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97A -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97A
KR20170104897A KR1020160027927A KR20160027927A KR20170104897A KR 20170104897 A KR20170104897 A KR 20170104897A KR 1020160027927 A KR1020160027927 A KR 1020160027927A KR 20160027927 A KR20160027927 A KR 20160027927A KR 20170104897 A KR20170104897 A KR 2017010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list
ship
unit
databas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인
Original Assignee
(주)마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린소프트 filed Critical (주)마린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02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897A/ko
Publication of KR2017010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H04M1/72519
    • H04N5/225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서치 파라미터가 입수되는 서치 파라미터부; 제1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서치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선박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선박 업무 정보를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기록하여 제2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A mobile ship work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선박용 업무를 모바일 기기로 자동 처리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사고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하여 UN 산하의 국제해사기구인 IMO에서 안전관리시스템인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을 제정하여 각 해운기업에서 수립 및 시행토록 강제화하고 있다.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은, 해상안전 및 해양환경보전을 위해 선박 자체의 구조 및 설비의 물리적 안정성과, 선원의 자격검증 및 자질 등의 요건강화에 관한 사항을 총망라한다.
이에 선박은 안전관리시스템 규정에 의해 선박의 안전관리상태를 수집, 기록, 유지 운영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ISM 운영시 종이 문서에 의해 업무가 이루어지므로 접근성 및 활용성이 떨어지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ISM 제정의 근본 목적인 안전운항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많은 업무시간을 문서 작업에 할애하고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기록된 수기 자료를 PC 내의 문서파일 보고서에 재입력하는 등 비효율적인 이중 작업이 이루어지고, 자료의 오기, 누락과 같은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이에 선박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사고예방 및 비용절감을 위하여, ISM 운영시 ICT 기술을 접목한 e-ISM 시스템(선박용 위치기반 자동업무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0482호에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선주나 화주로부터 선박정보와 화물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여 선주나 화주의 요구에 따라 선박/화물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이 기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96188호에는, 선박에서 발송한 전자메일을 육상의 전산시스템과 연동시키는 시스템이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선행 기술은 선박과 육상간 정보 제공 및 정보 공유 기술에 국한될 뿐, 선박내 ISM 활동과는 동떨어진 문제점이 있다.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30482호 2. 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961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선박 현장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선원들의 업무 부담 및 문서 작성 오류를 감소시키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서치 파라미터가 입수되는 서치 파라미터부; 제1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서치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선박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선박 업무 정보를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기록하여 제2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선박 업무와 관련된 모든 기본 데이터인 제1 데이터,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는 빈 양식인 제1 체크 리스트,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결과가 반영된 업무 수행 결과인 제2 체크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나 상기 사용자의 업무 위치를 포함하는 서치 파라미터가 휴대 단말기에 입출력되거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제1 데이터로부터 제1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2 체크 리스트를 전달받아 육상 전달용 보고서를 작성하는 선박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생성된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따라 사용자가 선박 업무를 수행한 결과로서 선박 업무 정보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입력된 상기 선박 업무 정보를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할당된 필드별로 결합하여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는 전송부를 통해서 상기 선박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원들이 미처 확인하지 못한 업무 사항에 대하여도 자동으로 필수적 수행 업무를 추출해주기 때문에 업무 누락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선원이 업무 내용 등을 입력한 후 선박 서버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면, 누가 언제 해당 사항 등을 수행 또는 점검하였는지 여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작업 문서 작업 대신 자동으로 문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PC 등을 이용하여 재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체크 리스트의 점검 항목 입력만 완료되면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에서 정한 포맷의 최종 보고서가 자동 완성되므로, 오기 입력, 업무 누락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다.
선원들의 휴먼 에러(human error)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기존 수작업 대비 업무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선박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선박 업무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고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선박내의 문서 업무는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에서 규정한 최종 보고서의 형식과 내용을 결정하는 요소인, 절차(Procedure), 활동(Activity), 화물의 종류, 선박의 종류, 항로, 사용자의 직책, 선박 내 업무 구역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내 근무자인 사용자는 상기 결정 요소가 달라질 때마다 현재 업무 특성에 맞는 업무 체크 리스트를 선별하고, 체크 리스트 항목에 나열된 업무 후에는 개별적으로 정리된 보고 문서를 다시 수작업으로 일일이 정리해야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휴먼 에러 발생이 큰 문제점이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최소한의 작업으로 문서 작업을 완수하게 하는 선박내 문서 업무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자동화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를 활용하여, 선박 업무가 수행되는 현장에서 자동으로 상기 결정 요소에 맞는 선박 업무용 체크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박내 업무를 간소화하여, 과중한 문서 업무로 인한 본연의 안전 업무 소홀을 방지할 수 있다.
국제안전경영코드(ISM CODE)는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채택하고 있는 규약으로,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한 SOLAS 제 9장이 1998년 7월 1일에 발효됨에 따라 강제화된 규약이다. ISM CODE는 해운선사 및 선박의 안전관리체제 수립과 시행을 의무화하고 이를 따르지 않는 선사 또는 선박에 대해서는 국내법에 의한 불이익뿐만 아니라 항만 통제 등 국제적인 규제를 통해서 선박 운항에 직접적인 불이익을 받도록 하는 등 구속력과 제도의 이행을 위한 강제력을 지니고 있다.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은 선박안전운항 및 오염방지를 위한 조직 및 절차(Procedure)에 대한 국제적 통일기준인 규약이다. 이에 대한 점검 및 교육 등에 대한 업무를 체계화된 안전경영시스템으로 양식에 맞게 문서화하여 필수적으로 보고해야 된다. 이러한 문서 업무의 양은 방대하고 다수의 선원이 점검 및 작업한 업무 내용이 선박 서버(300)에 일괄적으로 취합되기 때문에 자료의 오기, 누락 등과 같은 문제 발생은 치명적인 불이익을 야기할 수 있다.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에서 규정한 선박 관리 업무는 선박의 안전과 관계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특히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에서 규정한 선박의 안전운영에 대한 문서 업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선박 업무는 선박의 상황 및 상태, 선원의 직급 등에 따라 수행해야 될 구체적 업무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선박의 업무들을 선박(30) 및 선원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황에 부합되는 업무용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체크 항목을 모바일 기기로 관리하며,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 준수에 필요한 최종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 베이스와 선박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오류없이 동기화할 수 있다.
선박 업무는 선박내부에서 구역마다 업무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선교, 사무실, 펌프실 등과 같은 현장에 따라 수행해야 되는 점검 항목 및 작업 항목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업무 현장에 도착할 때마다 해당 업무 리스트를 찾아야 되는 부담이 있고, 이때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다.
한편, 선박(30)은 철제 구조물이면서 내부가 격벽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망 구축이 어려운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업무 현장에서 즉시 업무 내용을 업데이트 할 수 없고, 별도의 기록 도구로 업무 내용을 기록하고, 기록 내용을 업무를 수행한 시간과 다른 시간대에 선박 서버(300)에 업데이트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업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ISM 업무용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에 업무 내용을 기록하며, 업무 결과의 갱신을 데이터 충돌없이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선박 업무는 개별 사용자가 각자의 업무를 수행하는 형태이지만, 최종적으로 감독자에게 제출되는 보고서(1030)는 각 사용자들의 업무 수행 결과를 종합하여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대로 작성되어야 한다. ISM 보고서(1030)는 제출되는 대상(각 국 항만, 선사)에 따라 양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업무 내용을 제출 양식에 맞게 취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각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를 취합하여,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에서 정한 제출 양식에 맞게 자동으로 보고서(1030)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서치 파라미터가 입수되는 서치 파라미터부(120)와, 제1 데이터(1010)가 저장된 제1 데이터 베이스(110)로부터 서치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130)와, 제1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70)와, 선박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40)와, 선박 업무 정보를 제1 체크 리스트에 기록하여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작성하고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표시부(170)에 표시하는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 모든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100)에서 검색하여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는 휴대 단말기(100)에 인스톨하고, 단순한 데이터는 OTG나 USB 메모리에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에 착탈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서치 파라미터부(120),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130), 표시부(170), 입력부(140),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제1 단말기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는 외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모든 형태의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블루투스와 WiFi 등 무선 통신 수단을 내장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일체형 장치인 경우, 제2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에 내장되는 메모리 칩일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OTG, USB, 외장하드 등의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는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 제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제2 단말기의 단순한 착탈만으로 제1 단말기에 새로운 시스템을 인스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베이스(110)에 입력되어야 하거나, 선박의 종류에 따라 제1 데이터 베이스(110)가 자주 업데이트되거나, 제1 데이터 베이스(110)의 수정이 빈번하거나, 전체 시스템을 수시로 업그레이드해야 할 경우, 모든 처리 모듈과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에 한꺼번에 저장된다면, 프로그렘의 제거나 설치가 매우 번거로율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주 교체되는 항목은 제2 단말기 형태로 준비하고, 다양한 종류의 제2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에 착탈하는 방식이 가능하므로, 데이터나 시스템 프로그램을 쉽게 교체 및 갱신할 수 있고 검색 및 추출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데이터 베이스(110),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130),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150), 표시부(170) 및 입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베이스(110)는 선박 서버(300)가 아니라 휴대 단말기(100)에 확보된 데이터 베이스로서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이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 장소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베이스(311)는 휴대 단말기(100)가 아니라 선박 서버(300)에 저장이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는 선박 서버(300)의 저장 장소로 정의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 마련되는 데이터 베이스인 제1 데이터 베이스(110)와, 선박 서버(300)에 마련되는 데이터 베이스인 제2 데이터 베이스(311)는 구별되는 것이 데이터 오류 방지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두 데이터 데이스를 분리하면, 이들의 일치 또는 동기화 시점이 전송부(160)의 전송 이벤트 발생시로 한정할 수 있어서 오류없는 동기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선박내 취약한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면 휴대 단말기(100)와 선박 서버(300)가 공통의 데이터 베이스를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일치 또는 동기화되는 것이 오류 발생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선박 업무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기본 데이터인 제1 데이터(1010),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는 빈 양식인 제1 체크 리스트, 사용자의 입력 결과가 반영된 업무 수행 결과인 제2 체크 리스트(1020), 사용자 로그인 정보나 업무 위치 등을 포함하는 서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베이스(110)에서 제1 데이터(1010)의 각 데이터 항목은 서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제1 체크 리스트의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메모리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선박 업무 정보는 제1 체크 리스트의 입력 필드별로 구분되어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110)의 해당 메모리 주소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2 체크 리스트(1020)는 제1 체크 리스트의 입력 필드에 선박 업무 정보가 입력된 업무 결과 데이터일 수 있다. 선박 업무 정보는 사용자가 선박 업무의 수행 결과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1 데이터(1010)는 선박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로서 종류나 형태를 가리지 않는다. 제1 데이터(1010)는 항해정보, 기관정보, E-ISM 문서, 체크 리스트, 선박 장비 매뉴얼, 선박 업무 교육 자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데이터(1010)는 선실(예컨대, 선교, 사무실, 펌프실 등)과 같은 현장에서 열람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항해정보는 위도, 경도, 레이더 정보 및 항로 정보 등 운항에 대한 정보이다.
기관정보는 선박의 각 기관에 대한 정보에 대한 것이다.
E-ISM 문서는 ISM Code(국제안전관리규약)에 따른 업무 처리와 선박의 안전 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전자 문서화한 것이다.
체크 리스트는 사용자가 선박내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는 ISM 업무 항목이 나열된 리스트이다. 체크 리스트는 수행된 업무 정보가 입력되기 전의 제1 체크 리스트와, 수행된 업무 정보가 기록된 제2 체크 리스트(1020)로 분류될 수 있다.
선박 장비 매뉴얼은 선박내에 구비된 각종 장비에 대한 매뉴얼을 의미한다.
선박 업무 교육 자료는 선박(30)에서 선원들이 기본적으로 숙지해야되는 정보에 대한 교육 컨텐츠에 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1010)는 전체 데이터 또는 개별 데이터마다 검색 및 추출을 위한 인덱싱 수단으로서 서치 파라미터가 매칭될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는 제1 데이터(1010) 중 특정 상황에 맞는 체크 항목을 선별하는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선박이 어떤 종류의 화물을 적재하고 행선지가 어디인지와 관련한 선박의 운항 상황(status)에 따라 선박 업무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업무가 출항, 입항 등의 어떤 절차(Procedure)에 해당하는지, 해당 절차(Procedure)에서 어떤 활동(Activity)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따라서 선박 업무는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의 직급에 따라서도 선박 업무는 달라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서치 파라미터는 선박의 상황, 운항 상태, 절차(Procedure), 수행해야 할 활동(Activity), 사용자의 직급, 현재 시간, 업무 수행이 필요한 장소나 위치, 사용자에 행한 수동 선택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는 제1 데이터(1010) 중에서 현재 선박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는 선박의 상황, 운항 상태, 선박의 항로, 선박의 종류, 화물의 종류, 운항 및 입항 등의 절차(Procedure), 운항 절차(Procedure)에서 기관실 점검 및 선교 점검 등의 활동(Activity), 기관장인지 제1 기관사인지 등의 사용자의 직급, 업무 수행을 해야하는 현재 시간, 기관실인지 조타실인지 등의 선박내업무 위치 등의 정보일 수 있다.
항로는 선박(30)이 운행되는 지역, 목적지 등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각 국 항만에서 요구하는 보고서(1030)의 세부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항로인가에 따라 선박(30)업무는 달라질 수 있다.
선박의 종류는 상선, 어선, 특수 작업선, 함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선은 탱커(원유운반선(Crude Oil Tanker), 가스운반선(Gas Carrier)), 겸용선(Combined Carrier)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어선은 어로선(Catcher Boat), 운반어선(Fish Carrier)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수 작업선은 해양오염방제선, 병원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함정은 전투함, 잠수함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종류의 선박(30)이 있고, 선박의 종류에 따라 안전 점검 등의 업무 내용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선박의 종류는 체크 리스트 추출의 기준인 서치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화물의 종류는 화물의 형태, 화물의 포장, 운송방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체크 리스트 추출의 기준인 서치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화물의 형태에 대해서는 액체인가 고체인가에 따라 건화물과 탱커화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화물은 취급하는 부두가 달라진다.
선박의 운영에 있어서, 각 절차(Procedure)와 활동(Activity)에 따라 선박 업무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직급에 따라 선박(30) 업무가 달라질 수 있다.
선박 업무는 업무마다 수행하는 시점 또는 주기가 달라질 수 있고, 현재 시간은 체크 리스트 추출의 기준인 서치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선박내의 위치(선교, 갑판, 엔진룸, 펌프룸 등)에 따라 점검 업무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업무 위치는 체크 리스트 추출의 기준인 서치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치 파라미터는 사용자 선택값, 사용자 로그인 정보, 사용자 직급별 정보, 업무가 수행되는 시간, QR 코드 등일 수 있다.
사용자의 수동 선택값도 서치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데이터(1010) 중 항로, 선박의 종류, 화물의 종류, 절차(Procedure), 활동(Activity), 사용자의 직급, 시간, 선박내에서 업무 수행 위치 등을 인식하고, 수동으로 제1 데이터(1010)에서 원하는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데이터(1010)에는 개별 데이터마다 일련 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동 선택값으로서 개별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일 수 있다. 로그인 정보로 사용자의 직급, 나이, 성명, 서명 등이 포함된 정보를 함께 얻을 수 있다. 서명은 사용자의 사인이 이미지 형태로 등록되며, 최종 리포트에 업무 수행자의 서명란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로그인 정보는 사전에 구체적 개인정보(직책, 성명, 나이 등)를 시스템에 입력하고, 이에 해당하는 식별 코드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으며, 부여받은 식별 코드로 로그인/아웃하는 형식일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는 QR 코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OR 코드를 리딩하고, QR 코드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1010)를 추출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부(120)는 QR 코드 입수시 사전에 정의된 값에 따라 QR 코드를 해석하여 QR 코드에 대응되는 항로, 선박의 종류, 화물의 종류, 절차(Procedure), 활동(Activity), 사용자의 직급, 시간, 선박내에서 업무 수행 위치 등의 정보를 체크 리스트 추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부(120)는 서치 파라미터를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부(120)는 사용자의 수동 선택값을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130)에 전달하고,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130)는 수동 선택값대로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치 파라미터부(120)는 수동 입력 값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항로, 선박의 종류, 화물의 종류, 절차(Procedure), 활동(Activity), 사용자의 직급, 시간, 업무 수행 위치를 얻고, 이를 체크 리스트 추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130)는 서치 파라미터부(120)로부터 항로, 선박의 종류, 화물의 종류, 절차(Procedure), 활동(Activity), 사용자의 직급, 시간, 업무 수행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제1 데이터(1010)로부터 원하는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데이터(1010)는 선박 업무와 관련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1010)는 항로, 선박의 종류, 화물의 종류, 절차(Procedure), 활동(Activity), 사용자의 직급, 시간, 업무 수행 위치의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제1 데이터(1010)로부터 서치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제1 체크 리스트가 추출될 수 있다.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130)는 제1 데이터 중에서 서치 파라미터와 매칭되는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의 수동 선택값에 의하여 서치 파라미터가 결정되는 예를 보여준다. 절차(Procedure) 값으로 AFTER ARRIVAL, AFTER ARRIVAL시 구체적 수행 업무인 활동(Activity) 값으로 Activity_a, 업무 수행자의 직급으로서 1등 기관사(1st Engineer), 선박의 항로로서 Indian Ocean, 화물의 종류로서 petroleum, 선박의 종류로서 Product Carrier, 선박내 업무 수행 위치로서 기관실(Engine Room)이 서치 파라미터로 입력된다.
도 6에서 수동 입력된 서치 파라미터를 토대로, 도 4에 도시된, 제1 데이터(1010) 중에서 6.1, 6.2, 6.3 항목이 제1 체크 리스트로 추출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제1 체크 리스트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통해서 제1 데이터(1010), 제1 체크 리스트, 제2 체크 리스트(1020) 중 적어도 하나를 열람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으로서 입력부(140)를 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크 리스트의 각 체크 항목마다 체크 박스(141), 메뉴 버튼(147), 문자 입력 박스(143), 그림 파일 박스(145)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제1 체크 리스트를 표시할 때, 제1 체크 리스트에 대한 업무 결과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체크 박스(141), 메뉴 버튼(147), 문자 입력 박스(143), 그림 파일 박스(145)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박스(141)는 해당 체크 항목에 대해서 예(Y) 또는 아니오(N)의 확인 사항을 입력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박스(141)는 예(Y)를 표시하기 위한 것과 아니오(N)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박스(141)에 체크되기 전의 색은 백색, 체크된 후의 색은 흑색이 될 수 있다.
메뉴 버튼(147)은 체크 항목마다 세부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버튼(147)을 활성화할 경우 해당 체크 항목에 대한 업무 수행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업무 수행 정보는 점검 대상의 메뉴얼, 점검 방법, 해당 항목과 관련되는 교육 자료일 수 있다.
문자 입력 박스(143)는 체크 항목마다 업무 결과를 문자로 입력할 수 있는 박스일 수 있다. 문자 입력 박스(143)의 커서가 활성화되고, 표시부(170)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4의 6.1 항목의 체크 박스(141)의 아니오(N)에 체크를 하려는 경우, 문자 입력 박스(143)에 자동으로 커서가 활성화가 되고, 표시부(170)에는 키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림 파일 박스(145)는 선박 업무 시에 필요한 이미지 파일을 등록할 수 있다. 그림 파일 박스(145)를 선택할 시에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고, 이미지가 완성되면 클립모양의 등록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선박 업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입력부(140)는 체크 박스(141), 메뉴 버튼(147), 문자 입력 박스(143), 그림 파일 박스(145)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통해서 선박 업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선박 업무 정보는 제1 체크 리스트의 입력 필드별로 구분되어 제1 데이터 베이스(110)의 해당 메모리 주소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150)는 제1 체크 리스트와 입력부(140)를 통해서 입력된 선박 업무 정보를 믹싱하여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작성할 수 있다. 제1 체크 리스트는 빈 양식이고, 제1 체크 리스트에 사용자의 업무 결과가 입력된 결과물이 제2 체크 리스트(1020)일 수 있다. 완성된 제2 체크 리스트(10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1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에 정의된 표준 보고서 양식으로 변환하면 본 발명의 최종 결과물인 보고서(1030)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제1 체크 리스트, 제2 체크 리스트(1020)는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에 실제로 존재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제1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이고, 제1 체크 리스트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하여 표시부(170)에 실제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2 체크 리스트는 화면에 표시된 제1 체크 리스트에 사용자가 업무 결과를 입력하면 표시부(170)에 실제로 표시되며, 제2 체크 리스트는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에서 연산 처리되고 제1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제2 데이터 베이스에 전송되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고서(1030)는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에 저장되지않고 표시만 되는 가상의 정보일 수 있다. 보고서(1030)는 문서 형태로만 모니터 화면에 보여지거나 인쇄 메령을 실행하면 프린트될 뿐이며, 제1 데이터 베이스 또는 제2 데이터 베이스에는 보고서(1030) 포맷대로 저장될 필요가 없는 가상의 결과물일 수 있다. 보고서(1030)는 뷰어부에 의하여 화면에 단순 표시될 뿐이고,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의 구성요소인 제1 데이터 베이스 등에는 저장되지 않는 정보일 수 있다. 제2 체크 리스트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의 보고서(1030)이든 화면 표시 및 인쇄 가능하고, 보고서(1030)는 데이터 베이스의 메모리 할당없이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뷰어부는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150)가 메모리 할당하여 저장하는 정보인 제2 체크 리스트(1020)만 입수하면, 메모리 할당이 필요없는 가상의 정보인 선박용 업무 문서를 어떠한 ISM 포맷으로든 출력할 수 있다. 즉, 뷰어부는 실제 데이터인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가상의 데이터인 선박용 업무 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뷰어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선박 서버(300) 중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70)는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통해, 업무 결과가 입력된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 뷰어부가 설치되어 있다면, 표시부(170)에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반영한 선박용 업무 문서로서 보고서(1030)가 보여지게 할 수 있다. 선박 서버(300)에 뷰어부가 설치되어 있다면, 선박 서버(300)에 억세스하는 유저는 선박용 업무 문서로서 보고서(1030)를 원하는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작성된 제2 체크 리스트(1020) 또는 보고서(1030)는 전송부(160)를 통해서 선박 서버(300)로 전송된 수 있다.
전송부(16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박 서버(300)에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전송할 수 있다. 유선 접속시, USB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와 선박 서버(300)가 직접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100)의 제2 체크 리스트(1020)가 선박 서버(300)에 입력될 수 있다. 무선 접속시, 선박 서버(300)와 통신 연결된 무선 중계기에 휴대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전송부(160)는 무선 중계기의 통신망을 통하여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선박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박 업무는 복수의 사용자가 업무 분장을 해서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 수에 따른 다수의 휴대 단말기(100)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휴대 단말기(100)는 서로 다른 선박 업무에 대한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선박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선박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가 전송부(160)를 통해 입력한 각각의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종합하여 하나의 보고서(1030)를 작성할 수 있다.
완성된 선박용 업무 문서로서 보고서(1030)는 선박 서버(300)를 통해 육상 서버(21)에 보고될 수 있다. 육상 서버(21)에서 문서를 전송받는 대상은 선사, 선주, 항만 등이 될 수 있다.
전송부(160)는 제2 체크 리스트(1020)와 함께 서치 파라미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완성된 선박용 업무 문서로서 보고서(1030)에는 서치 파라미터로서 입수한 업무 수행자, 업무 수행 시간, 운항 상황 및 선박 상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선박 서버(300)는 단일 또는 이중화될 수 있다. 선박 서버(300)는 선박 업무 데이터를 관리하는 선박 업무 서버(310)와, 육상(20)과의 보고서(1030) 통신을 담당하는 선박 통신 서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 업무 서버(310)에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제2 체크 리스트(102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입수한 선박의 각종 센서나 장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선박(30) 장비의 정보는 AIS, RADAR, ECDIS, GYRO, INDICATOR, M/ENG, VTS 등으로부터의 정보일 수 있다.
AIS(Auto Identification System)는 선박(30)(10)의 위치에 대해 자동 원격 인식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RADAR는 전파를 발신하고 목표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여 그 목표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이다.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는 선박(30)에서 사용하는 종이 해도 대신 컴퓨터로 해도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해도 시스템이다. ECDIS는 전자해도(ENC:Electronic Navigational Chart)를 실제 항해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든 항해 시스템이다.
GYRO는 고속 회전체의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방향 측정이나 회전 각속도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이다. 선박의 방향과 평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DICATOR는 선박의 내연 기관의 실린더 압력 변화와 피스톤의 움직임과의 관계를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M/ENG은 선박의 주엔진을 의미한다.
VTS(Vessel Traffic Service; 해상교통관제시스템)는 해상 교통량의 폭주, 위험 화물의 증가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으로부터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한 통항 서비스 업무이다.
선박 업무 서버(310)는 직급이 다른 복수의 개별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작성한 복수의 제2 체크 리스트(1020)와, 유무선으로 자동 입력된 선박의 장비 정보를 취합하여 보고서(1030)를 작성할 수 있다. 보고서(1030)는 페이퍼 양식으로 바로 볼 수 있는 문서(PDF, 한글, 워드 등의 문서)일 수도 있고, 기호화된 코드 형식의 문서일 수 있다.
선박 업무 서버(310)는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취합하는 취합부(315)와, 복수의 제2 체크 리스트(1020) 및 선박 장비 정보가 저장되는 제2 데이터 베이스(311)와, 제2 데이터 베이스(311)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갱신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합부(315)는 제2 체크 리스트(1020), 선박 장비 정보, 서치 파라미터 정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사용자의 서명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취합하여 최종적인 보고서(1030)를 작성할 수 있다.
취합부(315)는 육상에 보고해야 되는 보고서(1030) 작성에 필요한 체크 항목에 관한 메모리 주소만을 억세스하여 보고서(1030)를 작성할 수 있다.
갱신부(313)는 제2 데이터 베이스(311)에 전송된 제2 체크 리스트(1020), 서치 파라미터, 선박 장비 정보, 보고서(1030) 등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부(313)는 선박 업무 서버(310)에 새로 입력된 데이터와 기존의 데이터가 동일할 경우 기존의 데이터를 보존함으로써, 시스템의 연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박 업무 서버(310)에서 완성된 보고서(1030)는 선박 통신 서버(320)로 전달될 수 있다.
선박 통신 서버(320)는 육상(20)으로 전송되는 메일 등을 전송할 수 있고, 선박 업무 서버(310)에서 완성된 보고서(1030)도 육상(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의 기능 및 동작을 다시 한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는 선박 업무를 통해서 제1 데이터(1010)로부터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작성하는 휴대 단말기(100)와, 복수의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전달받아 취합하여 완성된 보고서(1030)를 작성하는 선박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박내 업무 현장에서 수행해야 될 업무와 관련되는 서치 파라미터를 휴대 단말기(100)에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수동 입력된 서치 파라미터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데이터(1010)로부터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추출된 제1 체크 리스트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고, 업무 수행 결과로서 선박 업무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부(140)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입력된 선박 업무 정보를 제1 체크 리스트에 할당된 필드별로 결합하여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제2 체크 리스트(1020)는 전송부(160)를 통해서 선박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선박 서버(300)의 갱신부(313)는 전달받은 제2 체크 리스트(1020)를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한 후 제2 데이터 베이스(311)에 갱신할 수 있다. 취합부(315)는 제2 데이터 베이스(311)에 갱신된 여러 종류의 제2 체크 리스트(1020), 선박 장비 정보, 서치 파라미터 등 필요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육상(20)에서 요구하는 양식의 보고서(1030)로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보고서(1030)는 선박 통신 서버(320)를 통해 육상(20)의 선사, 항만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육상 21...육상 서버
30...선박 100...휴대 단말기
110...제1 데이터 베이스 120...서치 파라미터부
130...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 140...입력부
141...체크 박스 143...문자 입력 박스
145...그림 파일 박스 147...메뉴 버튼
150...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 160...전송부
170...표시부 200...선박 장비
300...선박 서버 310...선박 업무 서버
311...제2 데이터 베이스 313...갱신부
315...취합부 320...선박 통신 서버
1010...제1 데이터 1020...제2 체크 리스트
1030...보고서

Claims (13)

  1. 서치 파라미터가 입수되는 서치 파라미터부;
    제1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서치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제1 체크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선박 업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선박 업무 정보를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기록하여 제2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체크 박스, 메뉴 버튼, 문자 입력 박스, 그림 파일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파라미터는, 선박의 상황, 선박의 운항 상태, 선박의 항로, 선박의 종류, 선박 화물의 종류, 운항 절차(Procedure), 상기 운항 절차내에서 수행해야 할 활동(Activity), 사용자의 직급, 업무 수행을 하는 현재 시간, 선박내 업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는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서치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파라미터는 QR 코드를 포함하고,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상기 QR 코드가 리딩되면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는 상기 QR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파라미터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파라미터부는 사용자의 수동 선택값을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수동 선택값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의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메모리 주소가 할당된 제1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선박 업무 정보는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의 입력 필드별로 구분되어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메모리 주소에 저장되며,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의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메모리 주소가 할당된 제1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전송부에 연결되면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와 일치하도록 각 메모리 주소의 저장값이 업데이트되는 제2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베이스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데이터 베이스는 선박 서버에 설치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의 데이터를 선박용 업무 문서 형태로 표시하는 뷰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치 파라미터부,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추출부, 상기 표시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외부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한 제1 단말기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체크 리스트 작성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한 후 제2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하며,
    상기 제2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된 상기 제2 체크 리스트, 선박 장비 정보, 상기 서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종합하여 육상 보고용 보고서를 작성하고,
    상기 보고서를 육상으로 전송하는 선박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12. 선박 업무와 관련된 모든 기본 데이터인 제1 데이터,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는 빈 양식인 제1 체크 리스트,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결과가 반영된 업무 수행 결과인 제2 체크 리스트 및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나 상기 사용자의 업무 위치를 포함하는 서치 파라미터가 휴대 단말기에 입출력되거나 저장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13. 제1 데이터로부터 제1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2 체크 리스트를 전달받아 육상 전달용 보고서를 작성하는 선박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생성된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따라 사용자가 선박 업무를 수행한 결과로서 선박 업무 정보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입력된 상기 선박 업무 정보를 상기 제1 체크 리스트에 할당된 필드별로 결합하여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는 전송부를 통해서 상기 선박 서버로 전송되는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KR1020160027927A 2016-03-08 2016-03-08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KR20170104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27A KR20170104897A (ko) 2016-03-08 2016-03-08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27A KR20170104897A (ko) 2016-03-08 2016-03-08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97A true KR20170104897A (ko) 2017-09-18

Family

ID=6003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927A KR20170104897A (ko) 2016-03-08 2016-03-08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8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1910A (zh) * 2023-06-16 2023-07-18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船舶器材的全寿命周期管理方法和系统
EP4216121A1 (en) * 2022-01-21 2023-07-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arine vessel managemen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6121A1 (en) * 2022-01-21 2023-07-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arine vessel management system
CN116451910A (zh) * 2023-06-16 2023-07-18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船舶器材的全寿命周期管理方法和系统
CN116451910B (zh) * 2023-06-16 2023-10-20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船舶器材的全寿命周期管理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6773B (zh) 船舶的信息处理方法和船舶的信息处理系统
US20210350710A1 (en) Ship movement-sharing navigation assistance system
Wróbel et al. Identifying research directions of a remotely-controlled merchant ship by revisiting her system-theoretic safety control structure
EP2339515A2 (en) Harbor berth information system
KR101942373B1 (ko) 선박 에너지 효율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Committee for Evaluating Shipboard Display of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s Shipboard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Displays: Meeting the Needs of Mariners
US20160104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anagment of object transmission
KR100568621B1 (ko) 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4897A (ko) 모바일 선박 업무 처리 장치
KR101784190B1 (ko) 포지셔닝 수단을 이용한 선박용 스마트 업무 장치
JP6133682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における海運貨物運送支援システム
KR20190102476A (ko) 선박의 운항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되는 전자로그북 생성 장치
KR101876124B1 (ko) 내항 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
Ghosh et al.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Safety Management (ISM) code: A shift from paper-based to paperless ships
Li et al. Information requirements for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ions
Hoem et al. Adopting the CRIOP framework as an interdisciplinary risk analysis method in the design of remote control centre for maritime autonomous systems
CN212411192U (zh) 一种水陆两栖艇信息化集成系统及水陆两栖艇
US20200082630A1 (en) Augmented reality platform and method for nautical applications
May Cognitive aspects of interface design and human-centered automation on the ship bridge: the example of ARPA/ECDIS integration
KR101384863B1 (ko)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enyon et al. Ship to shore connectivity: Trends opportunities and issues
Bapst et al. Portable maintenance aids
Horne et al. Regulating trusted autonomous systems in Australia
Nguyen Uncrewed survey-vessel conversion
Soweilam E Navigation. GNSS, Resilient PNT and the perception of seafar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