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059B1 -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059B1
KR101782059B1 KR1020170063127A KR20170063127A KR101782059B1 KR 101782059 B1 KR101782059 B1 KR 101782059B1 KR 1020170063127 A KR1020170063127 A KR 1020170063127A KR 20170063127 A KR20170063127 A KR 20170063127A KR 101782059 B1 KR101782059 B1 KR 10178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electronic
cane
movement
electronic brai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율
Original Assignee
김시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율 filed Critical 김시율
Priority to KR102017006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9Velocity sens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몸체부(110), 몸체부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센서, 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동하는 지팡이의 가속도 신호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위치 정보 신호에 기초한 지팡이의 위치 이동 및 가속도 신호에 기초한 지팡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하여 저장하고, 학습된 행동패턴과 가속도 신호를 비교하여 지팡이의 이동 및 위치를 추정하며, 추정된 지팡이의 이동 및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길안내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 및 몸체부의 상측 외부에 위치하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전자점자를 통해 점자로 표현하는 전자점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CANE FOR THE BLIND USING ELECTRONIC BRAILLE}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 지팡이에 관한 기술이다.
시각장애인은 시각을 통해 주변 정보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통해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고, 바닥에 설치된 점자블록을 통해 보행과 관련된 간단한 정보(위험요소, 출입문, 횡단보다 및 그에 대한 방향 전환)를 수집한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를 통해 직접적으로 획득되는 정보는 지팡이의 길이가 닿는 위치의 정보만을 습득할 수 있으며, 점자블록 또한 전방의 위험요소나 출입문 및 횡단보도 등과 같은 보행과 관련된 무엇인가가 위치하고 있음만을 전달한다. 점자블록의 경우 점형블록과 선형블록의 조합을 통해 방향 유도, 방향 전환 및 경고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매우 제한적인 정보도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충분하게 전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주변의 위험 요소 또는 주변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732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팡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주요 요인에 대한 정보를 시각장애인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지팡이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 정보를 주변의 소음에 관계없이 지팡이를 소지한 시각장애인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몸체부(110), 몸체부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센서, 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동하는 지팡이의 가속도 신호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위치 정보 신호에 기초한 지팡이의 위치 이동 및 가속도 신호에 기초한 지팡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하여 저장하고, 학습된 행동패턴과 가속도 신호를 비교하여 지팡이의 이동 및 위치를 추정하며, 추정된 지팡이의 이동 및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길안내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 및 몸체부의 상측 외부에 위치하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전자점자를 통해 점자로 표현하는 전자점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몸체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며, 나사 구조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몸체부의 걸림부에 의해 분리가 방지되며, 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몸체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 및 손잡이의 상기 전자점자부 방향 부분에 위치하며, 시각장애인의 손가락이 상기 전자점자부 상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점자 유도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이 전자점자부의 점자를 읽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점자 유도부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탄성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구비된 GPS를 통해 파악된 시각장애인의 평시 이동 정보와 구비된 가속도 센서를 통해 파악된 지팡이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하고, GPS가 없이도 가속도 센서의 정보와 학습된 행동패턴을 통해 지팡이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정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GPS가 동작하지 않는 장소에서도 지팡이의 위치를 추정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구비된 전자점자를 통해 지팡이의 위치에 따른 길안내 정보를 점자 형태로 제공한다. 시각장애인은 지팡이에 구비된 전자점자를 통해 주변의 위험상황이나 기타 발생한 이벤트 및 주변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전달받아 주변 위험 요소에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위치 정보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전자점자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손잡이 및 점자 유도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수납부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00)는 몸체부(110), 전자점자부(120), 수납부(130), 위치 정보 센서(미도시), 가속도 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지팡이(100)의 몸체를 구성하며, 휴대가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몸체부(110)는 하나의 봉으로 구성된 일체식 또는 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되어 접을 수 있는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몸체부(110)는 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되며, 하부 단이 상부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통해 보관 및 소지 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몸체부(110)의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이 몸체부(1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111)는 시각장애인의 손잡이(111)를 이용하여 지팡이(100)를 파지할 때, 시각장애인의 검지 손가락을 전자점자부(150)로 유도하는 점자 유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시각장애인이 손잡이(111)를 잡는 과정에서 검지 손가락이 점자 유도부 상에 위치하게 되어, 시각장애인의 검지 손가락은 몸체부(110)의 상단 외부에 위치한 전자점자부(1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손잡이(111) 및 점자 유도부는 후술하는 도 4에서 추가로 설명한다.
전자점자부(120)는 몸체부(110)의 상측 외부에 위치하며, 점자 유도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검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손잡이(111) 아래 부분에 위치한다. 전자점자부(120)는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전자점자를 통해 점자로 표현한다. 전자점자부(120)는 수신된 정보를 점자로 표현하여, 시각장애인이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전자점자부(120)에 표시되는 정보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길안내 정보일 수 있다. 전자점자부(120)는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점자로 표시하여, 주변에 위치한 위험 요소, 주변에서 발생한 이벤트, 주변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위치 정보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학습된 행동 패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고려하여 산출된 지팡이의 위치에 따라, 지팡이의 주변 길안내 정보를 전자점자부(120)로 전달한다. 제어부, 위치 정보 센서 및 가속도 센서의 구성과 행동패턴 학습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는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납부(130)는 몸체부(110)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며, 나사 구조를 통해 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 및 배출된다. 수납부(130)는 몸체부(110)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부에 의해 분리 또는 이탈이 방지된다.
수납부(130)는 측면에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와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수납부(130)를 회전시켜 몸체부(110) 내부에 삽입된 삽입구를 외부로 노출시켜 배터리를 내부 공간에 삽입한다. 수납부(130)에 수납된 배터리는 위치 정보 센서, 가속도 센서, 제어부 및 전자점자부(120)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위치 정보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00)는 위치 정보 센서(140), 가속도 센서(150) 및 제어부(160)를 통해 시각장애인(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행동패턴에 기초하여 길안내 정보를 전자점자부(120)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140)는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지팡이(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정보 센서(140)의 설치 위치에 제약은 없으며, 보호를 위해 몸체부(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14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며, 수신된 위치 정보는 제어부(160)로 전달된다. 일례로서, 위치 정보 센서(140)는 위치 센서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50)는 몸체부(110)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지팡이(100)의 움직임을 보다 명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150)는 몸체부(11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은 지팡이(100)를 이용하여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확인하고, 바닥에 설치된 점자블록을 인지한다. 시각장애인은 장애물 확인이나 점자블록 감지를 위해 지팡이(100)를 좌우로 움직이며 바닥을 두드리는 동작을 취한다. 이러한 지팡이(100)의 동작에 따라 가속도 센서(150)는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수신된 위치 정보 신호 및 가속도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시각장애인)의 행동패턴을 학습한다. 제어부(160)는 수신된 위치 정보 신호를 통해 지팡이(100)의 이동을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수신된 가속도 신호를 통해 지팡이(100)의 움직임(동작)을 파악한다. 제어부(160)는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속도 및 각도로 지팡이(100)를 움직이고 바닥을 두드리는 횟수 등을 파악한다.
제어부(160)는 위치 정보 신호에 따라 파악된 지팡이(100)의 이동과 가속도 신호에 따라 파악된 지팡이(100)의 동작을 매칭하여 시각장애인(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 및 학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은 이동할 때, 지팡이를 좌우로 움직이며 바닥을 두드려 장애물을 확인하며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지팡이(100)의 이동 거리와 지팡이(100)의 움직임을 매칭하여, 지팡이(100)의 좌우 움직임 및 두드림 횟수에 따른 이동 거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한다. 행동패턴은 사용자의 좌우 움직임 및 두드림 횟수에 따른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제어부(160)는 학습된 행동패턴을 통해 위치 정보 센서(140)의 위치 정보 신호가 없이 시각장애인의 이동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좌우 움직임과 두드림 횟수를 학습된 행동패턴에 반영하여 지팡이가 이동한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위치 정보 센서(140)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가속도 센서(150)의 가속도 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일 때의 정보를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수집 및 저장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동패턴을 학습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규칙적인 가속도 신호는 시각장애인이 지팡이(100)를 이용하여 이동할 때의 일반적인 가속도 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규칙적인 가속도 신호만을 사용하여 행동패턴을 학습함으로써, 비 정상적인 지팡이(100)의 움직임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지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움직임이 아닌 특정한 순간에만 나타나는 움직임이나 비정상적인 속도의 움직임을 배제하여 행동패턴 학습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160)는 규칙적인 가속도 신호만을 선별하고, 선별된 가속도 신호에 따른 지팡이(100)이의 두드림 횟수에 따라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지팡이(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길안내 정보를 전자점자부(120)에 전달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위치 정보 센서(140)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지팡이(100)의 이동 및 위치를 파악하여 대응하는 길안내 정보를 검색한다.
길안내 정보는 현재의 위치, 이동 방향 및 목적지의 정보를 고려한 시각장애인의 보행경로안내를 위한 정보이다. 길안내 정보는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와 지도 정보를 비교하여 시각장애인이 목적지로 향하는 보행경로정보를 안내할 수 있으며, 주변 교통에 대한 정보와 주변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길안내 정보는 시각장애인이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자동차 내비게이션(Navigation)과 같이 길안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이 목적지로 향하는 방향과 거리를 지속적으로 알려주는 과정에서, 보행경로 상에 위치한 주변 교통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행경로 상의 횡단보도의 존재 및 횡단보도 신호를 알려주거나, 주변에 위치한 위험 요소 및 특이점 등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160)는 내부 메모리에 사전에 저장된 길안내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무선 송수신부(161)를 통해 길안내 정보 서버(1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길안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길안내 정보 서버(10)는 지도 정보와 길안내 정보를 서비스하는 서버로, 내비게이션 서버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 정보 센서(1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위치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지팡이(100)의 정확한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확인하여 길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GPS와 같은 위치 정보 센서(140)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아 정상적인 위치 정보 신호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서는 GPS 신호가 잡히지 않거나 신호의 세기가 약하여 위치 정보 신호가 정상적으로 측정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위치 정보 신호가 정상적으로 측정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제대로 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00)의 제어부(160)는 위치 정보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상황에서 위치 정보 신호 및 가속도 신호를 매칭하여 행동패턴을 학습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위치 정보 신호가 없이도 수신된 가속도 신호 및 학습된 행동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위치 정보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가속도 신호만을 사용하여 학습된 행동패턴과 비교하여 지팡이(100)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이 지팡이(100)를 들고 실내 또는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지역으로 진입하면, 제어부(160)는 최종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수신된 가속도 신호 및 학습된 행동패턴을 비교하여, 최종 위치로부터 지팡이(100)의 이동을 추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추정된 지팡이 위치 및 이동에 기초하여 길안내 정보를 검색하여 전자점자부(120)로 길안내 정보를 전달한다.
일례로서, 제어부(160)는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여 지팡이(100)의 이동 방향 및 두드림 횟수를 산출하고, 이동향방 및 두드림 횟수로부터 이동 거리를 추정하여, 지팡이(100)를 소지한 시각장애인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추정하여 시각장애인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각장애인에 대한 반복적인 위치 정보 신호 및 가속도 신호를 분석하여, 행동패턴이 좌측 3회 두드림과 우측 3회 두드림을 한 사이클로 하여 10 사이클 반복 시 해당 시각장애인이 3미터 이동한 것으로 기록될 수 있다. 10사이클에 3미터 이동한 것으로 행동패턴이 학습되면, 위치 정보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가속도 신호를 통해 지팡이가 몇 사이클 동작했는지를 확인하여 이동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만약, 가속도 신호로부터 50 사이클이 확인되면 15미터 이동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전자점자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00)의 전자점자부(120)는 점자패널(121) 및 조작버튼(122)을 포함한다.
전자점자부(120)는 제어부(160)로부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점자패널(121)을 통해 점자 형태로 표시한다. 도 3의 일례에서는 5개의 점자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점자패널(121)을 통해 길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점자패널(121)은 시각장애인이 진행할 방향과 횡단보도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주변 위험 요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시각장애인은 점자패널(121)을 통해 길안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조작버튼(122)은 전자점자부(120)를 조작하는 도구로서, 전자점자부(120)의 점자패널(121)을 초기화하거나, 온오프, 반복 재생, 이전 정보 선택, 이후 정보 선택 등과 제어 명령을 할당하여 점자점자부(120)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손잡이 및 점자 유도부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손잡이(111) 및 점자 유도부(112)를 포함한다.
지팡이(100)의 몸체부(110)는 상측 단부에 손잡이(11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자점자부(120)는 손잡이(111)를 파지한 시각장애인의 검지가 닿을 수 있는 거리 내에 위치한다. 시각장애인은 손잡이(1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자점자부(120)의 점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111)의 전자점자부(120) 방향에 점자 유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점자 유도부(112)는 손잡이(111)를 파지한 시각장애인의 손가락이 전자점자부(120) 상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시각장애인은 손잡이(111)를 잡은 상태로 점자 유도부(112)를 통해 손가락(검지 손가락)이 전자점자부(120)의 점자패널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점자 유도부(112)는 시각장애인이 전자점자부(120)의 점자패널을 읽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 가이드부(113)를 통해 직선 도는 곡선 형태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일례로서, 탄성 가이드부(113)는 시각장애인의 손가락이 전자점자부(120)의 전자패널 상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점자 유도부(11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수납부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점자를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00)는 몸체부(110)의 상측 단부에 수납부(130)를 포함한다. 수납부(130)는 몸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나사 구조를 통해 체결된다. 그리고 수납부(130)는 회전 운동을 통해 나사를 풀어 몸체부(1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단, 수납부(130)는 나사를 풀어 몸체부(110)에서 배출될 때, 몸체부(110)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부(132)에 걸려 분리 및 이탈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수납부(130)를 회전시켜 나사를 풀어 수납부(130)를 바깥쪽 방향으로 당겨 빼내더라도 일정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될 뿐, 수납부(130) 전체가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수납부(130)가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수납부(130)의 분리에 따른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지팡이(100)이기 때문에, 수납부(130) 분리에 따른 분실 위험이 높아, 분실 방지 효과가 크다.
수납부(130)는 삽입구를 통해 내부 공간(131)에 배터리(21)를 수납한다. 수납부(130)의 나사를 풀어 삽입구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배터리를 삽입 또는 교체하고, 수납부(130)를 몸체부(110) 내부로 삽입하여 체결한다. 수납부(130) 내부에 삽입된 배터리(21)는 위치 정보 센서(140), 가속도 센서(150), 제어부(160), 무선 송수신부(161) 및 전자점자부(120)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술한 내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110: 몸체부 111: 손잡이
112: 점자 유도부 113: 탄성 가이드부
120: 전자점자부 121: 점자패널
122: 조작버튼
130: 수납부 131: 걸림부
132: 내부 공간
140: 위치 정보 센서
150: 가속도 센서
160: 제어부 161: 무선 송수신부

Claims (4)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센서;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동하는 지팡이의 가속도 신호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위치 정보 신호에 기초한 지팡이의 위치 이동 및 상기 가속도 신호에 기초한 지팡이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하여 저장하고, 학습된 행동패턴과 가속도 신호를 비교하여 지팡이의 이동 및 위치를 추정하며, 추론된 지팡이의 이동 및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길안내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측 외부에 위치하며, 수신된 길안내 정보를 전자점자를 통해 점자로 표현하는 전자점자부;
    를 포함하는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며, 나사 구조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몸체부의 걸림부에 의해 분리가 방지되며, 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수납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전자점자부 방향 부분에 위치하며, 시각장애인의 손가락이 상기 전자점자부 상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점자 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4. 제3항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이 전자점자부의 점자를 읽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점자 유도부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탄성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20170063127A 2017-05-22 2017-05-22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178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27A KR101782059B1 (ko) 2017-05-22 2017-05-22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27A KR101782059B1 (ko) 2017-05-22 2017-05-22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059B1 true KR101782059B1 (ko) 2017-09-26

Family

ID=6003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27A KR101782059B1 (ko) 2017-05-22 2017-05-22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0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7970B3 (de) * 2018-04-04 2019-08-2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Orientierungshilfe für eine Person mit eingeschränktem Sehvermögen
KR102103405B1 (ko) * 2019-02-15 2020-04-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 스틱
KR102270320B1 (ko) * 2021-01-13 2021-06-29 주식회사 휴젝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회 활동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102643148B1 (ko) * 2023-07-03 2024-03-05 최서윤 시각장애인을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69B1 (ko) 2005-02-25 2006-11-24 주식회사 에이티알앤디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1572548B1 (ko)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69B1 (ko) 2005-02-25 2006-11-24 주식회사 에이티알앤디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1572548B1 (ko) 2014-07-11 2015-11-27 (주)솔루션아이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7970B3 (de) * 2018-04-04 2019-08-2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Orientierungshilfe für eine Person mit eingeschränktem Sehvermögen
KR102103405B1 (ko) * 2019-02-15 2020-04-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스마트 스틱
KR102270320B1 (ko) * 2021-01-13 2021-06-29 주식회사 휴젝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회 활동 유도 방법 및 시스템
WO2022154501A1 (ko) * 2021-01-13 2022-07-21 주식회사 휴젝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회 활동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102643148B1 (ko) * 2023-07-03 2024-03-05 최서윤 시각장애인을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059B1 (ko) 전자점자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US8825398B2 (en) Device for assisting in the navigation of a person
US8538687B2 (en) System for guidance and navigation in a building
US8825389B1 (en) Mobility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the visually impaired
JP2010505179A (ja) 障害物を迂回可能な自律移動ロボット及びその方法
GB2469632A (en) Portable rescue apparatus for guiding a person back to a reached waypoint position
WO2017021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measurement of virtual reality space
KR20160133318A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보행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보행 보조 시스템
Chen et al. CCNY smart cane
CN109764889A (zh) 导盲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assim et al. Indoor navigation system based on passive RFID transponder with digital compas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Nescher et al. Using head tracking data for robust short term path prediction of human locomotion
KR20110134143A (ko) 시각장애인용 길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단말
KR102504330B1 (ko) 피난약자 실시간 피난 유도 시스템
KR101496446B1 (ko) 무선주파수 인식 방식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2231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최단거리 경로탐색 로봇 및 그 구동방법
US20220155092A1 (en) Method of navigating a visually impaired user, a navigation system for the same, and a guiding robot
KR20150145429A (ko)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
KR101655820B1 (ko)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한 도착시간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384114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navigation and map generation within a visually obscured environment
US20200376680A1 (en) Robot system and portable teaching device
JP4427517B2 (ja) 歩行者動線観測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68036A (ko) 중장비 또는 대형차량의 충돌방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56705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KR101856700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물건 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