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21B1 -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2321B1 KR101782321B1 KR1020160125279A KR20160125279A KR101782321B1 KR 101782321 B1 KR101782321 B1 KR 101782321B1 KR 1020160125279 A KR1020160125279 A KR 1020160125279A KR 20160125279 A KR20160125279 A KR 20160125279A KR 101782321 B1 KR101782321 B1 KR 1017823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fixing member
- nodal
- gripping
- gripp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에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1그리핑유닛 및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에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2그리핑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그리핑유닛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은 상호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그리핑유닛; 상기 제1그리핑유닛의 일단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의 일단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 상에서 상호 이웃하여 개별적으로 체결되는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통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더미로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각기 다른 높이로 배열되어 위치되는 슬라브에 상에서 선택적인 슬라브의 그리핑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더미로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각기 다른 높이로 배열되어 위치되는 슬라브에 상에서 선택적인 슬라브의 그리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리핑 수단의 형태를 최적화시켜 다수로 배치된 슬라브들 사이에서도 선택적인 슬라브의 그리핑이 용이한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소정의 가공을 통해 제조되는 대상물은 소형에서부터 대형에 이르기 까지 대량생산을 위해 필연적으로 이송 수단이 구비 되야 한다. 예컨대, 슬라브의 경우에도 연주공정을 통해 제조되며 통 크레인 장치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그리핑된 상태로 운반 또는 장입된다. 통상적으로 통 크레인 장치는 그리핑된 슬라브를 연주공정에서 필요에 따른 후공정으로 이송되는데, 그 중에서는 목적지가 단거리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장거리인 경우도 해당하게 된다. 때문에 작업자는 목적지로 슬라브를 이송하는 과정 상에서 작업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통 크레인 장치의 슬라브를 신속하게 그리핑 하도록 조작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슬라브들은 목적지로 바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더미로 균일 또는 불 균일하게 배열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슬라브 더미들은 각기 다른 높이로 쌓여 있는데, 작업자는 슬라브의 규격 등에 따라 필요한 슬라브 더미를 그리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통 크레인 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슬라브 더미들에서 특정한 슬라브 더미를 그리핑 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 그리핑유닛의 구조 상, 인접 슬라브들 또는 수용공간 가장자리의 구조물(B)들로 인한 그리핑 동작의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슬라브들을 상호간에 넉넉한 공간으로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 슬라브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무작정 대량의 슬라브들 상호간을 여유 있게 이격시켜 배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결국, 전술한 그리핑유닛이 슬라브에 의하여 제약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슬라브를 과도하게 이격시키거나 일정 높이 이상으로 적재할 수 없게 되어 슬라브 적치면적이 필요이상으로 소요되거나 슬라브 이송 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택적인 슬라브 이송을 위한 통 크레인 장치 운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768315호
본 발명은, 그리핑 수단의 형태를 최적화시켜 다수로 배치된 슬라브들 사이에서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선택적인 슬라브 그리핑이 가능하여, 통 크레인의 운용이 용이한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정된 공간 상에서 슬라브의 적재 가능 높이와 폭을 최대화시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고,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에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1그리핑유닛 및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에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2그리핑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그리핑유닛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은 상호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그리핑유닛; 상기 제1그리핑유닛의 일단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의 일단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 상에서 상호 이웃하여 개별적으로 체결되는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통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더미로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각기 상이한 높이로 적치된 슬라브에 대하여 선택적인 그리핑이 가능하다.
둘째, 한정된 공간 상에서 슬라브의 적재 가능 높이와 폭을 최대화시킨 채로, 슬라브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성과 높은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통 크레인 장치 그리핑 수단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그리핑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의 슬라브 그리핑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의 슬라브 그리핑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의 슬라브 그리핑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 통 크레인 장치(100)는 이송 대상물 이송을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이송 대상물을 슬라브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는 슬라브의 측면을 그리핑하는 그리핑유닛(110)과, 상기 슬라브의 상부측을 고정하는 안착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리핑유닛(110)는 상기 슬라브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에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유닛(120)는 상기 슬라브의 상부측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 및 제2그리핑유닛(112)과, 안착유닛(120)은 각각 상기 슬라브의 양측면과 상부면, 예컨대 상기 슬라브의 3개의 면의 외측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하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에 의하여 그리핑되는 슬라브의 적치된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기 슬라브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브의 상부측과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과 함께 상기 슬라브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은 제1-1마디부(1111)와, 제1-2마디부(1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은 제2-1마디부(1121)와, 제2-2마디부(1122)를 포함한다.
상기 그리핑유닛(110)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에서 슬라브(S)를 직접 그리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리핑유닛(110)에서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은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S)와 접촉한다.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은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S)와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일단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의 일단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 상에서 상호 이웃하여 개별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에서 상기 제1-1마디부(1111)는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 상의 임의의 제1영역에 결속되며, 상기 제1-2마디부(1112)는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브(S)와 접촉한다.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에서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 상의 임의의 제1영역에 결속된다.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상기 제2-1마디부(1121)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브(S)와 접촉한다.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 상에서 독립적으로 이웃하여 위치된다.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상호 대칭형으로 마주보며 하방을 향하여 절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 크레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현실적으로 제조현장(제철소 등)에서 생산되는 슬라브(주편)의 그리핑/리프팅 및 안전 운반을 위해서는 제1그리핑유닛(111)과 제2그리핑유닛(112)의 유기적인 조합으로부터 발현되는 그리핑 파워의 확보가 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상기 그리핑 파워는 슬라브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브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슬라브의 표면 결함의 원인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그리핑 파워는 그리핑되는 부분의 형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다 상세한 내용의 설명에 있어, 도 3과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그리핑 파워는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제1-1마디부(1111)와 제2그리핑유닛(112)의 제2-1마디부(1121)는 통 크레인 장치(100)의 임의의 제1영역에서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제1-1마디부(1111)는 임의의 제1영역의 일측에 결속되고,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상기 임의의 제1영역의 타측에 결속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영역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직선거리인 제1 이격너비(L.W)만큼 서로 이격되어 결속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 사이의 제1 이격너비(L.W)는 400mm 내지 1600mm일 수 있다.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제1-1마디부(1111)와 제2그리핑유닛(112)의 제2-1마디부(1121)가 통 크레인 장치(100)의 임의의 제1영역에서 결속될 때, 제1 이격너비(L.W)가 400mm 미만이 되면 그리핑할 수 있는 슬라브(주편) 폭의 선택범위가 매우 한정적이 되면서 그 산업상 적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편, 상기 그리핑 파워 역시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산업용으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제1-1마디부(1111)와 제2그리핑유닛(112)의 제2-1마디부(1121)가 통 크레인 장치(100)의 임의의 제1영역에서 결속될 때, 제1 이격너비(L.W)가 1600mm를 초과하게 되면, 그리핑할 수 있는 슬라브(주편) 폭의 선택범위는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나, 상기 그리핑유닛(110)의 원활한 링크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제1 이격너비(L.W)가 1600mm 초과인 경우, 상기 슬라브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lifting) 힘이 과도하게 부가되고, 심한 경우에는 상기 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의 결속이 저하되어 탈락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제1-1마디부(1111)와 제2-1마디부(1121)가 통 크레인 장치(100)의 임의의 제1영역에서 결속되면서 각각 구성되는 결속점을 잇는 가상의 수평선(h)과 제1-1마디부(1111)가 이루는 경사각도(θ)와 제2-1마디부(1121)가 이루는 경사각도(θ)는 동일할 수 있고, 상기 경사각도(θ)는 8도 내지 24도일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θ)가 8도 미만이면 상기 그리핑유닛(110)이 상기 슬라브를 고정하여 리프팅하기 어려울 수 있고, 상기 경사각도(θ)가 24도 초과이면 슬라브측으로 그리핑 파워가 과도하게 가해져 제품을 손상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상기 가상의 수평선(h)에 대해서 8도 내지 24도의 경사각도(θ)만큼 기울어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의 경사각도(θ)는 다수에 걸친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및 도 8에서, 상기 제1-1마디부(1111)는 상기 제1-2마디부(1112)는 제1힌지 접속점(1113)을 통하여 결속되고,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상기 제2-2마디부(1122)에서 제2 힌지 접속점(1123)을 통하여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 접속점(1113) 및 제2힌지 접속점(1123)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일측 및 타측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힌지 접속점(1113)의 최외곽부에서 상기 제2힌지 접속점(1123)의 최외곽부까지는 직선거리로 제2 이격너비(T.W)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2마디부(1112)에서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2-2마디부(1122)에서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까지의 직선거리는 제3이격너비(C.W)일 수 있다.
상기 제2이격너비(T.W)는 제1이격너비(L.W)보다는 크게 구비되되, 제3이격너비(C.W)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이격너비(T.W)가 제1이격너비(L.W)보다 작게 구비되는 경우, 슬라브를 그리핑할 때 그리핑유닛(110)에서의 힘의 분산이 충분하지 않아 비교적 큰 무게의 슬라브를 그리핑/리프팅하는 경우 장치에 부하가 생겨 에너지 소모는 물론이요 장치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격너비(T.W)는 제3이격너비(C.W)보다는 작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2이격너비(T.W)가 제3이격너부(C.W)보다 넓게 구비되는 경우 그리핑된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슬라브 사이의 간격 및 주변 장치 등과의 관계에서 불필요한 공간적 제약이 생겨 공정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한 도 7 및 도 8과 함께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100)는 슬라브를 고정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슬라브를 직접 그리핑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의 일단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에 결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의 타단은 슬라브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슬라브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말단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말단부와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의 말단부는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라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 (1115, 1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1115, 1125)는, 고내열성의 철계 또는 비철계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통 조우 (Tongs Jaw)일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1115, 1125)는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의 말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슬라브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슬라브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1115, 1125)는 상기 슬라브와 접촉하는 표면이 굴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1115, 1125)의 표면에 구비된 굴곡에 의하여 매끈한 슬라브를 그리핑하여 고정시 상기 슬라브가 슬립 (slip)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슬라브의 외관에 변형을 형성시키지 않고 상기 슬라브를 그리핑/리프팅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에서,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각각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대략 폭이 좁은 직사각형 형상인, 예컨대 바형 (bar-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각각 최외측인 일단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타단에서 상호간에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와 타단에서 상호간에 교차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호간에 교차된 후 하부측으로 라운드되어 절곡되는 ㄱ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112)에서 상기 통 크레인 장치에 접촉되는 제1-1마디부(1111) 및 제2-1마디부(1121)는 대략 선형 (linear)으로 구비되어 각각 외측에서 내측 (상기 통 크레인 장치의 중심부)으로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내측을 향하는 말단의 일부는 서로 교차 (상부교차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가 서로 교차되는 말단의 반대측인 외측에는 각각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제2-2마디부(112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제2-2마디부(1122)는 각각 제1-1마디부(1111) 및 제2-1마디부(1121)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교차 (하부교차부)된 후 하부를 향하도록 라운드되어 절곡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1)은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상호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하는 상부교차부와 하부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상기 상부교차부에서 교차하고,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상기 하부교차부에서 교차하며, 상기 상부교차부와 하부교차부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교차부에서 하부측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교차부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교차부와 하부교차부는 서로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교차부에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두개의 제1 고정홀(130a)을 구비하고,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에는 각각 상기 제1 고정홀(130a)에 대응하는 제2 고정홀(1112a, 1122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외면에는 고정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외측에는 안착유닛(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의 한쌍이 구비될 수 있는 데, 한쌍의 서로 대응하는 고정부재(130) 사이에는 연결리브(13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1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2마디부(1112)와 제2-2마디부(1122)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30)은 일단 및 타단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 130b)은 상기 원형의 중심에 구비되고, 상기 원형인 일단 및 타단은 직사각형으로 연결되되 상기 직사각형의 짧은 변의 폭은 상기 원형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한쌍으로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되되,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대면하여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은 상기 제1-2마디부(1112)의 제2고정홀(1112a)과 대면하여 체결되고,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2-2마디부(1122)와 대면하여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b)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제2고정홀(1122a)과 대면하여 체결된다.
상기 연결리브(131)는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제2-2마디부(1122)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연결리브(131)의 일단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리브(131)의 타단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과 접촉하는 일측면과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과 접촉하는 타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면, 하부면 및 타측면의 단면은 ∪자형으로 이루어져 한쌍의 고정부재(120)와 함께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을 고정시키는 ∪자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30)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직사각형의 중심에는 4개의 홀이 구비되되 상기 4개의 홀은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에 구비되는 4개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130)에 구비되는 4개의 홀과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에 구비되는 4개의 홀은 별도의 볼트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의 양측 좌측변 및 우측변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과,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내부면에는 상기 좌측변 및 우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4개의 홀의 상부 및 하부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리브가 구비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30)은 일단 및 타단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 130b)은 상기 원형의 중심에 구비되고, 상기 원형인 일단 및 타단은 직사각형으로 연결되되 상기 직사각형의 짧은 변의 폭은 상기 원형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한쌍으로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되되,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대면하여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은 상기 제1-2마디부(1112)의 제2고정홀(1112a)과 대면하여 체결되고,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2-2마디부(1122)와 대면하여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b)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제2고정홀(1122a)과 대면하여 체결된다.
상기 연결리브(131)는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제2-2마디부(1122)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연결리브(131)의 일단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리브(131)의 타단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과 접촉하는 일측면과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과 접촉하는 타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면, 하부면 및 타측면의 단면은 ∪자형으로 이루어져 한쌍의 고정부재(120)와 함께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을 고정시키는 ∪자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30)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직사각형의 중심에는 4개의 홀이 구비되되 상기 4개의 홀은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에 구비되는 4개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130)에 구비되는 4개의 홀과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에 구비되는 4개의 홀은 별도의 볼트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의 양측 좌측변 및 우측변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과,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내부면에는 상기 좌측변 및 우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4개의 홀의 상부 및 하부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리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 슬라브 (주편)
110 : 그리핑유닛
111 : 제1그리핑유닛
1111 : 제1-1마디부
1112 : 제1-2마디부
1113 : 제1힌지 접속점
112 : 제2그리핑유닛
1121 : 제2-1마디부
1122 : 제2-2마디부
1123 : 제2힌지 접속점
120 : 안착유닛
110 : 그리핑유닛
111 : 제1그리핑유닛
1111 : 제1-1마디부
1112 : 제1-2마디부
1113 : 제1힌지 접속점
112 : 제2그리핑유닛
1121 : 제2-1마디부
1122 : 제2-2마디부
1123 : 제2힌지 접속점
120 : 안착유닛
Claims (11)
- 제철소에서 생산된 슬라브를 이송시키는 통 크레인 장치(100)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에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1그리핑유닛(111) 및 일단이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에 결속되고, 타단으로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2그리핑유닛(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은 상호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그리핑유닛(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일단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의 일단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 상에서 상호 이웃하여 개별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 상의 임의의 제1영역에 결속되는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1-2마디부(1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 상의 임의의 제1영역에 결속되는 제2-1마디부(112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브와 접촉하는 제2-2마디부(1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상호간에 교차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리핑유닛(111, 112)은 한쌍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대칭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상호 대칭형으로 마주보며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가 접철된 상태의 최외곽 너비는, 상기 제1-1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 상호간의 최외곽 너비 이하이고,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각각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의 타단에서 상호간에 교차되는 바형 (bar-type)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의 타단에서 상호간에 교차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상호간에 교차된 후 하부측으로 라운드되어 절곡되는 ㄱ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하부측으로 너비가 감소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통 크레인 장치 상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그리핑유닛(110)의 슬라브 그리핑 시, 슬라브의 표면과 면 접촉되어 상기 통 크레인 장치 유닛 내에서 슬라브와 접하는 안착유닛(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에서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 서로 교차하는 부분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과 상기 안착유닛(120)은 각각 상기 슬라브의 양측면과 상부면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하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통 크레인 장치에 의하여 그리핑되는 슬라브의 적치된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기 슬라브를 향하여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브의 상부측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과 함께 상기 슬라브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제1-1마디부(1111)와 제2그리핑유닛(112)의 제2-1마디부(1121)가 상기 통 크레인 장치의 임의의 제1영역에서 결속되되 제1 이격너비(L.W) 400mm 내지 1600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제2-1마디부(1121)가 상기 통 크레인 장치의 임의의 제1영역에서 결속되면서 각각 구성되는 결속점을 잇는 가상의 수평선(h)과 제1-1마디부(1111)가 이루는 각도(θ)와 상기 가상의 수평선(h)과 제2-1마디부(1121)가 이루는 각도(θ)는 동일하게 기울어지되, 상기 각도(θ)는 8도 내지 24도이고,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의 타단은 슬라브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슬라브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말단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의 말단부와 상기 제2그리핑유닛의 말단부는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슬라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리브(1115, 1125)는 고내열성의 철계 또는 비철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통 조우 (Tongs Jaw)이고, 상기 지지리브(1115, 1125)는 상기 제1 및 제2그리핑유닛(111, 112)의 말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슬라브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슬라브를 고정하되 상기 슬라브와 접촉하는 표면이 굴곡되도록 구비되어 매끈한 슬라브를 그리핑하여 고정시 상기 슬라브가 슬립 (slip)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은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상호간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하는 상부교차부와 하부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2-1마디부(1121)는 상기 상부교차부에서 교차하고, 상기 제1-1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상기 하부교차부에서 교차하며, 상기 상부교차부와 하부교차부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교차부에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130)는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두개의 제1고정홀(130a, 130b)을 구비하고,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에는 각각 상기 제1고정홀(130a, 130b)에 대응하는 제2고정홀(1112a, 1122a)을 구비하고,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외면에는 고정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외측에는 안착유닛(12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130)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의 한쌍이 구비될 수 있는 데, 한쌍의 서로 대응하는 고정부재(130) 사이에는 연결리브(13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1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2마디부(1112)와 제2-2마디부(1122)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부재(130)은 일단 및 타단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 130b)은 상기 원형의 중심에 구비되고, 상기 원형인 일단 및 타단은 직사각형으로 연결되되 상기 직사각형의 짧은 변의 폭은 상기 원형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130)는 한쌍으로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되되,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1-2마디부(1112)와 대면하여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은 상기 제1-2마디부(1112)의 제2고정홀(1112a)과 대면하여 체결되고,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2-2마디부(1122)와 대면하여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b)은 상기 제2-2마디부(1122)의 제2고정홀(1122a)과 대면하여 체결되며, 상기 연결리브(131)는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제2-2마디부(1122)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연결리브(131)의 일단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a)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리브(131)의 타단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고정홀(130b)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안착유닛(120)은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과 접촉하는 일측면과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과 접촉하는 타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면, 하부면 및 타측면의 단면은 ∪자형으로 이루어져 한쌍의 고정부재(120)와 함께 상기 제1그리핑유닛(111)과 상기 제2그리핑유닛(112)을 고정시키는 ∪자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직사각형의 중심에는 4개의 홀이 구비되되 상기 4개의 홀은 정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상기 후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의 직사각형의 중심에 구비되는 4개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130)에 구비되는 4개의 홀과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에 구비되는 4개의 홀은 별도의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의 양측 좌측변 및 우측변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된 부분과, 상기 안착유닛(120)의 ∪자형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내부면에는 상기 좌측변 및 우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4개의 홀의 상부 및 하부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1마디부(1111)와 상기 제1-2마디부(1112)는 제1힌지 접속점(1113)을 통하여 결속되고, 상기 제2-1마디부(1121)와 상기 제2-2마디부(1122)는 제2 힌지 접속점(1123)을 통하여 결속되며, 상기 제1힌지 접속점(1113) 및 제2힌지 접속점(1123)은 상기 통 크레인 장치(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일측 및 타측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1힌지 접속점(1113)의 최외곽부에서 상기 제2힌지 접속점(1123)의 최외곽부까지는 직선거리로 제2 이격너비(T.W)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2마디부(1112)에서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2-2마디부(1122)에서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까지의 직선거리는 제3이격너비(C.W)이며,상기 제2이격너비(T.W)는 제1이격너비(L.W)보다는 크게 구비되되, 제3이격너비(C.W)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이격너비(T.W)는 제3이격너비(C.W)보다는 작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브는 복수의 더미로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각기 상이한 높이로 적치된 제철소에서 생산된 주편이고, 상기 슬라브에 대해서 선택적인 그리핑이 가능하여 슬라브의 이송작업을 수행하는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29857 | 2016-03-11 | ||
KR1020160029857 | 2016-03-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622A KR20170106622A (ko) | 2017-09-21 |
KR101782321B1 true KR101782321B1 (ko) | 2017-10-24 |
Family
ID=6003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5279A KR101782321B1 (ko) | 2016-03-11 | 2016-09-29 |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232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914Y1 (ko) | 1997-12-17 | 2002-06-21 | 이구택 | 픽업 크레인 |
KR100875439B1 (ko) | 2007-06-08 | 2008-12-22 | 윤인중 |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
KR100893248B1 (ko) * | 2002-07-12 | 2009-04-17 | 주식회사 포스코 | 천정 기중기용 융착 슬라브 분리장치 |
KR100895424B1 (ko) * | 2008-07-10 | 2009-05-07 | 주식회사 두성정공 | 중량물 안전집게 |
-
2016
- 2016-09-29 KR KR1020160125279A patent/KR1017823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914Y1 (ko) | 1997-12-17 | 2002-06-21 | 이구택 | 픽업 크레인 |
KR100893248B1 (ko) * | 2002-07-12 | 2009-04-17 | 주식회사 포스코 | 천정 기중기용 융착 슬라브 분리장치 |
KR100875439B1 (ko) | 2007-06-08 | 2008-12-22 | 윤인중 |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
KR100895424B1 (ko) * | 2008-07-10 | 2009-05-07 | 주식회사 두성정공 | 중량물 안전집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622A (ko) | 2017-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9158B1 (ko) | 턴 오버 장치 및 방법 | |
JP3172594U (ja) | 吊り具 | |
JP2015045332A5 (ko) | ||
US10502249B2 (en) | Link connector | |
TW201235534A (en) |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of reinforcement cage | |
KR101782321B1 (ko) | 크로스 타입의 통 크레인 장치 | |
CA2584626A1 (en) | Industrial scaffolding | |
JP2014122118A5 (ko) | ||
CN104246019A (zh) | 传递装置 | |
KR200465321Y1 (ko) | 지게차에 설치되는 방파제 구조물 이송용 지그 | |
JP6648908B2 (ja) | 荷重試験用の構造体および構造体の製造方法 | |
JP7361897B2 (ja) | 半完成金属製品をハンド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RU2010112701A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зготовленных методом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плоских заготовок | |
CN203173698U (zh) | 板材翻转夹具以及板材翻转夹具组件 | |
JP6412481B2 (ja) | 鋼材用の万棒 | |
CN201307572Y (zh) | 绝缘挡板 | |
KR101798410B1 (ko) | 집게 크레인 | |
CN204160467U (zh) | 一种吊钳防倒架 | |
JP2018035529A (ja) | コンクリート舗装用鉄筋の敷設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舗装方法 | |
CN215160190U (zh) | 一种热处理吊装器具 | |
CN211473046U (zh) | 一种可折叠卷曲的砖块组件 | |
CN218754469U (zh) | 一种冷轧卷吊具 | |
CN211499474U (zh) | 方便吊装的型钢格构柱 | |
CN204778307U (zh) | 一种矩形钢板用吊具 | |
JP5902077B2 (ja) | 支持装置、および、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