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177B1 -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177B1
KR101781177B1 KR1020170057249A KR20170057249A KR101781177B1 KR 101781177 B1 KR101781177 B1 KR 101781177B1 KR 1020170057249 A KR1020170057249 A KR 1020170057249A KR 20170057249 A KR20170057249 A KR 20170057249A KR 101781177 B1 KR101781177 B1 KR 10178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nit
switch
relay switch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17005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77B1/ko
Priority to PCT/KR2018/000290 priority patent/WO20182079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화된 상태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가 부담하는 데이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원활한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하며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3G 또는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접속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거나 인터넷망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와이파이(Wi-Fi) 접속을 하는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서, 상기 AP의 와이파이 신호세기를 감지하는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310)와; 와이파이망 접속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망선택부(320)와; (a) 상기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3G 또는 4G로 연결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제어하고, (b)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AP들에 각각 접속하여 참조사이트에 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c) 상기 핑 메시지를 통해 수집된 라운드 트립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들 중 일정 시간 이내의 지연시간을 갖는 AP 들 중 짧은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를 통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와; 상기 망선택부에 의해 활성화되어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 와이파이망 연결부(340)와; 상기 망선택부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망 연결부(350)와; 상기 이동통신망 연결부로 수신되는 통신데이터 사용량을 감지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량보다 더 큰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AN WI-FI NETWORK IN AN OPTIMIZED STATE}
본 발명은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화된 상태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가 부담하는 데이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원활한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하며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파이(Wi-Fi)는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모바일 기기나 노트북 컴퓨터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와이파이(Wi-Fi)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이 필요없으나, 모바일 기기나 노트북 컴퓨터에는 무선랜카드가 장착돼 있어야 한다.
와이파이(Wi-Fi)는 전송속도가 4Mbps 내지 11Mbps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해도 사용료가 저렴하고 이동성과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케이티(KT)의 네스팟이나 스페인에서 시작된 `폰(PONE)' 서비스 등이 와이파이(Wi-Fi) 기술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비롯, 주요 도시들은 시 지역 전체에 와이파이 존(Zone)을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서는 단말 환경에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와이파이(Wi-Fi) 등의 망 환경을 지원하는 모듈이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듀얼모드 단말기는 인터넷전화(VoIP)와 이동통신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통화기능과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경우 와이파이망의 사용을 선택 설정으로 해 놓아 와이파이망이 양호한 상태에 있어도 자동 접속이 되지 않으며, 와이파이망을 사용할 수 있게 설정을 해놓더라도 그 신호세기가 세거나 그 실효대역(End-to-End 대역)이 망 폭주 등으로 실제 접속을 해보면 매우 접속이 느리거나 불통이 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와이파이망 사용을 선택적으로 해 놓아 와이파이망이 가용한 경우에도 과금이 되는 3G, 4G망을 모르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스마트폰 와이파이 연결 설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와이파이 연결을 <사용/사용하지않음> 선택이 아닌 와이파이가 가용한 곳에서는 자동 연결이 되도록 한다. 와이파이 신호가 강해 가용하더라도 레퍼런스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라운드 트립 시간이 오래 걸리면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즉 공용으로 와이파이망을 사용하는 경우 신호세기가 높더라도 접속자가 많으면 실효대역이 떨어질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은 이런 방식이어서 사용자가 인터넷이 연결이 원활하지 않음을 깨닫고 나서야 <와이파이 사용안함>으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신호세기가 높더라도 접속자의 수가 많아 실효대역이 떨어져 원활하게 와이파이망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와이파이 사용안함>으로 설정해 놓고 스마트단말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막상 와이파이망이 잘되는 지역에서도 사용자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지 않고 무심코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는 3G나 4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화된 상태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유도하거나 3G나 4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므로써, 사용자가 부담하는 데이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원활한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비용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3G 또는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접속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거나 인터넷망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와이파이(Wi-Fi) 접속을 하는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서, 상기 AP의 와이파이 신호세기를 감지하는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310)와; 와이파이망 접속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망선택부(320)와; (a) 상기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3G 또는 4G로 연결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제어하고, (b)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AP들에 각각 접속하여 참조사이트에 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c) 상기 핑 메시지를 통해 수집된 라운드 트립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들 중 일정 시간 이내의 지연시간을 갖는 AP 들 중 짧은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를 통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와; 상기 망선택부에 의해 활성화되어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 와이파이망 연결부(340)와; 상기 망선택부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망 연결부(350)와; 상기 이동통신망 연결부로 수신되는 통신데이터 사용량을 감지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량보다 더 큰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는 일정 시간 이내의 지연시간을 갖는 AP가 존재하지 않으면 3G나 4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더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이러한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와이파이망을 기본으로 사용하게 설정하되, 와이파이망으로 설정이 되더라도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양호한 와이파이망 선택 이후에 인터넷 대역이 적절한 와이파이망을 접속하기 위한 라운드 트립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를 추가하여 실제로 가용한 와이파이망을 접속하고,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양호하더라도 유효 대역(즉, 라운드 트립 지연시간)이 가용하지 않은 와이파이망은 접속을 하지 않게 하므로써, 사용자가 부담하는 데이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원활한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통신비용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단말에 구비된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를 위한 구성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단말에 구비된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를 위한 구성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 예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은 스마트 단말(100),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약칭함)들(200) 및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가 또는 사업장에 설치된 AP(200)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한다. 상기 AP(200)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법은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사업자들은 구간에 따라 액세스, 메트로 및 코어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그리고 각 구간의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단말(100)은 3G망이나 4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인터넷 접속될 수 있고,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이라 약칭함) 서비스를 제공받아 인터넷 접속될 수 있는 일종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무선랜이란 유선랜의 허브(hub)에 해당하는 AP를 사용하여 무선랜카드(WLAN Card) 또는 모선랜모듈을 장착한 이동단말기에 랜(LAN)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무선랜 또는 와이파이는 공히 IEEE 802.11에 기반한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스마트단말(100)에서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스마트단말(100)은 인터넷망에 연결된 무선 AP에 와이파이망 접속함으로써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단말(100)은 3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와이파이망 접속에 의한 인터넷망을 통해서도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비교적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료라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와이파이망 접속에 의한 인터넷망을 통한 통신은 일반적으로 무료라는 장점이 있지만, 비교적 장소의 구애를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단말(100)이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을 할 때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인터넷망의 장점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인터넷망을 하이브리드 형태로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스마트단말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제안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인터넷망의 장점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인터넷망을 하이브리드 형태로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스마트단말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스마트단말(100)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는 인터넷 포털이나 컨텐츠 서비스 등이 주를 이룬다. 이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하, 네트워크 서버라 지칭함)(미도시)들은 각 네트워크 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중앙 데이터 센터에서 관리되거나, 각 회사에서 직접 관리한다. 사용자가 실제 느끼는 품질은 무선구간의 신호세기뿐만 아니라, 유선 구간에서 AP와 서버들간의 연결이 얼마나 원활한 가에도 크게 좌우된다.
즉, 무선 구간의 신호세기가 좋더라도 많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로 나가는 트래픽이 정체를 겪고 있다면, 신호세기가 덜 좋더라도 성능이 좋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이득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질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할당받은 네트워크 대역이 유효 대역인지를 사용자가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단말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AP의 신호세기와 네트워크 대역을 근거로 AP의 신호세기가 약하거나 네트워크 대역이 유효한 대역을 가지지 않는다면, 3G나 4G와 같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유도하고, AP의 신호세기가 강하더라도 네트워크 대역이 유효한 대역을 가지지 않는다면, 역시 3G나 4G와 같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유도하며, AP의 신호세기가 강하고 네트워크 대역이 유효한 대역을 갖는 경우에만 해당 AP를 선택하여 인터넷 접속을 유도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실제 느끼는 네트워크 품질을 향상 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단말에 구비된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300)는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310), 망선택부(320),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 와이파이망 연결부(340) 및 이동통신망 연결부(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300)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스마트단말(100)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는 앱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운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310)는 상기 AP의 와이파이 신호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에 제공한다.
상기 망선택부(320)는 와이파이망 접속을 위한 와이파이망 연결부(340)를 활성화시키거나 이동통신망 접속을 위한 이동통신망 연결부(350)를 활성화시킨다. 스마트단말이 3세대 이동통신(3G)망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라면, 와이파이망에 접속하거나 3G망에 접속될 수 있고, 스마트단말이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과 같은 4세대 이동통신(4G)망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라면, 와이파이망에 접속하거나 4G망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는 상기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310)에 의해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3G 또는 4G로 연결하도록 상기 망선택부(320)를 제어한다. 상기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는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AP들에 각각 접속하여 참조사이트에 핑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는 상기 핑 메시지를 통해 수집된 라운드 트립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들 중 일정 시간 이내의 지연시간을 갖는 AP 들 중 짧은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를 통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상기 망선택부(320)를 제어한다.
상기 와이파이망 연결부(340)는 상기 망선택부(320)에 의해 활성화되어 와이파이망에 접속된다.
상기 이동통신망 연결부(350)는 상기 망선택부(302)에 의해 활성화되어 3G망 또는 4G망에 접속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마트단말이 접속하는 AP의 신호세기뿐 아니라 접속된 AP의 실효대역인 네트워크 대역까지 측정하여 이를 근거로 최적화된 상태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유도하거나 3G나 4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므로써, 사용자가 부담하는 데이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원활한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통신데이터 기준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메뉴를 제공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통신데이터 기준량을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동통신망 연결부(350)로 수신되는 통신데이터 사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통신데이터 기준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통신데이터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통신데이터 기준량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스마트 단말
200: 엑세스 포인트
300: 와이파이망 접속장치
4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3)

  1. 3G 또는 4G와 같은 이동통신망 접속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거나 인터넷망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에 와이파이(Wi-Fi) 접속을 하는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에서,
    상기 AP의 와이파이 신호세기를 감지하는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310)와;
    와이파이망 접속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망선택부(320)와;
    (a) 상기 와이파이 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3G 또는 4G로 연결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제어하고, (b) 감지된 와이파이 신호세기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면, AP들에 각각 접속하여 참조사이트에 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c) 상기 핑 메시지를 통해 수집된 라운드 트립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들 중 일정 시간 이내의 지연시간을 갖는 AP 들 중 짧은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AP를 통한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와;
    상기 망선택부에 의해 활성화되어 와이파이망에 접속되는 와이파이망 연결부(340)와;
    상기 망선택부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망 연결부(350)와;
    상기 이동통신망 연결부로 수신되는 통신데이터 사용량을 감지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량보다 더 큰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대역 감지부(330)는 일정 시간 이내의 지연시간을 갖는 AP가 존재하지 않으면 3G나 4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망선택부를 더 제어하며;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57249A 2017-05-08 2017-05-08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KR10178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249A KR101781177B1 (ko) 2017-05-08 2017-05-08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PCT/KR2018/000290 WO2018207990A1 (ko) 2017-05-08 2018-01-05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249A KR101781177B1 (ko) 2017-05-08 2017-05-08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177B1 true KR101781177B1 (ko) 2017-09-22

Family

ID=6003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249A KR101781177B1 (ko) 2017-05-08 2017-05-08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1177B1 (ko)
WO (1) WO20182079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552B1 (ko) * 2017-09-20 2018-01-26 에스제이테크 주식회사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는 진열대 장치
KR102227062B1 (ko) * 2020-04-10 2021-03-12 주식회사 에이에스엘 실시간 방송중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161A (ko) * 2012-04-23 2013-10-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40011616A (ko) * 2012-07-18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신망 접속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54561A (ko) * 2012-10-29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신데이터 사용량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5024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셀룰러망 및 와이파이망 이용가능한 단말기 및 데이터서비스 수행 방법
KR101669557B1 (ko) * 2015-03-26 2016-10-26 주식회사 케이티 와이파이 활성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그리고 이동 통신 데이터 네트워크 활성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552B1 (ko) * 2017-09-20 2018-01-26 에스제이테크 주식회사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는 진열대 장치
KR102227062B1 (ko) * 2020-04-10 2021-03-12 주식회사 에이에스엘 실시간 방송중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7990A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8123A (zh) 管理通信系统中的小区间呼叫切换的方法
JP5298748B2 (ja) 無線中継装置、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49994B1 (ko) 이중 모드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자동 심카드 선택을 위한 장치및 방법
JP4527162B2 (ja) 無線中継装置
KR101781177B1 (ko) 와이파이망 접속 장치
KR101840112B1 (ko) 자동 출입을 위한 현관 출입 장치
JP6524797B2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端末接続制御プログラム
CN110225562B (zh) 一种根据实际场景自动调节上网的方法
US20130115956A1 (en) Location Based Radio Access System Selection
CN104812022A (zh) 一种wifi热点的连接方法及其装置
JP3848624B2 (ja) 地震防災通信システム
CN106231616B (zh) 一种配置无线中继的方法及无线路由器
WO2014024342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配信サーバ
JP2002027571A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及び無線端末
KR20140112904A (ko)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EP254199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program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hanging operation period
JP4043775B2 (ja) 通信システムの動作方法
WO2018019058A1 (zh) 一种无线接入点切换方法、装置及终端
JP7012555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EP2262329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CN113015136B (zh) 泊车网络切换方法、装置、可移动载体及存储介质
KR20130119161A (ko) 최적화된 와이파이망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210712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779123A (zh) 基于ipv6智能自组网无线通讯塑壳断路器
JP2004007180A (ja) フロー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