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095B1 -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095B1
KR101779095B1 KR1020110113189A KR20110113189A KR101779095B1 KR 101779095 B1 KR101779095 B1 KR 101779095B1 KR 1020110113189 A KR1020110113189 A KR 1020110113189A KR 20110113189 A KR20110113189 A KR 20110113189A KR 101779095 B1 KR101779095 B1 KR 10177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cover
bul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370A (ko
Inventor
박병원
전동수
양정희
류민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10Valve arrangements in drilling-fluid circula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1Arrangements for handling drilling fluids or cuttings outside the borehole, e.g. mu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16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using gaseous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노즐 파이프에 노즐이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벌크 탱크 내부로 분사하도록만 되어 있을뿐 노즐을 개폐하기 위한 수단이 없었다 이로 인해 공기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벌크가 노즐을 통해서 노즐 파이프 속으로 유입되어 노즐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즐 파이프 외측에 노즐 커버를 결합 설치하고, 노즐 커버에 노즐에 대응된 외측 노즐을 형성하며,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자동으로 노즐 커버를 상하 슬라이드시켜 공기 주입시는 외측노즐과 노즐이 일치되어 공기가 벌크 탱크 내부로 분사되게 하고, 공기 공급이 중단되면 개폐 수단에 의해 노즐 커버가 막힘 위치로 복원되어 노즐 파이프의 노즐을 노즐 커버가 막도록 하는 노즐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벌크의 역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공기분사장치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노즐 교체 및 수리와 같은 추가적인 유지 보수의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Automatic Nozzle Opening Device for Bulk Tank Ai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에 커버형 구조물(노즐 커버)을 추가하여 공기압을 하는 주입하는 동안에만 노즐이 개방되고, 공기압이 주입되지 않는 시간에는 노즐을 막아주어 벌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의 경우, 드릴링(drilling) 시 유정 안정화 및 윤활과 냉각을 담당하는 머드(mud)는 벌크(bulk ; barite, bentonite)와 물의 혼합물을 주원료로 생성된다. 머드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벌크의 이송율이 중요한 인자로서 벌크 탱크(bulk tank)에 압력을 넣어주어 탱크내에서 벌크(bulk)의 유동화를 만들어주기 위해 공기 공급 라인(line)과 함께 공기 분사 장치가 있다. 이러한 분사 장치는 형태 및 공급 방향에 따라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공기 분사 장치의 끝 단에는 노즐이 위치하여 강한 압력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다.
도 1은 종래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공기를 유입받는 노즐 파이프(JET AERATION PIPE)(10)의 측면으로 복수의 노즐(1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노즐(11)은 압축공기의 분사 방향을 고려하여 상하 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분사장치 노즐은 압축공기가 노즐 파이프(10) 속으로 공급되면 노즐(11)을 통해서 벌크 탱크 내부로 분사된다.
도 2는 종래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막힘 현상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이 공급될 때에는 공기의 흐름이 노즐파이프(10)의 내측에서 노즐(11)을 통해서 바깥으로 향하기 때문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벌크(12)의 입자 크기가 상당히 작기 때문에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작동이 멈춰있는 상태에서는 노즐(11)을 통한 벌크(12)의 역 유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공기분사장치의 노즐에는 이러한 벌크의 역 유입을 막을 장치가 없어 노즐을 막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노즐이 벌크로 막히게 되면 노즐을 통한 공기압을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공기분사장치의 효율이 떨어진 뿐만 아니라 공기 공급장치의 과도한 압력 상승으로 인한 손상의 가능성도 있다.
공기분사장치의 역할은 강한 압력의 공기를 벌크 사이에 불어넣어 벌크와 공기를 잘 혼합하고 탱크 내에 강한 압력을 유지시켜 혼합된 벌크를 파이프를 통해 서지 탱크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노즐이 벌크로 인해 막히거나 흐름이 방해될 경우에는 벌크와 공기가 제대로 혼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기압 주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벌크 수송 시스템의 전체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에 커버형 구조물(노즐 커버)을 추가하여 공기압을 하는 주입하는 동안에만 노즐이 개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공기압을 주입하지 않을 때에는 노즐 커버가 노즐 전체를 감싸고 있어 벌크의 유입을 막으며 공기압이 주입됨에 따라 노즐 커버는 공기압에 의해 자동으로 내려가고 노즐이 개방되어 공기압을 분사시킨다. 이를 통해 노즐 안쪽으로의 벌크의 역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공기분사장치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노즐 교체 및 수리와 같은 추가적인 유지 보수의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 개폐 노즐 장치는 공기공급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노즐 관으로의 벌크 역 유입에 따른 효율성 저하 및 장비 손상을 막는 장치로서, 기존의 노즐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 끝 단에 공기압이 공급될 때만 노즐이 개방되도록 자동 개폐 노즐 장치를 추가한다.
자동 개폐 노즐 장치는 기존의 노즐 파이프에 노즐 커버를 부착한 형태로 구성되며, 노즐 커버에는 별도의 바깥 노즐을 구비하고 있어 자동 노즐 장치가 작동하였을 때 안쪽 노즐과 노즐 커버의 바깥 노즐이 연결되어 공기압이 공급되는 방식이다.
자동 노즐 개폐 장치는 공기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즐 파이프의 끝 단에는 노즐 커버 내부로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해 공기압이 공급될 때 노즐 커버에 압력을 가하여 자동으로 개방하게 된다.
공기공급장치의 작동이 멈추어 공기압의 공급이 중단되면 노즐 커버 상단에 존재하는 스프링 또는 탄성체 등에 의한 복원력으로 노즐 커버는 원 위치로 이동하며 안쪽 노즐과 바깥 노즐이 분리되어 벌크의 역 유입을 막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벌크 탱크 내의 공기 분사장치의 노즐 개폐장치를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공기가 공급될때에는 노즐이 열려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 공급이 중단되는 시점에서는 노즐 개폐장치에 의해 노즐이 막혀 벌크가 노즐 파이프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벌크의 유입으로 인한 노즐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공기공급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벌크 탱크 내부에서의 벌크와 공기 혼합 효율성이 향상되고, 벌크 유입으로 인한 노즐 막힘등의 공기 공급장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즐 막힘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노즐 청소를 해야했던 노즐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구성도.
도 2는 종래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막힘 현상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개폐 이동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벌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공기 공급시의 노즐개폐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크 탱크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분사장치에 있어서, 압축 공기를 주입받아 측면으로 천공된 복수의 노즐(11)을 포함하는 노즐 파이프(10)와; 노즐파이프(10)의 외측면에 씌워져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노즐(11)에 대응되게 측면으로 천공된 외측 노즐(31)이 형성된 노즐 커버(30)와;
노즐 파이프(10) 속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외측노즐(31)과 상기 노즐 파이프(10)의 노즐을 일치시켜 주입된 공기를 벌크 탱크 내부로 분사시키고, 공기 주입이 중단되면 상기 노즐 커버(30)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외측노즐(31)과 상기 노즐(11)이 서로 어긋나서 상기 노즐(11)을 노즐 커버(30)에 의해 막을 수 있도록 공기 주입에 따라 노즐 커버(30)를 상하 슬라이드 시키는 노즐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개폐 수단은,
상기 노즐파이프(1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공기홀(22)과, 상기 노즐 파이프(10)의 상측 외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21)과; 상기 걸림턱(21)이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노즐 커버(30)의 상측 내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32)과; 상기 슬라이드 홈(32) 내부의 걸림턱(2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 커버(30)의 슬라이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노즐커버(30)는 적어도 2개로 분리 조립되는 구조로서 노즐 파이프(10)를 분리하지 않고도 외측면에 커버로써 결합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직으로 두 개로 분리되고 외측면에서 클램프 또는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32)은 노즐 커버(30)의 상단면과 걸림턱(21)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40)의 탄성 복원력을 감안하여 수직 길이 즉, 슬라이드 길이를 설계하고, 노즐 커버(30)의 외측 노즐(31)의 위치는 공기 주입이 중단된 경우 탄성체(40)의 복원력으로 노즐 커버(30)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일 때 외측노즐(31)과 노즐 파이프(10)의 노즐(11)은 서로 어긋나서 일치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벌크 탱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노즐 개폐 이동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벌크내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분사장치의 공기 공급시의 노즐개폐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파이프(10) 속으로 압축 공기가 주입되면, 압축공기는 노즐(11)과 바닥면의 공기홀(22)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려 한다. 이때 측면의 노즐(11)은 노즐 커버(30)에 막혀 공기가 배기 되지 않기 때문에 바닥면의 공기홀(22)을 통해 배기 되면서 노즐커버(30)를 아래로 밀어 내리게 된다. 즉, 공기홀(22)을 통해 배기되는 공기가 노즐커버(30)의 바닥면과의 공간 속으로 배기 되면서 노즐 커버(30)를 밀어 내리게 되고, 이로 인해 노즐 커버(30)에 형성된 외측 노즐(31)과 노즐 파이프(10)에 형성된 노즐(11)이 일치되면서 외부로 압축공기가 벌크 탱크 내부로 분사된다.
도 5와 같이 노즐 파이프(10)의 노즐(11)과 노즐 커버(30)의 외측 노즐(31)이 일치되어 주입된 공기가 벌크 탱크 내부로 분사된다. 이후 공기 주입이 중단되는 경우, 걸림턱(21)에 설치된 탄성체(40)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노즐 커버(3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노즐커버(30)의 외측노즐(31)과 노즐 파이프(10)의 노즐(11)은 서로 어긋나서 노즐 파이프(11)에 형성된 노즐(11)을 외부와 차단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벌크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노즐 커버(30)의 외측 노즐(31)에만 벌크가 유입되고 노즐 파이프(10) 속으로는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후 공기가 주입되어 노즐 파이프(10)의 노즐(11)과 노즐 커버(30)의 외측 노즐(31)이 일치되면 외측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기 때문에 외측노즐(31)에 유입되어 있던 벌크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노즐 막힘 현상이 방지된다.
10 : 노즐 파이프 11 : 노즐
21 : 걸림턱 22 : 공기홀
30 : 노즐 커버 31 : 외측 노즐
32 : 슬라이드 홈 40 : 탄성체

Claims (2)

  1. 노즐 파이프(10) 속으로 압축 공기를 주입받아 측면으로 천공된 복수의 노즐(11)을 통해 벌크 탱크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의 노즐을 개폐하기 위한 노즐 개폐장치로서,
    상기 노즐파이프(10)의 외측면에 씌워져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노즐(11)에 대응되게 측면으로 천공된 외측 노즐(31)이 포함되는 노즐 커버(30)와;
    노즐 파이프(10) 속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외측노즐(31)과 상기 노즐 파이프(10)의 노즐을 일치시켜 주입된 공기를 벌크 탱크 내부로 분사시키고, 공기 주입이 중단되면 상기 노즐 커버(30)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외측노즐(31)과 상기 노즐(11)이 서로 어긋나서 상기 노즐(11)을 노즐 커버(30)에 의해 막을 수 있도록 공기 주입에 따라 노즐 커버(30)를 상하 슬라이드 시키는 노즐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개폐수단은,
    상기 노즐파이프(1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공기홀(22)과;
    상기 노즐 파이프(10)의 상측 외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21)과;
    상기 걸림턱(21)이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노즐 커버(30)의 상측 내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32)과;
    상기 슬라이드 홈(32) 내부의 걸림턱(21)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 커버(30)의 슬라이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KR1020110113189A 2011-11-02 2011-11-02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KR10177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189A KR101779095B1 (ko) 2011-11-02 2011-11-02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189A KR101779095B1 (ko) 2011-11-02 2011-11-02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370A KR20130048370A (ko) 2013-05-10
KR101779095B1 true KR101779095B1 (ko) 2017-09-19

Family

ID=4865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189A KR101779095B1 (ko) 2011-11-02 2011-11-02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78B1 (ko) * 2014-11-05 2021-11-10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102302826B1 (ko) * 2019-11-05 2021-09-15 (주)백제중공업 잔존 토사물을 제거하는 지반 굴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054A (ja) 1999-06-23 2001-01-09 Kasahara Motors:Kk タイヤ用エアバルブ
KR100929591B1 (ko) 2008-06-02 2009-12-03 (주)동성이앤아이 합성수지 원료 배합장치용 고압공기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054A (ja) 1999-06-23 2001-01-09 Kasahara Motors:Kk タイヤ用エアバルブ
KR100929591B1 (ko) 2008-06-02 2009-12-03 (주)동성이앤아이 합성수지 원료 배합장치용 고압공기분사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370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095B1 (ko)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WO2008095065A3 (en) High density slurry
CN205638243U (zh) 油田钻井用的pdc钻头
CN110374352A (zh) 混凝土墙体注胶方法以及止逆流注胶头
CN201129290Y (zh) 反循环水力喷射泵
CN210598830U (zh) 一种气体钻井用牙轮钻头水眼防倒流堵塞装置
KR101750822B1 (ko) 공기 윤활 선박
JP5575545B2 (ja) 噴射式揚砂システム
DE102004042956B4 (de) Verfahren und Fülleinrichtung zum Auffüllen von Bohrzügen mit Bohrflüssigkeit
ITTO20080335A1 (it) Testa di iniezione per l'esecuzione di tecniche di jet grouting
JPH08100586A (ja) 掘削ロッド
CN204941441U (zh) 一种用于堵漏井口的喷射装置
KR101581793B1 (ko) 막힘 방지 노즐을 이용한 펠렛 연수화 시스템
CN202640998U (zh) 自清洗免维护喷码机
CN204485163U (zh) 一种低扭矩自密式消防栓
US20160281469A1 (en) Ice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for a Gas Well
CN204163660U (zh) 钻机用空气泥浆管汇
CN220451830U (zh) 一种防治水钻孔反压防喷装置
CN220780835U (zh) 一种气压式高压水枪结构
JP6210843B2 (ja) 液体注入装置の注入ガン
KR101392522B1 (ko) 원유 공급 파이프
KR101298866B1 (ko)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KR102374621B1 (ko) 난연 접착제용 공급노즐유닛
KR101281111B1 (ko) 주입관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선단장치
KR100722509B1 (ko) 쇼트 볼 분사장치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