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61B1 - 전선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방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0961B1 KR101780961B1 KR1020160020869A KR20160020869A KR101780961B1 KR 101780961 B1 KR101780961 B1 KR 101780961B1 KR 1020160020869 A KR1020160020869 A KR 1020160020869A KR 20160020869 A KR20160020869 A KR 20160020869A KR 101780961 B1 KR101780961 B1 KR 1017809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ap
- mail cap
- se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전선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메일캡, 및 제 2전선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제 1전선과 제 2전선의 통전접속 후 메일캡과 조립됨으로써 제 1전선과 제 2전선의 연결부위를 방수 처리하는 피메일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전선끼리의 연결 부위를 전선 각각에 구비되는 캡끼리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히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캡 내측 위치에 해당되는 전선에 와이어씰을 구비하여 전선을 따라 전선의 연결부위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전선끼리의 연결 부위를 전선 각각에 구비되는 캡끼리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히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캡 내측 위치에 해당되는 전선에 와이어씰을 구비하여 전선을 따라 전선의 연결부위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끼리의 연결 부위를 전선 각각에 구비되는 캡끼리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히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캡 내측 위치에 해당되는 전선에 와이어씰을 구비하여 전선을 따라 전선의 연결부위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선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선은 주전원에 연결되어져 있는 전기, 전자부품(1개 또는 2개 이상)을 동시에 작동시킴과 동시에, 운전자가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장치 등에도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주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2~3곳의 다른 위치에 있는 부품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전원선에 2~3개의 분기선을 연결해야만 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는 주전원선의 일정부분을 스트립하여, 1~2개의 분기선을 접합터미널로 처리한 후 방수용 열수축 튜브로 방수처리를 하는 방식이다.
접합터미널에 의한 연결구조에 의하면, 주전원선의 일정구간을 중간 스트립 전용기를 이용하여 절연피복을 벗겨낸 다음, 분기선과의 연결을 접합터미널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압착한 후 방수용 열수축 튜브로 방수 처리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전선 연결 구조에 대한 배경기술로서,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15182호(고안의 명칭: 수축 튜브)가 제안된 바 있다.
기존에 전선끼리의 연결부위는 열수축 튜브를 삽입 후 가열하여 열 수축하는데, 열수축 튜브를 사용하더라도 설정 방수력을 실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열수축 튜브를 별도로 가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끼리의 연결 부위를 전선 각각에 구비되는 캡끼리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조립을 통해 전선 연결 부위의 방수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선 방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각 캡 내측 위치에 해당되는 전선에 와이어씰을 구비하여 전선끼리를 연결 후 전선을 따라 전선의 연결부위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전선 방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는: 제 1전선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메일캡; 및 제 2전선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전선과 상기 제 2전선의 통전접속 후 상기 메일캡과 조립됨으로써, 상기 제 1전선과 상기 제 2전선의 연결부위를 방수 처리하는 피메일캡을 포함한다.
상기 메일캡은 둘레면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피메일캡의 테두리에 대향하고; 상기 단턱부는 조인트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전선은 상기 제 1전선을 따라 상기 메일캡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 1와이어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와이어씰은 상기 메일캡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제 1가압돌부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전선은 상기 제 2전선을 따라 상기 피메일캡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 2와이어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와이어씰은 상기 피메일캡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제 2가압돌부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전선끼리의 연결 부위를 전선 각각에 구비되는 캡끼리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조립을 통해 전선 연결 부위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캡 내측 위치에 해당되는 전선에 와이어씰을 구비하여 전선끼리를 연결 후 전선을 따라 전선의 연결부위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방수 장치는 메일캡(110) 및 피메일캡(120)을 포함한다.
특히, 전선 방수 장치는 제 1전선(10)의 제 1도체(12)와 제 2전선(20)의 제 2도체(22)가 통전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스플라이스(30)를 통해 압착한 후, 통전 연결 부위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은 제 1도체(12)와 제 2도체(22)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압착되는 스플라이스(30) 부위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은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질(硬質)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메일캡(110)은 제 1전선(10)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피메일캡(120)은 제 2전선(20)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물론, 메일캡(110)이 제 2전선(20)에 구비되고, 피메일캡(120)이 제 1전선(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일캡(110)은 스플라이스(30) 부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제 1전선(10)을 축 삽입한 채, 제 1전선(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메일캡(110)은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제 1도체(12)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인 메일캡(110)의 타측은 제 1전선(10)의 직경만큼만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피메일캡(120)은 스플라이스(30) 부위 나머지를 감쌀 수 있도록 제 2전선(20)을 축 삽입한 채 제 2전선(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피메일캡(120)은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제 2도체(22)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인 피메일캡(120)의 타측은 제 2전선(20)의 직경만큼만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스플라이스(30)가 제 1도체(12)와 제 2도체(22)를 압착하여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은 서로 밀봉되게 결속된다.
이때, 메일캡(110)이 피메일캡(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나사 결합될 수도 있고, 피메일캡(120)의 내측으로 억지 끼움될 수도 있다.
편의상, 메일캡(110)은 피메일캡(120)의 내측으로 억지 삽입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피메일캡(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메일캡(110)은 둘레면에 단턱부(112)를 형성한다. 그래서, 피메일캡(120)은 메일캡(110)을 삽입하는 정도가 제한되고, 조립되는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이 밀봉력을 갖는다. 이때, 단턱부(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턱부(112)는 조인트씰(130)을 구비한다. 특히, 조인트씰(130)은 피메일캡(120)의 테두리를 향하는 단턱부(112)의 일측에 위치한다. 이때, 조인트씰(130)은 메일캡(110)의 둘레면에 끼워지는 오링(O-ring)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씰(130)은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의 상호 밀착시 소정 변형되며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의 결합 부위 틈새를 막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플라이스(30)를 통해 제 1도체(12)와 제 2도체(22)를 압착 연결한 후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을 조립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 1전선(10)과 제 2전선(20)의 연결 부위를 용이하게 밀봉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외부의 물기는 제 1전선(10)을 통해 메일캡(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제 2전선(20)을 통해 피메일캡(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전선(10)은 제 1전선(10)을 따라 메일캡(110)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 1와이어씰(140)을 구비하고, 제 2전선(20)은 제 2전선(20)을 따라 피메일캡(120)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 2와이어씰(150)을 구비한다.
이때, 제 1와이어씰(140)은 제 1전선(10)을 억지 끼움하여 제 1전선(10)이 삽입되는 부위에 틈새 발생을 방지하고, 제 2와이어씰(150)은 제 2전선(20)을 억지 끼움하여 제 2전선(20)이 삽입되는 부위에 틈새 발생을 방지한다.
아울러, 제 1와이어씰(140)이 제 1전선(10)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제 1와이어씰(140)은 피메일캡(120)에 조립된 메일캡(110)의 내부 타측면에 밀착되도록 제 1전선(10)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 2와이어씰(150)이 제 2전선(20)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제 2와이어씰(150)은 메일캡(110)에 조립된 피메일캡(120)의 내부 타측면에 밀착되도록 제 2전선(20)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견고한 밀봉력이 실현된다.
특히, 제 1와이어씰(140)과 제 2와이어씰(15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 1와이어씰(140)은 메일캡(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제 1가압돌부(142)를 돌출 형성하고, 제 2와이어씰(150)은 피메일캡(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제 2가압돌부(152)를 돌출 형성한다.
제 1가압돌부(142)는 복수 개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 2가압돌부(152)는 복수 개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가압돌부(142)는 메일캡(110)의 내측면에 접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굵기가 설정되고, 제 2가압돌부(152)는 피메일캡(120)의 내측면에 접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굵기가 설정된다.
물론, 제 1가압돌부(142)와 제 2가압돌부(1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이 조립되며 제 1전선(10)과 제 2전선(20)의 통전 연결부위를 감싸기 때문에 용이하게 밀봉 처리할 수 있고, 메일캡(110)과 피메일캡(120)의 연결부위에는 조인트씰(130)이 구비됨에 따라 밀봉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메일캡(110)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제 1전선(10)에는 제 1와이어씰(140)이 구비되고, 피메일캡(120)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제 2전선(20)에는 제 2와이어씰(150)이 구비됨으로써, 외부 물기가 제 1전선(10)과 제 2전선(20)을 따라 통전 연결 부위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제 1전선 20: 제 2전선
30: 스플라이스 110: 메일캡(male-cap)
112: 단턱부 120: 피메일캡(femal-cap)
130: 조인트씰 140: 제 1와이어씰
142: 제 1가압돌부 150: 제 2와이어씰
152: 제 2가압돌부
30: 스플라이스 110: 메일캡(male-cap)
112: 단턱부 120: 피메일캡(femal-cap)
130: 조인트씰 140: 제 1와이어씰
142: 제 1가압돌부 150: 제 2와이어씰
152: 제 2가압돌부
Claims (6)
- 제 1전선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메일캡; 및 제 2전선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전선과 상기 제 2전선의 통전접속 후 상기 메일캡과 조립됨으로써, 상기 제 1전선과 상기 제 2전선의 연결부위를 방수 처리하는 피메일캡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캡은 상기 피메일캡측 테두리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피메일캡을 끼움 조립하며, 상기 피메일캡과 접하는 부위의 밀봉을 위해 상기 단턱부에 조인트씰을 구비하고,
상기 메일캡은 상기 제 1전선을 축 삽입하는 타측을 상기 제 1전선의 직경만큼 개방되게 형성하며, 상기 피메일캡은 상기 제 2전선을 축 삽입하는 타측을 상기 제 2전선의 직경만큼 개방되게 형성하여, 물기가 상기 제 1전선과 상기 제 2전선을 따라 상기 메일캡과 상기 피메일캡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메일캡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전선의 해당부위 둘레면은 상기 메일캡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 1와이어씰을 구비하여 상기 제 1전선을 따라 상기 메일캡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피메일캡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전선의 해당부위 둘레면은 상기 피메일캡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 2와이어씰을 구비하여 상기 제 2전선을 따라 상기 피메일캡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제 1와이어씰은 상기 메일캡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제 1가압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 2와이어씰은 상기 피메일캡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제 2가압돌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방수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69A KR101780961B1 (ko) | 2016-02-22 | 2016-02-22 | 전선 방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0869A KR101780961B1 (ko) | 2016-02-22 | 2016-02-22 | 전선 방수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4148A Division KR101820152B1 (ko) | 2017-09-06 | 2017-09-06 | 전선 방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9041A KR20170099041A (ko) | 2017-08-31 |
KR101780961B1 true KR101780961B1 (ko) | 2017-09-27 |
Family
ID=5976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0869A KR101780961B1 (ko) | 2016-02-22 | 2016-02-22 | 전선 방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0961B1 (ko) |
-
2016
- 2016-02-22 KR KR1020160020869A patent/KR10178096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9041A (ko) | 2017-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05352B2 (en) |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 |
JP4775907B2 (ja) |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 |
US20140209377A1 (en) | Connector structure | |
JP2000323226A (ja) | コネクタ | |
CN107851926A (zh) | 电缆组件 | |
JP5392640B2 (ja) | ケーブル接続装置 | |
US10096986B2 (en) | Device for sealing an electrical connection | |
US20140305678A1 (en) | Wiring material | |
US6638090B2 (en) | Waterproof connector used for a flexible flat cable | |
JPH07135043A (ja) | 防水コネクタ | |
CA2761823A1 (en) | Lead wire sheath | |
KR20070062827A (ko) |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 |
KR101820152B1 (ko) | 전선 방수 장치 | |
KR101780961B1 (ko) | 전선 방수 장치 | |
US9407032B1 (en) | Waterproof device for connector joint | |
US20090291580A1 (en) | Seal member for coaxial cable connector and terminal | |
KR200342004Y1 (ko) |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 |
KR200209229Y1 (ko) |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 |
JPH07282893A (ja) |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 |
JP2005322418A (ja) | 防水構造及び防水用キャップ | |
JPH0878087A (ja) | 防水コネクタ | |
JP2016046183A (ja) | 中継コネクタ用防水カバー | |
CN216794075U (zh) | 母插头和电连接器 | |
JP3144243U (ja) |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 |
TWI398996B (zh) | Waterproof connector and relay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