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537B1 -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537B1
KR101781537B1 KR1020150160622A KR20150160622A KR101781537B1 KR 101781537 B1 KR101781537 B1 KR 101781537B1 KR 1020150160622 A KR1020150160622 A KR 1020150160622A KR 20150160622 A KR20150160622 A KR 20150160622A KR 101781537 B1 KR101781537 B1 KR 10178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vehicle
air
driver
determination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027A (ko
Inventor
홍성호
박내현
신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37B1/ko
Priority to PCT/KR2016/008278 priority patent/WO2017086571A1/en
Priority to CN201680079109.6A priority patent/CN108473029B/zh
Priority to US15/776,464 priority patent/US20180326818A1/en
Publication of KR2017005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1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in the air-conditioning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6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adding more than one sub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에어 덕트에 연통되게 구비되거나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되, 전류가 인가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실에 탑승한 양극(+극)의 성질을 가진 탑승객을 향하여 상기 제2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정화 공기와 혼합된 후 유동되도록 음극(-극)의 성질을 띤 퍼퓸을 생성하는 음이온 퍼퓸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Apparatus to distribute perfume of Vehicle Room}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 대기 환경 및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반영하여 보다 다양한 차실 대기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은 승객이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이동 수단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기술발전 동향이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기술에 한정되어 있었다면, 최근에는 탑승객의 편의 및 건강 등을 주제로 하는 기술분야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실내를 도시한 일예이다.
차량(1) 내부(이하, '차실'이라 한다)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 구역(D) 및 운전석의 일측에 위치된 조수석 구역(A), 운전석과 조수석 후방에 위치된 차실 후방 구역(C)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의 공기질 개선 또는 대기 분위기 개선을 위하여 차량 소유주가 직접 별도로 구매한 방향제(10)를 차량 공조기로부터 공조 공기가 토출되는 부위에 장착하여 차실로 확산되도록 하는 것에 그치고, 단순히 차실 전방측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 상측에 방향제를 설치함으로써 방향 물질을 차실로 분사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운전석 구역(D), 조수석 구역(A) 및 차실 후방 구역(C)에 균일한 확산만 이루어질 뿐이고, 한 종류의 향만을 발산하도록 구비되어 운전자 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 다른 다양한 환경에서의 맞춤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양극(+극) 성질을 띤 승객(인체)을 향하여 음이온 퍼퓸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음극(-극) 성질로 음이온화된 퍼퓸을 생성하여 차량의 에어 덕트를 매개로 분사시킴으로써 차실의 대기 분위기를 개선함은 물론 승객 개인의 감정상태 및 건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차실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를 판정하는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와,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에 의하여 판정된 결과를 토대로 복수개의 퍼퓸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분무하는 제1분무 단계와, 상기 제1분무 단계 후 또는 상기 제1분무 단계의 계속 중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를 지속적으로 판정하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와,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 의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가 변화되거나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변화되었다고 판정되면 현재 분사 중인 퍼퓸 캡슐을 포함한 상기 복수개의 퍼퓸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새롭게 선택하여 분무하는 제2분무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는, 졸음 운전 상태(이하, '제1상태'라 함), 시선 분산 운전 상태(이하, '제2상태'라 함) 및 스트레스 상태(이하, '제3상태'라 함)로 구분하여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생체 정보 획득부(410)가 상기 운전자를 센싱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하여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퍼퓸 캡슐은, 상기 운전자의 제1상태 또는 상기 운전자의 제2상태에 대해 소정의 각성 성분을 가진 제1캡슐과, 상기 운전자의 제3상태를 완화시키는 소정의 완화 성분을 가진 제2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3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2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 및 제3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3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이 동시에 선택되어 분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는, 오염 상태(이하, '제1공기질 상태'라 함) 및 습기 상태(이하, '제2공기질 상태'라 함)로 구분하여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는, 상기 차량 내외에 설치된 공기질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센싱값을 토대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질 상태는, 오염원이 상기 차실의 외부인 상태(이하, '외부 오염 상태'라 함) 및 상기 오염원이 상기 차실의 내부인 상태(이하, '내부 오염 상태'라 함)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퍼퓸 캡슐은,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보조하는 소정의 약물 성분을 가진 제4캡슐과, 상기 차실의 공기질을 개선시키는 소정의 정화 성분을 가진 제5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1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4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2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5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1공기질 상태 및 제2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4캡슐 및 상기 제5캡슐이 동시에 선택되어 분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로 판정된 후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공조기를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 도입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상기 차실의 오염 공기를 제거하는 오염 제거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2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후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2공기질 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공조기를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 도입 모드 및 상기 차실 내부를 제습하는 제습 모드로 병행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 내지 상기 제3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되거나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1공기질 상태 및 상기 제2공기질 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차실에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상기 차실에 분무된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의 향을 제거하는 탈취 모드로 구동시키고, 상기 차량용 공조기를 상기 차실의 공기가 순환되는 내기 순환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감정 상태와 차실의 공기질 상태에 따라 복수개의 퍼퓸 캡슐 중 안전 주행이 가능한 차실 환경을 제공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실내를 도시한 일예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다양한 실내 방향 장치의 설치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구성 중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퍼퓸 캡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구성 중 퍼퓸 캡슐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구성 중 퍼퓸 캡슐의 작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a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의 구성 중 전류 인가부의 작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구성 중 케이스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운전 상태 또는 졸음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에 대한 졸음 추세선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구성 중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퍼퓸 캡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구성 중 퍼퓸 캡슐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구성 중 퍼퓸 캡슐의 작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a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구성 중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의 구성 중 전류 인가부의 작용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1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실로 공조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차실의 복수 개소에 배치된 에어 덕트(50)와, 에어 덕트(50) 일부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전류가 인가되는 동작에 의하여 차실 내에 탑승한 양극(+극)의 성질을 가진 탑승객(승객, 인체)을 향하여 에어 덕트(5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된 후 유동되도록 음극(-극)의 성질을 띤 퍼퓸을 생성하는 음이온 퍼퓸 모듈(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음극(-극)의 성질을 띤 퍼퓸이라 함은, 인체의 후각을 자극하는 특정 성분의 향(냄새)를 가진 기화된 물질로 한정되는 의미일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음극(-극)의 성질을 띠는 기화된 물질이라면 여하한 목적을 가진 물질이라도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예컨대, 퍼퓸은, 특정의 향이 나는 향수일 수 있고, 나아가 인체의 피부에 안착되는 스킨 케어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퍼퓸은 기능성 물질로 명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는 양극(+극)의 성질을 가지는 바, 음극(-극)의 성질을 가지는 기화 물질이 용이하게 인체를 향하여 확산될 수 있고, 특히 인체 중 얼굴 등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피부에 부착되는 모이스쳐 이온 물질일 수 있다. 퍼퓸이 모이스쳐 이온 물질로 구비된 경우에는, 건조한 차실에 탑승한 승객에게 모이스쳐 이온 물질이 부착됨으로써 차량에 탑승하는 내내 자연스럽게 촉촉하고 윤기있는 피부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에어 덕트(50)는, 미도시된 차량용 공조기로부터 공조 공기를 공급받아 차실 곳곳에 공급하기 위한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에어 덕트(5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조기로부터 공조 공기를 직접 제공받는 덕트 본체(53)와, 덕트 본체(53)에서 차실의 후방부로 공조 공기를 유동시키는 리어 덕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에어 덕트(50)는, 덕트 본체(5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 내측을 따라 배설된 사이드 덕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발 부분으로 토출되도록 구비된 풋 덕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 결합되는 에어 덕트(50)는, 공조 공기를 직접 공급받도록 차실 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덕트 본체(53)와, 덕트 본체(53)에서 차실의 뒷좌석 부분으로 연장된 상기 리어 덕트(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는,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 상술한 덕트 본체(53) 및 리어 덕트(51)에 연통되게 배치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는 것이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도 2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기의 에어 덕트(50)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퍼퓸이 수용되는 퍼퓸 수용 공간(P)을 가지는 퍼퓸 하우징부(110)와, 퍼퓸 하우징부(110)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퍼퓸을 생성하여 퍼퓸 수용 공간(P)으로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과,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이 고정 설치되는 퍼퓸 트레이(120)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퍼퓸 캡슐(211,213,215 중 어느 하나)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인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 덕트 본체(53)에 설치된 경우로서, 퍼퓸 하우징부(110)의 외부에 퍼퓸 캡슐이 배치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퍼퓸 트레이(120)에 의하여 복수개의 퍼퓸 블록(210)이 회전되는 실시예를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라 칭하고,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 리어 덕트(51)에 설치된 경우로서, 퍼퓸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퍼퓸 캡슐(200)이 배치됨과 아울러 퍼퓸 트레이(120)가 고정된 실시예를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라 칭하여 구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공통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은, 도 6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퍼퓸 트레이(120)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고정 케이스(220)와, 고정 케이스(220)에 삽입 안착되고, 퍼퓸 재료인 퍼퓸 고형물이 충진되는 충진 공간(232)과, 충진 공간(232)으로부터 기화된 퍼퓸 공기가 수집되는 포집 공간(233)을 가지며, 퍼퓸 고형물을 기화시키는 동작으로 퍼퓸을 발생시키는 퍼퓸 블록(210)을 포함할 수 있다.
퍼퓸 고형물은 충진 공간(232) 내에 충진되되, 일반적으로 젤 상태의 물질로 구비되고, 자연 상태에서 시간이 흐르면 자연 기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퍼퓸 고형물은, 전류가 인가되면 극성에 따라 이온화되는 물질로 한정될 수 있다.
전류 인가부(16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파워 서플라이(167)와, 퍼퓸 캡슐의 외부에서 퍼퓸 블록(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파워 서플라이(167)로부터 발생된 전압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시키거나 퍼퓸 캡슐의 내부에 기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워 서플라이(167)로부터 발생된 전압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시키는 인젝션 니들(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도 9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젝션 니들(163)이 퍼퓸 캡슐의 외부에서 위치되어 있다가 퍼퓸 블록(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전류를 인가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젝션 니들(163)이 퍼퓸 캡슐의 내부에 기삽입된 상태에서 전류를 인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에서, 전류 인가부(160)는, 도 5 및 도 9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젝션 니들(163)을 퍼퓸 캡슐의 외부에서 퍼퓸 블록(210)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이동시키는 니들 구동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젝션 니들(163)은, 니들 구동부(161)의 선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니들 구동부(161)는, 도 9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젝션 니들(163)을 퍼퓸 블록(210) 측으로 삽침시키거나 퍼퓸 블록(210)부터 이탈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젝션 니들(163)은 외부로 노출된 솔레노이드 선단에 고정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직선 이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연동되게 이동된다.
인젝션 니들(163)은, 솔레노이드와 결합되는 결합부(164) 및 퍼퓸 블록(210) 내의 고형물에 삽탈되는 니들부(165)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164)는 대략 솔레노이드의 선단이 삽입되는 고정홀(도면부호 미표기)이 가운데에 형성되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니들부(165)는 원판 형상의 결합부(164)의 외주 부분의 3개소에서 퍼퓸 블록(210)을 향하여 돌출된 바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퍼퓸 블록(210)은, 도 6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술한 충진 공간(232) 및 포집 공간(233)을 가지는 블록 케이스(231)와, 블록 케이스(231)의 충진 공간(232)의 중심부에 상하로 배치되고, 전류 인가부에 의하여 전류가 인가되어 충진 공간(232)에서 양이온화된 퍼퓸 고형물을 음이온화하여 포집 공간(233)으로 이동시키는 모세관주(234)를 포함한다. 모세관주(234)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소정의 모세관압이 형성되는 크기의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소봉일 수 있다.
즉, 퍼퓸 블록(210) 내부로 인젝션 니들(163)의 니들부(165)가 삽입되어 전류가 인가되면 퍼퓸 고형물은 본래 이온화가 가능한 젤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젝션 니들(163)의 니들부(165)에 의하여 퍼품 고형물의 일부가 음이온화된다.
이와 같이 음이온화된 퍼퓸 고형물은 모세관주(234)의 모세관압에 의하여 모세관주(234)의 주변으로 응집되고, 탄소봉으로 이루어진 모세관주(234)의 하단부는 음극(-극)의 성질을 가지며, 모세관주(234)의 상단부는 양극(+극)의 성질을 가지도록 대전된다.
여기서, 모세관주(234)의 주변으로 음이온화된 퍼퓸 고형물이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된 하단부인 충진 공간(232)에서 상단부인 포집 공간(233)으로 모세관압에 의하여 이동되고, 포집 공간(233)에서 기화되어 포집 공간(233)의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도킹홀(238)을 통하여 퍼퓸 하우징부(110) 내부의 퍼퓸 수용 공간(P)으로 토출된 후 상술한 에어 덕트(50)를 통하여 차실로 토출되게 된다.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퍼퓸 블록(210) 중 충진 공간(232)이 구비된 하부에는 니들부(165)가 삽탈되도록 배치되고, 퍼퓸 블록(210) 중 포집 공간(233)에는 모세관주(234)의 상단부 주위로 대전된 전류를 접지시키는 그라운드 접지단(237)이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지단(237)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전된 모세관주(234)와의 사이에 발생된 전위차를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전기장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니들부(165)와 그라운드 접지단(237) 사이에는 소정의 전류차가 형성되고, 이 전류차가 모세관주(234)의 모세관압과 더하여 음이온화된 퍼퓸 고형물을 충진 공간(232)에서 포집 공간(233)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이 될 수 있다.
한편, 퍼퓸 트레이(120)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사용자가 미도시의 스위칭 동작으로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퍼퓸 캡슐(200)은 퍼퓸 트레이(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다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고, 정지된 위치의 하부에 구비된 상술한 전류 인가부(160)의 인젝션 니들(163)이 퍼퓸 블록(210)의 하부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퍼퓸 캡슐(200)은, 퍼퓸 트레이(120)에 의하여 퍼퓸 하우징부(110)의 외부에서 회전되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전류 인가부(160)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퍼퓸 캡슐(200)의 포집 공간(233)과 퍼퓸 하우징부(110)의 퍼퓸 수용 공간(P)이 연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에서,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이 퍼퓸 트레이(120)에 의하여 수직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퍼퓸 트레이(120)의 하부에 해당하는 퍼퓸 하우징부(110)의 퍼퓸 수용 공간(P)에는, 퍼퓸 트레이(12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트레이 구동부(150)가 배치된다.
트레이 구동부(15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동 모터(151)와, 구동 모터(151)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전달기어(155)와, 퍼퓸 트레이(120)의 회전축이 고정되고, 전달기어(155)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153)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151)가 회전 작동되면 전달기어(155)를 매개로 구동기어(153)가 회전되고, 구동기어(153)에 고정된 퍼퓸 트레이(120)의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퍼퓸 트레이(12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구동 모터(151)는, 선택된 퍼퓸 캡슐의 퍼퓸 블록(210)에 형성된 도킹홀(238)이 설치부의 상측에 해당하는 퍼퓸 하우징부(110)에 형성된 접속홀(118)과 형합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킹홀(238)과 접속홀(118)은 상호 형합되는 경우 외부로 퍼퓸이 누기되지 않도록 실링되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퍼퓸 블록(210)의 상부에 구비된 도킹홀(238)이 상술한 소정의 위치에서 퍼퓸 트레이(120)가 정지되면 그 상측에 구비된 퍼퓸 하우징부(110)의 퍼퓸 수용 공간(P)과 연통되게 구비된 접속홀(118)과 도킹되어 포집 공간(233)에서 퍼퓸 수용 공간(P)으로 음이온화된 퍼퓸이 이동된다.
여기서, 퍼퓸 블록(210)의 상부는 투명 재질의 커버(도면부호 미표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술한 도킹홀(238)은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충진 공간(232)과 포집 공간(233)은 구획판(239)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구획판(239)에는 모세관주(234)의 상단이 관통하는 관통홀(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239)은 퍼퓸 블록(210)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커버 또한 동일한 결합 방식으로 구획판(239)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의 테두리 부근에는 충진 공간(232)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모세관주 고정부쉬(23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모세관주 고정부쉬(236)는 구획판(239)의 저면으로부터 충진 공간(232)이 구비된 하방으로 돌출되고,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이 모세관주 고정부쉬(236)의 내부를 상하 수직되게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모세관주 고정부쉬(236)에는 모세관주(234)의 상단부가 관통되어 지지된다.
충진 공간(232)의 바닥면에는 상술한 모세관주(234)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235)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지지리브(235)의 외측으로 상술한 니들부(165)가 삽입되어 퍼퓸 고형물과 접점될 수 있다.
한편, 퍼퓸 하우징부(110) 내부에 구비된 파워 서플라이(167)는, 퍼퓸 블록(210) 중 충진 공간(232)에 충진된 퍼퓸 고형물에 전류가 인가되면 적어도 음이온화될 수 있을 정도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퍼퓸 하우징부(110)는, 퍼퓸 수용 공간(P)의 하부면 및 후방부면을 형성하고, 전류 인가부(160)와 퍼퓸 공급팬(140)이 설치되는 로워 케이스(111)와, 퍼퓸 수용 공간(P)의 하부면 및 후방부면을 제외한 나머지를 차폐하여 퍼퓸 수용 공간(P)을 형성하도록 로워 케이스(111)에 결합되고, 퍼퓸 트레이(120) 및 퍼퓸 캡슐이 외부에 설치되는 설치부(도면부호 미표기)를 제공하는 어퍼 케이스(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부는, 퍼퓸 트레이(120) 및 퍼퓸 캡슐이 수용되도록 "U"자 형상으로 전방부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로워 케이스(111)의 하부면 및 후방부면이 형성하는 모서리에는, 상술한 퍼퓸 공급팬(140)이 설치되는 팬 설치부(119)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 파워 서플라이(167)가 설치되며, 전방부 바닥면에는 전류 인가부(160)가 고정 설치되고, 그 전방에는 퍼퓸 트레이(120)의 회전축(123)이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는 회전 지지부(117)가 형성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퍼퓸 블록(210)의 모든 구성은 동일하나, 제1실시예의 인젝션 니들(163)의 니들부(165)가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모두의 하부에 삽침되도록 각각 배치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은 파워 서플라이(167)와 전기적으로 각각 와이어들(167a,167b,167c)에 의하여 연결되고, 파워 서플라이(167)와 각각의 와이어들(167a,167b,167c) 사이에는 후술하는 선택 버튼 스위치와 연동되는 전원 스위치부(169)가 구비되어 선택된 와이어를 통해서만 선택된 퍼퓸 캡슐(200)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제1실시예와는 달리, 니들 구동부(161)가 구비될 필요가 없고, 니들 구동부(161) 대신 상술한 전원 스위치부(169)가 구비되며, 퍼퓸 트레이(120)가 회전되는 대신 고정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고전압이 인가된 경우의 퍼퓸 블록의 작동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중 어느 하나의 퍼퓸 캡슐이 선택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선택 버튼 스위치의 능동 선택) 또는 기설정된 제어 신호의 자동 입력에 따른 선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자의 선택을 위해서, 차실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직접 수동 조작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택 버튼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택 버튼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선택 버튼 스위치를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다.
후자의 선택에 관한 구체적인 모습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한 선택을 전제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선택 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면 파워 서플라이(167)로부터 고압의 전류가 선택된 퍼퓸 캡슐(200)로 인가된다.
이때, 제1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의 경우, 도 9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퍼퓸 트레이(120)가 회전되면서 사용자가 의도한 퍼퓸 캡슐(200)이 니들 구동부(161)의 상측에 배치되고, 니들 구동부(161)가 니들부(165)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선택된 퍼퓸 캡슐(200)의 하부로 삽침되어 퍼퓸 고형물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시킨다.
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의 경우,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퍼퓸 캡슐에만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원 스위치부(169)가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전류가 퍼퓸 고형물에 인가되면 퍼퓸 고형물이 음이온화되어 모세관주(234)의 하단부 주위로 응집되고, 전류의 인가에 따라 대전된 모세관주(234)를 따라 음이온화된 퍼퓸이 모세관압에 의하여 충진 공간(232)에서 포집 공간(233)으로 이동되어 포집 공간(233)에서 확산된다.
포집 공간(233)에 확산된 음이온화된 퍼퓸은, 후술하는 퍼퓸 공급팬(140)에 의하여 퍼퓸 하우징부(110)의 퍼퓸 수용 공간(P)으로 이동하고, 퍼퓸 수용 공간(P)으로 이동된 퍼퓸은 다시 퍼퓸 공급팬(140)의 토출력에 의하여 에어 덕트(50)로 유입되어 차실로 공급된다.
차실로 공급된 퍼퓸은 여전히 음이온화된 퍼퓸인 바, 차실에 승차한 승객(인체)은 전기적으로 양극(+극)의 성질을 띠므로 승객에게 보다 집중적으로 이동되어 확산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10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구성 중 케이스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내부 중 공기 토출구(312,31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공기 청정기(300)는,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의 뒷좌석 후방 선반 등 운전 시야를 가리지 않고 승객의 거동을 간섭하지 않는 차실 내에 배치된 케이스 본체(311)와, 케이스 본체(311)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케이스 본체(311)를 덮도록 케이스 본체(311)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미도시)와,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어 차실 공기를 상부의 차실 공기 흡입구(미도시)를 통하여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공기 토출구(312,314)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원심팬(3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공기 청정기(300)에서, 케이스 본체(311) 및 케이스 커버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두께가 좌우폭 및 전후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슬림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공기 토출구(312,314)는 두께를 형성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이나 전방면 또는 후방면으로 대향되게 2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원심팬(330)은, 상측의 차실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2개소의 공기 토출구를 통하여 측방으로 토출되도록 회전 구동되어 소정의 공기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시로코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차실 공기 흡입구에 인접되는 부위에는 정전필터(미도시)가 대전된 먼지를 걸러내도록 배치될 수 있고, 2개소의 공기 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는 또 다른 정전필터(326)가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공기 토출구에는 냄새를 탈취시키는 탈취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 청정기(300)의 2개소의 공기 토출구 중 어느 하나를 제1공기 토출구(312)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공기 토출구(314)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명확한 설명을 위해 차실 공기 흡입구 측에 배치된 정전필터를 제1정전필터라 칭하고, 제2공기 토출구에 배치된 정전필터를 제2정전필터(326)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2실시예는, 음이온 퍼퓸 모듈(100) 중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의 구성이 2개소의 공기 토출구(312,3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기 토출구 저면에 빌트인 타입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공기 청정기(300)에서 공기 토출구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기본인 바, 공기 토출구(312,314)에 설치된 음이온 퍼퓸 모듈(200)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공기 청정기(300)의 제1공기 토출구(312) 및 제2공기 토출구(314) 모두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2공기 토출구(314)에만 배치되고, 제1공기 토출구(312)에는 양이온과 음이온 물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350)가 구비되어도 좋다.
여기서는, 공기 청정기(300)의 제2공기 토출구(314)에만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2실시예는, 제1공기 토출구(312)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도어(미도시)와 제2공기 토출구(314)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도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2실시예는, 음이온 퍼퓸 모듈(100) 및 이온 발생기(350)에 공통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구비된 공통 파워 서플라이(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 이온 발생기(350)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300)의 파워 서플라이(167)를 음이온 퍼퓸 모듈(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 인가부로 공통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공기 토출구(314)에 구비된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퍼퓸 모듈(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바,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방향 장치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차실 내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제1의 경우로써, 사용자가 이온 발생기(350)만을 구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1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제2개폐도어는 폐쇄시킨다. 이때, 차실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차실 내 공기가 흡입되면서 제1정전필터를 통해 차실 내 먼지가 1차적으로 제거되고, 제1공기 토출구(312)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냄새 성분을 탈취필터(327)를 통해 제거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의 이온 물질이 이온 발생기(350)로부터 발생되어 토출되는 정화 공기와 함께 차실로 토출되게 된다. 이온 발생기(350)를 구동하지 않더라도 차실의 먼지 및 냄새만을 신속하게 제거하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에는, 파워 서플라이(167)에서 이온 발생기(3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된다.
제2의 경우로써, 사용자가 음이온 퍼퓸 모듈(100)만을 구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1개폐도어를 폐쇄하고, 제2개폐도어를 개방시킨다. 이때, 차실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차실 내 공기가 흡입되면서 제1정전필터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개방된 제2공기 토출구(314)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퍼퓸 캡슐만이 작동되어 원하는 퍼퓸이 분사되면 토출 공기와 함께 제2공기 토출구(314)를 통하여 토출되며 제2정전필터(32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완전히 필터링 제거한다. 음이온 퍼퓸 모듈(100)을 구동하지 않더라도 차실의 먼지만을 신속하게 제거하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에는, 파워 서플라이(167)에서 음이온 퍼퓸 모듈(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된다.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음이온 퍼퓸 모듈(100)은 고전압에 의한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인위적인 퍼퓸 발생량은 극히 작으므로, 제2공기 토출구(314)를 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더라도 사용자가 원치 않는 퍼퓸 발생에 의한 영향이 매우 적다.
아울러, 제3의 경우로써, 차실에 먼지 농도 및 냄새 농도가 높아 신속하게 먼지 및 냄새를 동시에 제거하여야 할 경우에는, 제1개폐도어 및 제2개폐도어를 모두 개방시킨다. 이때, 차실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차실내 공기가 흡입되면서 제1정전필터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필터링되어 제거되고, 공기 중의 일부가 제1공기 토출구(312)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탈취필터(327)에 의해 냄새가 제거되고, 공기 중의 나머지가 제2공기 토출구(314)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제2정전필터(326)를 통해 잔존 먼지가 필터링되어 제거된다. 이 때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온 발생기(350) 또는 음이온 퍼퓸 모듈(100)이 각각 또는 동시에 구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제어 대상이 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골자로 한다.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술했듯이 사용자가 직접 선택 버튼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능동적 선택 방법과, 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선택할 수 있는 수동적 선택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최근에는, 안전한 차량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이 차량에 추가되고 있으며, 이를 '지능형 운전자 지원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 System, ADAS)'이라 총칭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내내 주행시야를 놓치지 않도록 자동으로 최적의 주행 환경을 제공하는 추세이다.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 중 하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197호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안면을 카메라 수단을 통해 감지하고, 안면 영상을 토대로 판단되는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운전자 몸체의 움직임 및 안구 깜빡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이탈할 경우 졸음운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 중 다른 하나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51383호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 도어 암레스트, 변속 레버 등에 운전자의 심전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류를 구비하고, 이 심전도를 통해 운전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은, 단순히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발산하는 것이 주된 취지가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감정 상태 및 차실의 공기질을 파악하여 ADAS의 보조 기술 측면에서 접근하여 운전자가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주행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취지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를 판정하는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와,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에 의하여 판정된 결과를 토대로 복수개의 퍼퓸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분무하는 제1분무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의 엔진이 작동되거나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운전자 또는 탑승객은 능동적으로 선택 버튼 스위치를 조작하여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 중 원하는 퍼퓸 캡슐(200)을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현재의 주행 이전의 주행시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던 퍼퓸 캡슐(200)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ADAS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되어 차량 주행이 개시되는 순간의 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에 따라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자동으로 퍼퓸 캡슐(200)이 선택되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여하한 수단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권리범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및 후술하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 의하여 판정되는 상태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예시로써 운전자의 신체 상태는 "졸음 운전 상태, 시선 분산 운전 상태, 스트레스 상태"로 구분하여 판정될 수 있고, 차실의 공기질 상태는 차실 내부가 오염된 상태, 즉 오염 상태와, 차실 내부의 습기가 운전자에게 소정의 영향을 미치는 상태, 즉 습기 상태로 구분하여 판정될 수 있다.
여기서, 졸음 운전 상태는 '제1상태'라 칭하고, 시선 분산 운전 상태는 '제2상태'라 칭하며, 스트레스 상태는 '제3상태'라 칭하기로 하며, 차실의 공기질 상태 중 오염 상태는 '제1공기질 상태'라 칭하기로 하고, 차실의 공기질 상태 중 습기 상태는 '제2공기질 상태'라 칭하며, 특히, 제1공기질 상태는, 오염원이 차실의 외부인 경우 '외부 오염 상태'라 칭하고, 오염원이 차실의 내부인 경우 '내부 오염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 외부 오염 상태 및 내부 오염 상태는 오염원의 근원지를 일컫는 것에 불과할 뿐 양자 모두 차실 내부를 오염시키는 경우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5가지 경우의 상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 것에 그칠 뿐, 이와 같은 상태 구분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상태 내지 제3상태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정보 획득부(400)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400)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 방식으로 센싱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410) 및 운전자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센싱하는 영상 정보 획득부(420) 2가지만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정보 획득부(400)를 통해 획득된 정보는 미도시의 제어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 획득부(410)는, 운전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모든 구성을 말하고, 영상 정보 획득부(420)는, 운전자의 모습을 이미지 데이터로 수집하는 모든 구성을 말할 수 있다.
생체 정보 획득부(410)는, 최근 보급화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고, 영상 정보 획득부(420)는, 운전자의 얼굴 또는 안구 등을 촬영하여 그 변화를 해석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생체 정보 획득부(410)는, 운전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통해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 획득부(410)는 인체의 생리학적 전위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일 예로, PPG(Pulse Plethyamo Graphy), EGG(Electro-CardioGram), GSR(Galvanic Skin Reflex), EEG(Electro-EncephaloGram), EMG(Electro-MyoGram) 및 EOG(Electro-OculoGrahpy)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는, 펄스 혈류량, 심전도, 전기성 피부 반사, 뇌파, 근전도 및 안구 운동에 대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정보 획득부(420)는 상술한 카메라와 같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운전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영상 정보 획득부(420)는 운전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운전자를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생체 정보 획득부(410) 및 영상 정보 획득부(420)를 통해 획득된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구분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졸음에 대한 평가 단계는, 아래 표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HFC 및 SSS를 기준으로 총 7단계로 나타낼 수 있고, KSS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총 9단계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111558258-pat00001
일예로, 제어부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판단시, 운전자의 얼굴 표정, 눈의 개방 시간, 눈의 깜빡거림 및 얼굴의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소정 시간 중 눈꺼풀이 떠 있거나 감겨 있는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눈꺼풀이 감겨 있는 시간은, 운전자 눈의 최대 크기와 최소 크기 간의 차이를 기준으로 눈꺼품이 약 70% 또는 80% 정도 감겨져 있는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눈의 깜빡거림을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눈이 깜빡거린 것으로 판단한 눈꺼풀이 감겨진 정도(closure rate)를 제곱한 값들을 이용하여 눈이 깜빡거린 횟수로 평균한 값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하거나, 눈이 깜빡거린 것으로 판단한 눈꺼풀이 감겨진 정도를 이용하여 눈이 깜빡거린 횟수로 평균한 값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눈이 깜빡거린 것으로 판단한 눈꺼풀이 감겨진 정도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 중 큰 값을 근거로 제곱하여 평균하거나, 단순히 평균한 값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눈의 깜빡거림을 판단한 경우, 눈이 깜빡거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으나 소정 시간(약 0.5초 또는 1초) 이상인 횟수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눈의 깜빡거림을 판단한 경우, 눈이 깜빡거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으로 오래 걸리는 경우에는 이를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눈의 깜빡거림을 판단한 경우, 눈이 깜빡거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 소정 시간(약 2초) 이상인 횟수의 합을 연속하여 발생한 횟수로 나눈 값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눈의 깜빡거림을 판단하고, 눈이 깜빡거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 소정 시간(약 2초) 이상인 경우, "1"로 나타내도록 가정하면, 0000110000111100001110000인 경우에, 산출되는 값은 (2+4+3)/3=3으로써, 이 값을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산출한 값의 크기에 따라 졸음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고, 상기 산출한 값이 클수록 운전자의 졸음에 대한 평가 단계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눈의 깜빡거림의 주기를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눈의 깜빡거림을 판단한 경우, 눈이 깜빡거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 소정 시간(약 2초) 이상인 횟수(n)을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눈의 깜빡거림의 속도를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눈이 떠진 상태에서 감길때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속도들의 총합을 눈을 깜빡거리는 횟수로 나누어 계산한 평균값(AECS)을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하거나, 이와 달리, 눈이 깜빡거린 것으로 판단한 눈꺼풀이 감겨진 정도(closure rate)값들 중 가장 큰 값을 눈이 떠진 상태에서 감길 때의 최고 속도값으로 나눈 값(APCV)을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PCV는 가장 최근 값을 근거로 하거나 복수 회 산출한 APCV들을 평균한 값을 근거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동공의 수축 여부(또는 홍채의 이완 여부)를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얼굴의 방향을 근거로 얼굴의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 제어부는 운전자의 고개가 끄덕거려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는 운전자의 얼굴 표정을 근거로, 운전자가 하품(yawn)하는 것을 판단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는 운전자 얼굴의 표정, 눈의 개방 시간, 눈의 깜빡거림 및 얼굴의 방향 중 어느 하나를 근거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나,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정확한 판단을 하기 위해, 상기 판단 근거를 조합하여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가 복수의 판단 근거를 조합하여 졸음 운전 상태 또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 평가 레벨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판단 근거(일 예로, 운전자 얼굴의 표정, 눈의 개방 시간, 눈의 깜빡거림 및 얼굴의 방향 등)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운전자 얼굴의 표정, 눈의 개방 시간, 눈의 깜빡거림, 얼굴의 방향 등과 같은 복수의 요소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 및 운전자의 졸음 운전 평가 레벨을 판단할 때,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요소에 대한 가중치는 상기 요소에 대한 다량의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학습하여 설정된 가중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학습 모델은 제어부가 운전자 또는 운전자를 포함한 일반인들의 영상 정보 및 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을 근거로 생성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학습 모델을 근거로 제어부는 위험 운전 상태 또는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410)(145)를 통해 획득한 생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EMG 센서를 통해 측정한 근전도에 대한 생체 신호를 근거로 하거나, GSR 센서를 통해 측정한 전기성 피부 반사 신호를 근거로 하여,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가 생체 정보를 근거로 졸음 운전 상태 또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 평가 레벨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생체 정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EMG 및 GSR 센서 등에 의해 측정한 값과 같은 복수의 요소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 및 운전자의 졸음 운전 평가 레벨을 판단할 때도 마찬가지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요소(일 예로, EMG 및 GSR 센서 등에 의해 측정한 값)에 대한 가중치는 상기 요소에 대한 다량의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학습하여 설정된 가중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학습 모델은 제어부가 운전자 또는 운전자를 포함한 일반인들의 영상 정보 및 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을 근거로 생성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학습 모델을 근거로 위험 운전 상태 또는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상기 영상 정보만으로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하거나, 상기 생체 정보만으로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 단계의 범위가 제한되고,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이외에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가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 등을 판단할 때,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시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가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 간의 관계는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 간의 관계는, 졸음 운전 상태, 시선 분산 운전 상태 및 스트레스 상태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위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어느 위험 운전 상태에 해당하는지 또는 구체적인 위험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 레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가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 또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 평가 레벨을 판단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탑승 전 운전자에 대한 수면 상태 정보 및 생체 리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산출한 졸음 추세선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도 12 참조).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운전 상태 또는 졸음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에 대한 졸음 추세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시간에 따른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 레벨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졸음 추세선은 운전자의 차량 탑승 여부 또는 차량 주행 여부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졸음 레벨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직후 또는 차량의 주행 직후의 운전자에 대한 초기 졸음 레벨, 졸음 레벨이 변화하기 전까지 상기 초기 졸음 레벨을 유지하는 시간 및 시간에 따른 졸음 레벨의 변화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산출한 졸음 추세선을 이용하여, 운전자에 대한 졸음 레벨을 예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는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 혹은 차량 주행 전에 획득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수면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수면 상태 정보를 근거로 졸음 추세선을 산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탑승 후 혹은 차량 주행 후 시간에 따른 졸음 레벨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예측하고, 운전자의 졸음 정도가 심하여 차량 운행에 지장을 주기 전에 미리 운전자에게 선택된 퍼퓸 분무를 통해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졸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가 운전자의 졸음 운전 평가 레벨을 판단할 때,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제1 졸음 레벨과 상기 졸음 추세선을 근거로 산출된 제2 졸음 레벨을 조합함으로써, 정확한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졸음 레벨과 상기 제2 졸음 레벨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최종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졸음 레벨 및 제2 졸음 레벨에 적용되는 가중치는 운전자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최종적으로 판단된 운전자의 졸음 레벨에 대한 확인 입력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판단된 운전자의 졸음 레벨이 3 레벨이나, 운전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확인 입력이 3이 아닌 2인 경우에는 최종 판단된 운전자의 졸음 레벨이 2 레벨이 되도록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 정보 획득부(420)를 통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 중 제2상태인 시선 분산 운전 상태 또한 다음과 같은 논리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위험 운전 상태 중 시선 분산 운전 상태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제어부가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 분산 운전 상태에 대한 판단시, 운전자의 얼굴 방향 및 운전자의 시선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영상획득장치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의 얼굴 방향 및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산출하고, 산출된 운전자의 얼굴 방향 및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근거로 운전자의 시선 분산 운전 상태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제어부가 운전자의 시선 분산 운전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 시선의 변화 정도 및 시선의 머무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시선 분산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운전자의 얼굴 방향 및 운전자의 시선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운전자가 시선 분산 운전 상태임을 판단한 경우, 제어부는 복수의 영상획득장치 중 운전자의 시선이 향하는 시선 좌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전자의 시선 좌표에 따른 ROI(Region Of Interest)의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의 영상획득장치가 차량 내외부의 복수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복수 영역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는, 운전자의 ROI를 향하고 있는 복수의 영상획득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상획득장치에 의해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상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한 대상에 따라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이외에 EOG, EMG 센서 등을 포함한 생체 정보 획득부(410)를 통해 획득한 생체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시선 부주의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가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졸음 운전 상태 등을 판단할 때,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시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가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 간의 관계는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 간의 관계는, 졸음 운전 상태 및 스트레스 상태에서 적용되는 가중치 관계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영상 정보 획득부(420)를 통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 중 제3상태인 스트레스 상태 또한 다음과 같은 논리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위험 운전 상태 중 스트레스 상태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제어부가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스트레스 상태에 대한 판단시, 운전자 얼굴의 표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자의 얼굴 표정이 화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의 얼굴 표정에 따라, 운전자의 스트레스 상태 레벨을 결정하되, 운전자 표정에 따른 스트레스 레벨을 저장한 다량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410)를 통해 획득한 생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운전자에 대한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PPG 센서를 통해 측정한 심박수 및/또는 심박 변이도 등으로부터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스 정도 측정에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소정의 필터를 통과시키거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가 복수의 생체 정보를 근거로 스트레스 상태 및 운전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생체 정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스트레스 상태 및 스트레스 레벨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요소에 대한 가중치는 다량의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학습하여 설정된 가중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학습 모델은 제어부가 운전자 또는 운전자를 포함한 일반인들의 영상 정보 및 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을 근거로 생성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학습 모델을 근거로 위험 운전 상태 또는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상기 영상 정보만으로 운전자에 대한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하거나, 상기 생체 정보만으로 운전자에 대한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스트레스 상태에 대한 평가 단계의 범위가 제한되고, 운전자의 스트레스 상태에 대한 평가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이외에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가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운전자에 대한 스트레스 상태 등을 판단할 때,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시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가 졸음 운전 상태에 대한 평가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 간의 관계는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가중치와 상기 생체 정보에 대한 가중치 간의 관계는, 졸음 운전 상태 및 시선 분산 운전 상태에 대한 가중치와 다를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운전자의 스트레스 상태 또는 운전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판단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탑승 전 운전자에 대한 수면 상태 정보 및 생체 리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산출한 졸음 추세선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도 12 참조).
운전자의 스트레스 상태 및 스트레스 레벨은 운전자의 수면 상태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졸음 추세선(도 12 참조)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가 운전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판단할 때,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제1 스트레스 레벨과 상기 졸음 추세선을 근거로 산출된 졸음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스트레스 레벨을 조합함으로써, 정확한 운전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레스 레벨과 상기 제2 스트레스 레벨 각각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최종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트레스 레벨 및 제2 스트레스 레벨에 적용되는 가중치는 운전자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최종적으로 판단된 운전자의 스트레스 레벨에 대한 확인 입력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체 정보 획득부(410) 또는 영상 정보 획득부(420)를 통해 획득되고 결정된 평가 레벨에 따라 운전자에 대한 위험 운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 운전 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졸음 운전 상태, 시선 분산 운전 상태 및 스트레스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각각의 위험 운전 상태에 대하여, 졸음 운전 정도, 시선 분산 정도 및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졸음 운전 레벨, 시선 분산 레벨 및 스트레스 레벨에 대한 위험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가 영상 정보 및 생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위험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영상 정보 및 생체 정보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중치는 졸음 운전 상태, 시선 분산 운전 상태 및 스트레스 상태 중 어느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졸음 운전 상태 및 시선 분산 운전 상태의 경우에는 영상 정보에 생체 정보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고, 스트레스 상태의 경우에는 생체 정보에 영상 정보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위험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는, 정보 획득부(400) 중 생체 정보 획득부(410) 및 영상 정보 획득부(420)를 통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인 제1상태 내지 제3상태의 판정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정보 획득부(400)는 생체 정보 획득부(410) 및 영상 정보 획득부(4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획득부(400)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미도시의 공기질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질 감지 센서는, 차량의 실내 및 실외를 포함하는 차체의 복수 개소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수 개소에 해당하는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오염 정도를 개별적으로 감지하는 복합 센서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합 센서모듈은, 실외 공기(이하, '외기'라 한다)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차체의 전방부에 해당하는 엔진이 구비된 기계실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차종에 따라서는 차체의 전방부에 기계실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외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기 전의 차체의 어디라도 복합 센서모듈이 구비되어도 좋다.
복합 센서모듈은, 일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토출되는 공기 유동 공간이 구비된 센서 케이스와,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유동 팬과, 센서 케이스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직렬 배치되고,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 센서모듈로 구비된 공기질 감지 센서를 이용하면, 차실의 공기질 상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 상태(제1공기질 상태) 및 습기 상태(제2공기질 상태)로 손쉽게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 제1공기질 상태 또한 오염원이 차실의 외부인 상태(외부 오염 상태) 및 오염원이 차실의 내부인 상태(내부 오염 상태)인지도 곧바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분무 단계(S30) 및 제2분무 단계(S35)는,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및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 의하여 판정된 상태를 해소함으로써 안전 주행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실의 공기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퍼퓸 캡슐(200)을 선택하여 분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퍼퓸 캡슐(200)은, 단수개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 복수개가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는,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로 판정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지 아니면 제1분무 단계(S30)에 의하여 선택된 퍼퓸 캡슐(200)의 차실 내로의 분무로 인하여 해소되었는지를 재판정하는 단계이다.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 의하여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 이전에 의하여 선택되었던 퍼퓸 캡슐(200)이 분무하도록 회귀 분무시키고(S50 참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 의하여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분무 단계(S30)에 의하여 선택된 퍼퓸 캡슐(200)을 계속적으로 분무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제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는, 차량의 주행이 종료됨으로써 완전히 종료되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료시의 선택된 퍼퓸 캡슐(200)을 미도시의 차량 저장부에 기억시켜두었다가 추후 개시 단계(S10) 신호가 입력되면 추후의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 이전의 퍼퓸 캡슐(200)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S50 참조).
상기와 같은 순서로 제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특히,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복수개의 퍼퓸 캡슐(200)은,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제1상태) 또는 운전자의 시선 분산 상태(제2상태)에 대해 소정의 각성 성분을 가진 제1캡슐과, 운전자의 스트레스 상태(제3상태)를 완화시키는 소정의 완화 성분을 가진 제2캡슐, 그리고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오염원이 차실의 외부인 상태(외부 오염 상태) 및 내부인 상태(내부 오염 상태)(즉, 제1공기질 상태)인 경우 선택되는 일 종류로서,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보조하는 소정의 약물 성분을 가진 제4캡슐과,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습기 상태(즉, 제2공기질 상태)로서 차실의 공기질을 개선시키는 소정의 정화 성분을 가진 제5캡슐이 구비된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면 시작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S10).
상술한 제1캡슐 내지 제5캡슐은 하나의 특정 기능을 가진 향을 발산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분무될 수 있고, 적어도 2개가 조합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혼합된 향이 분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또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운전자의 상태가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분무 단계(S30) 또는 제2분무 단계(S35)에서 제1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됨으로써 현재 운전자의 신체가 안전 운행을 위협할 정도로 극도의 졸림 운전 상태이거나 시선 분산 운전 상태로부터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도 1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또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운전자의 상태가 제3상태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분무 단계(S30) 또는 제2분무 단계(S35)에서 제3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됨으로써 현재 운전자의 신체가 스트레스 상태로부터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신체가 하나의 패턴만으로 판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잡한 신체 상태, 예컨대, 제1상태 내지 제3상태의 복합적인 상태로 판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분무 단계(S30) 또는 제2분무 단계(S35)에서 제1캡슐 및 제2캡슐이 동시에 선택되어 분무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예로서는, 도 13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또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제1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제1분무 단계(S30) 또는 제2분무 단계(S35)에서 제3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됨으로써 차실의 오염 상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3d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또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낄 정도의 습기 상태인 제2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제1분무 단계(S30) 또는 제2분무 단계(S35)에서 제4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됨으로써 운전자의 불쾌지수를 낮추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및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판정되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는 상술한 제1공기질 상태 및 제2공기질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합적인 상태로 판정될 수 있는 바, 운전자의 신체 상태가 복합적인 상태로 판정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분무 단계(S30) 및 제2분무 단계(S35)에서는 제3캡슐 및 제4캡슐을 동시에 선택하여 분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차량에는 차종마다 상이하기는 하지만, 차실을 공조시키는 공조기 및 차실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복수개의 퍼퓸 캡슐의 선택된 분사 이외에 공조기 및 공기청정기(300)를 적절히 구동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도 13a 내지 도 13d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분무 단계(S35)가 수행된 후, 운전자의 신체 상태 및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본래 의도대로 변화된 경우(즉, 운전자가 안전 주행할 수 있는 신체 상태로 변화되고,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오염 상태 및 습기 상태로부터 해소된 경우)에는 제1분무 단계(S30) 또는 제2분무 단계(S35)에 의하여 선택 분무된 향이 제거되도록 공기청정기(300)를 탈취 모드로 가동시킬 수 있다(S50 참조).
특히, 공기청정기(300)는, 도 13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및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제1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에는 곧바로 오염 제거 모드로 가동되어 신속하게 차실의 오염 상태가 해소되도록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조기는, 차량의 외부의 공기를 차실로 유동시키는 외기 모드로 가동될 수 있고, 차실의 공기만을 순환시키는 내기 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S50 참조).
이와 같은 공조기는, 특히, 도 13a 및 도 1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300)가 가동되어 기존의 향을 탈취시키는 탈취 모드 가동과 동시 또는 후에 내기 모드로 가동됨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가동될 수 있다(S50 참조).
또한, 공조기는, 도 13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또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판정된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오염 상태로써, 외부 오염 상태인 경우에는 내기 모드로 전환시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 오염 상태인 경우에는 외기 모드로 전환시켜 오염되지 않은 외기를 통하여 차실의 오염 상태 정화를 시도해 볼 수 있다(S50 참조).
또한, 공조기는, 도 13d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차 상태 판정 단계(S20) 또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서 판정된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습기 상태인 경우, 제습 모드 및 외기 도입 모드로 가동됨과 아울러, 제2차 상태 판정 단계(S40)에 의하여 습기 상태가 해소된 경우에는 정지됨으로써 본래의 분무된 향이 제기능을 발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S50 참조).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50: 에어 덕트 100: 음이온 퍼퓸 모듈
110: 퍼퓸 하우징부 120: 퍼퓸 트레이
140: 퍼퓸 공급팬 150: 트레이 구동부
160: 전류 인가부 200: 복수개의 퍼퓸 캡슐
210: 퍼퓸 블록 220: 고정 케이스
231: 블록 케이스 232: 충진 공간
233: 포집 공간 234: 모세관주
300: 공기 청정기 311: 케이스 본체
312: 제1공기 토출구 313: 케이스 커버
314: 제2공기 토출구 330: 원심팬
350: 이온 발생기

Claims (18)

  1. 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를 판정하는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와;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에 의하여 판정된 결과를 토대로, 차량용 공조기의 에어 덕트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퍼퓸이 수용되는 퍼퓸 수용 공간을 가지는 퍼퓸 하우징부와, 상기 퍼퓸 하우징부 내부에 회전 및 정지 가능하게 배치된 퍼퓸 트레이를 정지시킨 후 상기 퍼퓸 트레이가 정지된 위치에서 전류 인가부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상기 퍼퓸 트레이에 구비된 복수개의 퍼퓸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분무하도록 제어하는 제1분무 단계와;
    상기 제1분무 단계 후 또는 상기 제1분무 단계의 계속 중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 또는 차실의 공기질 상태를 지속적으로 판정하는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와;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 의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가 변화되거나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변화되었다고 판정되면 현재 분사 중인 퍼퓸 캡슐을 포함한 상기 복수개의 퍼퓸 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새롭게 선택하여 분무하도록 제어하는 제2분무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는, 졸음 운전 상태(이하, '제1상태'라 함), 시선 분산 운전 상태(이하, '제2상태'라 함) 및 스트레스 상태(이하, '제3상태'라 함)로 구분하여 판정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생체 정보 획득부(410)가 상기 운전자를 센싱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하여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판정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퍼퓸 캡슐은,
    상기 운전자의 제1상태 또는 상기 운전자의 제2상태에 대해 소정의 각성 성분을 가진 제1캡슐과;
    상기 운전자의 제3상태를 완화시키는 소정의 완화 성분을 가진 제2캡슐을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3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2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 및 제3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 및 상기 제3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이 동시에 선택되어 분무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는, 오염 상태(이하, '제1공기질 상태'라 함) 및 습기 상태(이하, '제2공기질 상태'라 함)로 구분하여 판정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및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는,
    상기 차량 내외에 설치된 공기질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센싱값을 토대로 판정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질 상태는, 오염원이 상기 차실의 외부인 상태(이하, '외부 오염 상태'라 함) 및 상기 오염원이 상기 차실의 내부인 상태(이하, '내부 오염 상태'라 함)로 구분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퍼퓸 캡슐은,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보조하는 소정의 약물 성분을 가진 제4캡슐과;
    상기 차실의 공기질을 개선시키는 소정의 정화 성분을 가진 제5캡슐을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1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4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2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5캡슐이 선택되어 분무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분무 단계 및 상기 제2분무 단계는,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 또는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1공기질 상태 및 제2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4캡슐 및 상기 제5캡슐이 동시에 선택되어 분무되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로 판정된 후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공조기를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 도입 모드로 구동시키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상기 차실의 오염 공기를 제거하는 오염 제거 모드로 구동시키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2공기질 상태로 판정된 후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2공기질 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될 때까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공조기를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 도입 모드 및 상기 차실 내부를 제습하는 제습 모드로 병행하여 구동시키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상태 판정 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제1상태 내지 상기 제3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되거나 상기 차실의 공기질 상태가 상기 제1공기질 상태 및 상기 제2공기질 상태가 아닌 상태로 판정된 경우,
    상기 차실에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상기 차실에 분무된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의 향을 제거하는 탈취 모드로 구동시키고,
    상기 차실에 구비된 차량용 공조기를 상기 차실의 공기가 순환되는 내기 순환 모드로 구동시키는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60622A 2015-11-16 2015-11-16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KR10178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22A KR101781537B1 (ko) 2015-11-16 2015-11-16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6/008278 WO2017086571A1 (en) 2015-11-16 2016-07-28 Method of controlling air freshener device for passenger compartment of vehicle
CN201680079109.6A CN108473029B (zh) 2015-11-16 2016-07-28 车辆的乘客舱的空气清新剂设备的控制方法
US15/776,464 US20180326818A1 (en) 2015-11-16 2016-07-28 Method of controlling air freshener device for passenger compartmen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22A KR101781537B1 (ko) 2015-11-16 2015-11-16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27A KR20170057027A (ko) 2017-05-24
KR101781537B1 true KR101781537B1 (ko) 2017-09-26

Family

ID=5871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22A KR101781537B1 (ko) 2015-11-16 2015-11-16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326818A1 (ko)
KR (1) KR101781537B1 (ko)
CN (1) CN108473029B (ko)
WO (1) WO2017086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2076A (zh) * 2018-05-26 2018-09-04 广州市车智连电子有限公司 汽车香薰杯
CN109109624A (zh) * 2018-07-12 2019-01-01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气体发生装置的系统
CN110877516A (zh) * 2018-09-05 2020-03-13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香氛控制器、车载香氛装置、车载香氛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334406A (zh) * 2018-09-25 2019-02-15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用于缓解驾驶疲劳的智能车载香氛系统
CN109080413A (zh) * 2018-09-30 2018-12-25 李志护 新能源汽车用车内空气过滤装置
FR3088604B1 (fr) * 2018-11-21 2021-07-23 Valeo Systemes Thermiques Système interactif avec un occupant d’un véhicule automobile
KR102573804B1 (ko) * 2018-12-18 2023-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제어 유닛,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WO2020256177A1 (ko) * 2019-06-18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방법
NL2026143B1 (en) * 2020-07-27 2022-02-22 Real Scientists Ltd Air purifying device
EP4189300A1 (en) * 2020-07-27 2023-06-07 Real Scientists Limited Ion diffuser and cartridge for an ion diffuser
CN113176798A (zh) * 2021-04-22 2021-07-27 刘明 用于车辆的活性离子发生装置及其控制系统
CN113193485A (zh) * 2021-04-22 2021-07-30 刘明 用于车辆上的动态纳米活性水离子发生装置及其控制系统
CN114407624B (zh) * 2021-04-22 2024-01-30 北京福乐云科技有限公司 动态离子发生装置及其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085A (ja) * 2005-04-01 2006-10-19 Denso Corp 車両用空気質成分供給装置
JP2006282084A (ja) * 2005-04-01 2006-10-19 Denso Corp 車両用空気質成分供給装置
JP2008143226A (ja) * 2006-12-06 2008-06-26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8195177A (ja) * 2007-02-13 2008-08-2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芳香成分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34A (ko) * 2001-06-27 2003-01-0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습도 자동 조절방법
KR101982777B1 (ko) * 2012-09-24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회용 캡슐을 이용하는 정전 무화 장치
CN204367831U (zh) * 2015-01-02 2015-06-03 郭建青 一种汽车车厢内的清新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085A (ja) * 2005-04-01 2006-10-19 Denso Corp 車両用空気質成分供給装置
JP2006282084A (ja) * 2005-04-01 2006-10-19 Denso Corp 車両用空気質成分供給装置
JP2008143226A (ja) * 2006-12-06 2008-06-26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8195177A (ja) * 2007-02-13 2008-08-2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芳香成分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6818A1 (en) 2018-11-15
KR20170057027A (ko) 2017-05-24
WO2017086571A1 (en) 2017-05-26
CN108473029B (zh) 2021-06-18
CN108473029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537B1 (ko)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의 제어방법
JP7228765B2 (ja) 乗り物酔い推定システム、乗物、乗り物酔い推定方法、乗り物酔い推定プログラム
CN106068097B (zh) 整合有传感器的车辆座椅
JP6447226B2 (ja) 刺激付与装置
KR20180083407A (ko)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갖는 자동차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JP6508008B2 (ja) 車両用ストレス解消装置
US20150374238A1 (en) Devices for modulation of retinal stimulation and/or retinal signal process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1068158B (zh) 心理和身体状态诱导装置、心理和身体状态诱导方法以及存储控制程序的存储介质
WO2014001928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lertness.
JP6840955B2 (ja) 眠気解消装置
JP2016154759A (ja) 生体情報収集椅子及びこれを用いた乗り物並びに生体情報診断システム
CN109080411A (zh) 一种气体发生装置智能控制系统
CN105476647B (zh) 帮助车辆驾驶员呼吸的方法和设备及具有该设备的车辆
KR20200071623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E102017220120A1 (de) Vorrichtung, System, Verfahren und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mit Instruktionen zur Unterstützung einer Entspannung einer Person, Fortbewegungsmittel
KR101724295B1 (ko) 차량의 실내 방향 장치
DE102016213916A1 (de) Infotainmen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RU2480155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остояния вестибуло-моторной проек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DE102014224483A1 (de) Unterstützen der Atmung eines Fahrzeugführers
Papadelis et al. Monitoring driver's sleepiness on-board for preventing road accidents
Nagy et al. Visual receptive field properties of excitatory neurons in the substantia nigra
Yue et al. Investigate the Neuro Mechanisms of Stereoscopic Visual Fatigue
JP6594152B2 (ja) 乗り物酔い止め用香料の評価方法
US11938949B2 (en) Interactive system and associated interaction method
US20230011113A1 (en) Interactive system and associated intera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