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305B1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305B1
KR101779305B1 KR1020167000484A KR20167000484A KR101779305B1 KR 101779305 B1 KR101779305 B1 KR 101779305B1 KR 1020167000484 A KR1020167000484 A KR 1020167000484A KR 20167000484 A KR20167000484 A KR 20167000484A KR 101779305 B1 KR101779305 B1 KR 10177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ntent
less
stainless steel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748A (ko
Inventor
마사요시 사와다
가즈히코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의 곱이 450㎫ 이상이며,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향상이 도모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한다. 질량%로, C:0.02∼0.30%, Cr:10.0∼25.0%, Ni:3.5∼10.0%, Si:0∼3.0%, Mn:0.5%∼5.0%, N:0.10∼0.40%, Mo:0∼3.0%, Cu:0∼3.0%, Ti:0∼0.10%, Nb:0∼0.50%, V:0∼1.0%이며, C+3×N:0.4% 이상이며,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1)식에 의해 규정되는 Md30값이 0℃ 이상 50℃ 이하이며,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체적률이 1% 이하이며, 또한 모상의 평균 결정입경이 10㎛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이다.

Description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자동차나 전철 등의 구조 부재로서 사용하는 데 적합한, 충돌 상당의 고변형 속도 영역에서의 강도와 프레스 성형 상당의 저변형 속도 영역에서의 연성을 양립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에의 대응으로서, 자동차나 철도 등의 연비 향상이 요망되고 있고, 이 해결책으로서는, 차체의 경량화가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차체의 경량화에는,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 부재를 형성하는 소재의 경량화, 구체적으로는 소재의 박육화가 유효하다. 그러나, 소재의 박육화는 강성이나 충돌 시의 충격 흡수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최근에는 특히 구조 부재에의 고강도 소재의 적용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등은, 크게 변형되지 않고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은 변형 영역에서의 충격 흡수능의 지표로서는, 충돌 상당의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이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프레스 성형성의 지표로서는, 프레스 상당의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이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즉,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이 우수한 재료가 구조 부재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의 곱이 450㎫ 이상으로 되는 충격 흡수능과 프레스 성형성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이 극히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에는, Mn을 다량으로 첨가하고, 변형 시에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키게 하지 않고, 오스테나이트의 쌍정 변형에 의해 강도를 높이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전혀 일으키게 하지 않으므로, 얻어지는 강도 및 연신의 밸런스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는, 실시예로서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유동 응력과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 연신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의 곱은 모두 400㎫보다 약간 작은 것에 그친다.
특허문헌 2에는, 저Ni형의 자동차 구조 부재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결정입경이 수 10㎛로 조대하므로, 자동차 구조 부재로서 성형할 때에 굽힘 가공부의 표면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구조 부재의 특성으로서 불충분하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3012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96103호 공보
구조 부재의 가일층의 경량화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현재에도, 소재에는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와,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 2에 의해 개시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라도, 최신의 제품에 요구되는 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상반되는 특성인 고강도 및 고연성의 양립에 있어서, 강의 각종 고강도화의 방법을 검토한 결과, 각종 고강도화의 방법 중에서 (a) 고용 C, 고용 N에 의한 강화, (b) 변형 시의 변태 유기 소성(TRIP 효과)에 의한 강화, 및 (c)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강화를 활용함으로써,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와, 저변형 속도에서의 고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하에 열기하는 바와 같다.
[1]
질량%로, C:0.02∼0.30%, Cr:10.0∼25.0%, Ni:3.5∼10.0%, Si:0∼3.0%, Mn:0.5%∼5.0%, N:0.10∼0.40%, Mo:0∼3.0%, Cu:0∼3.0%, Ti:0∼0.10%, Nb:0∼0.50%, V:0∼1.0%이며, C+3×N:0.4% 이상이며,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 (1)식에 의해 규정되는 Md30값이 0℃ 이상 50℃ 이하이며,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체적률이 1% 이하이며, 또한 모상의 평균 결정입경이 10㎛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1
[2]
질량%로, Mo:0.4∼3.0%, Cu:0.4∼3.0%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3]
질량%로, Ti:0.01∼0.10%, Nb:0.02∼0.50%, V:0.02∼1.0%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4]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의 곱이 450㎫ 이상인,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5]
질량%로, C:0.02∼0.30%, Cr:10.0∼25.0%, Ni:3.5∼10.0%, Si:0∼3.0%, Mn:0.5%∼5.0%, N:0.10∼0.40%, Mo:0∼3.0%, Cu:0∼3.0%, Ti:0∼0.10%, Nb:0∼0.50%, V:0∼1.0%이며, C+3×N:0.4% 이상이며,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리스강 소재에 열간 압연을 실시한 후, 얻어진 열연 강판에 하기 (2)식을 만족시키는 어닐링 온도 T(℃) 및 어닐링 시간 t(sec)에서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2
본 발명에 관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의 곱이 450㎫ 이상이며, 충격 흡수능과 프레스 성형성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을, 종래 강보다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와,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1은 (2)식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EPMA선 분석에 의한 열연 어닐링판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의 (a)는 강판 3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강판 43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2의 (c)는 강판 44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화학 조성, 금속 조직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화학 조성에 관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1. 화학 조성
(C:0.02∼0.30%)
C는, 고용 강화 원소이며,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에 크게 기여한다. C에 의한 고용 강화는, 단범위 장해물을 활용한 강화이며, 강화의 변형 속도 의존성이 크다. 따라서, 합금 원소에 의한 고용 강화, 전위에 의한 강화, 석출물에 의한 다른 강화와 비교하여,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열화가 작고, 본 발명의 목적인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와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양립에 극히 유효하다. 이로 인해, C 함유량은 0.02% 이상으로 한다. 단, C 함유량이 과잉이면, 제조 과정에 있어서 조대한 탄화물을 생성되어,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열화되므로, C 함유량은 0.30% 이하로 한다.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4% 이상 0.3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이상 0.30% 이하이다.
(Cr:10.0∼25.0%)
Cr은, 스테인리스강의 기본 원소이며, 10.0%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강재의 표면에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높이는 작용을 발휘한다. 그러나, Cr 함유량이 과잉이면, 고온에서 δ 페라이트가 생성되고, 강의 열간 가공성이 현저하게 열화된다. 그로 인해, Cr 함유량은 10.0% 이상 25.0% 이하로 한다. Cr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0% 이하이다.
(Ni:3.5∼10.0%)
Ni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기본 원소이며, 실온에서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를 갖는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 Ni를 3.5% 이상 함유시킨다. 그러나, Ni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오스테나이트상이 과잉으로 안정화되고, 변형 시의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억제되어, 가공 경화되기 어려워지는 결과, 연신이 저하된다. 그로 인해, Ni 함유량은 3.5% 이상 10.0% 이하로 한다. N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8% 이하이다.
(Mn:0.5∼5.0%)
Mn은, 용제 시의 탈산재로서 사용된다. 또한, 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또한 C, N의 고용 한도를 높이고, 다량의 C, N을 고용시키는 효과가 있고, 다른 원소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적량을 함유시킨다. 그러나, Mn 함유량이 과잉이면, 제조 과정에서 조대한 Mn 화합물이 생성되고, 조대한 Mn 화합물이 파괴의 기점으로 되어, 성형성이 열화된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Mn 함유량은 0.5% 이상 5.0% 이하로 한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0% 이하이다.
(N:0.10∼0.40%)
N은, C와 마찬가지로 고용 강화 원소이며,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에 유효하다. 고용 N은, 고용 C와 마찬가지로, 합금 원소에 의한 고용 강화, 전위에 의한 강화, 석출물에 의한 강화와 비교하여,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열화가 작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인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와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향상에 극히 유효하다. 이로 인해, N 함유량은 0.10% 이상으로 한다. 단, N 함유량이 과잉이면, 제조 과정에 있어서 조대한 질화물을 생성하여,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열화되므로, N 함유량은 0.40% 이하로 한다. 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 0.3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25% 이하이다.
(C+3×N:0.4%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C, N은 고용 강화 원소이며,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에 크게 기여한다. C와 N에 의한 고용 강화는, 합금 원소에 의한 고용 강화, 전위에 의한 강화, 석출물에 의한 강화와 비교하여,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열화가 작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인 고변형 속도에서의 고강도화와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양립을 위해, C+3×N을 0.4%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필요에 따라 이하에 설명하는 임의 첨가 원소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Si:0∼3.0%)
Si는, 고용 강화 원소이며, 강의 고강도화에 기여함과 함께, 용제 시의 탈산재로서도 사용된다. Si는,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된다. 고강도화를 위해서는, 0.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i 함유량이 과잉이면, 제조 과정에서 조대한 Si 화합물이 생성되고, 이들 조대한 Si 화합물이 열간 가공성 및 냉간 가공성의 열화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Si 함유량은, 3.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다.
(Mo:0∼3.0% 또는 Cu:0∼3.0%의 한쪽 또는 양쪽)
Mo는, 내식성의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며,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된다. 그러나, Mo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Mo 함유량은, 3.0% 이하로 한다. Mo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며, 내식성 향상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0.4%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는, 냉간 가공성이나 연성의 향상에 유효하고,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된다. 그러나, Cu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열간 취성을 유발하므로, Cu 함유량은 3.0% 이하로 한다. Cu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며, 냉간 가공성이나 연성의 향상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0.4%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0∼0.10%, Nb:0∼0.50% 및 V:0∼1.0%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Ti, Nb 및 V는, 모두 제조 과정에 있어서, 미세한 탄화물 혹은 질화물로서 석출되고, 피닝 효과에 의해 결정의 입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된다. 단, 이들 원소의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면, 조대한 탄화물이나 질화물이 생성되고, 이들이 변형 시의 파괴 기점으로 되어 성형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그로 인해, Ti 함유량은 0.10% 이하로 하고, Nb 함유량은 0.50% 이하로 하고, V 함유량은 1.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Ti 함유량은 0.05% 이하이며, Nb 함유량은 0.2% 이하이며, V 함유량은 0.5% 이하이다. 또한, 결정의 입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Ti는 0.01% 이상, Nb는 0.02% 이상, V는 0.02%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 이외의 잔부는, Fe 및 불순물이다. 불순물로서는, 광석이나 스크랩 등의 원재료에 포함되는 것, 제조 공정에 있어서 포함되는 것이 예시된다. 대표적인 불순물로서는, P:0.05% 이하, S:0.03% 이하 등이 예시된다.
(Md30값이 0℃ 이상 50℃ 이하)
Md30값은,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30%의 연신 변형을 부여하였을 때에 50%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는 가공 온도이다. Md30값은, 하기 (1)식에 의해 규정된다. Md30값을 0℃ 이상 50℃ 이하로 함으로써, 변형 시에 적절하게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고, TRIP 효과가 발현됨으로써, 보다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얻어진다.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3
2. 금속 조직
(오스테나이트 모상의 결정입경:10㎛ 이하)
결정립의 미세화는, 강의 연성의 열화가 작은 강화법이며,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도 유효한 강화 방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결정입경을 작게 하고, 결정입계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변형 시에 결정입계에 집중하는 변형을 분산시키고,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 모상의 결정입경을 10㎛ 이하로 한다. 오스테나이트 모상의 결정입경은,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Cr 탄질화물의 체적률:1.0%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C, N 함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고변형 속도에서의 강도와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의 밸런스가 향상되지만, 이것은, 고용 C, N의 경우, 고강도화에 미치는 변형 속도 의존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C, N을 많이 첨가해도, 이들이 Cr 탄화물이나 Cr 질화물로서 존재하였던 것에서는 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여기서, Cr 탄화물로서는 Cr23C6를 들 수 있고, Cr 질화물로서는 Cr2N, CrN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Cr 탄화물에는, 미량의 N이 고용된 Cr23(C, N)6를 포함하고, Cr 질화물에는 미량의 C가 고용된 Cr2(C, N), Cr(C, N)을 포함한다. 또한, Cr 탄화물, Cr 질화물과 같이 조대한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 Cr 탄화물, Cr 질화물 자신, 혹은 Cr 탄화물, Cr 질화물과 모상의 계면이 균열의 기점으로 되기 쉽고, 연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Cr 탄화물, Cr 질화물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체적률을 1.0% 이하로 한다.
3.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많은 C, N을 고용시킴으로써,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서 개시된, 1080℃, 60초간 정도의 열연판 어닐링에서는, 열간 압연 시에 석출 혹은 농화된 C, N이 충분히 균일화되지 않고, 이들 석출 혹은 농화된 C, N이, 그 후의 고용화 열처리나 어닐링을 거쳐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고, 고용화 열처리나 어닐링 후의 냉각 과정에서, Cr 탄화물이나 질화물이 잔존한 석출물을 핵으로서 석출하기 쉽고, C, N을 많이 고용한 상태로 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어닐링 온도 T(℃), 어닐링 시간 t(sec)와 C, N의 확산을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열연판 중의 C, N이 150㎛ 이상 확산되는 어닐링 온도 T 및 어닐링 시간 t에 의해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함으로써, 열간 압연 시에 석출 혹은 농화된 C, N이 충분히 고용되고 균일화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서, 확산 거리 λ는, (3)식과 같이 확산 계수 D, 시간 t로 정리된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중의 N의 확산 계수 D(㎡/sec)는, 문헌(예를 들어, 강의 물성과 질소 69페이지 아그네 기술 센터)에 의하면, (4)식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4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5
(3)식 및 (4)식에 기초하여 N이 150㎛ 이상 확산되는 조건을 정리한 것이 (2)식이다. 또한, (2)식을 도시한 것이 도 1이다. 도 1 중의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우측 상방 부분)이, (2)식을 만족시키는 범위이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중의 C는, 확산 계수가 N과 거의 동일하므로, (2)식을 만족시키는 어닐링 온도 및 어닐링 시간의 열연판 어닐링을 행하면, C도 충분히 확산되고, 균일화된다.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6
또한, 열연판 어닐링 시에 C, N이 확산되어 균일화되어도, 냉각 속도가 느리면, 냉각 중에 C, N이 Cr 탄화물, Cr 질화물로서 석출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Cr 탄화물, Cr 질화물이 석출되기 쉬운 700℃까지는 냉각 속도를 2.0℃/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연판 어닐링 이후의 용체화 처리나 어닐링에 있어서도, 온도는 900℃ 이상에서 유지하고, 유지 온도로부터 700℃까지의 냉각 속도는 2.0℃/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의 17㎏의 스테인리스 강괴를 용제하였다. 표 1에 있어서, 강종 A1∼A25는, 화학 조성, (C+3×N)량, Md30값이 모두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재료이며, 강종 B1∼B14는, 화학 조성, (C+3×N)량, Md30값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재료이다. 표 1 중, 「-」은, 함유를 의도하고 있지 않은 것(함유량이 바람직한 범위 미만 또는 0)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7
이 스테인리스강 주괴를 절삭 가공하여 두께 45㎜의 열간 압연용 소재로 하였다. 그 후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6.0㎜의 열연 강판으로 한 후, 이 열연 강판에 각각 표 2에 나타내는 어닐링 온도 및 어닐링 시간에서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강판 28, 34, 35, 43, 44는, 열연판 어닐링에 있어서의 어닐링 온도 T(℃), 어닐링 시간 t(sec)가 상기 (2)식을 만족시키지 않는 예이다.
그 후, 냉간 압연과 어닐링을 2∼3회씩 반복하여, 두께 1.0㎜의 냉연판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900∼1000℃에서 180초간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Cr 탄질화물의 체적률 V(%), 평균 결정입경 D(㎛),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10% FS),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UEL)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r 탄질화물의 체적률)
강판을 판 두께가 3/4으로 될 때까지 화학 연마한 후, 특성 X선을 Co-Kα선, 2θ를 30-100(degree)의 범위에서 X 회절 측정을 행하였다. 검출된 회절 피크를 사용하여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체적률 V를 산출하였다. 모상의 X선 회절 피크는, 오스테나이트상의 (111)면, (200)면, (220)면 및 모상의 마르텐사이트상의 (110)면, (200)면, (211)면으로부터의 회절 피크를 사용하였다. 탄화물의 X선 회절 피크로서 Cr23C6의 (420)면, (422)면, (440)면으로부터의 회절 피크, 질화물의 X선 회절 피크로서 Cr2N의 (110)면, (002)면, (111)면 및, CrN의 (111)면, (220)면, (311)면으로부터의 회절 피크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상으로부터의 피크라도 면에 의해 X선의 반사율이 다르다. 따라서, 각 피크의 적분 강도는, JCPDS 카드의 각 피크의 상대 강도로 나누고, 규격화하였다.
또한, 각 상의 구성 원소가 다르면, 그들 구성 원소의 원자 산란 인자(atomic scattering factor)가 다르므로, X선의 반사율은 다르다. 그러나, X선 회절 측정에 관한 대표적인 문헌인 「B.D.Cullity:Elements of X-ray Diffraction, 2nd ed., Addison-Wesley, Massachussets, (1978)」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의 모상, 및 탄화물, 질화물의 주요 원소인 Fe, Cr, Ni, Mn의 원자 산란 인자의 차는 작으므로, 금회의 실시예의 범위에서는, 각 상의 구성 원소의 차가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체적률 V는, 하기 (5)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VC, VN, Vγ, Vα '는, 각각 Cr 탄화물, Cr 질화물, 오스테나이트상, 마르텐사이트상의 각 면의 피크의 적분 강도를 JCPDS 카드의 상대 강도로 나눈 후, 그 값을 더한 값이다.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8
일례를 (6)식에 나타낸다. 여기서, Iγ(hkl)은, X선 회절 측정에서 얻어진 γ(hkl)면으로부터의 피크의 적분 강도, RIγ(hkl)은, JCPDS 카드의 RIγ(hkl)의 상대 강도이다.
Figure 112016002043617-pct00009
(결정입경)
강판의 압연 방향 평행 단면을 연마하고, 질산 전해 부식 후에, 주사형 현미경으로 금속 조직을 촬영하였다.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얻어진 공칭 입경을 모상의 평균 결정입경으로 하였다.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
변형 속도 1000/s 및 0.1/s로 인장 시험을 행하였다. 각 강판에 대해 인장 시험을 3회씩 행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특성값으로 하였다. 여기서는, 충돌 상당의 고변형 속도의 강도로서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을 이용함과 함께, 프레스 상당의 저변형 속도에서의 연성으로서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을 측정하였다. 이들 10% 유동 응력과 균일 연신의 곱을,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의 지표로 하였다.
표 2에, 이들 강판의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체적률 V(%), 평균 결정입경 D(㎛),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유동 응력, 변형 속도 0.1/s에서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균일 연신, 및 이들의 곱을 정리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16002043617-pct00010
표 2에 있어서의 강판 1∼26은, 본 발명예의 강판이다. 강판 1∼26에 있어서의 Mo 함유량:0.3%, Cu 함유량:0.3%, Ti, Nb, V 함유량:0.001%는, 모두 불순물로서의 함유량이다.
강판 1∼26은, 모두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의 곱이 450㎫을 초과하는 강이다.
한편, 강판 27∼44는 비교강이며,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지는 강이다.
강판 27, 28은, C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29, 30은, N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 특히 강판 29는 (C+3×N)량도 본 발명의 범위보다도 적으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31, 32는, (C+3×N)량이 본 발명의 범위보다도 적고, 특히 강판 31은 C 함유량 및 N 함유량 모두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33, 34는, Cr 함유량 및 Md30값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35는, Ni 함유량 및 Md30값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36은, Ni 함유량 및 Md30값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37은, Si 함유량 및 Mn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38은, Si 함유량, Mn 함유량 및 Ti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39는, Mo 함유량 및 Nb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40은, Cu 함유량 및 V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판 41, 42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화학 조성, (C+3×N)량 및 Md30값을 갖지만, 결정입경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므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종 A1로부터 제작한 강판 1, 41, 42를 비교함으로써, 결정입경을 10㎛ 이하로 함으로써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강판 43, 44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화학 조성, (C+3×N)량 및 Md30값을 갖지만, 냉연 어닐링재의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합계의 체적률이 1%를 초과하고 있고,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강종 A3으로부터 만든 강판 3, 4, 43, 44를 비교함으로써,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합계의 체적률을 1% 이하로 함으로써,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의 밸런스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EPMA선 분석에 의한 열연 어닐링판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의 (a)는 강판 3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강판 43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2의 (c)는 강판 44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강판 43, 44는,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화학 조성이지만, 열간 압연 후의 열연판 어닐링의 어닐링 온도 및 어닐링 시간이 (2)식을 만족시키지 않고, 도 2의 (a)∼도 2의 (c)의 열연 어닐링판의 EPMA 분석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연판 어닐링 후에 C, N이 농화된 영역이 존재한다. 이들이, 최종 어닐링 후까지 잔존하고, 다량의 Cr의 탄화물, 질화물로서 존재한다.

Claims (6)

  1. 질량%로, C:0.02∼0.30%, Cr:10.0∼25.0%, Ni:3.5∼10.0%, Si:0∼3.0%, Mn:0.5%∼5.0%, N:0.10∼0.40%, Mo:0∼3.0%, Cu:0∼3.0%, Ti:0∼0.10%, Nb:0∼0.50%, V:0∼1.0%이며, C+3×N:0.4% 이상이며,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 (1)식에 의해 규정되는 Md30값이 0℃ 이상 50℃ 이하이며, Cr 탄화물 및 Cr 질화물의 체적률이 1% 이하이며, 또한 모상의 평균 결정입경이 10㎛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수학식 1]
    Figure 112016002043617-pct00011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Si:0.1∼3.0%, Mo:0.4∼3.0%, Cu:0.4∼3.0%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Ti:0.01∼0.10%, Nb:0.02∼0.50%, V:0.02∼1.0%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의 곱이 450㎫ 이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5. 질량%로, C:0.02∼0.30%, Cr:10.0∼25.0%, Ni:3.5∼10.0%, Si:0∼3.0%, Mn:0.5%∼5.0%, N:0.10∼0.40%, Mo:0∼3.0%, Cu:0∼3.0%, Ti:0∼0.10%, Nb:0∼0.50%, V:0∼1.0%이며, C+3×N:0.4% 이상이며,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리스강 소재에 열간 압연을 실시한 후, 얻어진 열연 강판에 하기 (2)식을 만족시키는 어닐링 온도 T(℃) 및 어닐링 시간 t(sec)에서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모상의 평균 결정입경이 10㎛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7062828345-pct00012
  6. 제3항에 있어서, 변형 속도 1000/s에서의 10% 유동 응력과 변형 속도 0.1/s에서의 균일 연신의 곱이 450㎫ 이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KR1020167000484A 2013-12-09 2013-12-09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9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2940 WO2015087376A1 (ja) 2013-12-09 2013-12-09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748A KR20160018748A (ko) 2016-02-17
KR101779305B1 true KR101779305B1 (ko) 2017-09-18

Family

ID=5337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484A KR101779305B1 (ko) 2013-12-09 2013-12-09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29662B2 (ko)
KR (1) KR101779305B1 (ko)
CN (1) CN105452505B (ko)
WO (1) WO20150873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919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가 향상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3234525A1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8281B (zh) * 2015-09-30 2020-05-01 日本制铁株式会社 奥氏体系不锈钢
JP6628561B2 (ja) * 2015-11-09 2020-01-08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048465A (zh) * 2016-05-30 2016-10-26 苏州双金实业有限公司 一种性能为高强度的钢材
CN106011677A (zh) * 2016-06-13 2016-10-12 苏州双金实业有限公司 一种能够有效防止冲击的钢
CN106086711A (zh) * 2016-08-27 2016-11-09 郭云琴 一种高强度、高塑性trip钢板及其制备方法
CN107604262A (zh) * 2017-08-09 2018-01-19 宁波市镇海甬鼎紧固件制造有限公司 一种高强度304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08149157A (zh) * 2017-12-29 2018-06-12 芜湖三联锻造有限公司 一种不锈钢棒材及其锻造方法
CN108034896B (zh) * 2018-01-17 2020-01-07 北京金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颗粒增强奥氏体不锈钢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468547A (zh) * 2019-01-06 2019-03-15 浙江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韧耐磨旋梭内梭及其制备方法
KR102292016B1 (ko) * 2019-11-18 2021-08-23 한국과학기술원 균일하게 분포하는 나노 크기의 석출물을 다량 함유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20381B (zh) * 2019-12-09 2022-01-11 宁波宝新不锈钢有限公司 一种奥氏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JP7226564B2 (ja) * 2020-04-30 2023-02-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刃物、ならびに、カトラリー
CN111961989B (zh) * 2020-08-05 2022-06-03 广西柳钢中金不锈钢有限公司 高氮低镍无铜奥氏体不锈钢的制造方法
CN112063936B (zh) * 2020-08-05 2022-06-03 广西柳钢中金不锈钢有限公司 高氮低镍无铜奥氏体不锈钢
EP3960881A1 (en) * 2020-09-01 2022-03-02 Outokumpu Oyj Austenitic stainless steel
CN112899575A (zh) * 2021-01-20 2021-06-04 钢铁研究总院 基于冷金属过渡电弧增材制造的奥氏体不锈钢丝材及工艺
CN113549820B (zh) * 2021-06-29 2022-05-17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碳低铁素体含量奥氏体不锈钢板及其生产方法
CN113293335B (zh) * 2021-07-27 2021-11-09 科华控股股份有限公司 低镍沉淀硬化奥氏体耐热钢材料及其应用
CN114086077B (zh) * 2022-01-11 2022-05-20 科华控股股份有限公司 铸造铁基奥氏体抗蠕变钢及其制备方法、应用
CN114807769B (zh) * 2022-06-23 2022-10-25 科华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tcp相分布可控的双相耐热钢及其应用
CN115261731A (zh) * 2022-08-16 2022-11-01 安徽尚德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梁桥用支座中大尺寸铸造奥氏体不锈钢球冠衬板
CN116162845B (zh) * 2022-12-30 2024-02-27 兰州理工大学温州泵阀工程研究院 一种改善高硅奥氏体不锈钢热塑性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1554A (ja) 2008-03-17 2009-10-01 Nisshin Steel Co Ltd 加工性および衝撃吸収性能に優れた低Ni車体部材用ステンレス鋼
JP2010215953A (ja) 2009-03-16 2010-09-30 Sumitomo Metal Ind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4113B2 (ja) * 2000-07-05 2009-09-30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突吸収部材として用い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を選定する方法
DE602004019454D1 (de) * 2004-07-08 2009-03-26 Arcelormittal Stainless France Austenitische nichtrostende stahl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für landtransportmittel und containern
JP2007321182A (ja) * 2006-05-31 2007-12-13 Nisshin Steel Co Ltd 衝撃吸収能の大きな自動車部材
JP5165236B2 (ja) * 2006-12-27 2013-03-2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
CN100567550C (zh) * 2007-05-24 2009-12-0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奥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5544633B2 (ja) 2007-07-30 2014-07-09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5388589B2 (ja) * 2008-01-22 2014-01-1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工性と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21615B2 (ja) 2009-02-24 2014-02-19 日新製鋼株式会社 Ni節減型ステンレス鋼製自動車用部材
JP2014001422A (ja) * 2012-06-18 2014-01-0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1554A (ja) 2008-03-17 2009-10-01 Nisshin Steel Co Ltd 加工性および衝撃吸収性能に優れた低Ni車体部材用ステンレス鋼
JP2010215953A (ja) 2009-03-16 2010-09-30 Sumitomo Metal Ind Ltd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919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가 향상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491305B1 (ko) * 2020-11-18 2023-01-20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가 향상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3234525A1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29662B2 (ja) 2016-11-24
WO2015087376A1 (ja) 2015-06-18
KR20160018748A (ko) 2016-02-17
CN105452505A (zh) 2016-03-30
CN105452505B (zh) 2018-05-25
JPWO2015087376A1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305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617852B1 (e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end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544298B1 (ko) 열간 압연 강판 및 연관된 제조 방법
KR10128951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0903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847362B1 (en) Automotive chassis part made from high strength formable hot rolled steel sheet
KR101540507B1 (ko) 연성 및 내지연 파괴 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243853B1 (e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4692259B2 (ja) 成形性および形状凍結性に優れる高強度鋼板
EP4095272A1 (en)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342891B1 (en) Steel sheet
EP3612657B1 (en) High formability steel sheet for the manufacture of lightweight structural parts and manufacturing process
JP2014001422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8519B1 (ko) 전단변형부 성형이방성 및 내피로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964600A1 (en) Ultra-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hear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403660B2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97516A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
EP2803745B1 (en) Hot-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5228963B2 (ja)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35297B2 (ja)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53185A1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WO2023153184A1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EP4079888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4079898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4303334A1 (en) Steel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