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723B1 -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 - Google Patents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723B1
KR101780723B1 KR1020150108725A KR20150108725A KR101780723B1 KR 101780723 B1 KR101780723 B1 KR 101780723B1 KR 1020150108725 A KR1020150108725 A KR 1020150108725A KR 20150108725 A KR20150108725 A KR 20150108725A KR 101780723 B1 KR101780723 B1 KR 10178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chamber
lifting
postal
ship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762A (ko
Inventor
신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천
Priority to KR102015010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7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8Refloating stranded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63B2738/10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저에 침몰된 대형 선박을 인양할 때 해상 크레인의 하중 부담을 줄여주고 선박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조류의 불규칙한 변화 등으로 인해 선박이 갑작스럽게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경우에 이를 제어하여 선체의 자세를 용이하게 바로잡을 수 있는 것ㅇ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종격벽에 의해 좌편과 우편으로 분류되어 독립적으로 밸러스터의 주입이 가능한 복수의 플로트 챔버를 구비하며, 수중에서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 각각에 일정량 이상의 밸러스터가 주입되면 하강하고,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 각각에 주입되었던 밸러스터가 회수되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승하면서 침몰 선박에 상승력을 제공하되,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에 주입된 밸러스터의 양이 달라지도록 제어되면 좌편과 우편의 부력차에 의해 롤링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침몰 선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BARGE BALANCE BOOM FOR LIFTING SUBMERGED SHIP AND LIFTING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침몰 선박 또는 구조물(이하 선박이라고 함) 인양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저에 침몰된 대형 선박을 인양할 때 해상 크레인의 하중 부담을 줄여주고 선박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조류의 불규칙한 변화 등으로 인해 선박이 갑작스럽게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경우에 이를 제어하여 선체의 자세를 용이하게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상 교통이 활발해지고 어업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대형 선박의 활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기치 않은 침몰사건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형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인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침몰 위치를 파악하였다 하더라도 수심이 깊은 곳에 침몰한 경우 조류의 영향 때문에 원래의 침몰위치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까지 벗어나서 예상치 못한 위치에 있는 것은 물론, 수중 지면의 개흙 속에 묻히게 되는 경우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어 수색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원 및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확인했다 하더라도 침몰된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해상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된 인양 케이블을 걸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선박에는 인양 케이블을 걸만한 적당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양에 어려움이 컸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침몰된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인양 케이블(20)을 선박(10) 동체에 감은 다음에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 올리는 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침몰된 선박(10)에 인양 케이블(20)을 성공적으로 감았다 하더라도 대형급 선박(10)과 같이 길이가 100m를 넘는 크기를 갖고 있는 선박(10)의 경우 중량(선박 자체의 무게 + 선내 화물 중량 + 침입수 및 개흙 등)이 많이 나가고 그에 대응하는 대형 해상 크레인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았으며, 대형의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침몰된 선박을 들어 올리는 도중 조류의 불규칙한 변화나 선내 화물이나 침입수의 예상치 못한 이동 등으로 인해 선박(10)이 갑작스럽게 회전하여 기울어지면서 이를 제어하지 못하고 떨어뜨리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침몰된 선박의 원형을 가능한 유지하면서 해저로부터 인양해야 하는 경우, 인양도중 예상치 못한 모멘트의 발생으로 인한 배의 손상이나 심한 경우는 인양 케이블이 서로 꼬여 해상크레인이 전복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0-0006197(1990.05.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에 침몰된 선박을 인양할 때 해상 크레인의 하중 부담을 줄여주고 선박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조류의 불규칙한 변화나 침몰된 선박의 예기치 못한 불균형 모멘트 발생 등으로 인해 선박이 갑작스럽게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경우에 이를 제어하여 선체의 자세를 용이하게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은, 해상 크레인의 인양 케이블 중간에 설치되어 침몰 선박에 대하여 상승력 및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바지 밸런스 붐으로서, 붐 본체에는 종·횡경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종·횡경사에 대해 역으로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본체 내부에 밸러스트 수를 주입 혹은 배출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 배관라인에 전자개폐식 자동밸브가 부착되어 있어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내부에는 종·횡격벽에 의해 전후 및 좌우로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밸러스터의 주입이 가능한 복수의 플로트 챔버를 구비하며, 수중에서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 각각에 일정량 이상의 밸러스터가 주입되면 하강하고,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 각각에 주입되었던 밸러스터가 배출되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승하면서 침몰 선박에 상승력을 제공하되, 상기 좌우의 플로트 챔버와 전후의 플로트 챔버에 주입된 밸러스터의 양이 달라지도록 제어되면 부력차에 의해 피치 및 롤링방향으로 본체가 기울어지면서 침몰 선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는 각각 횡격벽에 의해 더 작은 크기의 플로트 챔버로 분할되어 밸러스터의 주입량에 따라 전후방향 부력차에 의해 틸팅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침몰 선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밸러스트 수를 플로트 쳄버에 각각 효율적으로 신속히 주입 혹은 배출을 할 수 있도록, 본체 상부 갑판에 통합된 밸브 박스로 매니폴드 및 분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침몰 선박의 예인시 수평방향 이동에 따른 물의 저항감소와 침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선형과 스케그(Skeg)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대각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평 변위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제1GPS 수신기 및 제2GPS 수신기와, 수심을 측정함으로써 수직 변위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제1수압계와 제2수압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인양시스템은, 해저에 위치한 침몰 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시스템으로서, 인양 케이블에 의해 침몰 선박을 들어 올리는 해상 크레인과; 상기 해상 크레인의 인양 케이블 중간에 설치되어 침몰 선박에 대하여 상승력 및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지 밸런스 붐과; 상기 바지 밸런스 붐에 형성된 복수의 플로트 챔버에 주입되는 밸러스터를 공급하는 수중 혹은 해상의 밸러스터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은 해저에 침몰된 선박을 인양할 때 해상 크레인의 하중 부담을 줄여주고 선박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조류의 불규칙한 변화 등으로 인해 선박이 갑작스럽게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경우에 이를 제어하여 선체의 자세를 용이하게 바로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 케이블 중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인양 케이블이 단번에 길게 드리워져 작업 중 꼬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 케이블의 연결을 바지 밸런스 붐을 중심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몰 선박의 예인시 침몰 선박의 불안정한 변화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거동을 가능케 해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인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의 본체 내부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인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의 본체 내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100)은 해상 크레인(200)의 인양 케이블(151,152) 중간에 설치되며 수중 부력을 이용하는 방식에 의해 해상 크레인(200)을 보조하여 침몰 선박에 대하여 상승력 및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체(110) 내부에 밸러스터를 주입하고 회수하는 간단한 원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100)은 밸러스터가 주입 및 배출되는 복수의 플로트 챔버를 갖는 본체(11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밸러스터를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플로트 챔버들에 분배하는 매니폴드(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챔버는 종격벽(121)을 중심으로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로 분류되며,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는 다시 횡격벽(122)에 의하여 더 작은 크기의 플로트 챔버들로 분할된다. 이에 더해 상기 본체(110)에는 그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전방 플로트 챔버(C1)와 후방 플로트 챔버(C2)가 더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같은 챔버들의 배치형태가 잘 도시되어 있는 도 4를 참조하면 좌편 플로트 챔버(A)로 분류된 챔버들은 도면부호 A1, A2, A3로 표기되었으며, 우편 플로트 챔버(B)로 분류된 챔버들은 도면부호 B1, B2, B3로 표기되었다. 여기서, 상기 전방 플로트 챔버(C1)와 후방 플로트 챔버(C2)의 경우에도 종격벽으로 좌편과 우편으로 분리하여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에 편입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반원상의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침몰 선박의 예인시 수평방향 이동에 따른 물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침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후단부 하측면에 스케그(Ske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스케그의 형상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형 선박의 후미에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매니폴드(13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11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해상 혹은 본체에 설치된 밸러스터 펌프(300)로부터 공급되는 배러스터를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각 챔버들에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매니폴드(131)에 더해 각각의 플로트 챔버로 밸러스터를 이송할 수 있도록 분기된 가지 형태의 분기관(132)이 상기 매니폴드(131)에 연결되며, 상기 분기관(132)에는 전자식 자동 밸브(133)가 설치되어 상기 분기관(132)을 통해 이송되는 밸러스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단, 도 3에 도시된 매니폴드(131), 분기관(132), 전자식 자동밸브(133)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를 든 것이며 다른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같은 바지 밸런스 붐(100)의 구성에 따르면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 각각에 일정량 이상의 밸러스터가 주입되면 수중에서 바지 밸런스 붐(100)이 하강하고,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 각각에 주입되었던 밸러스터가 회수되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승한다.
따라서 바지 밸런스 붐(100)을 수중에 하강시켜야 하는 초기에는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 각각에 일정량 이상의 밸러스터를 주입한 상태로 목표 지점까지 하강시킨 후 침몰 선박에 인양 케이블(151,152)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침몰 선박에 대한 인양 케이블(151,152)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에 주입되었던 밸러스터를 해상으로 회수하면 바지 밸런스 붐(100)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인양 케이블(151,152)을 통해 침몰 선박에 상승력을 제공한다. 이처럼 바지 밸런스 붐(100)이 제공하는 상승력은 그 단독으로 침몰 선박을 인양할 정도는 아니지만 침몰된 대형 선박을 인양할 때 해상 크레인(200)의 하중 부담을 대폭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처럼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조류의 불규칙한 변화 등으로 인해 선박이 갑작스럽게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에 주입된 밸러스터의 양을 조절하면 좌편과 우편의 부력차에 의해 바지 밸런스 붐(100) 본체(110)가 롤링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침몰 선박의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침몰 선박의 선체가 좌우방향으로가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전방 플로트 챔버(C1)와 후방 플로트 챔버(C2)에 주입된 밸러스터의 양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전방과 후방의 부력차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바지 밸런스 붐(100) 본체(110)가 틸팅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침몰 선박의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위각 감지센서(140a,140b)는 상기 본체(110)에서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대각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 설치되며,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평 변위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제1GPS 수신기 및 제2GPS 수신기와, 수심을 측정함으로써 수직 변위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제1수압계와 제2수압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변위각 감지센서(140a,140b)는 가능한 이격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변위각을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대각방향으로 대칭된 위치, 즉 하나는 선단부 일편에 다른 하나는 후단부 타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변위각 감지센서(140a,140b)가 설치되면 상기 침몰 선박의 인양 중 상기 침몰 선박이 좌우 또는 상하로 기울어졌을 때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100)은 인양 케이블(151,152)에 의해 침몰 선박을 들어올리는 해상 크레인(200)과, 상기 바지 밸런스 붐(100)에 형성된 복수의 플로트 챔버에 주입되는 밸러스터를 수중 또는 해상으로부터 공급하는 밸러스터 펌프(300)와 함께 인양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해상 크레인(200)과 밸러스터 펌프(300)는 해상에 위치하는 인양선에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인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지 밸런스 붐(100)을 수중으로 내린 상태에서 하부 인양 케이블(151,152)의 지지대(153)가 침몰 선박의 아랫부분을 지지하도록 걸어준 후, 해상 크레인(200)을 사용하여 약간 들어줌으로써 침몰 선박 선체를 바로 세운 모습니다. 이처럼 바지 밸런스 붐(100)을 수중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 모두에 일정 이상의 밸러스터를 주입하여 그 자중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도 5b와 같이 해상 크레인(200)으로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작업이 진행되는데, 이때 좌편 플로트 챔버(A)와 우편 플로트 챔버(B)에 주입된 밸러스터를 해상으로 회수하여 바지 밸런스 붐(100)에 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해상 크레인(200)에 걸리는 하중 부담을 대폭 완화해준다.
한편,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도중에 조류의 급격한 변화나 다른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도 5c와 같이 침몰 선박이 기울면서 바지 밸런스 붐(100)이 함께 기울어지는 경우 본체(110)에 설치된 변위각 감지센서(140a,140b)가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제어기에 통보한다. 그러면 제어기는 기울어진 바지 밸런스 붐(100)에서 상대적으로 들려있는 쪽의 플로트 챔버에 밸러스터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자세를 바로 잡아주며, 이로써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한쪽으로 기울었던 침몰 선박에 회전력이 제공되어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바지 밸런스 붐 110 : 바지 밸런스 붐 본체
A, A1, A2, A3 : 좌편 플로트 챔버 B, B1, B2, B3 : 우편 플로트 챔버
C1 : 전방 플로트 챔버 C2 : 후방 플로트 챔버
121 : 종격벽 122 : 횡격벽
131 : 매니폴드 132 : 분기관
133 : 솔레노이드 밸브 140a, 140b : 변위각 감지센서

Claims (8)

  1. 해상 크레인의 인양 케이블 중간에 설치되며,
    본체 내부에 종격벽에 의해 좌편과 우편으로 분류되어 독립적으로 밸러스터의 주입이 가능한 복수의 플로트 챔버를 구비하며,
    수중에서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 각각에 일정량 이상의 밸러스터가 주입되면 하강하고,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 각각에 주입되었던 밸러스터가 회수되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승하면서 인양 케이블을 통해 침몰 선박에 상승력을 제공하되,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에 주입된 밸러스터의 양이 달라지도록 제어되면 좌편과 우편의 부력차에 의해 롤링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 롤링방향에 따라 상기 인양 케이블을 통해 침몰 선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좌편 플로트 챔버와 우편 플로트 챔버는 각각 횡격벽에 의해 더 작은 크기의 플로트 챔버로 분할되어 밸러스터의 주입량에 따라 전후방향 부력차에 의해 틸팅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그 틸팅방향에 따라 상기 인양 케이블을 통해 침몰 선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침몰 선박의 예인시 수평방향 이동에 따른 물의 저항 감소와 침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 한 곳에 스케그(Skeg)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밸런스 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밸러스터를 상기 복수의 플로트 챔버에 각각 분배하는 매니폴드 및 분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밸런스 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밸러스터 주입이 가능한 전방 플로트 챔버와 후방 플로트 챔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밸런스 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변위각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밸런스 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각 감지센서는 상기 본체에서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대각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에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평 변위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제1GPS 수신기 및 제2GPS 수신기와, 수심을 측정함으로써 수직 변위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 제1수압계와 제2수압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밸런스 붐.
  8. 해저에 위치한 침몰 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시스템으로서,
    인양 케이블에 의해 침몰 선박을 들어올리는 해상 크레인과;
    상기 해상 크레인의 인양 케이블 중간에 설치되어 침몰 선박에 대하여 상승력 및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의 바지 밸런스 붐과;
    상기 바지 밸런스 붐에 형성된 복수의 플로트 챔버에 주입되는 밸러스터를 공급하는 밸러스터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시스템.
KR1020150108725A 2015-07-31 2015-07-31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 KR10178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725A KR101780723B1 (ko) 2015-07-31 2015-07-31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725A KR101780723B1 (ko) 2015-07-31 2015-07-31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62A KR20170015762A (ko) 2017-02-09
KR101780723B1 true KR101780723B1 (ko) 2017-10-24

Family

ID=5815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725A KR101780723B1 (ko) 2015-07-31 2015-07-31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877B1 (ko) * 2017-07-04 2018-07-06 주식회사 해양산업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
CN109263833B (zh) * 2018-09-14 2020-10-30 李颖 一种基于潮流作用力的沉船打捞及拖运系统
CN114084313B (zh) * 2021-12-24 2023-08-25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船身平衡系统的打捞救助艇
CN116605390A (zh) * 2023-05-05 2023-08-18 西北工业大学宁波研究院 一种仿蝠鲼航行器的浮力系统装置及其调节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556B1 (ko) * 2006-02-17 2011-12-07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해양 선박용 루프 밸러스트 교체 시스템
KR101251631B1 (ko) *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KR101448384B1 (ko) * 2013-05-09 2014-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발전 해양구조물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197A (ko) 1988-10-25 1990-05-07 이종언 선박의 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556B1 (ko) * 2006-02-17 2011-12-07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해양 선박용 루프 밸러스트 교체 시스템
KR101251631B1 (ko) *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KR101448384B1 (ko) * 2013-05-09 2014-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발전 해양구조물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62A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723B1 (ko) 침몰 선박 인양을 위한 바지 밸런스 붐 및 이를 구비한 선박 인양시스템
US89921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ea installations
KR101535888B1 (ko) 선박의 능동적 및 수동적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101920771B (zh) 一种船舶建造中的出坞压载方法
US8960116B2 (en) Dual draft crane vessel
CN201406013Y (zh) 一种具有定位调节防撞功能的海上浮体
CN110099845A (zh) 自推进自升式船舶
CN110169382B (zh) 双体式养殖平台
WO2007097610A1 (en) Semi-submersible vessel, method for operating a semi-submersibl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submersible vessel
CN106677258A (zh) 一种电厂海上取水头沉箱的安装工艺
CN109911125A (zh) 一种海上风电基础钢管桩的滚装上船方法
EP2465764B1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CN110371270B (zh) 一种产品船下水安全起浮出驳的方法
KR102041922B1 (ko)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튜브 구조의 선박 평형장치
CN104619583A (zh) 半潜水式集成港口
CN204916099U (zh) 一种半潜驳船倾斜式下潜船尾呆木
CN112606953B (zh) 自配重半潜式海洋卫星定标与验证浮标系统及其调节方法
CN213594477U (zh) 一种兼具漂浮、半潜、坐底的多功能起重工程船
CN109178225B (zh) 一种半潜式海洋工程平台拉杆式出坞方法
NO337402B1 (no) Et flytende skrog med stabilisatorparti
CN212223881U (zh) 一种基于自升式平台船的水下稳桩系统
WO1997034128A1 (fr) Procede de sondage de la croute terrestre sous-marine
EP2861488A1 (en) Off-shore installation vessel, method of operating an off-shore installation vessel
US10960962B2 (en) Subsea installation method and assembly
JPH09177086A (ja) 浮体の自動姿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