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371B1 -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371B1
KR101781371B1 KR1020130088239A KR20130088239A KR101781371B1 KR 101781371 B1 KR101781371 B1 KR 101781371B1 KR 1020130088239 A KR1020130088239 A KR 1020130088239A KR 20130088239 A KR20130088239 A KR 20130088239A KR 101781371 B1 KR101781371 B1 KR 10178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power supply
pow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568A (ko
Inventor
강호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371B1/ko
Priority to EP14173553.0A priority patent/EP2829948B1/en
Priority to US14/323,662 priority patent/US9543850B2/en
Publication of KR2015001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oftware initiated power-of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38Electrical filters or coupl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6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including 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293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current or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전자장치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신호수신부에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의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기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소정 주파수의 입력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온/오프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전자장치의 대기 소모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모니터, 오디오 앰프 등의 영상 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에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마련된다. 전자장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일부 구성에 전원 공급을 중지하는 절전모드(sleep mode)(또는,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할 수 있다.
절전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도, 전자장치에는 최소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전원이 공급된다. 즉, 제어부는 절전모드에서도 대기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절전모드로부터의 웨이크 업(wake-up) 시 전원공급부가 전자장치의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장치(10)에서는 제어부(15)가 전원공급부(14)의 전원 공급 즉,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정상모드(normal mode)에서 전자장치(10)의 각 구성(11, 12, 13)에 전원이 공급(ON)되도록 전원공급부(14)를 제어하며, 전자장치(1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각 구성(11, 12, 13)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OFF)한다.
그러므로, 전자장치(10)가 전원오프 상태에서도 제어부(15)가 온 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5)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을 위한 대기소모 전력의 규제에 따른 제로 와트(ZERO WATT)를 만족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전자장치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신호수신부에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의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주파수는 유선 디지털 신호의 클럭 주파수 또는 무선 디지털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일 수 있다.
신호수신부는 유선 디지털 신호, 무선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하다.
신호수신부는 아날로그 신호에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추가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신호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통과시켜 기동부로 전달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동부는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전압이 충전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동부는 캐패시터의 충전에 따라 상승 에지를 출력하며, 상승 에지에 대응하여 전원공급부에 온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기동부의 온 신호는 상승에지 신호와 하강에지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기설정된 주파수는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며, 필터부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파수는 가변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온 신호에 따라 전원 오프 상태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는 신호수신부가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신호수신부가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전원공급부에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은,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입력신호에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포함된 경우, 기동부가 전원공급부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주파수는 유선 디지털 신호의 클럭 주파수 또는 무선 디지털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일 수 있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유선 디지털 신호, 무선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하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아날로그 신호에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추가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신호 중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통과시켜 기동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동부의 온 신호는 상승에지 신호와 하강에지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기설정된 주파수는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며, 기동부로 전달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파수는 가변될 수 있다.
온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는 전원 오프 상태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계속해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원공급부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기동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 각각은 필터부가 복수의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기동부(160)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장치(100)는 소정 신호발생장치(200)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휴대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장치(200)가 MP3 플레이어(MP3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 포함)이고 전자장치(100)가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이거나, 신호발생장치(200)가 3D TV이고 전자장치(100)가 3D 안경일 수 있다. 신호발생장치(200)는 휴대장치(100) 즉, 출력장치에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제공하고, 휴대장치(100)는 신호발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한다.
전자장치(100)와 신호발생장치(200)는 상호간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유무선 통신 과정에서 기설정된 주파수(클럭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는 전자장치(100)가 MP3 플레이어와, 3D 안경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V,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휴대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장치, 데스크탑, 랩탑 등의 컴퓨터, 오디오 도크(audio dock) 등의 홈시어터 장치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와,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 음성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130)와, 전자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와, 전자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장치(100)는 도 3과 같이, 신호입력부(110)의 입력신호 중에서 후술하는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통과키는 필터부(160)와, 필터부(160)의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공급부(140)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기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신호발생장치(200)를 포함한 외부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한다. 입력신호는 영상신호(비디오신호) 또는 음성신호(오디오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인 경우, 신호수신부(110)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전자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입력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입력신호는 PC, AV기기, TV,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 즉, 신호발생장치(20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수신부(110)는 신호발생장치(200)를 포함한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통신방식으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00)의 커넥터(미도시)에 착탈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유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기설정된 주파수(클럭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유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기설정된 주파수(캐리어 주파수)의 무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 중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클럭 신호 또는 캐리어 주파수 신호)는 후술하는 필터부(160)를 통과하여 기동부(170)로 전달된다.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입력신호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선 디지털 신호, 무선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수신부(110)가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추가된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입력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입력신호를 출력부(130)에 출력되게 한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가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각종 부가신호 등으로 분리 및 처리한다. 영상처리부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위와 같은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13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 Display)로서,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단에 결합되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화질을 개선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전자장치(100)가 액정 또는 발광 다이오드 방식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인 경우,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가 오디오출력부를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출력부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전자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전자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원공급부(140)는 예컨대, 전자장치(100)가 무선 헤드셋, 3D 안경,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의 휴대용 장치(또는 모바일 장치)인 경우,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충/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부(140)는 후술하는 기동부(170)에 의해 온(ON)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오프(OFF)되도록 구현된다.
제어부(150)는 전자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신호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신호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 가능한 다양한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자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50)는 전자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되면, 제어부(150)도 전원 오프 즉,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필터부(160)는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입력신호 중에서 기설정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통과시켜, 기동부(17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60)는 특정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BPF)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주파수는 유선 디지털 신호의 클럭 주파수 또는 무선 디지털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일 수 있다. 필터부(160)는 신호수신부(110)가 지원하는 통신방식에 대응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고유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설정된다. 필터부(160)가 통과시키는 주파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수신부(110)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신호수신부(110)는 신호발생장치(200)로부터 2.4GHz의 무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필터부(160)는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 중에서 2.4GHz의 신호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신호발생장치(200)는 일정시간 동안 특정 주파수(2.4GHz)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신호발생장치(200)가 MP3 플레이어이고 전자장치(100)가 무선 헤드셋이고, 양 장치가 서로 블루투스 통신을 수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를 전원 온 시키면, 일정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2.4GHz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신호는 무선 헤드셋의 신호수신부(110)에 입력신호로서 수신된다. 그리고, 수신된 2.4GHz 신호는 필터부(160)를 통과하여 기동부(170)로 전달되게 된다.
기동부(170)는 필터부(160)로부터 전달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140)에 온(ON) 신호를 출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부(170)는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전압이 충전되는 제1캐패시터(C1), 제1캐패시터(C1)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에 따라 전압이 충전되는 제2캐패시터(C2)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기동부는 저항 R1, R2, R3 및 Q1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통과하는 다이오드 D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Q1은 C1을 통해 전달되는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며, C2에는 Q1의 온/오프에 따라 D1을 통과한 전압이 충전된다. 기동부(170)는 C2에 소정 크기 이상의 전원이 충전되면, 상승 에지(rising edge)를 출력하며, 상승 에지에 대응하여 전원공급부(140)에 온 신호가 인가된다. 이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원공급부(140)에 인가되는 오프 신호는 하강 에지에 대응하여 출력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 형태의 신호를 각각 온 신호 및 오프 신호로서 구분하여 인식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온 신호가 상승 에지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전원공급부(140)에 온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온 신호가 하강 에지 형태를 가지거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가 소정 횟수 즉, 2회 이상 반복되면 전원공급부(140)에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110)가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로서, 블루투스 무선 통신의 캐리어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유무선 통신의 클럭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160)는 대응하는 클럭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를 통과시키도록 구현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장치(100)는 대기모드를 포함한 전원 오프 시에 필터부(160)와 기동부(170)에만 전원이 공급되며, 필터부(160)와 기동부(170)는 거의 전력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현되므로, 도 1과 같이 제어부(50)에 전원이 공급되는 기존의 전자장치(10)와 비교하여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필터부(160)와 기동부(170)에 매우 낮은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배터리를 별도로 마련하여, 전원 오프 시에 전력 소모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기동부(170)로부터 인가된 온 신호에 의해 제어부(160)를 포함한 전자장치(100)의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온(ON)되면, 제어부(150)는 초기화(initialization)를 수행하며, 제어부(150)의 오프(OFF) 출력단자가 하이(high)로 설정(setting)된다.
그리고, 전원이 공급된 제어부(150)는 신호수신부(110)가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계속해서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신호수신부(110)가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전원공급부(140)에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전원의 자동 온/오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주변의 다른 신호로 인해 기동부(170)가 온 신호를 인가하여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 오프되므로, 오류에 의한 전원공급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에 오프 신호가 인가되면 필터부(160)와 기동부(170)를 제외한 전자장치(100)내의 모든 구성에 전원이 오프되며, 이에, 전체 시스템이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제어부(150)의 OFF 출력단자는 로(low)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장치(100)는 기동부(170)가 전원공급부(140)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150)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므로, 전원공급부(140)의 온 및 오프 각각이 서로 다른 구성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기설정된 주파수의 수신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공급부(140)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전자장치(100)는 위와 같이 제어부(150)가 기설정된 주파수의 지속적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에 의한 전원 공급 시 이를 차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오류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부(160)에 복수의 밴드 패스 필터(BP1, BP2, BP3)(161, 162, 163)를 마련하고, 2 이상의 주파수 조합에 의해 기동부(170)가 온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 각각은 필터부(160)가 복수의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60)는 서로 다른 주파수 F1, F2, F3를 각각 통과시키도록 설정된 제1 내지 제3 밴드 패스 필터(BP1, BP2, BP3)(161, 162, 16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밴드 패스 필터(BP1, BP2, BP3)(161, 162, 163)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BP1(161), BP2(162), BP3(163)이 직렬 연결된 경우, 도 5와 같이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입력신호로서 F1, F2, F3의 주파수 신호가 순서대로 입력된 경우, BP1(161), BP2(162), BP3(16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기동부(170)로 출력된다. 따라서, F1, F2, F3 순서에 따른 주파수 신호를 제외한 다른 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140)에 온 신호가 인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복수의 주파수 F1, F2, F3 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발생장치(200)가 MP3 플레이어이고, 전자장치(100)가 무선 헤드셋이고, 양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MP3 플레이어의 캐리어 주파수와 유사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의 블루투스 지원 휴대폰)가 근처에 존재하더라도, F1, F2, F3(예컨대, 2.46GHz, 2.41GHz, 2.43GHz)의 주파수 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선 헤드셋은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F1, F2, F3의 크기 및 순서는 신호발생장치(200)와 전자장치(100) 간에 연동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밴드 패스 필터 즉, BP1, BP2, BP3 (161, 162, 163)에 활성화 단자를 구비하여, 특정 밴드 패스 필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 밴드 패스 필터(BP1, BP2)(161, 162)를 활성화 시키고, 제1 및 제2 주파수 F1, F2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기동부(170)에서 온 신호가 인가된다.
여기서, 전자장치(100) 내에 밴드 선택부(미도시)를 마련하고, 밴드 선택부를 통해 특정 밴드 패스 필터를 선택하거나, 순서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밴드 선택부의 밴드 패스 필터의 선택 또는 설정은 다양한 전기적 또는 기구적 방법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BP1(161), BP3(163), BP2(1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경우에 온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F1, F3, F2의 주파수 신호가 차례대로 입력되는 경우에만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전원공급부(140)에 온 신호가 인가된다.
이렇게 복수의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파수를 조합한 입력 주파수를 설정하는 경우, 특정 전자장치에 대한 고유 턴-온 주파수를 설정하여, 다른 사용자의 전자장치가 아닌 특정 사용자의 전자장치에만 반응하여 전원이 온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제조사에서 출시된 MP3 플레이어라도, 시리얼 넘버에 따라 턴-온 주파수를 변경시켜 할당하고, 무선 헤드셋에 해당 MP3 플레이어의 턴-온 주파수에 대응하여 전원이 온 되도록 필터부(160)의 밴드 패스 필터(161, 162, 163)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장치(100)(무선 헤드셋) 구입 시 함께 사용하는 신호발생장치(200)(MP3 플레이어)의 턴-온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부(160)를 설정하여, 고유의 턴-온 주파수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전자장치(100)가 온 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밴드 패스 필터가 3개(BP1, BP2, BP3)(161, 162, 163)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밴드 패스 필터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밴드 패스 필터(BP1, BP2, BP3)(161, 162, 163)가 직렬 연결이 아니라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직렬 및 병렬 연결의 조합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장치(100)가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전자장치(100)는 음성이나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장치, 예를 들어, TV가 전원 온 되면, TV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이 켜지는 리모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전원제어과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신호수신부(110)에는 입력신호로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클럭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가 입력될 수 있다(S302). 여기서, 전자장치(100)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50)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자장치(100)의 대기전력이 0에 가깝게 유지된다.
단계 S302에서 수신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는 필터부(160)를 통과하여 기동부(170)로 전달되고, 기동부(170)가 전원공급부(140)에 온(ON)신호를 출력한다(S304).
그리고, 전원공급부(140)가 온(ON)된다(S306).
단계 S306에서 전원공급부(140)가 온 되면, 전자장치(100)의 각 구성들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오프 상태였던 제어부(150)가 온(ON)된다(S308).
단계 S308에서 제어부가 온 되면, 초기화를 수행하고 제어부(150)의 오프(OFF) 출력단자가 하이(High)로 설정된다(S310).
제어부(150)는 단계 S302에서 수신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계속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12). 여기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전자장치(100)는 전원 온 상태에서 필요한 동작(예를 들어, MP3 사운드를 출력)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 S312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전원공급부(140)에 오프(OFF) 신호를 인가한다(S314). 이에 따라, 전자장치(100)의 전체 시스템이 오프(OFF) 상태가 된다.
단계 S314에서 전원공급부(140)에 오프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50)의 오프 출력단자가 로(low)로 전환되고, 제어부(150)에도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S316).
이후,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포함된 경우, 단계 S302 이후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소정 주파수의 입력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온/오프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기모드와 같은 전원 오프 시 제어부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오프시키고, 전력소모가 매우 작은 기동부를 별도로 마련하여 온 신호를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장치의 대기 소모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감 정책에 따른 전력규제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에 대한 고유 턴-온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하여, 주변의 유사한 주파수 신호에 의해 전자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전자장치 110 : 신호수신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출력부
140 : 전원공급부 150 : 제어부
160 : 필터부 170 : 기동부
200 : 신호발생장치

Claims (22)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전자장치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수신부에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기동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공급부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는 유선 디지털 신호의 클럭 주파수 또는 무선 디지털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유선 디지털 신호, 무선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추가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통과시켜 상기 기동부로 전달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전압이 충전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는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에 따라 상승 에지를 출력하며, 상기 상승 에지에 대응하여 전원공급부에 온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의 온 신호는 상승에지 신호와 하강에지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는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밴드 패스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온 신호에 따라 전원 오프 상태인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삭제
  13.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에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포함된 경우, 기동부가 상기 전원공급부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기동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자장치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이후,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공급부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는 유선 디지털 신호의 클럭 주파수 또는 무선 디지털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유선 디지털 신호, 무선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가 추가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통과시켜 상기 기동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의 온 신호는 상승에지 신호와 하강에지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는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며,
    상기 기동부로 전달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1.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 오프 상태인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계속해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2. 삭제
KR1020130088239A 2013-07-25 2013-07-25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178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239A KR101781371B1 (ko) 2013-07-25 2013-07-25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EP14173553.0A EP2829948B1 (en) 2013-07-25 2014-06-23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US14/323,662 US9543850B2 (en) 2013-07-25 2014-07-03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239A KR101781371B1 (ko) 2013-07-25 2013-07-25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568A KR20150012568A (ko) 2015-02-04
KR101781371B1 true KR101781371B1 (ko) 2017-09-25

Family

ID=5125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239A KR101781371B1 (ko) 2013-07-25 2013-07-25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43850B2 (ko)
EP (1) EP2829948B1 (ko)
KR (1) KR101781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5129B2 (en) 2015-07-09 2019-05-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Wakeup system and method for devices in power saving mode
US9998989B2 (en) * 2015-07-09 2018-06-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Wakeup method for devices in power saving mode
CN107797641A (zh) * 2017-10-19 2018-03-13 广东乐心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处理器的供电控制方法与控制电路以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9915A1 (en) * 2008-05-09 2009-11-1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pread spectrum signal in a printer power supply uni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720A (en) 1980-12-10 1983-07-19 Jean Frager Auto-stabilized high power electric generator especially adapted for powering processes involving discharge in a rarefied gaseous atmosphere
US5586332A (en) 1993-03-24 1996-12-17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low power processors through the use of auto clock-throttling
JPH08172233A (ja) 1994-12-15 1996-07-02 Anritsu Corp 可変波長光源装置
KR100253282B1 (ko) 1997-04-01 2000-05-01 김영환 메모리소자의소모전력자동감소회로
JP4219436B2 (ja) * 1998-02-17 2009-02-04 富士通株式会社 チューナ装置
JP4048334B2 (ja) * 1998-05-25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6670798B1 (en) 2002-09-25 2003-12-30 Pitney Bowes Inc. Auto power-on, hot-pluggable user interface controller for mailing machines
TWI310178B (en) * 2004-09-22 2009-05-21 Teac Corp Data recording regeneration system
US8248211B2 (en) * 2005-07-20 2012-08-21 Intelleflex Corporation Selective RF device activation
US20090102971A1 (en) * 2006-03-08 2009-04-23 Westinghouse Digital Electron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tartup and shutdown including automatic source switching
KR100801992B1 (ko) 2006-06-30 2008-02-12 주식회사 넥스지 외부 장비의 이상 상태 판단을 통한 자동 전원 제어기
JP4289397B2 (ja) * 2007-01-04 2009-07-01 船井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US20080218634A1 (en) * 2007-03-07 2008-09-11 Westinghouse Digital Electron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tartup and shutdown including automatic source switching
US7873295B2 (en) * 2007-07-18 2011-01-1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covering from energy saving mode
US7800351B2 (en) 2008-03-24 2010-09-21 Active-Semi, Inc. High efficiency voltage regulator with auto power-save mode
JP4735709B2 (ja) * 2008-11-25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I385510B (zh) 2008-12-31 2013-02-11 Asustek Comp Inc 自動調整驅動器輸入電源之裝置
CN101770435B (zh) * 2009-01-05 2012-07-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设备和数据处理方法
US8803031B2 (en) 2009-06-02 2014-08-12 Lincoln Global, Inc. Wire feeder with auto-configure power supply
JP5660358B2 (ja) * 2009-09-25 2015-01-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力供給制御装置
CN102572645A (zh) * 2010-12-31 2012-07-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设备及控制自动关闭该音频设备的方法
US8824346B2 (en) * 2011-0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Remote wakeup of application processor of mobile device
US8977869B2 (en) * 2011-03-01 2015-03-1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of an IC chip based on reception of signal pulse from a neighboring chip
US9503033B2 (en) * 2013-03-28 2016-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dio amplifier mode tran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9915A1 (en) * 2008-05-09 2009-11-1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pread spectrum signal in a printer power suppl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8838A1 (en) 2015-01-29
EP2829948B1 (en) 2017-05-10
KR20150012568A (ko) 2015-02-04
US9543850B2 (en) 2017-01-10
EP2829948A1 (en)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5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975589B1 (en)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JP5060641B1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20130064393A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sound reproducing method
US20090160843A1 (e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8137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200083144A (ko) 무선 디스플레이
US20100260349A1 (en) Solar wireless sound system
WO2014023190A1 (zh) 一种模块化电视机
US8970792B2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et applied to display device
CN107615215B (zh) 电气设备控制装置和使用该控制装置的电气设备控制方法
US20210007202A1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lamp and remote device plus lighting control via remote device
US8655417B2 (en) Video/audio playing apparatu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wireless video/audio transmission module thereof
US2012013384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KR100584466B1 (ko) 텔레비전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76983A1 (en)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US11861261B2 (en) Electronic device
US20100198376A1 (en) Personal audio device
KR20110022160A (ko) 무선 av 수신 장치
KR20100124390A (ko)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5091520U (zh) 带可拆卸耳机的眼镜
JP5535283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12151700A (ja) 電子機器
JP2016148929A (ja) 電気機器および電源連動システム
JP2013115838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