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60B1 -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360B1
KR101782360B1 KR1020170019192A KR20170019192A KR101782360B1 KR 101782360 B1 KR101782360 B1 KR 101782360B1 KR 1020170019192 A KR1020170019192 A KR 1020170019192A KR 20170019192 A KR20170019192 A KR 20170019192A KR 101782360 B1 KR101782360 B1 KR 10178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mixer
frame body
channel
opening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 filed Critical (주)우진
Priority to KR102017001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360B1/ko
Priority to CN201820224015.XU priority patent/CN208287830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5/0602
    • B01F15/006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는, 관로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서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고, 관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태틱 믹서를 그 내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바디와, 프레임바디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관로의 상면에 걸리는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와, 일단부는 프레임바디의 하단부 결합되고 타단부는 관로의 상면에 결합하는 하부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METHOD FOR INSTALLING STATIC MIXER AND SUPPORTING DEVICE FOR STATIC MIXER}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중에도 스태틱 믹서를 유로 중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태틱 믹서(static mixer)는 다이나믹 믹서(dynamic mixer)에 비해서 장치의 부피가 작고, 유체의 체류시간의 평균 및 분산이 작은 특징이 있다. 또한, 스태틱 믹서는 압력 강하를 보상하기 위한 펌프와 컴프레서(compressor) 외에 교반기, 모터, 기어 박스 등의 구동을 위한 부품이 필요 없고, 유지 보수가 손쉬운 장점이 있다. 따라서 품질 관리를 위해 체류시간을 줄이면서 동시에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는 고분자 수지, 식품, 석유화학, 수처리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수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스태틱 믹서는 관로 중에 설치되어 유체를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수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스태틱 믹서를 관로 중에 설치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관로를 유동하는 유체를 차단하거나 제거한 후 스태틱 믹서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관로 속의 유체를 모두 제거한 후 스태틱 믹서를 설치하는 것은 공정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561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관로의 유체를 제거하거나 또는 차단하지 않고 스태틱 믹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태틱 믹서 설치방법은, 관로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개구부를 통해서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를 관로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내부에 스태틱 믹서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틱 믹서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와 연결되는 슬롯을 관로에 추가로 형성하고,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는 슬롯에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는 관로의 외부 일 면에 걸리게 되는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는, 관로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서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고, 관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태틱 믹서를 그 내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바디와, 프레임바디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관로의 상면에 걸리는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와, 일단부는 프레임바디의 하단부 결합되고 타단부는 관로의 상면에 결합하는 하부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바디의 일부는 개구부를 통해서 관로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는 프레임바디의 상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관로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하부지지부재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타단부가 프레임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면에는 개구부와 연통된 슬롯이 형성되고, 슬롯의 단부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지지부재는 슬롯에 삽입되어 타단부가 결합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하부지지부재는 직선 바 형상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하부지지부재 사이의 간격은 프레임바디의 폭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로의 내부에 유체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도 스태틱 믹서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스태틱 믹서 설치방법 및 그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가 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관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가 설치된 관로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가 관로(160)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가 설치되는 관로(16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100)가 설치된 관로(160)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는 관로(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태틱 믹서(도시하지 않음, 이하 동일함)를 관로 중에서 지지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는 관로(160)의 유체가 유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스태틱 믹서를 관로(16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지지장치(100)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프레임바디(110)와, 프레임바디(110)를 관로(160)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와, 프레임바디(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스태틱 믹서는 프레임바디(110)가 설치된 후 그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관로(160) 중에 설치되는 것이다.
관로(160)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162)를 제공하는 것으로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유로(162)의 내부에는 스태틱 믹서가 지지장치(10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위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유체가 스태틱 믹서에 의해서 혼합된다.
관로(160)의 상면에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가 삽입되는 개구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66)는 프레임바디(1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개구부(166)는 프레임바디(11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로(160)의 상면(164)에는 한 쌍의 슬롯(168)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68)은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홀(hole)로서 개구부(166)와 연통되어 있다. 한 쌍의 슬롯(168)의 폭은 개구부(166)의 폭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슬롯(168)의 단부에는 결합부재(170)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재(170)는 하부지지부재(150)의 타단부(154)와 체결되어 하부지지부재(150)를 상면(164)에 대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관로(160)는 직사각 단면을 갖는 유로(162) 및 편평한 상면(164)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로의 단면 및 상면(164)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는 원형의 유로와 곡선 형상의 상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166)가 아닌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프레임바디(110)는 다수 개의 수직프레임(112) 및 수평프레임(114)으로 형성되어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바디(110)는 네 개의 수직프레임(112)과 16개의 수평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진다. 4개의 수평프레임(114)은 직사각형을 형성하면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16개의 수평프레임(114)은 모두 4개의 수평층(132, 134, 136, 138)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14)은 수직프레임(11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바디(110)는 모두 4개의 수평층(132, 134, 136, 138)을 구비한다. 각각의 수평층(132, 134, 136, 138)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고 네 개의 수평프레임(114)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4개의 수평층 중에서 아래 3개의 수평층(132, 134, 136)은 관로(160)의 유로(162) 중에 위치할 수 있고 최상부의 수평층(138)은 관로(160)의 상면(164)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관로(160)의 유로(162) 중에 위치하는 수평층(132, 134, 136)은 스태틱 믹서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프레임바디(110)는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프레임바디(110)의 둘레면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층(138)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가 각각 구비된다.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의 일단부는 수평층(138)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관로(160)의 상면(164)에 위치한다.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는 관로(160)의 상면(164)에 걸려서 프레임바디(110)가 관로(16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고 프레임바디(110)가 유체에 의해서 위치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지지바(142, 146)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는 유체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상호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는 상호 대칭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는 최상부 수평층(138)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 수평층(136)까지 연장된다.
물론, 본 발명은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의 위치 및 형상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는 유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호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는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고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지지부재(150)는 최하층에 위치하는 수평층(132)에 연결되어서 프레임바디(110)를 관로(160)에 대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지지부재(150)는 한 쌍이 형성되고, 그 일단부(156)는 최하층의 수평층(132)에 연결되고 타단부(154)는 관로(16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부재(17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하부지지부재(150)는 프레임바디(110)의 하부를 지지하여서 유체의 유동에 의해서 프레임바디(110)의 하부가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최하층의 수평층(132)은 유동하는 유체 내부에 위치하고 최상부 수평층(138)에 위치하는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와 거리가 가장 멀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에 대해서 지지하는 힘이 가장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지지부재(150)는 이와 같이 유체의 유동에 가장 취약한 최하부 수평층(132)을 지지하여서 프레임바디(110)가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하부지지부재(150)는 연결부재(152)에 의해서 프레임바디(110)의 수평층(134)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지지부재(150)의 타단부(154)는 볼트 또는 핀(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결합부재(170)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지지부재(15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그 타단부(154)는 슬롯(168)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바디(11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는 하부지지부재(150)가 프레임바디(110)의 후방에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는 하부지지부재가 프레임바디(110)의 전방에서 관로(160)의 상면(164)과 결합해서 프레임바디(11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이용한 스태틱 믹서의 설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관로(160) 중에서 설치하기 이전에 우선, 관로(160)의 상면(164)에 상호 연통되는 개구부(166) 및 슬롯(168)을 각각 형성한다. 개구부(166)는 프레임바디(1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슬롯(168)은 하부지지부재(150)가 상부에서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168)의 단부에는 하부지지부재(150)의 단부와 연결되는 결합부재(170)를 설치한다.
관로(160)에 개구부(166) 및 슬롯(168)을 각각 형성한 후,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프레임바디(110)를 개구부(166)를 통해서 관로(16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하는데, 이 과정에서 하부지지부재(150)도 슬롯(168)을 통과하면서 관로(160)의 내부로 삽입된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관로(160)의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는 관로(160)의 상면(164)에 걸리게 되고, 하부지지부재(150)의 타단부(154)도 상면(164)에 대해 돌출되는데, 이로 인해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삽입이 완료된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관로(160) 중에 삽입을 완료한 후 하부지지부재(150)의 타단부(154)를 결합부재(170)에 체결 또는 결합함으로써,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설치 완료된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일부 수평층(132, 134, 136)은 관로(160)의 유로(162) 중에 위치하고 최상층 수평층(138)은 상면(164)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설치를 완료한 후 스태틱 믹서를 프레임바디(110)의 내부에 삽입한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가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기 때문에, 유체를 제거하거나 차단하지 않고 관로(160) 중에 유체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도 스태틱 믹서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는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의 지속적인 유동에 의해서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은, 관로(160)에 개구부(166)를 형성하는 단계와, 개구부(166)를 통해서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관로(160)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 내부에 스태틱 믹서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스태틱 믹서를 유체가 흐르는 관로(160) 중에 설치하기 위해서 우선 관로(160)의 외부에 해당하는 상면(164)에 개구부(166)를 형성한다(도 1 참조). 개구부(166)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가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경우 개구부(166)도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구부(166)의 크기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가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소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개구부(166)에 인접하도록 슬롯(168)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슬롯(168)은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가 하부지지부재(150)를 구비하는 경우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개구부(166)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슬롯(168)의 끝 부분에는 하부지지부재(150)가 체결되는 결합부재(17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개구부(166) 및 슬롯(168)을 통해서 관로(160)의 내부에 삽입한다(도 1 및 도 4 참조).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일부는 관로(16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관로(160)의 상면(164)에 대해서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전방걸림부재(140) 및 후방걸림부재(144)는 각각 상면(164)에 걸리게 됨으로써, 프레임바디(110) 전체가 관로(160)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게 한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를 개구부(166)를 통해 삽입하는 과정에서, 하부지지부재(150)도 슬롯(168)에 삽입되면서 그 일부가 관로(160)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타단부(154)는 관로(160)의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부재(170)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관로(160)에 대한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에 대한 설치를 완료한 후,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100)의 프레임 바디(110)의 내부에 스태틱 믹서를 삽입한다. 스태틱 믹서는 그 지지장치(100)의 수직프레임(112) 및 수평프레임(114)에 걸리게 됨으로써 그 내부에 위치 고정된다.
본 발명은 그 적용범위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틱 믹서 설치방법 및 그 지지장치는 하수처리는 물론 고분자 수지, 식품, 석유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태틱 믹서
110: 프레임 바디 112: 수직프레임
114: 수평프레임 132, 134, 136, 138: 수평층
140: 전방걸림부재 144: 후방걸림부재
150: 하부지지부재 160: 관로
166: 개구부 168: 슬롯

Claims (8)

  1. 관로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지지장치를 고정한 후 상기 지지장치 안으로 스태틱 믹서를 삽입하고,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슬롯을 상기 관로에 추가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스태틱 믹서 설치방법.
  2. 관로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지지장치를 고정한 후 상기 지지장치 안으로 스태틱 믹서를 삽입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관로의 외부 일 면에 걸리게 되는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스태틱 믹서 설치방법.
  3. 삭제
  4. 관로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서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관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태틱 믹서를 그 내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의 상면에 걸리는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바디의 하단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관로의 상면에 결합하는 하부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디의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관로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전방걸림부재 및 후방걸림부재는 상기 프레임바디의 상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관로의 상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6.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단부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타단부가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직선 바 형상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하부지지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프레임바디의 폭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KR1020170019192A 2017-02-13 2017-02-13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KR10178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92A KR101782360B1 (ko) 2017-02-13 2017-02-13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CN201820224015.XU CN208287830U (zh) 2017-02-13 2018-02-08 静态混合器支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92A KR101782360B1 (ko) 2017-02-13 2017-02-13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360B1 true KR101782360B1 (ko) 2017-09-27

Family

ID=6003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92A KR101782360B1 (ko) 2017-02-13 2017-02-13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2360B1 (ko)
CN (1) CN20828783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942B2 (ja) * 1995-11-01 2000-05-15 三愛工業株式会社 吸排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942B2 (ja) * 1995-11-01 2000-05-15 三愛工業株式会社 吸排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287830U (zh)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903B1 (en) Shelf support system
CN101443505B (zh) 用于将软管固定到家用器具的构件上的组件
KR101782360B1 (ko) 스태틱 믹서 설치 방법 및 스태틱 믹서 지지장치
US20180078974A1 (en) Sensor washing device
KR102041955B1 (ko) 벽걸이 기기용 벽면 고정장치
KR101598100B1 (ko) 배관 고정장치
TWM542051U (zh) 嵌板之安裝系統
CA3025670C (en) Panel systems and components
US9848503B2 (en) Electronic device
CN205740386U (zh) 净水器
US20180081260A1 (en) Camera lens washing device
US20150268270A1 (en) Testing device
US20200132095A1 (en) Fool-proof housing
KR10197519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CN213038493U (zh) 卫生嵌入件
KR101326461B1 (ko) 플러그인 타입 냉각수 모듈
CN106460390B (zh) 用于张紧的假天花板用的布的模块化钩挂装置
KR20170120356A (ko) 멀티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설치구조
KR101846352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150060345A1 (en) Filtering apparatus
CN105101806A (zh) 清箱单元
WO2017052233A1 (ko) 플라스틱 연료탱크용 조립 배플
KR102010923B1 (ko) 라디에이터 호스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CN216769869U (zh) 一种方便拆卸的制冷系统过滤网结构
KR101567960B1 (ko) 연결형 사각맨홀뚜껑의 단위 지지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