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657B1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657B1
KR101782657B1 KR1020127004675A KR20127004675A KR101782657B1 KR 101782657 B1 KR101782657 B1 KR 101782657B1 KR 1020127004675 A KR1020127004675 A KR 1020127004675A KR 20127004675 A KR20127004675 A KR 20127004675A KR 101782657 B1 KR101782657 B1 KR 10178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aminated glass
glass
interlay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332A (ko
Inventor
주이치 후카타니
히로후미 기타노
다이조우 이이
다카즈미 오카바야시
류타 츠노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4Joining glass to metal by means of an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32B17/10633Infrared radiation absorbing or reflec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4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차열성이 높으며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2)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차열 입자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함유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을 함유량 A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성분의 함유량을 함유량 B로 하였을 때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2)에서의 상기 함유량 A는 0.1 내지 3 중량부의 범위 내이고, 상기 함유량 A의 상기 함유량 B에 대한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는 3 내지 2000의 범위 내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자동차 또는 건축물 등의 접합 유리에 이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의 비산량이 적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한쌍의 유리판의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및 건축물의 개구부에 이용되는 접합 유리에는 높은 차열성이 요구된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nm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량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커서, 적외선이 물질에 일단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불리고 있다. 따라서,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외선을 충분히 차단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또는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등의 차열 입자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WO01/25162A1
최근에 ITO 입자 또는 ATO 입자를 포함하는 종래의 중간막의 차열성을 더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ITO 입자 또는 ATO 입자는 근적외선을 충분히 흡수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간막 중에 ITO 입자 또는 ATO 입자를 첨가한 것만으로는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크게 높이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면, 미국에 있어서 캘리포니아 대기 자원 위원회(CARB(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는 온실 효과 가스를 삭감하기 위하여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는 것을 제안하고 있었다.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CARB는 접합 유리를 투과하여 자동차 내에 유입되는 열 에너지를 규제하여 에어컨에서 소비되는 연료를 감소시키고,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CARB는 쿨 카 규제(Cool Cars Standards)의 도입을 예정하고 있었다.
상기 쿨 카 규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2012년에 자동차에 이용되는 접합 유리의 Tts(총 일사 투과율; Total Solar Transmittance)가 50% 이하인 것이 요구될 예정이었다. 2016년에는 상기 접합 유리의 상기 Tts가 40% 이하인 것이 요구될 예정이었다. 또한, 상기 Tts는 열선의 차폐성의 지표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열반 타입이라고 불리는 금속 박막을 증착한 유리 또는 열선 반사 PET를 이용한 열선 반사 접합 유리는 적외선뿐만 아니라 통신 파장 영역의 통신파를 반사한다. 열선 반사 접합 유리를 윈드실드에 이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센서류에 대응하기 때문에 열선 반사 부분을 도려낼 필요가 있다. 이 결과, Tts가 50%인 열선 반사 접합 유리를 이용한 윈드실드 전체면의 평균 Tts는 약 53%로 된다. 따라서, 통신파를 투과하고, 적외선을 흡수하는 타입의 접합 유리에서는 Tts가 53%까지 허용될 전망이었다.
2010년 8월의 시점에서는 상기 쿨 카 규제의 도입은 보류되었지만, 상기 Tts가 낮은 접합 유리가 요구되는 경향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에는 차열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투과율(Visible Transmittance)이 높은 것도 요구된다. 예를 들면,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게 유지한 채로 상기 Tts를 낮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차열 입자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경우에는, 높은 차열성과 높은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모두 만족하는 접합 유리를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 Tts 53% 이하 및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 70% 이상을 모두 만족하는 접합 유리를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열성이 높으며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차열 입자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을 함유량 A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성분의 함유량을 함유량 B로 하였을 때, 상기 함유량 A가 0.1 내지 3 중량부의 범위 내이고, 상기 함유량 A의 상기 함유량 B에 대한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3 내지 2000의 범위 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는 6 내지 1300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는 25 내지 600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함유량 A는 0.2 내지 2 중량부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함유량 B는 0.001 내지 0.02 중량부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성분은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또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와,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간막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차열 입자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함유하며, 차열 입자의 함유량 A가 0.1 내지 3 중량부의 범위 내이고, 차열 입자의 함유량 A의 상기 성분의 함유량 B에 대한 비(함유량 A/함유량 B)가 3 내지 2000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차열성이 높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은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차열 입자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함유한다. 이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을 성분 X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중량부)을 함유량 A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중량부)을 함유량 B로 하였을 때, 상기 함유량 A가 0.1 내지 3 중량부의 범위 내이고, 상기 함유량 A의 상기 함유량 B에 대한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3 내지 2000의 범위 내이다. 상기 차열 입자가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 A는 금속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상기 차열 입자가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 A는 ITO 입자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차열 입자와 상기 성분 X가 병용되어 있으며 이들 함유량이 상기 관계를 만족하는 데에 있다. 이에 의해, 차열성이 충분히 높으며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은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Tts가 충분히 낮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은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차열성 및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예를 들면 캘리포니아 대기 자원 위원회(CARB)가 도입을 예정하고 있었던 쿨 카 규제의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합 유리의 상기 Tts를 53%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유리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2010년 8월의 시점에서는 상기 쿨 카 규제의 도입은 보류되었지만, 상기 Tts가 낮은 접합 유리가 요구되는 경향에 변함은 없다.
종래, ITO 입자 등의 차열 입자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Tts가 53% 이하이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을 모두 만족하는 접합 유리를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상기 Tts 53% 이하 또한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 70% 이상을 모두 만족하는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미국에 있어서 도입이 예정되어 있었던 쿨 카 규제에 대응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Tts 및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의 성능은 상기 쿨 카 규제에서 요구되고 있었던 성능이다. 상기 Tts는, 예를 들면 도입이 예정되어 있었던 쿨 카 규제에 의해 정해진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종래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해 접합 유리 구성 부재에 대한 중간막의 접착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80 내지 99.8 몰%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0,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0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3,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00이다. 상기 중합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중합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성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면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15 내지 40 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8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 몰%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중간막의 접착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낮아져 중간막의 취급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원료로 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3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5 몰%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몰%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가소제의 상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중간막의 내습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부티랄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3 몰%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5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 몰%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낮은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와 수산기의 함유율(비닐알코올량)을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몰분율을 산출하고, 이어서 100 몰%로부터 아세틸화도와 수산기의 함유율을 빼는 것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가소제)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로서 종래 공지된 가소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및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박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트리에틸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리에이트, 아디프산 디헥실, 아디프산 디옥틸, 아디프산 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 헵틸과 아디프산 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 디이소노닐,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아디프산 헵틸노닐, 세박산 디부틸, 오일 변성 세박산 알키드, 및 인산 에스테르와 아디프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아디프산 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디-2-에틸부티레이트(3GH)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부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6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중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중간막의 투명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차열 입자)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차열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nm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량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커서, 적외선이 물질에 일단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ITO 입자 등의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핑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핑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핑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핑 산화티탄 입자, 나트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핑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핑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육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으며 입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투명성 및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10nm,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nm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80nm,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nm,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5nm이다. 평균 입경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열선의 차폐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평균 입경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부피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니끼소사 제조 「UPA-EX150」)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상기 함유량 A는 0.1 내지 3 중량부의 범위 내이다. 상기 함유량 A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차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상기 Tts를 충분히 낮출 수 있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Tts를 53% 이하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유량 A가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값이 높아진다. 상기 함유량 A의 바람직한 하한은 0.1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5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0.6 중량부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65 중량부이다. 상기 함유량 A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상기 Tts를 한층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함유량 A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차열 입자를 0.1 내지 12g/m2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차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상기 Tts를 충분히 낮출 수 있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비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0.5g/m2,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8g/m2,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5g/m2,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3g/m2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11g/m2,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0g/m2,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9g/m2,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7g/m2이다. 상기 비율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상기 Tts를 한층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비율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X)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이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성분 X로서 종래 공지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차열 입자와 상기 성분 X의 병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 ITO 입자와 상기 성분 X의 병용에 의해 적외선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이고 상기 Tts를 한층 더 낮추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며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은 레벨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상기 함유량 A의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함유량 B에 대한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는 3 내지 2000의 범위 내이다.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차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상기 Tts를 충분히 낮출 수 있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Tts를 53% 이하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의 바람직한 하한은 6,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5,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30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13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50,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50이다.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성분 X를 0.01 내지 0.5g/m2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차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상기 Tts를 충분히 낮출 수 있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성분 X의 비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0.05g/m2,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8g/m2,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1g/m2,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0.12g/m2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0.4g/m2,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3g/m2,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25g/m2,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2g/m2이다. 상기 비율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상기 Tts를 한층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비율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성분 X의 함유량(함유량 B)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성분 X의 함유량 B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014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0.0025 중량부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0.0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0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01 중량부이다. 상기 함유량 B가 상기 바람직한 하한을 만족하면,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상기 Tts를 한층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함유량 B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유량 B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접합 유리의 채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채도는 JIS Z8729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상기 채도의 바람직한 상한은 65,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40,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35이다. 상기 채도가 상기 바람직한 상한을 만족하면, 접합 유리의 착색을 억제할 수 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는 중간막(2)과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를 구비한다. 중간막(2)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이용된다. 중간막(2)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2)은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2)은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접합 유리(1)는, 제1 접합 유리 구성 부재(3)와, 중간막(2)과,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4)가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중간막(2)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ITO 입자(5)와,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함유한다.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대신에,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이외의 성분 X를 이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중간막(2)은 복수의 ITO 입자(5)를 함유한다. ITO 입자(5) 이외의 다른 차열 입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중간막(2)은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1)에는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과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접합 유리(1)는 유리판 함유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및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또한,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가 유리판인 경우에, 상기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가 PET 필름인 경우에, 상기 PET 필름의 두께는 0.03 내지 0.5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의 사이에 중간막(2)을 끼우고 가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여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3, 4)와 중간막(2)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접합 유리(1)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접합 유리(1)는 자동차의 전방 유리, 사이드 유리, 후방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접합 유리(1)는 이들 용도 이외로도 사용할 수 있다. 차열성이 높고, 상기 Tts가 낮으며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접합 유리(1)는 자동차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차열성이 한층 더 우수한 접합 유리를 얻는 관점에서는, 접합 유리(1)의 상기 Tts는 5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이 한층 더 우수한 접합 유리를 얻는 관점에서는, 접합 유리(1)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두께 2.0mm의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얻어진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두께 2.0mm의 2매의 열선 흡수판 유리의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얻어진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 흡수 판유리는 JIS R3208에 준거한 열선 흡수 판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두께 0.76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두께 2.0mm의 2매의 열선 흡수 판유리의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얻어진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이란,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측정되며, 얻어진 접합 유리의 파장 380 내지 780nm에서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의미한다.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분광 광도계(히따찌 하이테크사 제조 「U-4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 분산액의 제조
트리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 중량부, ITO 입자(미쯔비시 머티리얼사 제조) 0.98 중량부 및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구리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후지 필름사 제조 「FF IRSORB203」) 0.0182 중량부를 혼합하고, 분산제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더 첨가한 후, 수평형의 마이크로 비드 밀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그 후, 혼합액에 아세틸아세톤 0.1 중량부를 교반 하에서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은 차열 입자의 함유량의 1/1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2)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작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부티랄화도 68.5 몰%, 수산기량 30.5 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얻어진 분산액 전량을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를 이용해서 압출하여 두께 0.76mm의 중간막을 얻었다.
(3)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그 양단으로부터 JIS R3208에 준거한 2매의 열선 흡수 판유리(세로 30cm×가로 30cm×두께 2.0mm) 사이에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에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로 오븐 내로 옮기고 90℃에서 30분간 더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조성(배합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분산액,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2, 4에서도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은 차열 입자의 함유량의 1/1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비교예 3에서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평가)
(1) Tts 및 Tds(일사 직달 투과율; Solar Direct Transmittance)의 측정
도입이 예정되어 있었던 상기 쿨 카 규제에 의해 정해진 측정 방법에 따라, 얻어진 접합 유리의 상기 Tts 및 상기 Tds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분광 광도계(히따찌 하이테크사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JIS R3106(1998)에 준거하여 상기 Tts 및 상기 Tds를 측정하였다.
(2) 가시광선 투과율의 측정
분광 광도계(히따찌 하이테크사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얻어진 접합 유리의 파장 380 내지 780nm에서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3) 헤이즈값의 측정
헤이즈미터(도꾜 덴쇼꾸사 제조 「TC-HIIIDPK」)를 이용하여 JIS K6714에 준거하여, 얻어진 접합 유리의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4) 채도의 측정
분광 광도계(히따찌 하이테크사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얻어진 접합 유리의 파장 380 내지 780nm에서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JIS Z8729에 준거하여 L*a*b* 표색계에서의 a* 및 b*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a* 및 b*를 기초로 이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L*C*h 표색계에서의 채도 C*를 산출하였다.
[C*]=([a*]2+[b*]2)0.5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1에서는 분산액 중에서의 차열 입자의 부피 평균 입경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있어서, *1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함유량(중량부)을 나타내고, *2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중에서의 비율(g/m2)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1에서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Figure 112012014628435-pct00001
(실시예 14)
ITO 입자(미쯔비시 머티리얼사 제조)를 IZO 입자로 변경하고,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조성(배합량)을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분산액,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14에서도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은 차열 입자의 함유량의 1/1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실시예 15)
ITO 입자(미쯔비시 머티리얼사 제조)를 ATO 입자로 변경하고,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조성(배합량)을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분산액,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15에서도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은 차열 입자의 함유량의 1/1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실시예 14 내지 15의 평가)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와 동일한 평가 항목 (1) 내지 (4)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2에서는 분산액 중에서의 차열 입자의 부피 평균 입경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있어서, *1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함유량(중량부)을 나타내고, *2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중에서의 비율(g/m2)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2에서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Figure 112012014628435-pct00002
또한, 2매의 열선 흡수 판유리 대신에 2매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세로 30cm×가로 30cm×두께 2.5mm)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접합 유리에 대하여, Tts, Tds, 가시광선 투과율, 헤이즈값 및 채도를 평가한 결과의 값은,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접합 유리를 평가한 결과의 값과 마찬가지의 경향이었다.
1: 접합 유리
2: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1 접합 유리 구성 부재
4: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
5: ITO 입자

Claims (9)

  1.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차열 입자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을 함유량 A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성분의 함유량을 함유량 B로 하였을 때, 상기 함유량 A가 0.1 내지 3 중량부의 범위 내이고, 상기 함유량 A의 상기 함유량 B에 대한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3 내지 2000의 범위 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6 내지 1300의 범위 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기 함유량 A/상기 함유량 B)가 25 내지 600의 범위 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유량 A가 0.2 내지 2 중량부의 범위 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유량 B가 0.001 내지 0.02 중량부의 범위 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 입자가 금속 산화물 입자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 입자가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9.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와,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구성 부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중간막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막이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인 접합 유리.
KR1020127004675A 2009-08-24 2010-08-24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1782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3720 2009-08-24
JP2009193720 2009-08-24
JPJP-P-2009-225598 2009-09-29
JP2009225598 2009-09-29
PCT/JP2010/064246 WO2011024787A1 (ja) 2009-08-24 2010-08-24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332A KR20120065332A (ko) 2012-06-20
KR101782657B1 true KR101782657B1 (ko) 2017-09-27

Family

ID=4362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675A KR101782657B1 (ko) 2009-08-24 2010-08-24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164457A1 (ko)
EP (2) EP2471761B1 (ko)
JP (2) JP4949519B2 (ko)
KR (1) KR101782657B1 (ko)
CN (4) CN103693864B (ko)
BR (1) BR112012003911B1 (ko)
MX (1) MX336801B (ko)
RU (1) RU2526951C2 (ko)
WO (1) WO2011024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3864B (zh) * 2009-08-24 2017-01-1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WO2011040444A1 (ja) * 2009-09-29 2011-04-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5220956B2 (ja) * 2010-08-24 2013-06-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2043818A1 (ja) * 2010-09-30 2012-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2108537A1 (ja) * 2011-02-10 2012-08-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5781837B2 (ja) * 2011-06-03 2015-09-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サーモクロミック性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貼り付け用フィルム
KR20140095459A (ko) * 2011-11-01 2014-08-01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열선차폐성 점착제 조성물 및 열선차폐성 점착 시트
JP5613328B2 (ja) * 2012-02-10 2014-10-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414130B2 (en) 2012-07-31 2019-09-17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 and method of mounting laminated glass
JP6484033B2 (ja) 2013-06-14 2019-03-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031787A4 (en) 2013-08-05 2017-04-05 Asahi Glass Company, Limited Laminated glass for vehicle
CN103641336A (zh) * 2013-08-23 2014-03-19 南京凯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防紫外线及红外线隔热夹胶玻璃
KR102335700B1 (ko) * 2014-01-31 2021-12-0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설치 방법
CN106458744A (zh) * 2014-05-15 2017-02-22 旭硝子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DE102014214250B4 (de) 2014-07-22 2021-09-02 se ma Gesellschaft für Innovationen mbH UV/VIS-absorbierendes Verbundgla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2360779B1 (ko) * 2014-09-11 2022-02-10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설치 방법
BR112017005969B1 (pt) 2014-09-29 2023-04-11 Sekisui Chemical Co., Ltd Película intercamad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2016108228A (ja) 2014-11-10 2016-06-20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CN104527164A (zh) * 2014-12-08 2015-04-22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用夹胶玻璃及其加工方法
JPWO2016163409A1 (ja) * 2015-04-09 2018-02-0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その利用
WO2017196707A1 (en) 2016-05-09 2017-11-16 Kuraray America, Inc. Multilayer interlayer and glass laminate
CN110234713A (zh) * 2017-03-31 2019-09-1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热塑性树脂膜及含有玻璃板的叠层体
KR102050664B1 (ko) * 2018-06-05 2019-11-2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8502A1 (fr) 2001-07-26 2003-03-06 Sekisui Chemical Co., Ltd. Film intermediaire pour verre feuillete et verre feuille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87752T1 (de) * 1988-01-15 1993-04-15 Du Pon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flexionshologrammen in photopolymerisierbaren schichten.
DE19654296A1 (de) * 1996-12-27 1998-07-02 Bollig & Kemper Gmbh & Co Kg Beschichtung für ein elektrisch leitfähiges Substrat
DE60045822D1 (de) * 1999-10-01 2011-05-19 Sekisui Chemical Co Ltd Zwischenschichtfilm für verbundglas
CA2576890C (en) * 2004-09-02 2012-08-2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BRPI0516834A (pt) * 2004-10-01 2008-09-23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do e folha de resina termoplástica
JP2006240893A (ja) * 2005-02-28 2006-09-14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着色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US20080057185A1 (en) * 2005-12-30 2008-03-06 Wall Jason S Solar control laminates
US7886871B2 (en) * 2006-05-12 2011-02-15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1784533B1 (ko) * 2009-08-24 2017-10-1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03693864B (zh) * 2009-08-24 2017-01-1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WO2011040444A1 (ja) * 2009-09-29 2011-04-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8502A1 (fr) 2001-07-26 2003-03-06 Sekisui Chemical Co., Ltd. Film intermediaire pour verre feuillete et verre feuill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03911A2 (pt) 2016-03-29
JPWO2011024787A1 (ja) 2013-01-31
EP2471761A4 (en) 2013-02-06
BR112012003911B1 (pt) 2019-12-10
EP2692708B1 (en) 2015-03-04
RU2526951C2 (ru) 2014-08-27
CN105153609A (zh) 2015-12-16
MX336801B (es) 2016-02-02
CN103693864B (zh) 2017-01-18
EP2471761A1 (en) 2012-07-04
WO2011024787A1 (ja) 2011-03-03
MX2012001806A (es) 2012-05-08
JP5662957B2 (ja) 2015-02-04
CN102625785A (zh) 2012-08-01
EP2471761B1 (en) 2013-11-06
JP4949519B2 (ja) 2012-06-13
US20120164457A1 (en) 2012-06-28
CN103641337B (zh) 2017-01-18
CN103693864A (zh) 2014-04-02
CN103641337A (zh) 2014-03-19
JP2012126639A (ja) 2012-07-05
KR20120065332A (ko) 2012-06-20
RU2012111202A (ru) 2013-10-10
EP2692708A1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657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US10954356B2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194043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568508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8709605B2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JP5220956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2674405B1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1220687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