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866B1 -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866B1
KR101298866B1 KR1020110061421A KR20110061421A KR101298866B1 KR 101298866 B1 KR101298866 B1 KR 101298866B1 KR 1020110061421 A KR1020110061421 A KR 1020110061421A KR 20110061421 A KR20110061421 A KR 20110061421A KR 101298866 B1 KR101298866 B1 KR 10129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plate
shaft portion
cover
sea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20A (ko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김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102011006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8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with suction means for the abrasive and the wast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소음이나 충격을 감소시키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는 리듀서와, 플랜지와, 덮개와, 밀폐관과, 샤프트부와, 플레이트부와, 탄성스프링과, 스토퍼와, 그물망과, 장력조절부, 보호케이싱, 케이싱캡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쇼트볼 회수기의 진공탱크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듀서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덮개는 중앙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리듀서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밀폐판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상기 리듀서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리듀서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부는 일단은 상기 밀폐판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리듀서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상기 관통공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리듀서 내부의 진공압력에 의하여 상기 밀폐판이 전진하면 상기 밀폐판을 복귀시키도록 상기 샤프트부를 지지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밀폐판이 일정한 한도까지만 전진하도록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한도까지 슬라이딩하면 상기 플레이트부에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부에 돌기된다. 상기 그물망은 상기 덮개와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의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을 둘러싼다.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부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보호케이싱은 상기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간격과 상기 샤프트부를 감싼다. 상기 케이싱캡은 상기 장력조절부를 감싸도록 상기 보호케이싱의 타단에 결합된 케이싱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vacuum breaker for shot balls recovery}
본 발명은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소음이나 충격을 감소시키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에 대한 것이다.
쇼트볼 회수기는 쇼트블라스트 작업장에 흩어진 쇼트볼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쇼트볼 회수기는 펌프로 진공탱크 내부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진공탱크에 호스를 연결하여 진공압력으로 쇼트볼을 빨아들여서 회수하는 장치이다. 이때 쇼트볼 회수기를 사용하여 쇼트볼을 빨아들이다 보면 호스의 입구에 다량의 쇼트볼이 갑자기 유입되면서 호스의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호스의 입구가 막히면 진공탱크 내부가 외부 압력에 비하여 너무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므로 진공탱크가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쇼트볼 회수기의 진공탱크에는 필요 이상의 진공압력 발생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브레이크가 설치된다.
즉 진공브레이크는 호스의 입구가 막혀서 진공탱크의 내부에 필요 이상의 진공압력이 발생하면 진공탱크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진공탱크의 내부의 압력을 높여주는 장비이다.
호스의 입구가 쇼트볼의 과다 유입으로 막힐 경우 진공탱크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떨어질 경우 진공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진공탱크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진공탱크 내부의 압력을 높인다. 그러면 진공탱크는 찌그러짐이 방지되는 한편 쇼트볼을 흡입하는 흡입력이 소멸되므로 호스의 입구를 막던 쇼트볼은 자연스럽게 제거되어 호스의 입구는 개방된다. 호스의 입구가 개방되면 진공브레이크는 복원되어 다시 쇼트볼 회수기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진공브레이크는 진공탱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진공브레이크의 동작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브레이크는 작동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소음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므로 작업자에게 유해한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진공브레이크는 유지보수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시 공기의 공급량을 높일 수 있는 진공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음을 감소시키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진공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는 리듀서와, 플랜지와, 덮개와, 밀폐관과, 샤프트부와, 플레이트부와, 탄성스프링과, 스토퍼와, 그물망과, 장력조절부, 보호케이싱, 케이싱캡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쇼트볼 회수기의 진공탱크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듀서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덮개는 중앙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리듀서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밀폐판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상기 리듀서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리듀서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부는 일단은 상기 밀폐판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리듀서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상기 관통공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리듀서 내부의 진공압력에 의하여 상기 밀폐판이 전진하면 상기 밀폐판을 복귀시키도록 상기 샤프트부를 지지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밀폐판이 일정한 한도까지만 전진하도록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한도까지 슬라이딩하면 상기 플레이트부에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부에 돌기된다. 상기 그물망은 상기 덮개와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의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을 둘러싼다.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부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보호케이싱은 상기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간격과 상기 샤프트부를 감싼다. 상기 케이싱캡은 상기 장력조절부를 감싸도록 상기 보호케이싱의 타단에 결합된 케이싱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는 상기 밀폐판이 상기 덮개에 접촉할 때 충격과 소음을 줄이기 위한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리듀서와 탈착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케이싱캡도 상기 보호케이싱과 탈착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판이 일정한 거리만큼만 이동할 수 있는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공기가 쇼트볼 회수기의 진공탱크로 최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가 밀폐판에 충돌할 때 탄성링을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밀폐판이 덮개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및 케이싱캡을 나사결합시켜서 리듀서와 보호케이싱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덮개 및 케이싱캡을 탈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덮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그물망의 개념도,
도 5는 리듀서 내부의 공기 유동의 개념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진공브레이크의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브레이크는 리듀서(11)와, 플랜지(13)와, 덮개(15)와, 밀폐판(19)과, 샤프트부(21)와, 플레이트부(23)와, 탄성스프링(29)과, 스토퍼(31)와, 그물망(33)과, 장력조절부(35)와, 보호케이싱(37)과, 케이싱캡(39)과, 탄성링(41)을 포함한다.
리듀서(11)의 하단에는 플랜지(13)가 결합된다. 진공브레이크는 플랜지(13)를 통하여 쇼트볼 회수기의 진공탱크에 장착된다. 진공탱크의 입구가 좁으므로 많은 양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단이 확장된 리듀서(11)가 사용된다.
덮개(15)는 리듀서(11)의 상단에 결합되며, 덮개(15)의 중앙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7)이 형성된다. 이때 덮개(15)는 리듀서(11)에 탈착될 수 있도록 나사로 결합된다. 즉 리듀서(11)의 상단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덮개(15)의 결합부(16)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덮개(15)를 리듀서(11)에 분리 또는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15)는 하면에 탄성링(41)이 삽입될 수 있는 링홈(18)이 형성된다.
탄성링(41)은 덮개(15)의 링홈(18)에 삽입된다. 탄성링(41)은 밀폐판(19)이 덮개(15)의 관통공(17)을 닫을 때 밀폐판(19)과 접촉하여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폐판(19)은 관통공(17)을 통하여 공기가 리듀서(1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공(17)을 막을 수 있도록 리듀서(11) 내부에 설치된다. 즉 밀폐판(19)은 리듀서(11) 내부에서 덮개(15)와 접촉하여 관통공(17)을 막을 수 있게 설치된다.
샤프트부(21)는 일단은 밀폐판(19)에 결합되며 타단은 리듀서(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플레이트부(23)는 샤프트부(2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관통공(17)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덮개(15)와 일정한 간격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플레이트부(23)는 플레이트판(25)과, 슬라이드부쉬(27)를 구비한다. 플레이트판(25)은 덮개(15)의 상부에서 덮개(15)와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플레이트판(25)과 덮개(15)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관통공(17)으로 들어갈 수 있다. 플레이트판(15)을 덮개(15)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판(25)과 덮개(15) 사이에 블록용 부쉬(24)가 설치된다. 즉 덮개(15)의 상부에 블록용 부쉬(24)를 올리고 그 위에 플레이트판(25)을 올려서 볼트(28)로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블록용 부쉬(24)가 사용된다. 슬라이드부쉬(27)는 플레이트판(25)의 중앙에 삽입되어 샤프트부(21)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따라서 샤프트부(21)는 슬라이드부쉬(27)를 따라 상하로 이동을 할 수 있다. 샤프트부(21)가 상하로 이동을 하면 샤프트부(21)의 하단에 밀폐판(19)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밀폐판(19)도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탄성스프링(29)은 샤프트부(21)를 지지한다. 리듀서(11) 내부에 진공압력이 작용하면 진공압력에 의하여 밀폐판(19)이 하강한다. 밀폐판(19)이 하강하면 샤프트부(21)도 함께 하강한다. 탄성스프링(29)이 샤프트부(21)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샤프트부(21)가 하강하면 탄성스프링(29)이 수축된다. 이때 진공압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하여 수축된 탄성스프링(29)은 복원되어 샤프트부(21)가 상승하고 밀폐판(19)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즉 탄성스프링(29)은 진공압력에 의하여 밀폐판(19)이 하강하면 밀폐판(19)을 다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31)는 샤프트부(21)가 일정 한도까지만 슬라이딩을 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31)는 샤프트부(21)에서 돌기되어 형성된다. 리듀서(11) 내부에 진공압력이 갑자기 발생하면 밀폐판(19)은 진공압력에 의하여 신속하게 하강한다. 이때 스토퍼(31)가 없을 경우 밀폐판(19)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듀서(11)의 깊숙이 하강한다. 진공브레이크의 경우 밀폐판(19)이 하강하여 덮개(15)의 관통공(17)을 개방시킴으로써 진공탱크에 공기를 공급시켜 진공탱크에 발생된 진공을 해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진공탱크에 형성된 진공이 해소되면 쇼트볼을 빨아들이는 호스의 입구의 막힘 현상이 해소되어 쇼트볼을 흡입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공압력이 발생하면 밀폐판(19)이 신속하게 하강하여 리듀서(11)를 통하여 다량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판(19)이 리듀서(11) 내부로 너무 깊숙이 하강하는 경우 밀폐판(19)과 덮개(15) 사이의 간격(a)은 커지지만 리듀서(11)와 밀폐판(19) 사이의 간격(b)은 작아진다. 공기는 덮개(15)의 관통공(17)으로 유입되어 리듀서(11)를 통과하여 진공탱크로 공급되므로 리듀서(11)와 밀폐판(19) 사이의 간격(b)이 좁을 경우 공기의 유입량이 작아진다. 이 경우 진공탱크 내부의 진공이 해소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5의 (b)와 같이 밀폐판(19)이 하강하면 밀폐판(19)과 덮개(15) 사이의 간격(a)은 도 5의 (a) 보다 작아지지만 밀폐판(19)과 리듀서(11) 사이의 간격(b)은 넓어진다. 이 경우 리듀서(1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스토퍼(31)는 밀폐판(19)이 도 5의 (b)와 같은 거리 만큼 하강하도록 샤프트부(21)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한다. 즉 밀폐판(19)이 도 5의 (b)와 같은 거리만큼 하강하도록 샤프트부(21)가 슬라이딩을 하면 스토퍼(31)가 슬라이드 부쉬(27)에 충돌하여 더 이상 샤프트부(21)가 슬라이딩을 하지 못하도록 스토퍼(31)는 샤프트부(21)에 돌기된다.
그물망(33)은 덮개(15)와 플레이트부(23) 사이의 간격을 둘러싸서 상기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외부의 공기는 덮개(15)와 플레이트부(23)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어 리듀서(11)를 통하여 진공탱크로 들어간다. 이 경우 이물질이 함께 들어갈 수 있으므로 그물망(33)은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장력조절부(35)는 탄성스프링(2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샤프트부(21)의 타단에 결합된다. 즉 장력조절부(35)를 사용하여 탄성스프링(29)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보호케이싱(37)은 덮개(15)와 플레이트부(23) 사이에 형성된 간격과, 샤프트부(21)를 감싼다. 이때 상기 간격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호케이싱(37)의 하단은 개방된다. 즉 외부 공기는 보호케이싱(37)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상기 간격과 관통공(17)을 통하여 리듀서(11)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케이싱(37)과 플레이트부(23)는 볼트(28)를 사용하여 덮개(15)에 결합된다.
케이싱캡(39)은 장력조절부(35)를 감싸도록 보호케이싱(39)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때 케이싱캡(39)은 보호케이싱(37)에 탈착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다. 그래서 탄성스프링(29)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케이싱캡(39)을 분해하여 장력조절부(35)를 사용하여 탄성스프링(29)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쇼트볼을 빨아들이는 호스에 쇼트볼이 다량으로 흡입되면 호스의 입구가 막힌다. 이 경우 진공탱크 내부는 압력이 낮아진다. 진공브레이크는 플랜지(13)를 통하여 진공탱크에 장착되므로 진공탱크의 압력이 낮아지면 리듀서(11) 내부가 진공탱크의 압력으로 낮아진다. 그러면 진공압력에 의하여 밀폐판(19)이 하강한다. 이때 샤프트부(21)는 스토퍼(31)에 의하여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므로 밀폐판(19)은 리듀서(11) 내부에 다량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리로 하강한다. 그러면 외부의 공기가 화살표 45와 같이 유입되어 진공탱크로 공급된다. 외부의 공기가 진공탱크로 공급되므로 진공탱크 내부에 형성되었던 진공압은 사라지므로 진공탱크가 진공압력에 의하여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압이 사라지므로 쇼트볼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사라지어 막혔던 호스의 입구는 뚫리게 된다. 호스의 입구가 뚫리면 호스를 통하여 공기가 다시 유입되므로 밀폐판(19)은 탄성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그래서 밀폐판(19)이 덮개(15)의 관통공(17)을 폐쇄시킨다. 이때 종래의 경우 밀폐판(19)이 탄성스프링(29)의 복원력으로 복귀될 때 바로 덮개(15)와 충돌하므로 충격하중 및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은 작업자에게 바로 전달되므로 작업자에게 유해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본 실시예의 경우 덮개(15)에 탄성링(41)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밀폐판(19)이 복귀될 때 먼저 탄성링(41)과 접촉하므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탄성링(41)이 손상되더라도 덮개(15)를 리듀서(11)에서 분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링(4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밀폐판(19)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공기의 공급량을 최대로 할 수 있어서 진공브레이크의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진공브레이크에 발생하는 충격하중 및 소음을 저감시키며, 그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쇼트볼 회수기는 쇼트블라스트 작업장에 흩어진 쇼트볼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쇼트볼 회수기는 펌프로 진공탱크 내부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진공탱크에 호스를 연결하여 진공압력으로 쇼트볼을 빨아들여서 회수한다. 이때 쇼트볼 회수기를 사용하여 쇼트볼을 빨아들이다 보면 호스의 입구에 다량의 쇼트볼이 유입되면서 호스의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호스의 입구가 막히면 진공탱크 내부가 외부 압력에 비하여 너무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므로 진공탱크가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쇼트볼 회수기의 진공탱크에는 필요 이상의 진공압력 발생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브레이크가 설치된다.
11 : 리듀서 13 : 플랜지
15 : 덮개 16 : 결합부
17 : 관통공 18 : 링홈
19 : 밀폐판 21 : 샤프트부
23 : 플레이트부 24 : 블록용 부쉬
25 : 플레이트판 27 : 슬라이드 부쉬
28 : 볼트 29 : 탄성스프링
31 : 스토퍼 33 : 그물망
35 : 장력조절부 37 : 보호케이싱
39 : 케이싱캡 41 : 탄성링

Claims (3)

  1. 리듀서와,
    쇼트볼 회수기의 진공탱크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듀서의 하단에 결합된 플랜지와,
    중앙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리듀서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상기 리듀서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리듀서 내부에 설치된 밀폐판과,
    일단은 상기 밀폐판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리듀서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상기 관통공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플레이트부와,
    상기 리듀서 내부의 진공압력에 의하여 상기 밀폐판이 전진하면 상기 밀폐판을 복귀시키도록 상기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밀폐판이 일정한 한도까지만 전진하도록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한도까지 슬라이딩하면 상기 플레이트부에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부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부에 돌기된 스토퍼와,
    상기 덮개와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의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을 둘러싸는 그물망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부의 타단에 결합된 장력조절부와,
    상기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간격과 상기 샤프트부를 감싸는 보호케이싱과,
    상기 장력조절부를 감싸도록 상기 보호케이싱의 타단에 결합된 케이싱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이 상기 덮개에 접촉할 때 충격과 소음을 줄이기 위한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리듀서와 탈착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하며,
    상기 케이싱캡은 상기 보호케이싱과 탈착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KR1020110061421A 2011-06-24 2011-06-24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KR10129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21A KR101298866B1 (ko) 2011-06-24 2011-06-24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21A KR101298866B1 (ko) 2011-06-24 2011-06-24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20A KR20130000720A (ko) 2013-01-03
KR101298866B1 true KR101298866B1 (ko) 2013-08-21

Family

ID=4783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21A KR101298866B1 (ko) 2011-06-24 2011-06-24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697B1 (ko) * 2019-12-10 2021-09-30 정우정공주식회사 진공탱크용 이물질유입방지 안전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267A (ja) 2005-12-09 2007-06-28 Showa Kiki Kogyo Co Ltd 吸排気弁
JP2008188695A (ja) 2007-02-02 2008-08-21 Disco Abrasive Syst Ltd 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装置
KR100923016B1 (ko) 2009-06-24 2009-10-22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의 안전밸브
KR20090121853A (ko) * 2008-05-23 2009-11-26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관로의 표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267A (ja) 2005-12-09 2007-06-28 Showa Kiki Kogyo Co Ltd 吸排気弁
JP2008188695A (ja) 2007-02-02 2008-08-21 Disco Abrasive Syst Ltd ウォータージェット加工装置
KR20090121853A (ko) * 2008-05-23 2009-11-26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관로의 표면처리장치
KR100923016B1 (ko) 2009-06-24 2009-10-22 월드브리지산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의 안전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20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22967B (zh) 具有小容器穿透直径的阀
KR20160072556A (ko) 스토퍼 체크 밸브
KR101298866B1 (ko) 쇼트볼 회수기용 진공브레이크
EP2487690A3 (en) Debris exclusion and retention device for a fuel assembly
CN103994254A (zh) 新型稳流升降式止回阀
USRE48554E1 (en) Air gun system and method
CN105196705A (zh) 刮墨维护装置及喷墨打印装置
WO2012093777A3 (ko) 퀵-릴리즈 진공펌프
CN107755314B (zh) 一种高压清洗机
CN213176873U (zh) 一种具有过滤机构的球阀
CN104500490B (zh) 纺织机械缓冲装置
CN204511863U (zh) 一种新型换气塞
CN203009283U (zh) 往复泵液力端
KR101072912B1 (ko) 흡입력이 우수한 노면청소차
CN208162164U (zh) 一种带安全阀的高压清洗机
KR20160077698A (ko) 윤활제 밸브 어셈블리
CN205712448U (zh) 一种新型污水提升装置
KR101766529B1 (ko) 집진 후드 분진 퇴적 방지 장치
CN205149212U (zh) 刮墨维护装置及喷墨打印装置
KR102263690B1 (ko) 트랙의 장력 조절 장치
CN203670923U (zh) 一种止回消防阀
CN202290665U (zh) 除尘装置及地面燃气轮机
CN213364325U (zh) 一种水质检测用取样装置
CN109869351A (zh) 潜水泵的减震结构
CN203098357U (zh) 自动排尘导风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