDIS는, 전자해도 외에 항해자의 항해계획과 항로감시를 돕기 위해 항해용 센서들과 연결될 수 있고, 매 순간 선박(10)의 위치와 함께 해도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GYRO는 고속 회전체의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방향 측정이나 회전 각속도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이다. 선박(10)의 방향과 평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DICATOR는 선박(10)의 내연 기관의 실린더 압력 변화와 피스톤의 움직임과의 관계를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M/ENG은 선박(10)의 주엔진을 의미한다.
VTS(Vessel Traffic Service; 해상교통관제시스템)는 해상 교통량의 폭주, 위험 화물의 증가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으로부터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한 통항 서비스 업무이다. VTS 구역 내에서 주변상황 및 해상교통상황을 적시에 제공한다. VTS는 선박(10)의 항해 의사 결정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들을 제공한다.
업무 서버(310)에서는 각 근무자(직급이 다른 복수의 개별 근무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작성한 복수의 제3 데이터와 유무선으로 자동 입력된 선박(10)의 장비 정보를 취합하여 하나의 보고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의 보고 문서는 페이퍼 양식으로 바로 볼 수 있는 문서(PDF, 한글, 워드 등의 문서)일 수도 있고, 기호화된 코드 형식의 문서일 수 있다.
해상에서는 위성을 통해 선박(10)과 육지(20) 간에 통신이 연결되기 때문에 통신 비용이 고가이다. 따라서 문서를 기호화된 코드 변환하여, 문서의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위성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기호화된 코드를 사용할 경우 육상 서버(21)에서 코드에 대한 데이터 변환 규약이 필요할 수 있다.
통신 서버(320)는 육지(20)로 전송되는 메일 등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로 작성된 보고 문서는 최종적으로 통신 서버(320)를 통해서 보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 및 기능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0)에는 초기 세팅으로 제1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선박(10) 업무에 관련된 항해정보, 기관정보, E-ISM 문서, 체크리스트, 선박 장비 매뉴얼, 선박 업무 교육 자료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 용량을 감안하여 선종, 항로, 화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일부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근무를 시작하면서 근무자는 휴대 단말기(100)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선박(10)의 업무는 근무자의 직책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개인정보는 최적화된 제2 데이터 추출을 하기 위한 변수 중 적어도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개인정보 입력 방식은 사전에 구체적 개인정보(직책, 성명, 나이 등)를 시스템에 입력하고, 이에 해당하는 식별 코드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으며, 부여받은 식별 코드로 로그인/아웃하는 형식일 수 있다.
근무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선박 업무 구역에 접근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선박 업무 구역의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포지셔닝 통신부로 통신 신호를 해석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1 데이터 중에서 해당 선박 업무 구역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제2 데이터로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근무자는 휴대 단말기(100)에 표시된 제2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이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고 입력부(140)를 통해서 업무 수행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근무자가 입력부(140)로 입력한 업무 정보와 제2 데이터를 필드별로 결합 또는 믹싱하여, 제3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선박(10)의 서버(300)와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환경에서 제3 데이터를 선박(10)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박(10)의 서버(300)는 각 근무자가 전송한 복수의 제3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보고 문서는 통신 서버(320)를 통해서 육상의 선사, 선주, 항만에 보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선박 20...육지
21...육상 서버 100...휴대 단말기
110...포지셔닝 통신부 120...제1 데이터 저장부
130...제2 데이터 추출부 140...입력부
150...제3 데이터 생성부 160...전송부
300...서버 310...업무 서버
320...통신 서버

Claims (18)

  1. 운항하는 선박에 마련된 복수의 업무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포지셔닝 수단;
    상기 선박에 설치된 서버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 또는 무선 중계기;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 통신하는 포지셔닝 통신부와,
    제1 데이터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 매칭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제2 데이터에 대하여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제2 데이터에 상기 업무 정보가 입력된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3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구역은 상기 선박에 마련된 선실을 포함하며,
    상기 선실에 설치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통신 신호가 퍼져나가는 범위를 상기 선실로 제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선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3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중계기의 통신 접속 가능 범위에 들어가면 상기 무선 중계기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3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외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제1 단말기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일체형 장치이면,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내장되는 메모리 칩이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OTG, USB, 하드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이며,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제2 단말기를 단순히 착탈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에 새로운 시스템을 인스톨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의 통신 여부에 상관없이 외부에서 일괄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포지셔닝 통신부에서 인식한 위치 관련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포지셔닝 수단과 매칭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업무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의 입력 필드별로 믹싱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은 상기 통신 신호를 가로막는 철제 벽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통신 신호가 퍼져나가는 방향을, 상기 선실의 도어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도어를 등지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항해정보, 기관정보, E-ISM 문서, 체크리스트, 선박 장비 매뉴얼, 선박 업무 교육 자료, 선실에서 열람이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개인정보, 현재 시간, 위치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특정의 제1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상기 제3 데이터는 제3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업무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의 입력 필드별로 믹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설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신호는 고유의 IP로 구별되며,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선박의 선실에서 상기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선실로 진입한 근무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와 반응하며, 상기 근무자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근무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상기 선실에 도착했을 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실에 설치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의 상기 통신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포지셔닝 수단의 상기 통신 신호 또는 상기 IP를 해석하여 상기 근무자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어느 선실에 도착하였는지를 포함하는 위치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ISM Code(국제안전관리규약)에 따른 업무 처리 정보와 선박의 안전 운항에 필요한 업무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용 업무 보고서를 작성하여 육지로 전송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비콘(beacon), NFC, 또는 RFID 방식을 채택하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상기 선박의 업무 구역의 위치값에 대응되는 위치 관련 정보를 발송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포지셔닝 수단의 통신 범위 내에 들어오면 상기 포지셔닝 통신부가 상기 포지셔닝 수단으로부터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입수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무선 중계기마다 고유의 설치 위치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을 억세스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중계기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 특정한 무선 중계기의 설치 위치를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연결된 특정한 무선 중계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자신이 직접 통신 신호를 발생할 수 없는 수동형 통신 수단으로서, 수동형 비콘, 수동형 NFC, 수동형 RF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신 신호가 상기 포지셔닝 수단 중 특정의 포지셔닝 수단을 인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해당 포지셔닝 수단의 위치 관련 정보를 읽어오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데이터의 선택 기준이 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업무 구역에 대해 상기 선박 내 사용자의 직책에 따라 서로 다른 업무 정보가 요구될 때,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포지셔닝 수단이 제공하는 위치 관련 정보 외에도 추가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개인정보,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추가 정보 및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의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가장 최근에 저장된 상기 제3 데이터 전체를 상기 선박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기존의 전송 시점 이후 상기 제3 데이터의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새롭게 갱신된 제3 데이터만을 골라내어 상기 선박의 서버로 전송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푸시 또는 알람하고,
    상기 선박의 근무자가 수행한 업무의 업로드 가능 시점이 상기 전송부의 푸시 또는 알람에 따라 결정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선박의 업무 정보를 취합 또는 관리하는 업무 서버와, 육상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서버에는 상기 제3 데이터, 상기 선박의 센서 정보, 상기 선박의 장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업무 서버는 각 근무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작성한 복수의 상기 제3 데이터를 취합하여 육상에 전송할 선박용 업무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자동 입력된 상기 선박의 센서 정보 또는 장비 정보를 취합하여 육상에 전송할 선박용 업무 보고서를 작성하고,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선박용 업무 보고서를 육상으로 전송하는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18. 삭제
KR1020160027922A 2016-03-08 2016-03-08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KR10178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22A KR101784190B1 (ko) 2016-03-08 2016-03-08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US15/084,770 US20170262785A1 (en) 2016-03-08 2016-03-30 Smart ship business device using position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22A KR101784190B1 (ko) 2016-03-08 2016-03-08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96A KR20170104896A (ko) 2017-09-18
KR101784190B1 true KR101784190B1 (ko) 2017-10-12

Family

ID=5978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922A KR101784190B1 (ko) 2016-03-08 2016-03-08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62785A1 (ko)
KR (1) KR101784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51B1 (ko) * 2018-09-03 2020-10-27 (주)카네비컴 선상에서 추락한 조난자를 위한 해상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CN110751856B (zh) * 2019-10-18 2022-12-20 芜湖安航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船舶识别定位系统及其方法
JP2023106790A (ja) * 2022-01-21 2023-08-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管理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033B1 (ko) * 2013-05-23 2013-08-27 사단법인 한국선급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선박관련 정보 제공방법
KR101378781B1 (ko) * 2013-10-17 2014-03-27 (주)칩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점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16027501A (ja) 2015-11-04 2016-02-18 飯野海運株式会社 船舶業務支援システム、サーバ及び船側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033B1 (ko) * 2013-05-23 2013-08-27 사단법인 한국선급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선박관련 정보 제공방법
KR101378781B1 (ko) * 2013-10-17 2014-03-27 (주)칩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점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16027501A (ja) 2015-11-04 2016-02-18 飯野海運株式会社 船舶業務支援システム、サーバ及び船側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62785A1 (en) 2017-09-14
KR20170104896A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048B2 (en) Portable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EP2598960B1 (en) Method of locating a field device using a handheld field maintenance tool
US8542098B2 (en) Location determination and guidance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P2520948A2 (en) RFID based guidance in remote locations
KR101784190B1 (ko)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CN103140865A (zh) 用于工业无线传感器网络中定位的方法和系统
JP2017117018A (ja) 無人小型航空機飛行ルート設定・登録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15259B1 (ko)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관리시스템
KR20120096715A (ko)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6248985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情報検索方法
KR20170104897A (ko)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TW202043798A (zh) 位置定位系統
US20220035355A1 (en) Measurement value processing system and measurement value processing method
CN212411192U (zh) 一种水陆两栖艇信息化集成系统及水陆两栖艇
US20220263568A1 (en) Forward Deployable Deck Box System for the Aggregation and Visualization of Distributed Assets
KR20130039197A (ko) 위치기반 외근 관리 시스템
JP6630406B1 (ja) 警備員管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警備員管理方法
JP2015010895A (ja) 選択経路データベース生成システム、選択経路データベース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935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4220027A1 (en) Air conditioner management system, portable terminal used in same, and air conditioner
Akula et al. Context-aware framework for highway bridge inspections
Modesto et al. Bridging IMO e-Navigation Policy and Offshore Oil and Gas Operations through Geospatial Standards
BG3460U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комуникация и обмен на документи
JP202204113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kula Real-Time Context-Aware Computing with Applications in Civil Infrastructur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