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860B1 - 젠더 - Google Patents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860B1
KR101783860B1 KR1020150185667A KR20150185667A KR101783860B1 KR 101783860 B1 KR101783860 B1 KR 101783860B1 KR 1020150185667 A KR1020150185667 A KR 1020150185667A KR 20150185667 A KR20150185667 A KR 20150185667A KR 101783860 B1 KR101783860 B1 KR 10178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997A (ko
Inventor
이승우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8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8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B60L11/180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발명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단자와, 커넥터 단자와 다른 개수로 형성되되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접속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를 연결하는 젠더는, 일 면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커넥터 단자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1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접속부와, 타 면은 전기자동차에 접속되도록 충전단자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접속부와, 제1 및 제2 접속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제1 및 제2 접속부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젠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젠더{Gender}
본 발명은 젠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서로 다른 개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젠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에너지절약과 환경오염 최소화의 대상으로 친환경 자동차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내연기관으로 구성된 자동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바이오 디젤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자동차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해 원료로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상기 전기자동차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접속한다. 이때,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접속단자는 동일한 개수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접속단자는 일반적으로 나라에 따라 개수가 다르게 생산된다. 예를 들어, 국내 내수형과 북미형의 전기자동차의 경우 5개의 피메일(female) 접속단자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또한 5개의 메일(male) 접속단자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유럽형 전기자동차의 경우 7개의 피메일(female) 접속단자로 형성되어 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또한 7개의 메일(male) 접속단자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품이 개발된 후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업체나, 개인 충전 시, 접속단자의 사양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충전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전지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커넥터 단자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의 개수가 다르더라도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전기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젠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커넥터 단자와 다른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를 연결하는 젠더는, 일 면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상기 커넥터 단자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1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접속부와, 타 면은 상기 전기자동차에 접속되도록 상기 충전단자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접속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커넥터 단자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의 개수가 다른 경우에도 젠더를 커넥터와 전기자동차 사이에 설치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한다. 상기 젠더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서 전기자동차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라도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에서 탈착되도록 구현된다. 이로 인하여 젠더의 보관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젠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접속부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2 접속부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와이어와 제1 및 제2 터미널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젠더와 전기자동차 차량용 커넥터 및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젠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접속부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2 접속부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와이어와 제1 및 제2 터미널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젠더와 전기자동차 차량용 커넥터 및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10)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의 커넥터 단자(미도시)와, 상기 커넥터 단자와 다른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50)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50)를 연결한다.
이때, 젠더(10)의 일 면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에 접속되도록 커넥터 단자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1 접속단자(120)를 포함하는 제1 접속부(100)와, 타 면은 전기자동차에 접속되도록 충전단자(5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2 접속단자(220)를 포함하는 제2 접속부(200)와, 제1 및 제2 접속단자(120, 220)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300) 및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젠더(10)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제1 접속부(100)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의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고, 제2 접속부(20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50)와 연결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는 구현 방법에 따라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는 각각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50)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의 커넥터 단자와 접속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접속부(100)는 7개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접속부(200)는 5개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의 개수는 전기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젠더(10)의 제1 접속부(100)는 고정플레이트(400)의 일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제1 접속단자(120)가 마련된 제1 하우징(140)과, 제1 하우징(140) 내에 마련되어 제1 접속단자(120)에 설치되는 제1 터미널(180)을 제1 하우징(140)에 설치, 고정하는 제1 리어홀더(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140)은 제1 접속단자(120)가 외부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40)은 제1 하우징(140)이 고정플레이트(400)에 고정되도록 제1 하우징 고정 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고정 플레이트(130)는 제1 하우징(1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어홀더(160)는 제1 하우징(140) 내에 제1 접속단자(120)와 제1 터미널(180) 사이에 설치되며, 제1 하우징(140)에 제1 터미널(180)이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1 터미널(180)은 제1 접속단자(120)에 설치되기 위하여 제1 접속단자(12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터미널(180)은 피메일(female) 터미널이며,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1 접속단자(120)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의 메일(male) 터미널과 연결된 커넥터 단자와 접속된다.
또한, 젠더(10)의 제2 접속부(2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타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 접속단자(220)가 마련된 제2 하우징(240)과, 상기 제2 하우징(240)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접속단자(220)에 설치되는 제2 터미널(280)을 상기 제2 하우징(240)에 설치, 고정하는 제2 리어홀더(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우징(240)은 제2 접속단자(220)가 외부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40)은 제2 하우징(240)이 고정플레이트(400)에 고정되도록 제2 하우징 고정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고정 플레이트(230)는 제2 하우징(2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어홀더(260)는 제2 하우징(240) 내에 제2 접속단자(220)와 제2 터미널(280) 사이에 설치되며, 제2 하우징(240)에 제2 터미널(280)이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2 터미널(280)은 제2 접속단자(22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터미널(280)은 메일(male) 터미널이며,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2 접속단자(220)는 전기자동차의 피메일 터미널과 연결된 충전단자(50)와 접속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접속단자(120, 220) 사이에는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300)가 마련된다. 보다 자세하게, 와이어(300)는 서로 다른 개수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터미널(180, 280) 사이에 마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100)는 7개로 구성되고, 제2 접속부(200)는 5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터미널(180)은 7개로 형성되어 있고, 제2 터미널(280)은 5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터미널에 설치된 와이어(300)의 개수는 다르다. 이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터미널(180)에 설치된 와이어(300) 중 두 개의 와이어를 제2 터미널(280)에 설치된 와이어(300)와 접합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와이어(300)를 접합하는 부분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접합하는 방법 또한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00)는 젠더(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고정플레이트(400)는 원형, 다각형 등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접속부(100)의 제1 하우징(140)과 제2 접속부(200)의 제2 하우징(24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즉, 제1 접속부(100), 제2 접속부(200) 및 고정플레이트(400)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는 고정플레이트(400)에서 분리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의 커넥터 단자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50)의 개수가 다른 경우에도 젠더(10)를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와 전기자동차 사이에 설치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한다. 상기 젠더(10)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에서 전기자동차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와 전기자동차의 충전 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라도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10)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와 전기자동차에서 각각 탈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젠더(10)의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운전자가 젠더(10)만을 소유하고 있다면 충전 공간, 조건에 관계없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젠더
100: 제1 접속부
200: 제2 접속부
300: 와이어
400: 고정플레이트

Claims (6)

  1.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커낵터 단자와 다른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50)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50)를 연결하는 젠더에 있어서,
    일 면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30)에 접속되도록 상기 커넥터 단자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1 접속단자(120)를 포함하는 제1 접속부(100);
    타 면은 상기 전기자동차에 접속되도록 상기 충전단자(5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제2 접속단자(220)를 포함하는 제2 접속부(200);
    상기 제1 및 제2 접속단자(120, 2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300);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100, 200)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4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1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일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 접속단자(120)가 마련된 제1 하우징(140); 및
    상기 제1 하우징(140)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접속단자(120)에 설치되는 제1 터미널(180)을 상기 제1 하우징(140)에 설치, 고정하는 제1 리어홀더(16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속부(2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0)의 타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 접속단자(220)가 마련된 제2 하우징(240); 및
    상기 제2 하우징(240)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접속단자(220)에 설치되는 제2 터미널(280)을 상기 제2 하우징(240)에 설치, 고정하는 제2 리어홀더(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180)은, 피메일(female) 터미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널(280)은 메일(male) 터미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단자(120)는 상기 제2 접속단자(220)와 다른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KR1020150185667A 2015-12-24 2015-12-24 젠더 KR10178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67A KR101783860B1 (ko) 2015-12-24 2015-12-24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67A KR101783860B1 (ko) 2015-12-24 2015-12-24 젠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997A KR20170075997A (ko) 2017-07-04
KR101783860B1 true KR101783860B1 (ko) 2017-10-10

Family

ID=5935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667A KR101783860B1 (ko) 2015-12-24 2015-12-24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8672A1 (de) 2018-06-01 2019-12-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destecker
KR102285356B1 (ko) 2020-02-11 2021-08-03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초소형 전기차 및 e-모빌리티용 충전중 인체안전기능이 포함된 완속충전기용 젠더
KR102316789B1 (ko) 2020-06-30 2021-11-02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멀티핀충전젠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6154B (zh) * 2018-02-28 2019-05-24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充电接口转换装置及车辆
KR102281663B1 (ko) * 2019-12-23 2021-07-27 한국자동차연구원 충전 커넥터 변환 장치
KR102590201B1 (ko) * 2021-05-24 2023-10-17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48B1 (ko) 2010-08-17 2012-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JP5601385B2 (ja) 2011-02-15 2014-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ダプ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ならびに車両の制御方法
JP2014203516A (ja) 2013-04-01 2014-10-27 日立金属株式会社 車両用充電アダプタ及び車両用充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48B1 (ko) 2010-08-17 2012-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JP5601385B2 (ja) 2011-02-15 2014-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ダプ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ならびに車両の制御方法
JP2014203516A (ja) 2013-04-01 2014-10-27 日立金属株式会社 車両用充電アダプタ及び車両用充電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8672A1 (de) 2018-06-01 2019-12-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destecker
KR102285356B1 (ko) 2020-02-11 2021-08-03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초소형 전기차 및 e-모빌리티용 충전중 인체안전기능이 포함된 완속충전기용 젠더
KR102316789B1 (ko) 2020-06-30 2021-11-02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멀티핀충전젠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997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860B1 (ko) 젠더
US9368782B2 (en) Manufacturing service disconnect that is part of busbar
CN205429084U (zh) 电池组和电池操作系统
US8827754B2 (en) Connector terminal
US20240022013A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and applications thereof
US9397327B2 (en) Battery connecting assembly
TW201429031A (zh) 具有匯流排條組裝的電池模組及包含此電池模組之電池組
US20160049695A1 (en) Battery module
US8784131B2 (en) Wire connect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US20110175570A1 (en) Electrical Outlet Cover For Charging Electrified Vehicles
US8523576B2 (en) Connector for coupling an electric motor to a power source
KR102029370B1 (ko)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US10516243B2 (en) Wire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two circuit assemblies
US20220376423A1 (en)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CN203850894U (zh) 一种车载充电器
CN107571766B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辅助固定装置
US9873329B2 (en) Electrified vehicle connector
JP2022177822A (ja) 車両用充電コネクタ
US20130040190A1 (en) High voltage secondary battery with earth member
CN205811222U (zh) 一种多功能车载充电器
KR101996448B1 (ko) 전기자동차용 아웃렛 커넥터
CN219717155U (zh) 一种预充回路线束安装盒和电池包高压配电盒
CN211530003U (zh) 电池单元连接器及电池单元结构
US20220371458A1 (en)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KR10113323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