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943B1 -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943B1
KR101781943B1 KR1020160092708A KR20160092708A KR101781943B1 KR 101781943 B1 KR101781943 B1 KR 101781943B1 KR 1020160092708 A KR1020160092708 A KR 1020160092708A KR 20160092708 A KR20160092708 A KR 20160092708A KR 101781943 B1 KR101781943 B1 KR 10178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elastic
attach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영남유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남유리산업 filed Critical (주)영남유리산업
Priority to KR102016009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단열을 위해서 도어와 고정 프레임 간 또는 도어와 도어 간의 접촉 부위에 구비되는 유연 기밀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테두리 형상의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 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힌지 축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도어 유리 창호와, 도어 유리 창호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 수직 프레임과, 도어 창 저면에 부착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과, 도어 창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와; 강 탄성 재질로서 복수개의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 양 측의 수직 프레임에서 고정 프레임과 대면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결합 홈에 삽입되며, 고정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돌출 탄성 프레임과; 벽체나 커튼월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의 외부와 내부의 접촉을 분리시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질 캡 바인 블록 탄성 프레임로 구성됨으로써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부드러운 기밀이 유지되는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Insulated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을 위해서 도어와 고정 프레임 간 또는 도어와 도어 간의 접촉 부위에 구비되는 유연 기밀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라 함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 것으로, 이러한 창호는 외곽 창호틀을 형성하는 창호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에 구성되는 도어 또는 유리창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창호의 한 형태로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도어는 상·하부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힌지를 통해 도어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의 타측을 안쪽(전방)으로 잡아당기거나 바깥(후방)으로 밀어 여는 문을 말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도어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통행자가 많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어 통상 개폐장치가 구비되지 않게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도어장치의 일반적인 기술을 살펴보면 도어가 설치될 건물의 입구측 콘크리트 블록 상에 창호 프레임을 형성하는 도어 틀과 도어 틀에 설치되어 전후 양방향으로 여닫는 도어를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도어장치는 힌지를 통해 도어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도어를 전후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를 여닫는 경우 일정 범위의 회전반경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도어장치는 도어 틀과 도어 사이에 3∼5mm 간격이 있도록 하여 문짝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도어장치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3∼5mm 간격이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도어틀과 도어 사이, 도어와 도어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내·외부의 열전달이 심하여 단열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도어장치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3∼5mm 간격이 발생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기밀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단열장치도 마련되지 않아 냉·난방효과가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외부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건축물의 에너지손실을 부추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통상적인 방편으로 문틀에는 기밀 재료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밀 재료는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 동작 과정에서 마모되고 열화 되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지만 기밀 재료는 프레임에 복잡하게 설치되어 교체 과정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비껴가기 위해서 시중에서 별도로 판매되는 방풍부재를 부착하고 있으나 이는 도어 프레임 특유의 형상과 맞지 않고 별도의 방풍부재가 부착되는 장소가 마련되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방풍부재를 붙이지 않더라도 도어와 고정 프레임 간에 수월한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인 단열, 기밀이 가능하면서도, 도어와 프레임 간 접촉 부위가 마모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마모 문제가 해결되도록 교체할 수 있는 창호시스템 기술이 요청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15608호(2013.10.22. 공개)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4628호(2011.07.01.자 공고)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5156호(2010.10.27.자 공개)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5166호(2010.10.27.자 공개)
(특허문헌 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5167호(2010.10.27.자 공개)
(특허문헌 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23523호(2011.03.08.자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별도의 방풍부재를 붙이지 않더라도 도어와 고정 프레임 간에 수월한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인 단열,기밀이 가능하면서도, 도어와 프레임 간 접촉 부위가 마모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마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은 사각 테두리 형상의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 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힌지 축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도어 유리 창호와, 도어 유리 창호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 수직 프레임과, 도어 창 저면에 부착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과, 도어 창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와, 강 탄성 재질로서 복수개의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 양 측의 수직 프레임에서 고정 프레임과 대면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결합 홈에 삽입되며, 고정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돌출 탄성 프레임과, 벽체나 커튼월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의 외부와 내부의 접촉을 분리시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질 캡 바인 블록 탄성 프레임으로 구성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연 기밀 부재로 인하여 벽체에 구비되는 고정 프레임과 도어 측면에 구비되는 가변 프레임 간에 완충 작용이 이루어져 충격이 방지되면서, 도어와 접촉되면 단열 및 수월한 폐쇄가 이루어진다.
둘째, 유연 기밀 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독립된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 동작으로 인하여 유연 기밀 부재가 마모 또는 열화 되더라도 유연 기밀 부재의 교체로 저렴하고 간편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함으로써 창호시스템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하나의 도어뿐만 아니라 두 개의 도어가 중앙이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되더라도 유연 기밀 부재의 모듈식 적용이 가능하며, 이때 고정 프레임에는 원호 면이 형성되고 수직 기밀 날개가 부착됨으로서,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면서도 기밀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정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평단면도,
도 6은 하부 수평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상부 수평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크게 두 개의 실시예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 예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이고, 제2 실시 예는 도 2,4,5에 도시된 실시 예이며, 도 6,7은 제1 및 제2 실시 예에 공통된 특징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예를 차례로 설명한 다음 제1 및 제2 실시예에 공통된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제1실시예는 하나의 도어로 개폐되는 외도어에 대한 실시예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은 고정 프레임(30)과, 도어(3)와, 돌출 탄성 프레임(13)과, 블록 탄성 프레임(26)과, 하부 및 상부 기밀 날개(42,52)로 이루어진다.
고정 프레임(3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일정 부위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후술하게 될 도어(3,10,40,50)가 고정 프레임(30)으로 형성되는 사각 공간을 개폐시키게 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정 창(2) 자체는 본 발명을 이루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고정 프레임(30)은 고정 창(2) 및 도어가 설치될 수도 있고 벽체(1) 내주면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어(3,10,40,50)는 고정 프레임(30)의 일 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힌지 축(미도시)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도어(3), 도어(3)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 수직 프레임(10)과, 도어(3) 저면에 부착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40)과, 도어(3)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50)으로 이루어진다.
돌출 탄성 프레임(13)은 연질 또는 경질 고무 재질로서 복수개의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도어 수직 프레임(10)에서 고정 프레임(30)과 대면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결합 홈(15)에 삽입되며, 고정 프레임(30)을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된다.
삭제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를 비교하여 참고하면 도 3의 하부에 도시된 부분 사시도에 도시된 것은 외도어와 벽체와의 접촉부위이고 도4의 하부에 도시된 부분 사시도에는 쌍도어의 상호접촉 부위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서는 돌출 및 만곡 탄성 프레임(25,13)과 유연 기밀 부재(27)가 별도로 도시되어 서로의 배치 관계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제1실시 예에서는 돌출 탄성 프레임(13)의 선단부인 돌출 부위와 블록 탄성 프레임(26)의 정면이 서로 접촉되며, 돌출 탄성 프레임(13)과 블록 탄성 프레임(26)이 모두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돌출 탄성 프레임(13) 선단부가 블록 탄성 프레임(26) 정면에 미세 두께만큼 압착되면서 도어(3)를 닫으면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 및 상부 기밀 날개(42,52)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서 하부 수평 프레임(40)의 저면과 상부 수평 프레임(50)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하부 및 상부 기밀날개(42,5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됨으로써 기밀 구조가 다중으로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 예>
제2실시 예는 두 개의 도어가 설치되어 두 개의 도어(3a,3b) 사이가 개방되게 설치되는 도어 창호시스템에 대한 실시예이다. 즉 두 개의 도어로 개폐되는 쌍도어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은 고정 프레임(30)과, 제1 및 제2도어(3a,3b)와, 돌출 탄성 프레임(13)과 만곡 탄성 프레임(25) 및 블록 탄성 프레임(26)과, 유연 기밀 부재(27)와, 하부 및 상부 기밀 날개(42,52)로 이루어진다.
고정 프레임(3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일정 부위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후술하게 될 제1 및 제2도어(3a,3b)가 고정 프레임(30)으로 형성되는 사각 공간을 개폐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도어(3a,3b)는 두 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대면되는 부위가 개방되도록 고정 프레임(30)의 양 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힌지 축(미도시)에 하나씩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도어 유리와, 도어 유리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 수직 프레임(10a,10b)과, 도어 유리 저면에 부착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40)과, 도어 유리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50)으로 이루어진다.
돌출 탄성 프레임(13)은 연질 또는 경질고무 재질로서 복수개의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도어(3a,3b) 중 어느 하나의 양 측 도어 수직 프레임(10a,10b)에서 노출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제2결합 홈(15)에 삽입되며, 고정 프레임(30) 또는 제1 및 제2도어(3a,3b) 중 나머지 하나의 도어를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된다.
만곡 탄성 프레임(25)은 강 탄성 재질로서 복수개의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도어(3a,3b) 중 나머지 하나의 양 측 도어 수직 프레임(10a,10b)에서 노출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제2결합 홈(15)에 삽입되며, 고정 프레임(30) 또는 돌출 탄성 프레임(13)을 향하여 만곡 홈(251)이 형성된다.
블록 탄성 프레임(26)은 강 탄성 재질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고정 프레임(30)에서 도어 수직 프레임(10a,10b)과 대면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결합 홈(23)에 삽입되고, 도어 수직 프레임(10a,10b)을 향하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단열부재이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도어(3,10,40,50)의 양 측에는 돌출 탄성 프레임(13)이 부착되고 고정 프레임(30)에는 블록 탄성 프레임(26)이 부착되는 반면에, 제2실시예에서는 만곡 탄성 프레임(25)이 제1 또는 제2도어(3a,3b) 중 어느 하나의 양 면에 부착되고, 돌출 탄성 프레임(13)은 제1 또는 제2도어(3a,3b) 중 나머지 도어의 양 면에 부착되며, 고정 프레임(30)에는 블록 탄성 프레임(26)이 부착된다. 이러한 배치 관계가 도 3하단 및 도5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돌출 탄성 프레임(13)은 제1 도어 좌·우측에 부착되고, 만곡 탄성 프레임(25)은 제2도어(10b) 좌·우측에 부착된다고 가정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평단면도를 참조하면, 도 4의 상부 도면은 제1 도어(10a)와 고정 프레임(30) 간의 대면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도 4의 하부 도면은 제2도어(3b,10b,)와 제1도어(3a)가 서로 대면되는 부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의 하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 기밀 부재(27)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서,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이며 만곡 홈(251)에 부착되어 제1도어(3a)와 제2도어(3b)의 개폐에 따라 돌출 탄성 프레임(13)에 형성된 돌출부 외주면과 상호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게 형성된다. 유연 기밀 부재(27)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마모될 수 있는 접촉부위로 교체가 편리하게 하여 도어의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기밀 날개(42,52)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서 하부 수평 프레임(40)의 저면과 상부 수평 프레임(50)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제1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하부 및 상부 기밀날개(42,5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날)개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됨으로써 다중 기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 예에서는 돌출 탄성 프레임(13)의 탄성력이 유연 기밀 부재(27)의 탄성력 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유연 기밀 부재(27)와 제2탄성 프레임(13)의 탄성력이 모두 강하면 서로의 마찰력에 의하여 도어의 닫힘이 유지되기 힘들게 되기 때문이며, 또한 유연 기밀 부재(27)와 돌출 탄성 프레임(13)의 탄성력이 모두 약하면, 마찬가지로 도어를 닫았더라도 도어와 벽체로 나누어지는 두 공간의 기압 차에 의하여 다시 힘없이 도어가 열릴 수 있으며 외부에서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잠금장치를 해체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연 기밀 부재(27)는 배면을 따라 양면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유연 기밀 부재의 배면이 양면테이프의 점착력으로 상기 만곡 홈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시간 사용하여 마모 및 열화된 유연 기밀 부재는 아세톤과 같은 약품으로 쉽게 떼어낸 다음 미리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새로운 유연기밀부재(27)를 부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공통 특징>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또는 상부 기밀 날개(42,52)의 폭은 하부 수평 프레임(40) 또는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상부 및 하부 고정 프레임(30) 간의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만일 하부 또는 상부 기밀 날개(42,52)의 폭이 하부 수평 프레임(40) 또는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상부 및 하부 고정 프레임(30) 간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부와 하부 문틈으로 통기가 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기 힘들게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하부 또는 상부 기밀 날개(42,52)의 폭이 하부 수평 프레임(40) 또는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상부 및 하부 고정 프레임(30) 간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하부 또는 상부 기밀 날개(42,52)가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면 중복적인 기밀이 이루어져 도어로 밀폐되는 공간의 단열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벽체 2: 고정 유리 창호
3: 도어 3a: 제1도어
3b: 제2도어 10: 도어 수직 프레임
10a: 제1 도어 수직 프레임 10b: 제2 도어 수직 프레임
13: 돌출 탄성 프레임 15: 결합 홈
23: 결합 홈 25: 만곡 탄성 프레임
26: 블록 탄성 프레임 27: 유연 기밀 부재
30: 고정 프레임 31: 고정 단열 프레임
32: 고정 강화 프레임 40: 하부 수평 프레임
42: 하부 기밀 날개 43: 내부 프레임
50: 상부 수평 프레임 52: 상부 기밀 날개
53: 상부 프레임
111,111a,111b: 도어 수직 단열 프레임
112,112a,112b: 도어 수직 강화 프레임
251: 만곡 홈 411: 하부 단열 프레임
412: 하부 강화 프레임 511: 상부 단열 프레임
512: 상부 강화 프레임

Claims (5)

  1. 삭제
  2. 건물 외벽 또는 내벽의 벽체에 출입을 위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주면에 부착되도록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제작되고, 개구부를 향하는 면에 결합 홈이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과;
    두 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대면되는 부위가 개방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 축에 하나씩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도어와, 도어 측면에 부착되는 도어 수직 프레임과, 도어 창 저면에 부착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과, 도어 창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연질 또는 경질 고무로서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도어 중 어느 하나의 양 측 수직 프레임에서 노출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제2결합 홈에 삽입되며, 고정 프레임 또는 제1 및 제2도어 중 나머지 하나의 도어를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되는 돌출탄성 프레임과;
    강 탄성 재질로서 복수개의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도어 중 나머지 하나의 양 측 수직 프레임에서 노출되는 면에 길게 형성되는 제2결합 홈에 삽입되며, 고정 프레임 또는 상기 돌출탄성 프레임을 향하여 만곡 홈이 형성되는 만곡탄성 프레임과;
    강 탄성 재질이며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서 수직 프레임의 내부와 외부간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결합 홈에 삽입되는 블록탄성 프레임과;
    유연한 탄성 재질로서,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만곡 홈에 부착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는 유연 기밀 부재와;
    유연한 탄성 재질로서 하부 수평 프레임의 저면과 상부 수평 프레임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 기밀 날개 및 상부 기밀 날개;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또는 상부 기밀 날개의 폭은 하부 수평 프레임 또는 상부 수평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간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탄성 프레임의 탄성력이 유연 기밀 부재의 탄성력 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기밀 부재는 배면을 따라 양면테이프가 구비되어 유연 기밀 부재의 배면이 양면테이프의 점착력으로 상기 만곡 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5. 삭제
KR1020160092708A 2016-07-21 2016-07-21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KR10178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708A KR101781943B1 (ko) 2016-07-21 2016-07-21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708A KR101781943B1 (ko) 2016-07-21 2016-07-21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943B1 true KR101781943B1 (ko) 2017-09-27

Family

ID=6003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708A KR101781943B1 (ko) 2016-07-21 2016-07-21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9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21B1 (ko) * 2014-06-16 2014-11-26 (주)영남유리산업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단열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21B1 (ko) * 2014-06-16 2014-11-26 (주)영남유리산업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단열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5B1 (ko) 복합단열 여닫이 도어
KR101370463B1 (ko) 커튼월
US20130283723A1 (en) Corner joint with capillary break and method of assembly
KR20150000653U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ES2324052T3 (es) Batiente con junta de base para ranura.
KR101422815B1 (ko) 유리창 고정막대 고정구조의 스테인리스 단열창호 프레임
GR1004910B (el) Συστημα κουφωματων συμπαγους σωματος προφιλ αλουμινιου
US20070277454A1 (en) Window system
KR101781943B1 (ko) 단열 도어 창호시스템
KR101422813B1 (ko)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단열 도어장치
KR101707065B1 (ko) 양문형 여닫이창호
KR20140036442A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20190076524A (ko) 자기력을 이용한 창문의 방음 및 방열 구조체
KR100987102B1 (ko) 실링부재 일체형 창호
US10641033B2 (en) Sash for doors or windows and door or window obtained with the sash
KR20160069005A (ko)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20140100285A (ko) 시스템 창호의 단열구조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100979489B1 (ko) 실링의 설치를 위한 창틀 구조
CN104405239B (zh) 一种外保温中空玻璃平开窗的边框结构
KR20210123200A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1914795B1 (ko) 착탈식 단열보강부재를 구비한 창호
JP4509830B2 (ja) ガラス窓用断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