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405B1 -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405B1
KR101782405B1 KR1020170107928A KR20170107928A KR101782405B1 KR 101782405 B1 KR101782405 B1 KR 101782405B1 KR 1020170107928 A KR1020170107928 A KR 1020170107928A KR 20170107928 A KR20170107928 A KR 20170107928A KR 101782405 B1 KR101782405 B1 KR 101782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latches
shaped
circular tube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0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4Functioning details of supporting means for radiators
    • F24D19/0256Radiators clamped by supporting means
    • F24D19/0259Radiators clamped by supporting means around a column or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고정클립을 360도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위치를 조정하고, 조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클립몸체(20)에 형성되는 하향원통관(21); 스플라인돌기(22)가 형성되는 중공파이프(23); 하향원통관(21)에 형성되는 환형걸림홈(24); 슬래브(31)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 스플라인홈(32)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하향원통관(21)과 중공파이프(23)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향원통관(33); 하향원통관(21)을 지지하는 받침턱(34)(35); 상향원통관(33)과 동심을 이루는 호형지지벽(36)(37);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연장부(38); 연장부(38)에 설치되는 힌지고정부(40); 피봇중심(P1)(P2)을 갖는 한 쌍의 피봇핀(51)(61); 피봇핀(51)(61)에 의해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호형래치(50)(60); 호형래치(50)(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호형리브(52)(62); 호형래치(50)(60)에 각각 형성되는 싱크로기어(53)(63); 호형래치(50)(60)에 설치되는 스프링걸림핀(54)(64); 스프링걸림핀(54)(64)에 양단이 걸려서 설치되는 토글스프링(70); 걸림홈(82)(84)이 형성된 스토퍼(80)(81); 걸림홈(82)(84)에 걸리는 걸림턱(55)(6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Heating Pipe Retaining Clip}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에 포설되는 난방배관을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고정클립을 360도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위치를 조정하고, 조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배관을 건축물 바닥에 포설하는 과정은 슬래브 바닥에 깔린 철망의 교차부위에 배관고정클립을 설치한 다음 난방배관을 바닥에 포설하면서 배관고정클립에 의해 고정하고, 난방배관과 철망을 시멘트모르타르로 매립하여 마감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난방배관 고정클립에 관한 종래기술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73799호로 제안된 바 있다. 이를 참조하면 바닥고정판에 형성된 원통부와 철망고정링의 사이에 철망의 교차부위를 끼워서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배관고정클립의 방향을 90도 단위로 밖에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난방배관의 포설방향이 변경되거나 곡선부위에 설치하는 경우 위치가 맞지 않아 배관고정클립이 벌어지면서 난방배관이 배관고정클립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68834호 (2012.07.2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31495호 (2013.11.2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73799호 (2014.1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난방배관의 포설방향에 따라 배관고정클립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배관고정클립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은, 클립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향원통관; 하향원통관의 내측 중심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플라인돌기가 형성되는 중공파이프; 하향원통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걸림홈; 슬래브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고, 스플라인돌기와 결합되는 스플라인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하향원통관과 중공파이프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향원통관; 상향원통관의 하단부 외측 코너부를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향원통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턱; 받침턱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향원통관과 동심을 이루는 호형지지벽; 받침턱의 단부 사이에 위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부를 중심에서 멀어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한 연장부; 연장부에 설치되는 힌지고정부;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힌지고정부에 설치되고, 피봇중심을 갖는 한 쌍의 피봇핀; 피봇핀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고, 닫힌 위치에서 호형지지벽의 상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호형래치; 호형래치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환형걸림홈으로 삽입되어 걸리거나 하향원통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호형리브; 피봇핀과 각각 동심을 이루도록 호형래치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 쌍의 싱크로기어; 호형래치에 각각 설치되고, 토글중심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걸림핀; 스프링걸림핀에 양단이 걸려서 설치되고, 호형래치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토글중심이 피봇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방향으로 치우쳐 어긋날 때 호형래치에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글스프링; 호형지지벽의 상단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스토퍼; 호형래치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고정부는, 연장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볼트체결부; 볼트체결부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편; 볼트체결부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곡되는 한 쌍의 수직판; 수직판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싱크로기어가 삽입되어 지지되, 피봇핀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ㄷ자 단면의 기어지지부; 연장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볼트체결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돌출턱; 걸림편이 끼워져 걸리고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치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난방배관(26)의 포설위치에 따라 배관고정클립(25)을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위치를 조정한 다음 스플라인돌기(22)와 스플라인홈(32)을 결합하면, 조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환형걸림홈(24)에 걸리는 호형래치(50)(60)에 의해 배관고정클립(25)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형래치(50)(60)를 열고 닫을 때 토글스프링(70)에 의해 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호형래치(50)(60)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힌지고정부(40)를 고정볼트(46)에 의해 연장부(38)에 고정할 때 걸림편(42)을 노치(38b)에 걸면서 볼트체결부(41)를 돌출턱(38a)에 밀착시키면, 체결공(41h)과 탭구멍(38t)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되기 때문에 볼트 체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볼트체결부(41) 한 개당 하나의 고정볼트(46)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고정볼트(46)를 체결할 때 걸림편(42)과 노치(38b)의 걸림작용에 의해 볼트체결부(41)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싱크로기어(53)(63)에 의해 양쪽 호형래치(50)(60)가 서로 동시에 닫히거나 열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호형래치(50)(60)의 개폐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형래치(50)(60)가 닫힌 상태에서 하향원통관(21)을 호형리브(52)(62)의 상면에 올려놓게 되면, 중공파이프(23)가 상향원통관(33)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배관고정클립(25)의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형래치(50)(60)와 호형리브(52)(62)에 의해 배관고정클립(25)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형래치(50)(60)의 밑면이 호형지지벽(36)(37)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호형래치(50)(60)의 압축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으로부터 두텁게 돌출된 받침턱(34)(35)에 의해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고정클립(25)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형래치(50)(60)가 닫혔을 때 호형래치(50)(6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55)(65)이 스토퍼(80)(81)에 형성된 걸림홈(82)(84)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호형래치(50)(60)를 상향원통관(33)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형래치(50)(60)의 단부가 상측으로 들뜨는 것을 방지해서 피봇핀(51)(61)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정지턱(57)(67)에 의해 개방된 호형래치(50)(60)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측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형래치와 힌지고정부, 토글스프링, 피봇핀을 분리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형래치가 개방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형래치가 개방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형래치가 닫힌 상태에서 하향원통관을 호형리브의 상면에 올리는 것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하향원통관이 호형리브 위에 지지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배관고정클립을 회전시켜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상태로부터 호형래치를 다시 개방하고 클립몸체를 하강시킨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호형래치가 닫힌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클립몸체가 하강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립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향원통관(21); 하향원통관(21)의 내측 중심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플라인돌기(22)가 형성되는 중공파이프(23); 하향원통관(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걸림홈(24)을 포함한다.
스플라인돌기(22)는, 도 7 및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삼각톱니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파이프(23)의 외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몸체(20)의 상부에는 난방배관(26)을 물리기 위한 배관고정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향원통관(21)과 중공파이프(23)도 클립몸체(2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동심을 이루는 중공파이프(23)과 하향원통관(21)은,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본 발명은 슬래브(31)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고, 스플라인돌기(22)와 결합되는 스플라인홈(32)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하향원통관(21)과 중공파이프(23)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향원통관(33)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한 다음 좌우 양측에 못고정부(39)를 형성하고, 슬래브(31) 바닥에 콘크리트 못(27)을 박기 위한 못구멍(39h)을 못고정부(39)에 형성해서 구성할 수 있다.
못고정부(39)와 못구멍(39h)은 좌우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향원통관(33)의 하단부 외측 코너부를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턱(34)(35); 받침턱(34)(35)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향원통관(33)과 동심을 이루는 호형지지벽(36)(37)을 포함한다.
받침턱(34)(35)의 양단은 서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호형지지벽(36)(37)은 받침턱(34)(35)과 함께 L자 단면모양을 갖도록 형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향원통관(33)이 만나는 하단 코너부위에 호형지지벽(36)(37)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받침턱(34)(35)의 단부 사이에 위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 일부를 중심에서 멀어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한 연장부(38); 연장부(38)에 설치되는 힌지고정부(40);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힌지고정부(40)에 설치되고, 피봇중심(P1)(P2)을 갖는 한 쌍의 피봇핀(51)(61)을 포함한다.
힌지고정부(40)는, 연장부(38)의 상면에 설치되는 볼트체결부(41); 볼트체결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편(42); 볼트체결부(41)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곡되는 한 쌍의 수직판(43)(44); 수직판(43)(44)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싱크로기어(53)(63)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피봇핀(51)(61)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ㄷ자 단면의 기어지지부(45); 연장부(38)의 상면에 형성되고, 볼트체결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돌출턱(38a); 걸림편(42)이 끼워져 걸리고 연장부(38)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치(38b)를 포함한다.
볼트체결부(41)의 중앙에 체결공(41h)을 형성하고, 연장부(38)에는 체결공(41h)의 중심과 일치되는 탭구멍(38t)을 형성해서 고정볼트(46)를 이용해서 볼트체결부(41)를 연장부(38)에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볼트체결부(41)의 가장자리가 돌출턱(38a)에 밀착되고, 걸림편(42)이 노치(38b)에 걸렸을 때 체결공(41h)과 탭구멍(38t)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해서 체결공(41h)과 탭구멍(38t)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립작업이 편리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돌출턱(38a)과 걸림편(42), 노치(38b)는 고정볼트(46)를 이용해서 볼트체결부(41)를 연장부(38)에 설치할 때 볼트체결부(41)가 고정볼트(46)를 따라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면 중 힌지고정부(40)는 전후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동일부분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피봇핀(51)(61)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고, 닫힌 위치에서 호형지지벽(36)(37)의 상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호형래치(50)(60); 호형래치(50)(6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환형걸림홈(24)으로 삽입되어 걸리거나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호형리브(52)(62); 피봇핀(51)(61)과 각각 동심을 이루도록 호형래치(50)(60)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 쌍의 싱크로기어(53)(63)를 포함한다.
호형래치(50)(60)와 호형리브(52)(62)는, 예를 들면 철(凸)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호형래치(50)(60)를 개폐하기 위해 한쪽 호형래치(50)(60)에 힘을 한 경우 싱크로기어(53)(63)의 맞물림에 의해 양쪽 호형래치(50)(60)가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도면 중 호형래치(50)(60) 및 주변 구성품은 전후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동일부분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호형래치(50)(60)에 각각 설치되고, 토글중심(T1)(T2)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걸림핀(54)(64); 스프링걸림핀(54)(64)에 양단이 걸려서 설치되고, 호형래치(50)(6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토글중심(T1)(T2)이 피봇중심(P1)(P2)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방향으로 치우쳐 어긋날 때 호형래치(50)(60)에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글스프링(70)을 포함한다.
토글스프링(70)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촘촘하게 감아서 만든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토글스프링(70)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를 스프링걸림핀(54)(64)에 걸어서 설치한다.
스프링걸림핀(54)(64)은, 호형래치(50)(60)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핀고정부(56)(66)에 형성된 핀구멍(56h)(66h)에 삽입해서 고정할 수 있으며, 토글스프링(70)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부호생략)를 걸기 위한 고리걸림홈(54g)(64g)을 스프링걸림핀(54)(64)의 외주면에 형성한다.
본 발명은 호형지지벽(36)(37)의 상단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걸림홈(82)(84)이 형성된 스토퍼(80)(81); 호형래치(50)(6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걸림홈(82)(84)에 걸리는 걸림턱(55)(65)을 포함한다.
스토퍼(80)(81)에 형성된 걸림홈(82)(84)은 호형래치(50)(60)가 상향원통관(33)과 동심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하는 위치결정 기능을 하게 되며, 호형래치(50)(60)의 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한다.
피봇핀(51)(61)은, 예를 들면 상단부에 원반형의 헤드(부호생략)를 형성할 수 있으며, 기어지지부(45)에 형성된 축구멍(45a)(45b)과 싱크로기어(53)(63)의 중심으로 관통시킨 다음 하단부로 돌출된 부분을 리벳머리 형태로 가압성형해서 기어지지부(45)에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래치(50)(60)의 외측에 정지턱(57)(67)을 형성해서 호형래치(50)(60)를 개방했을 때 정지턱(57)(67)이 기어지지부(45)에 걸리면서 호형래치(50)(60)가 정지되도록 해서 호형래치(50)(60)의 개방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지턱(57)(67)은 토글스프링(70)이 힌지고정부(40)의 수직판(43)(44)에 충돌하거나 주변 부품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래치(50)(6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턱(57)(67)이 기어지지부(45)에 걸리면서 피봇핀(51)(61)의 피봇중심(P1)(P2)과 스프링걸림핀(54)(64)의 토글중심(T1)(T2)이 항상 일정한 열림편심거리(G1)를 갖도록 하는 작용을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래치(50)(60)가 닫힌 상태에서 걸림턱(55)(65)이 스토퍼(80)(81)에 형성된 걸림홈(82)(84)에 걸리면서 피봇핀(51)(61)의 피봇중심(P1)(P2)과 스프링걸림핀(54)(64)의 토글중심(T1)(T2)이 항상 일정한 닫힘편심거리(G2)를 갖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못(27)을 이용해서 베이스 플레이트(30)를 슬래브(31)의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래치(50)(60)가 닫힌 상태에서 클립몸체(20)에 형성된 하향원통관(21)을 상향원통관(33)과 호형래치(50)(60) 사이로 삽입하게 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가 호형리브(52)(62)의 상면에 지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가 호형리브(52)(62)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중공파이프(23)가 상향원통관(33)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클립몸체(20)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몸체(20)를 회전시켜서 배관고정클립(25)의 위치를 난방배관(26)에 맞게 조정한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래치(50)(60)를 바깥쪽으로 벌려서 개방한 다음 하향원통관(21)을 하강시키게 되면,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가 받침턱(34)(35)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하향원통관(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돌기(22)가 상향원통관(33)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홈(32)에 결합되면서 클립몸체(20)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후 열려 있던 호형래치(50)(60)를 다시 닫게 되면,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래치(50)(60)에 형성된 호형리브(52)(62)가 하향원통관(21)에 형성된 환형걸림홈(24)으로 삽입되면서 클립몸체(20)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호형래치(50)(60)를 개폐하는 과정은, 호형래치(50)(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열리고, 호형래치(50)(6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면 닫히게 된다.
이때 스프링걸림핀(54)(64)의 토글중심(T1)(T2)이 피봇핀(51)(61)의 피봇중심(P1)(P2)에 가까워질수록 토글스프링(70)이 신장되면서 수축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지니게 되는데, 만일 호형래치(50)(60)가 열리고 있는 상태라면 스프링걸림핀(54)(64)의 토글중심(T1)(T2)이 피봇핀(51)(61)의 피봇중심(P1)(P2)을 지나칠 때 호형래치(50)(60)는 토글스프링(70)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어 자동으로 개방되며, 이와는 다르게 호형래치(50)(60)가 닫히고 있는 상태라면 스프링걸림핀(54)(64)의 토글중심(T1)(T2)이 피봇핀(51)(61)의 피봇중심(P1)(P2)을 지나칠 때 호형래치(50)(60)는 토글스프링(70)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또, 호형래치(50)(60)가 개방될 때는 정지턱(57)(67)이 기어지지부(45)에 걸리는 순간 호형래치(50)(60)의 개방이 정지되며, 호형래치(50)(60)가 닫힐 때에는 걸림턱(55)(65)이 스토퍼(80)(81)에 형성된 걸림홈(82)(84)에 걸리는 순간 닫힘이 정지된다.
호형래치(50)(60)를 개폐할 때 서로 맞물려 있는 싱크로기어(53)(63)에 의해 호형래치(50)(60)가 동일한 각도로 움직이면서 개폐된다.
20 : 클립몸체 21 : 하향원통관
22 : 스플라인돌기 23 : 중공파이프
24 : 환형걸림홈 25 : 배관고정클립
26 : 난방배관 27 : 콘크리트 못
30 : 베이스 플레이트 31 : 슬래브
32 : 스플라인홈 33 : 상향원통관
34,35 : 받침턱 36,37 : 호형지지벽
38 : 연장부 38a : 돌출턱
38b : 노치 38t : 탭구멍
39 : 못고정부 39h : 못구멍
40 : 힌지고정부 41 : 볼트체결부
41h : 체결공 42 : 걸림편
43,44 : 수직판 45 : 기어지지부
45a,45b : 축구멍 46 : 고정볼트
50,60 : 호형래치 51,61 : 피봇핀
P1,P2 : 피봇중심 52,62 : 호형리브
53,63 : 싱크로기어 54,64 : 스프링걸림핀
54g,64g : 고리걸림홈 T1,T2 : 토글중심
55,65 : 걸림턱 56,66 : 핀고정부
56h,66h : 핀구멍 57,67 : 정지턱
70 : 토글스프링 80,81 : 스토퍼
82,84 : 걸림홈 G1 : 열림편심거리
G2 : 닫힘편심거리

Claims (2)

  1. 클립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향원통관(21);
    상기 하향원통관(21)의 내측 중심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플라인돌기(22)가 형성되는 중공파이프(23);
    상기 하향원통관(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걸림홈(24);
    슬래브(31)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돌기(22)와 결합되는 스플라인홈(32)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향원통관(21)과 상기 중공파이프(23)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향원통관(33);
    상기 상향원통관(33)의 하단부 외측 코너부를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턱(34)(35);
    상기 받침턱(34)(35)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향원통관(33)과 동심을 이루는 호형지지벽(36)(37);
    상기 받침턱(34)(35)의 단부 사이에 위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 일부를 중심에서 멀어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한 연장부(38);
    상기 연장부(38)에 설치되는 힌지고정부(40);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힌지고정부(40)에 설치되고, 피봇중심(P1)(P2)을 갖는 한 쌍의 피봇핀(51)(61);
    상기 피봇핀(51)(61)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고, 닫힌 위치에서 상기 호형지지벽(36)(37)의 상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호형래치(50)(60);
    상기 호형래치(50)(6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환형걸림홈(24)으로 삽입되어 걸리거나 상기 하향원통관(2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호형리브(52)(62);
    상기 피봇핀(51)(61)과 각각 동심을 이루도록 상기 호형래치(50)(60)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한 쌍의 싱크로기어(53)(63);
    상기 호형래치(50)(60)에 각각 설치되고, 토글중심(T1)(T2)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걸림핀(54)(64);
    상기 스프링걸림핀(54)(64)에 양단이 걸려서 설치되고, 상기 호형래치(50)(6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토글중심(T1)(T2)이 상기 피봇중심(P1)(P2)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방향으로 치우쳐 어긋날 때 상기 호형래치(50)(60)에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글스프링(70);
    상기 호형지지벽(36)(37)의 상단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걸림홈(82)(84)이 형성된 스토퍼(80)(81);
    상기 호형래치(50)(6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82)(84)에 걸리는 걸림턱(55)(65);
    을 포함하는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40)는,
    상기 연장부(38)의 상면에 설치되는 볼트체결부(41);
    상기 볼트체결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편(42);
    상기 볼트체결부(41)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곡되는 한 쌍의 수직판(43)(44);
    상기 수직판(43)(44)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싱크로기어(53)(63)가 삽입되어 지지되, 상기 피봇핀(51)(61)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ㄷ자 단면의 기어지지부(45);
    상기 연장부(38)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돌출턱(38a);
    상기 걸림편(42)이 끼워져 걸리고 상기 연장부(38)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치(38b);
    를 포함하는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20170107928A 2017-08-25 2017-08-25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178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28A KR101782405B1 (ko) 2017-08-25 2017-08-25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28A KR101782405B1 (ko) 2017-08-25 2017-08-25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405B1 true KR101782405B1 (ko) 2017-09-28

Family

ID=6003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928A KR101782405B1 (ko) 2017-08-25 2017-08-25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01B1 (ko) 2010-06-08 2012-11-01 유재현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101473799B1 (ko) 2014-10-15 2014-12-18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CN106523791A (zh) 2015-09-14 2017-03-2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用管线安装管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01B1 (ko) 2010-06-08 2012-11-01 유재현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101473799B1 (ko) 2014-10-15 2014-12-18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CN106523791A (zh) 2015-09-14 2017-03-2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用管线安装管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8371C2 (ru) Потолочная система со скрытой решеткой
US7637065B2 (en) Panel attachment clip
US10458452B2 (en) Tension rod and pivotable end caps for use therewith
US20040168382A1 (en) Adjustment device and building element
US8250822B2 (en) Wall framing system, method and product
KR101604111B1 (ko)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US20210345808A1 (en) Self-Tapping Brackets
KR101782405B1 (ko)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KR101474512B1 (ko) 걸쇠와 클립바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구조
US20140186103A1 (en) Connection System For Meeting Rail Of Window
KR101950678B1 (ko) 건축용 조적벽 보강장치
KR20080074688A (ko) 건축용 서포터
US20180209189A1 (en) Slip resistant glass hinge system
WO2023045831A1 (zh) 墙板安装装置及墙板安装方法
JP2018059392A (ja) 開き窓ロックバー
KR101473799B1 (ko)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US2032315A (en) Rotary operative fastener installation and fastener for the same
US6988527B2 (en) Plug for counterbalancing mechanism,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 associated thereto
US20180028384A1 (en) Quarter turn track bracket (QTTB) for patient lifter ceiling track mechanism and methods thereof
US2025686A (en) Turn operated fastener and installation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KR101691580B1 (ko)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JP5574208B1 (ja) ブレース上部取付金具
KR101969058B1 (ko) 임시구조물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