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756B1 - 관수로형 어도 - Google Patents

관수로형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756B1
KR101783756B1 KR1020150172353A KR20150172353A KR101783756B1 KR 101783756 B1 KR101783756 B1 KR 101783756B1 KR 1020150172353 A KR1020150172353 A KR 1020150172353A KR 20150172353 A KR20150172353 A KR 20150172353A KR 101783756 B1 KR101783756 B1 KR 10178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ish
downstream
upstream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746A (ko
Inventor
이효상
신원석
윤유승
이현우
곽새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7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며 원활한 어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도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를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어 어류의 출구를 이루는 상류어도모듈과, 보를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되어 어류의 입구를 이루는 하류어도모듈 및 상기 상류어도모듈과 상기 하류어도모듈을 연결하여 내부로 어류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수로관을 포함하는 관수로형 어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수로형 어도{PIPE CHANNEL TYPE FISH WAY}
본 발명은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수로 형태를 적용하고 물고기의 휴식 공간을 추가하는 등 어류의 이동 환경을 최적화한 관수로형 어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국토 종합개발 계획 등에 의한 대규모 간척 사업이나 또는 다목적 댐 혹은 각종 보의 건축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건축 사업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이 갑문이나 보 혹은 덧문 등에 의해 이동 통로가 차단되는 어류들의 어도(魚道)를 확보하는 일이며, 이는 생태계 복원은 물론 어족 자원의 증식 효과를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어도의 종류로서는 풀이 계단식으로 연속되어 있는 풀 형식 (Pool Type), 낙차가 없이 연속된 유로형상을 가지는 수로형식(Channel Type), 시설이 인위적인 조작으로 작동되는 조작형식 (Operation Type), 기타형식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풀 형식은 계단식과 버티컬 슬롯식(Vertical Slot) 및 잠공식(Orifice)으로 구분되고, 계단식은 전면월류형과 부분월류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수로형식은 데닐식(Denil), 도벽식, 인공하도식으로 구분되고, 데닐식은 표준 데닐형과 급경사형 및 등선형 데닐식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조작형식은 리프트/엘리버티어식, 갑분식, 피시 펌프식(Fish Pump Type), 트럭식(Truck)으로 구분되고, 갑분식은 갑문형(Lock Gate)과 볼랜드형으로 구분된다.
기타 형식으로 암거식(Culvert), 혼합식(병용식), 복합식(Hybrid)으로 구분되며, 상기 풀형식 계단식 부분월류형 어도는 일명 "아이스 하버식(Ice Harbor Type) 어도"라고도 불린다.
한편, 기존의 어도는 하상 및 보의 외부에 설치되어 갈수기에는 어도로 물이 충분히 흐르지 않게 되어, 어도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어도 본체가 하상 위로 노출되어 자연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개방된 구조로 인하여 새 등의 포식자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939562호 (2010.01.22.) 등록특허 제10-1137942호 (2012.04.1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어도 내 일정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가 용이하며 시각적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어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수로형 어도는, 보를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어 어류의 출구를 이루는 상류어도모듈; 보를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되어 어류의 입구를 이루는 하류어도모듈; 상기 상류어도모듈과 상기 하류어도모듈을 연결하여 내부로 어류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수로관; 상기 상류어도모듈에 연결된 연결수로관과 상기 하류어도모듈에 연결된 연결수로관에 연결되어 어류가 머무를 수 있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류어도모듈은, 상기 연결수로관과 연통되게 연결됨과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상류모듈몸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부양되어 상기 개구부 내측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류어도모듈은, 상기 연결수로관과 연통되게 연결됨과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출입부가 구비되는 하류모듈몸체부, 및 상기 출입부로 어류의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류모듈몸체부 외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부 외주부에 연결수로관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형태의 채광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로관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름관 형태의 상기 연결수로관의 외부로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류모듈의 출입부에 보조유입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유입모듈은, 상부면이 개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부; 개방된 상기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메인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로관의 기 설정 영역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상기 연결수로관 내측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찰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로관은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구비되어 상기 연결수로관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저감시키는 유속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로형 어도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류어도모듈의 개구부에 자체 부력에 의한 수위조절부를 적용하여 수위조절과 함께 어류의 원활한 유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결모듈을 적용하여 어류의 쉼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류어도모듈의 출입부 주위로 가이드부를 적용함으로써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수로관 내부에 유속저감부를 적용하여 어류수로관 내측을 유동하는 물의 유동속도를 저감함으로써 어류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어도의 적용이 가능하며, 각각 별개의 독립된 모듈로 적용함으로써 일부 구성의 파손 시 교체가 가능하므로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로형 어도가 설치된 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이 연결된 상류어도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이 연결된 하류어도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상기 연결수로관에 연결되는 연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따른 연결수로관의 단면도.
도 9는 상술한 상류어도모듈과 하류어도모듈 및 연결모듈 그리고 연결수로관을 다른 형태로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상기 도 9에 적용되는 보조유입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로형 어도가 설치된 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관수로형 어도(100)는 상류어도모듈(110), 하류어도모듈(130) 및 연결수로관(170)을 포함한다.
상기 상류어도모듈(110)은 물이 흐르는 곳에 설치된 보를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어도(100)를 통하여 하류로부터 유입된 어류가 상류로 가는 어류의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류어도모듈에 연결수로관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어도모듈(110)은 외관을 이루는 상류모듈몸체부(114)와 수위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류모듈몸체부(114)는 내부에 중공부(112)가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구부(1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로관(17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류모듈몸체부(114)는 연결홀(11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부(120)는 상기 상류모듈몸체부(114)의 개구부(116)에 물의 부력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이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116) 일부 영역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위조절부(120)가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위조절부(120)에는 가이드부가 적용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상류모듈몸체부(114) 내측으로 가이드홈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류어도모듈(130)은 보를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되어 어류가 출입되는 입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류어도모듈에 연결수로관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류어도모듈(130)은 외관을 이루며 어류가 출입 가능한 출입부(136)가 구비됨과 동시에 내부에 중공부(132)가 구비된 하류모듈몸체부(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류모듈몸체부(134)도 상기 연결수로관(170)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홀(138)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류어도모듈(130)은 상기 출입부(136)로 어류의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류모듈몸체부(134) 외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40)는 한 쌍이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펼쳐진 형태로 설치되어 어류가 상기 하류어도모듈의 출입부(136)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류모듈몸체부(134)와 상기 가이드부(140)는 동일 재질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수로관(170)은 상기 상류어도모듈(110)과 하류어도모듈(130)을 연결하는 구성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수로관(17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연통되게 이루어지는 소정의 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로관(170)은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직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의 단위 연결수로관(170) 복수 개가 어도가 설치되는 지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170)의 일부 단면도로서, 상기 연결수로관(170) 내측에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유속저감부(1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속저감부(177)는 연결수로관(170) 내측에 서로 다른 위치 및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용되어 상기 연결수로관(17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저감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연결수로관(170) 내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연결수로관에 연결되는 연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수로형 어도(100)는 연결모듈(1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150)은 내부 중공부(152)가 구비되며 외관을 이루는 연결모듈몸체부(154)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모듈몸체부(154)에는 상기 연결수로관(170)이 연결되는 연결홀(158)이 한 쌍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홀(158)에 각각 연결수로관(17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물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류모듈몸체부(114), 하부모듈몸체부(134)와 연결모듈몸체부(154)는 친환경적 황토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수로관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270)은 연결수로관이 어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형에 배치된 후에 연결수로관(27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부 외주부로 연결수로관(270)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형태로 채광홀(273)이 구비된다.
상기 채광홀(273)을 통하여서는 연결수로관(270) 내부로 태양빛이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연결수로관(270) 내부 미생물 등의 성장에 도움을 주게 되며 이에 따라서 어류에 보다 유용한 환경 생태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370)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되,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연결수로관(370)의 외부로 고정홀(372)이 구비된 고정부(373)가 복수 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연결수로관(370)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 별도의 스트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홀(372) 두 개 이상을 연결하여 고정시키어 길이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보 주변 현장 설치에 보다 용이하게 연결수로관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7에 따른 연결수로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 8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로관(370)도 유속저감부(37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배치와 형태를 이루는 유속저감부(377)가 소정 구역에 걸쳐 반복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수로관(370)의 길이 조절 시 유속저감부(377)에 의하여 연결수로관 내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상술한 상류어도모듈과 하류어도모듈 및 연결모듈 그리고 연결수로관을 다른 형태로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의 상부와 하부 모두를 둘러 감싸는 형태가 아닌 보의 일측으로 상기 상류어도모듈(110)과 연결모듈(150)을 연결수로관(170)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상기 연결모듈(150)과 상기 하류어도모듈(130)을 다시 보를 따라서 연결수로관(170)을 이용 연결시키는 어도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류어도모듈(110)과 연결모듈(150)을 연결하는 연결수로관(170)에는 별도로 연결수로관(17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학습창(175)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보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은 상기 학습창(175)을 이용 연결수로관(170) 내부 어류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류어도모듈(130)의 출입부(136)에는 별도의 보조유입모듈(18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적용되는 보조유입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보조유입모듈(180)은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이 개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개구부(183)가 형성된 메인부(181)와 상기 개방된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부(18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부(181)의 양측 및 상기 커버부(187)의 중앙부에는 관찰창(182, 188)이 각각 적용된 구성을 이룬다.
또한, 상기 메인부(181)의 일측으로는 가이드부(140)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관수로형 어도에 의하면, 상기 상류어도모듈(110)의 개구부(114)에 자체 부력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는 수위조절부(120)를 적용하여 물의 수위를 원활하게 조절함으로써 어류의 원활한 유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어류가 이동하는 연결수로관(170)의 일부 구간에 연결모듈(150)을 적용하여 어류의 쉼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로관(170) 내부에 유속저감부(177)를 적용하여 어류수로관 내측을 유동하는 물의 유동속도를 저감함으로써 어류의 원활한 이동도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다양한 형태로 어도의 적용이 가능하며, 각각 별개의 독립된 모듈로 적용함으로써 일부 구성의 파손 시 해당 구성만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관수로형 어도 110: 상류어도모듈
114: 상류모듈몸체부 116: 개구부
120: 수위조절부 130: 하류어도모듈
134: 하류모듈몸체부 136: 출입부
150: 연결모듈 154: 연결모듈몸체부
170, 270, 370: 연결수로관 175: 학습창
177, 377: 유속저감부 273: 채광홀

Claims (6)

  1. 보를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어 어류의 출구를 이루는 상류어도모듈; 보를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되어 어류의 입구를 이루는 하류어도모듈; 상기 상류어도모듈과 상기 하류어도모듈을 연결하여 내부로 어류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수로관; 상기 상류어도모듈에 연결된 연결수로관과 상기 하류어도모듈에 연결된 연결수로관에 연결되어 어류가 머무를 수 있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류어도모듈은, 상기 연결수로관과 연통되게 연결됨과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상류모듈몸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부양되어 상기 개구부 내측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류어도모듈은, 상기 연결수로관과 연통되게 연결됨과 동시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출입부가 구비되는 하류모듈몸체부, 및 상기 출입부로 어류의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하류모듈몸체부 외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부 외주부에 연결수로관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형태의 채광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류모듈의 출입부에 보조유입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유입모듈은, 상부면이 개방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부; 개방된 상기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메인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형 어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로관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형 어도.
  3. 제 2항에 있어서,
    주름관 형태의 상기 연결수로관의 외부로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형 어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로관의 기 설정 영역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상기 연결수로관 내측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찰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형 어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로관은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구비되어 상기 연결수로관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저감시키는 유속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형 어도.
KR1020150172353A 2015-12-04 2015-12-04 관수로형 어도 KR101783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53A KR101783756B1 (ko) 2015-12-04 2015-12-04 관수로형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353A KR101783756B1 (ko) 2015-12-04 2015-12-04 관수로형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746A KR20170066746A (ko) 2017-06-15
KR101783756B1 true KR101783756B1 (ko) 2017-10-11

Family

ID=5921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353A KR101783756B1 (ko) 2015-12-04 2015-12-04 관수로형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7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62B1 (ko) * 2009-06-19 2010-01-29 이성우 다단 나선형 어도
KR101061356B1 (ko) * 2009-03-16 2011-08-31 김종식 어도의 유지수량과 유속을 저감하는 원통형 파이프라인 개,폐부를 구비한 사이펀 어도
KR101555831B1 (ko) * 2015-02-25 2015-09-30 주식회사 자연환경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356B1 (ko) * 2009-03-16 2011-08-31 김종식 어도의 유지수량과 유속을 저감하는 원통형 파이프라인 개,폐부를 구비한 사이펀 어도
KR100939562B1 (ko) * 2009-06-19 2010-01-29 이성우 다단 나선형 어도
KR101555831B1 (ko) * 2015-02-25 2015-09-30 주식회사 자연환경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746A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206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활용한 어류 양식 설비
KR101555831B1 (ko)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KR101046036B1 (ko) 안전어도
WO2018223611A1 (zh) 一种极地航行船舶海底门的进水结构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KR100955709B1 (ko)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101783756B1 (ko) 관수로형 어도
KR101033101B1 (ko) 투명한 사이펀형 파이프라인 수조 로된 사이펀 수족관
KR101288089B1 (ko)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KR101079463B1 (ko) 어도장치 및 어도블록
JP5269541B2 (ja) 通船ゲート
KR20110111343A (ko) 댐에 설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연중 역할이 가능한 어도 장치
KR20140135130A (ko) 수중보, 댐에 설치한 인공어도
KR101025819B1 (ko) 회전수문에 설치되는 어도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CN207235857U (zh) 微流水蛙卵孵化装置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US6641328B1 (en) Fish protective water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479435Y1 (ko) 잠수함의 상부 케이싱 내부의 충/배수 조절장치
KR101120542B1 (ko) 하천에서 보용 어도
KR20100127386A (ko) 어도가 구비된 전도식 수문
JP5654953B2 (ja) 浮沈式フェンス
CN205560012U (zh) 水利管道结构
KR20180108355A (ko) 제방에 연설된 어도
KR20180134112A (ko) 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