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179B1 -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179B1
KR101780179B1 KR1020160011599A KR20160011599A KR101780179B1 KR 101780179 B1 KR101780179 B1 KR 101780179B1 KR 1020160011599 A KR1020160011599 A KR 1020160011599A KR 20160011599 A KR20160011599 A KR 20160011599A KR 101780179 B1 KR101780179 B1 KR 10178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ps coordinate
mobile smart
smart device
coordin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802A (ko
Inventor
김미성
하은교
이경택
이상민
정도운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1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 도래에 따라,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GPS 좌표 정보를 기준 GPS 좌표 정보로 제공하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및 하나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를 설정한 뒤,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GPS 좌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같은 주기로 저장된 것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를 생성한 뒤,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로 IP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망을 거쳐 전송하는 교통정보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판단하여 이로부터 속도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면 그만큼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의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특히 교통 카메라 같은 교통상황 모니터링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한적한 시골길 등의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도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만큼의 반경 내의 다수의 차량 좌표 이동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는 좌표를 직접적으로 표시하거나, 좌표 정보로부터 추출된 속도 및 차량 이동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based on radius of user coordinates}
본 발명은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비게이션 단말 또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GPS 기반의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제공하며, 다수의 사용자 위치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실시간 교통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갑작스런 전방의 속도감소(사고 등에 의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경보 알림을 제공하여, 추돌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교통상태 모니터 카메라를 활용하거나 실제로 각 주요 도로마다 미리 지정된 실제 차량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및 빠른 길 안내에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단순히 각 도로 마다 교통량 정보에 대해서는 알 수 있으나, 안개 등의 기상 악화 등으로 카메라 또는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정밀한 교통상황 그 밖의 사고 위험 등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는 한계점이 있다.
즉, 기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교통량 정보와 길 안내 서비스에 대해서는 제공이 가능하나 전방의 갑작스런 사고, 특히 전방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커브길, 야간, 안개 등) 전방 및 후방 등의 위험상황을 사전에 인지하는 것에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92786호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속도정보 제공 단말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74976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판단하여 이로부터 속도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면 그만큼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의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특히 교통 카메라 같은 교통상황 모니터링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한적한 시골길 등의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만큼의 반경 내의 다수의 차량 좌표 이동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는 좌표를 직접적으로 표시하거나, 좌표 정보로부터 추출된 속도 및 차량 이동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 도래에 따라,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GPS 좌표 정보를 기준 GPS 좌표 정보로 제공하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및 하나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를 설정한 뒤,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GPS 좌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같은 주기로 저장된 것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를 생성한 뒤,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로 IP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망을 거쳐 전송하는 교통정보 제공 서버; 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판단하여 이로부터 속도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면 그만큼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의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특히 교통 카메라 같은 교통상황 모니터링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한적한 시골길 등의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도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만큼의 반경 내의 다수의 차량 좌표 이동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는 좌표를 직접적으로 표시하거나, 좌표 정보로부터 추출된 속도 및 차량 이동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반경을 좁힐 경우 반경 내 좌표이동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경을 넓힐 경우 다수의 좌표를 표시하는데 한계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좌표의 이동속도를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차량의 분당 통행 수 등의 정보로 환산하여 표시가 가능한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중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중 교통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차량(1)에 각각 탑재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와, 이동통신망(20), IP 네트워크(30) 및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중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는 GPS 수신기(11), 터치스크린(12), 제어모듈(13), 저장부(14) 및 무선 통신부(15)를 포함한다.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는 차량(1) 내의 내비게이션 단말이거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컴퓨팅 기능을 갖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중 교통정보 제공 서버(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송수신부(41), 제어부(42) 및 데이터베이스(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42)는 좌표 수집 모듈(42a), 지역 설정 모듈(42b), 좌표 제공 모듈(42c), 이벤트 정보 제공 모듈(42d) 및 반경 설정/정보 제공 모듈(42e)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42)의 구성을 중심으로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좌표 수집 모듈(42a)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G)을 구성하는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 도래에 따라,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수신기(11)를 통해 수신한 GPS 좌표 정보를 기준 GPS 좌표 정보로 이동통신망(20) 및 IP 네트워크(30)를 거쳐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
지역 설정 모듈(42b)은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를 설정한다. 여기서 지역 설정 모듈(42b)은 서버의 부하를 고려하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G)을 구성하는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 중 서비스 요청을 한 것에 한해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 반경 설정은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전송한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지역 설정 모듈(42b)이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 뒤, 독출(reading)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역 설정 모듈(42b)은 서비스 요청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로부터 같은 주기로 저장된 것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를 생성한다.
좌표 제공 모듈(42c)은 하나의 기준 GPS 좌표 정보와,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집된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에 포함된 개별적인 GPS 좌표 정보 간의 거리 정보 분석을 수행한 뒤, 현재 주기의 이전 주기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G)을 구성하는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와,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를 각각 연산한 뒤 데이터베이스(43) 상에 저장한다. 즉, 좌표 제공 모듈(42c)은 한 번의 주기로 정의된 시간과, 각 GPS 좌표 정보의 차이 값을 이용해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좌표 제공 모듈(42c)은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속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벤트 정보 제공 모듈(42d)은 현재의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 정보에 따른 다음 주기의 이동 좌표 위치 및 방향을 추정한 뒤,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 정보에 따른 다음 주기의 이동 좌표 위치 및 방향을 추정한다. 이에 따라, 이벤트 정보 제공 모듈(42d)은 다음 주기에서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를 탑재한 차량(1)의 이동 좌표 위치와 겹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를 탑재한 차량(1)의 이동 좌표 위치가 있는 경우, 각 차량(1)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자신 및 상대방의 현재 GPS 좌표 정보와 이동 좌표 위치를 점으로 표현한 UI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반경 설정/정보 제공 모듈(42e)은 좌표 수집 모듈(42a)에 의해 수신된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지역 설정 모듈(42b)에 의해 설정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 내의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 집합에 포함된 개별적인 GPS 좌표 정보 간의 거리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
반경 설정/정보 제공 모듈(42e)은 거리 분석 정보를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후, 반경 설정/정보 제공 모듈(42e)은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반경 조절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에 대한 대기 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반경 설정/정보 제공 모듈(42e)은 수신된 반경 조절 정보의 분석에 따라 반경 조절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반경 이하인 경우, 같은 차도 반경으로 설정된 모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이전 주기와 현재 주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현재 주기와 다음 주기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좌표 이동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준 GPS 좌표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반대로,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수신된 반경 조절 정보의 분석에 따라 반경 조절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 같은 차도 반경으로 설정된 모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이전 주기와 현재 주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현재 주기와 다음 주기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에 대한 좌표의 이동속도를 색상 정보와, 현재 기준 GPS 좌표에 해당하는 차도 좌표에 대한 차량의 분당 통행수 정보를 함께, 기준 GPS 좌표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시 다수의 데이터분석(빅데이터)과 시설물 설치 정보(신호등, 위험방지턱, 공사구간, 위험구간 등)와 연계함으로써, 전방의 이상교통상황의 원인이 교통사고, 교통신호, 공사구간, 위험방지턱, 음주운전단속에 의한 것인지 추정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특히, 도로가 고속도로인 상황에서는 전방의 사고 유무에 대한 조기 인지가 가능하며, 고장으로 정지한 차량의 위치 확인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과는 차별적인 특징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G) 중 하나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는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 도래에 따라, GPS 수신기(11)를 통해 수신한 GPS 좌표 정보를 기준 GPS 좌표 정보로 이동통신망(20) 및 IP 네트워크(30)를 거쳐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로 전송한다(S110).
단계(S110) 이후,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단계(S110)에서 수신한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를 설정한다(S120).
단계(S120) 이후,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로부터 같은 주기로 저장된 것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를 생성한다(S130).
한편, 단계(S130) 이후에는 단계(S140: S141 내지 S142)와 단계(S150: S151 내지 S153)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 상에서의 설정 정보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 서버(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모두를 한번에 제공할 수도 있다.
먼저, 단계(S140)의 과정을 살펴보면,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기준 GPS 좌표 정보와,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집된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에 포함된 개별적인 GPS 좌표 정보 간의 거리 정보 분석을 수행한 뒤, 단계(S110)의 주기의 이전 주기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G)을 구성하는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와,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를 각각 연산한다(S141). 즉 한 번의 주기로 정의된 시간과, 각 GPS 좌표 정보의 차이 값을 이용해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단계(S141) 이후,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속도 정보를 제공한다(S142).
다음으로, 단계(S150)의 과정을 살펴보면,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기준 GPS 좌표 정보를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 집합에 포함된 개별적인 GPS 좌표 정보 간의 거리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S151).
단계(S151) 이후,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거리 분석 정보를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전송한다(S152).
단계(S152) 이후,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반경 조절 정보 수신시 반경 조절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반경 이하인 경우는 같은 차도 반경으로 설정된 모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이전 주기와 현재 주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현재 주기와 다음 주기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좌표 이동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계(S110)에서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전송한다. 반대로, 교통정보 제공 서버(40)는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반경 조절 정보 수신시 반경 조절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 같은 차도 반경으로 설정된 모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이전 주기와 현재 주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현재 주기와 다음 주기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단계(S110)에서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에 대한 좌표의 이동속도를 색상 정보와 현재 기준 GPS 좌표에 해당하는 차도 좌표에 대한 차량의 분당 통행수 정보와 함께 단계(S110)에서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전송한다(S153).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차량 10 :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11 : GPS 수신기 12 : 터치스크린
13 : 제어모듈 14 : 저장부
15 : 무선 통신부 20 : 이동통신망
30 : IP 네트워크 40 : 교통정보 제공 서버
41 : 송수신부 42 : 제어부
42a : 좌표 수집 모듈 42b : 지역 설정 모듈
42c : 좌표 제공 모듈 42d : 이벤트 정보 제공 모듈
42e : 반경 설정/정보 제공 모듈 43 :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 도래에 따라, GPS 수신기(11)를 통해 수신한 GPS 좌표 정보를 기준 GPS 좌표 정보로 제공하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 및
    송수신부(41), 제어부(42) 및 데이터베이스(43)을 구비하여, 제어부(42)가 하나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를 설정한 뒤,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로부터 같은 주기로 저장된 것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를 생성한 뒤, 송수신부(41)를 통해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전송하는 교통정보 제공 서버(40);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42)는,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차도 범위를 설정하며,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로부터 같은 주기로 저장된 것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를 생성하는 지역 설정 모듈(42b);
    기준 GPS 좌표 정보와,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집된 GPS 좌표 정보 추출 집합 정보에 포함된 개별적인 GPS 좌표 정보 간의 거리 정보 분석을 수행한 뒤, 현재 주기의 이전 주기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 집합을 구성하는 각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와,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를 각각 연산하며,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거쳐 속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좌표 제공 모듈(42c);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 정보에 따른 다음 주기의 이동 좌표 위치 및 방향을 추정한 뒤,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차도 내에 속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속도 정보에 따른 다음 주기의 이동 좌표 위치 및 방향을 추정하여, 다음 주기에서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를 탑재한 차량(1)의 이동 좌표 위치와 겹치는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를 탑재한 차량(1)의 이동 좌표 위치가 있는 경우, 각 차량(1)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자신 및 상대방의 현재 GPS 좌표 정보와 이동 좌표 위치를 점으로 표현한 UI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이벤트 정보 제공 모듈(42d);
    기준 GPS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차도범위 내의 다른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GPS 좌표 정보 집합에 포함된 개별적인 GPS 좌표 정보 간의 거리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상기 IP 네트워크(30) 및 상기 이동통신망(20)을 거쳐 거리 분석 정보를 전송한 뒤,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반경 조절 정보 수신시 반경 조절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반경 이하인 경우는 같은 차도 반경으로 설정된 모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이전 주기와 현재 주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현재 주기와 다음 주기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해 좌표 이동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준 GPS 좌표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로 IP 네트워크(30) 및 이동통신망(20)을 좌표 이동 상황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를 제어하는 반경 설정/정보 제공 모듈(42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11599A 2016-01-29 2016-01-29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8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599A KR101780179B1 (ko) 2016-01-29 2016-01-29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599A KR101780179B1 (ko) 2016-01-29 2016-01-29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02A KR20170090802A (ko) 2017-08-08
KR101780179B1 true KR101780179B1 (ko) 2017-09-20

Family

ID=5965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599A KR101780179B1 (ko) 2016-01-29 2016-01-29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1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56B1 (ko) * 1998-10-08 2002-05-18 김정환 자동차교통정보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56B1 (ko) * 1998-10-08 2002-05-18 김정환 자동차교통정보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02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7904B (zh) 利用智能手机的行人防碰撞预警系统的预警方法
CN105793669B (zh) 车辆位置推定系统、装置、方法以及照相机装置
US20210014643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4192174B (zh) 列车预警系统和列车预警方法
JP4752836B2 (ja) 道路環境情報通知装置及び道路環境情報通知プログラム
CN106882143B (zh) 基于lte-v通信的行人保护系统及方法
US11315420B2 (en) Moving object and driving support system for moving object
WO2017071224A1 (zh) 一种行车信息共享的方法、车载平台及智能交通系统
TWI547913B (zh) 即時駕駛輔助系統及方法
CN109993944B (zh) 一种危险预警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JP4093026B2 (ja) 道路環境情報通知装置、車載報知装置、情報センタ内装置、及び道路環境情報通知プログラム
US20170229014A1 (en) Determination of an optimum speed for a motor vehicle approaching a traffic light
CN111402631A (zh) 一种基于车辆行驶的危险预警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201503179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traffic events, and use of the system
US10132637B2 (en) Vehicular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vehicular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US20140095059A1 (en) Method to determine traffic characteristics in road traffic
KR20220027069A (ko) 안전 성능 평가 장치, 안전 성능 평가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CN114117719A (zh) 提高自主运载工具的安全性和可靠性的自主运载工具模拟
US112109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ata fusion and filtering
JP2021167986A (ja) センサ共有システム、センサ共有装置、センサ共有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55278A (ko) 차량용 레이더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3472A (ko) V2x 통신기반 자율주행 혼합류환경 교차로 통합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7125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그리고 정보 처리 방법
KR101780179B1 (ko) 사용자 좌표 반경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57280A (ko) 공사정보 수집 기능이 포함된 도로정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