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947B1 -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947B1
KR101778947B1 KR1020170092391A KR20170092391A KR101778947B1 KR 101778947 B1 KR101778947 B1 KR 101778947B1 KR 1020170092391 A KR1020170092391 A KR 1020170092391A KR 20170092391 A KR20170092391 A KR 20170092391A KR 101778947 B1 KR101778947 B1 KR 10177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sensor unit
rainfall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Priority to KR102017009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미량의 강우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인접하여 지중에 매설되어 대지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는 제3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소정시간 동안에 내린 강우량을 측정하는 제4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센서처리부; 상기 센서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발령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판단된 경보발령을 통제국으로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중앙처리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4 센서부 외에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경보발령을 판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강우량 값에만 의존하여 경보 발령을 내릴 때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산간계곡의 상류에 설치되는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및 토양수분센서의 값을 기초로 경보 발령을 내림으로써, 위험지역에 더욱 정확하게 조기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System for giving automatically heavy rain warning using rain duration period and soil absorption rate of rain}
본 발명은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산간계곡의 수위가 급격히 증가되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산간계곡의 수위 증가를 보다 정밀하게 산출하기 위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은 경보 방송을 시행하는 방법론으로서 강우량만을 이용하여 경보 사항을 특정하였고, 그에 따라 경보 발령이 내려지는 경우에도 산간계곡의 하류에는 강우에 의한 수위 상승이 목격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산간계곡에 설치되는 우량국에서는 국지성 호우가 발생하는 경우 산간계곡에 내리는 강우량 값에만 의존하여 경보 발령을 내림으로써, 산간계곡의 하류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아도 경보를 발령하게 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369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강우량 값에만 의존하여 경보 발령을 내릴 때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산간계곡의 상류에 설치되는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및 토양수분센서의 값을 기초로 경보 발령을 내림으로써, 위험지역에 더욱 정확하게 조기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미량의 강우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인접하여 지중에 매설되어 대지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는 제3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소정시간 동안에 내린 강우량을 측정하는 제4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센서처리부; 상기 센서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발령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판단된 경보발령을 통제국으로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중앙처리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4 센서부 외에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경보발령을 판단한다.
또한,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시 전원이 차단되어 있고, 상기 제4 센서부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전원이 투입되어 상기 센서처리부와 통신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4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강우량에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한 가중치를 부여한 강우량 값으로부터 경보발령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부는 미량의 강우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값이 모두 경계값 이상일 때, 상기 센서처리부는 가중치를 1로 하여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4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강우량에 1을 곱한 강우량 값으로부터 경보발령을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우량 값에만 의존하여 경보 발령을 내릴 때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산간계곡의 상류에 설치되는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및 토양수분센서의 값을 기초로 경보 발령을 내림으로써, 위험지역에 더욱 정확하게 조기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량국이 산간계곡의 상류에 설치되어 통제국과 통신하는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량국이 산간계곡의 상류에 설치되어 통제국과 통신하는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우량뿐만 아니라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및 토양수분센서의 값을 기초로 경보 발령을 내림으로써, 위험지역에 더욱 정확하게 조기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우량경보시스템(100)은 제1 센서부(101), 제2 센서부(102), 제3 센서부(103), 제4 센서부(104), 센서처리부(110), 중앙처리부(120),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데이터저장부(150), 무선통신부(160), 충전제어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101)는 우량국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한다. 제1 센서부(101)는 예를 들어, 우량국의 상단 부분에 설치되고, 반도체 형태의 습도측정소자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센서처리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02)는 우량국에 설치되어 미량의 강우를 측정한다. 제2 센서부(102)는 예를 들어, 우량국의 상단 부분에 설치되고, 강우량계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안개비 정도의 미량의 강우(예를 들어, 1mm 이하의 강우) 현상을 측정하는 강우감지센서이다. 제2 센서부(102)는 정전용량방식으로 변위가 있을시 상시 측정이 가능하고 전력소모가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102)는 측정값을 디지털적인 값인 1, 0으로 표현하여 센서처리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센서부(103)는 우량국에 인접하여 지중에 매설되어 대지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한다. 제3 센서부(103)는 우량국의 하단부분에 설치되고 실시간으로 대지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이 경계값(예를 들어, 80%)을 넘어서면 그 값을 센서처리부(110)에 제공한다.
이때, 제3 센서부(103)는 토양 내의 수분에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제3 센서부(103)에서 수신되는 전자기 유도값을 측정하여 대지의 수분함유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대지의 수분함유량의 결과는 제3 센서부(103)를 공기 중에 노출하여 측정되는 값을 0%로 설정하고, 제3 센서부(103)를 물속에 넣었을 때 측정되는 값을 100%로 설정할 수 있다. 대지의 수분함유량은 측정값이 80%를 넘어서는 경우 그 값을 센서처리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4 센서부(104)는 우량국에 설치되어 강우량을 측정한다. 제4 센서부(104)는 산간계곡의 상부(예를 들어, 7부 능선)에 설치되어 해당 지역의 강우량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산간계곡의 계곡범람 발생 위험지역에서 국지성 집중호우가 발생할 때에 단위시간당 강우량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중앙처리부(12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4 센서부(104)는 소정시간(또는 단위시간)(△t)(예를 들어, 10분) 동안에 내린 강우량의 총합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처리부(110)는 제1 센서부(101), 제2 센서부(102) 및 제3 센서부(103)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는 예를 들어, 1분마다 측정을 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20)는 센서처리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센서부(10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발령을 판단한다.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는 센서처리부(110)와 연결되고, 제4 센서부(104)와 중앙처리부(120)가 서로 유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강풍과 집중호우 등 해당 지역의 기상악화로 인해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 제4 센서부(104)와 중앙처리부(120) 간의 통신이 단절될 우려가 없고 설치가 간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20)는 센서처리부(110)와 유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에서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고, 이후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된 강우량이 경보발령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중앙처리부(120)는 제4 센서부(104)를 통해 획득되는 소정시간 동안의 강우량의 총합을 이용하여 도출한 경보발령의 단계와, 센서처리부(110)의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경보발령의 최종 단계를 확정한다.
입력부(130)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의 우량국의 설치된 해당지역 내의 경보발령기준 및 날짜 시간등 기준치를 설정하고, 또한 입력된 기준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중앙처리부(120)로 제공되는 각종정보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경보발령 확정 내역을 표시한다.
데이터저장부(150)는 중앙처리부(120)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저장부(150)는 중앙처리부(120)로 입력되는 제4 센서부(104)의 실시간 데이터와 경보발령의 확정된 자료가 날짜 및 시간별로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누적되어 과거 발생한 경보발령 상황과, 강우량 강도에 따른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60)는 중앙처리부(120)에서 판단된 경보발령을 통제국(또는 경보국)으로 무선으로 전달한다. 무선통신부(160)는 중앙처리부(120)에서 산출된 경보발령 상태에 따라 제1 통신인 VHF(UHF) 무선으로 하류에 위치한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의 통제국 또는 경보국에 경보 발령을 지령하고, 제1 통신이 불통일 경우 제2 통신망으로 CDMA(2G,3G,LTE)를 이용하여 경보발령을 지령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170)는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자동우량경보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한다.
제어부(180)는 중앙처리부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우량경보시스템(100)에서 경보발령을 내리는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우량경보시스템(100)에서는, 부정확한 경보발령을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해 습도센서인 제1 센서부(101)와, 강우감지센서인 제2 센서부(102)로 안개비 정도의 적은 양의 강우량을 관측해 내고, 이러한 강우가 일정시간 지속된 후 지중에 설치된 토양수분센서인 제3 센서부(103)를 이용하여 토양의 수분함유량을 가늠한다. 이때, 국지성 강우가 발생하여 제4 센서부(104)에서 기준치에 대응하는 강우량이 검출될 시, 경보발령을 내릴 정도로 위험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한 관계식으로 더욱 정밀한 경보발령을 내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중앙처리부(120)는 제4 센서부(104)의 강우량을 기초로 경보발령의 단계를 판단하지만, 제4 센서부(101)외에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경보발령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120)는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되는 강우량에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한 가중치를 부여한 강우량 값으로부터 경보발령을 판단한다.
중앙처리부(120)는 유역에 따라 미리 정의된 표에 의해 제4 센서부(101)에서 측정되는 강우량을 기준으로 경보발령의 단계에 대한 기준치를 저장하고 있다.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되는 강우량이 기준치에 도달하면, 제4 센서부(104)는 이를 중앙처리부(120)에 전달하고, 중앙처리부(120)는 센서처리부(110)와 통신하여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의 정보에 기초한 가중치를 측정된 강우량에 부여한 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보다 높으면 경보를 발령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무선통신부(160)를 통해 통제국 또는 경보국에 경보발령을 전송한다. 통제국에서는 경보발령을 산간계곡 인근 주민 및 행락객 또는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여 주민을 위험지역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준치는 여러 단계별로 기준값을 설정하여 해당 기준치를 초과 또는 미달하는 것에 의해 해당지역의 경보발령의 종류를 정의할 수 있다. 경보발령의 종류는 경계 경보, 대피 경보, 중대피 경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센서부(102)는 미량의 강우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를 검출하고,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에서 측정되는 값이 소정값 이상일 때, 센서처리부(110)는 이러한 값을 중앙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부(101)에서 측정된 습도가 80%를 넘은 상태에서, 제2 센서부(102)에서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강우[제4 센서부(104)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소량의 강우량]의 지속시간이 소정시간(30분, 1시간 등) 이상이고, 제3 센서부(103)인 토양의 수분함유량이 경계값(80%)을 넘어선 이후에, 제4 센서부(104)에서 검출한 강우량을 경보발령용 강우로 판단한다.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의 측정값은 각각 경계값을 가지고 있고, 만일,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의 측정값 중 어느 하나가 경계값을 넘지 않을 때는, 제4 센서부(104)의 강우량에 가중치 0.5를 곱해 경보발령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01)인 습도센서에서 공기 중 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강우확률이 있음을 확인하고, 제2 센서부(102)에서 직접적으로 강우 현상을 검출하면, 이것을 시간계수하여 소정시간(예를 들어, 30분 또는 1시간) 동안 지속된 것을 확인하고, 제3 센서부(103)의 토양수분함량이 소정의 경계값(80%)이 넘는 경우, 이후 내리게 되는 강우량은 토양으로 흡수가 안되고 바로 하도(하천, 강)로 유입되어 수위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제4 센서부(104)에서 기준치의 강우량이 검출되고,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에서 특정하고 있는 경계값이 충족되면, 제4 센서부(104)에서 검출한 값을 단위시간당 강우량으로 환산하여 경보발령 기준치에 따라 경보발령을 하게 된다.
단위시간당 경보발령 상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20)에서는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된 소정시간(△t) 동안의 강우량의 총합이 설정된 경보발령 기준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경보발령기준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된 값이 경보발령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중앙처리부(120)가 확인하고, 이를 확정하기 위해 센서처리부(110)와 통신하여 가중치를 전달받는다. 센서처리부(110)는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에서 측정한 값에 따른 가중치를 중앙처리부(120)에 제공한다. 중앙처리부(120)는 가중치와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된 강우량을 기초로 최종 경보발령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단위시간(△t)을 10분으로 한 경우 10분 이내에 내린 강우량의 총합은,
1번(현재시간 10분)은 0분에서 10분 동안에 검출된 강우량의 합산값이고,
2번(현재시간 11분)은 1분에서 11분 동안에 검출된 강우량의 합산값이고,
3번(현재시간 12분)은 2분에서 12분 동안에 검출된 강우량의 합산값이다.
이와 같이,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된 강우량은 기준시간으로부터 과거의 10분간 내린 강우량을 적산하여 결정한다.
경보발령의 단계는 측정된 강우량이 10mm, 20mm, 30mm 이상인 경우
제4 센서부 강우량 경보발령 단계 제1 내지 제3 센서부
가중치판단
경보발령 확정 처리
9이하 발령없음 없음(0.5) 발령 없음
10이상 19이하 경계경보 10 없음(0.5) 발령 없음
20이상 29이하 대피경보 20 없음(0.5) 경계경보 발령 경보발령
30이상 중대피경보 30 없음(0.5) 대피경보 발령 경보발령
9이하 발령없음 있음(1) 발령 없음
10이상 19이하 경계경보 10 있음(1) 경계경보 발령 경보 발령
20이상 29이하 대피경보 20 있음(1) 대피경보 발령 경보 발령
30이상 중대피경보 30 있음(1) 중대피경보 발령 경보 발령
여기서,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의 가중치가 없음(0.5)이라는 뜻은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에서 측정된 값이 경계값을 넘지 않아서 내리는 비가 대지로 흡수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바로 하도(하류나 강)로 흐를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우량경보시스템(100)에서는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의 경계값을 기초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러한 가중치를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된 강우량에 곱하여 경보발령을 판단함으로써, 제4 센서부(104)의 강우량만을 기초로 경보발령을 할 경우에 산간계곡의 하류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아도 경보발령을 하게 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량국은 산간계곡의 상류, 즉 상시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곳에 설치되는 장비로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를 처리하는 센서처리부(110)는 상시전원이 투입되어 있더라도 최소의 전력을 소비하도록 해야 한다. 제4 센서부(104)를 처리하는 중앙처리부(120)는 상시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4 센서부(10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즉 제4 센서부(104)에서 측정된 값이 기준치를 넘는 경우에 전원이 투입되어 그 값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중앙처리부(120)는 제1 내지 제3 센서부(101, 102, 103)를 처리하는 센서처리부(110)와 통신하여 경보발령을 내릴지 여부 및 경보발령의 단계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자동우량경보시스템
101 : 제1 센서부
102 : 제2 센서부
103 : 제3 센서부
104 : 제4 센서부
110 : 센서처리부
120 : 중앙처리부
130 : 입력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데이터저장부
160 : 무선통신부
170 : 충전제어부
180 : 제어부

Claims (4)

  1.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미량의 강우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인접하여 지중에 매설되어 대지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는 제3 센서부;
    상기 우량국에 설치되어 소정시간 동안에 내린 강우량을 측정하는 제4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센서처리부;
    상기 센서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발령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판단된 경보발령을 통제국으로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중앙처리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4 센서부 외에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경보발령을 판단하는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시 전원이 차단되어 있고, 상기 제4 센서부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전원이 투입되어 상기 센서처리부와 통신하는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4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강우량에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한 가중치를 부여한 강우량 값으로부터 경보발령을 판단하는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미량의 강우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값이 모두 경계값 이상일 때, 상기 센서처리부는 가중치를 1로 하여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4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강우량에 1을 곱한 강우량 값으로부터 경보발령을 판단하는 산간계곡 또는 하천의 상류에 설치되는 우량국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KR1020170092391A 2017-07-21 2017-07-21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KR10177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91A KR101778947B1 (ko) 2017-07-21 2017-07-21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391A KR101778947B1 (ko) 2017-07-21 2017-07-21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947B1 true KR101778947B1 (ko) 2017-09-15

Family

ID=5992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391A KR101778947B1 (ko) 2017-07-21 2017-07-21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643B1 (ko) * 2021-11-04 2022-02-10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764B1 (ko) 2009-12-08 2010-12-13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우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강우량 예측 시스템
KR101103697B1 (ko) 2011-09-30 2012-01-1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KR101447720B1 (ko) 2014-08-18 2014-10-08 주식회사 씨엔큐솔루션 하천 수위 현황 및 최근 기간 강우량을 고려한 강우 및 수위 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684427B1 (ko) 2016-04-19 2016-12-08 주식회사 유앤유 산사태 및 토석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5802B1 (ko) 2015-07-16 2017-01-13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실시간 토양수분량을 이용한 돌발홍수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764B1 (ko) 2009-12-08 2010-12-13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우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강우량 예측 시스템
KR101103697B1 (ko) 2011-09-30 2012-01-1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KR101447720B1 (ko) 2014-08-18 2014-10-08 주식회사 씨엔큐솔루션 하천 수위 현황 및 최근 기간 강우량을 고려한 강우 및 수위 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695802B1 (ko) 2015-07-16 2017-01-13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실시간 토양수분량을 이용한 돌발홍수 모니터링 방법.
KR101684427B1 (ko) 2016-04-19 2016-12-08 주식회사 유앤유 산사태 및 토석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643B1 (ko) * 2021-11-04 2022-02-10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697B1 (ko) 강우강도와 토양함수율을 이용한 경사지 경보시스템
KR100869571B1 (ko) 강우에 의한 사면 붕괴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0901209B1 (ko) 무선 자동 수위 제어 시스템
US9810599B2 (en) Water leak earl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268116B1 (ko) 선행강우를 고려한 홍수경보 시스템
KR102241254B1 (ko) 전원 관리 기능을 가지는 비탈면 실시간 무인 감시 시스템
KR101778947B1 (ko)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KR101059142B1 (ko) 자동 우량 및 수위 경보장치 통신이중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894742A (zh) 基于实时降雨量观测地质灾害警示防范区的监测预警方法
CN103512621A (zh) 环境监测方法及监测系统
JP6760643B2 (ja) 傾斜地災害予知システム
KR100766751B1 (ko)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CN110879090A (zh) 变电站水位监测方法及装置
KR101207374B1 (ko) 통신 이중화가 가능한 자동 우량 또는 수위 경보장치 및 방법
CN212007314U (zh) 一种水文机器人
KR101447718B1 (ko) 강우 강도와 기간 강우량 분석을 통한 강우 경보 장치 및 강우 경보 생성 방법
JP2021092530A (ja) 水位計測装置および水位予測システム。
KR101657214B1 (ko) 뇌운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이 구비된 교량
JP6455356B2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KR101909118B1 (ko) 능동형 방송 출력 조정이 가능한 재난 예경보시스템
JP3361800B2 (ja) 電気防食設備監視システム
KR20180128599A (ko) 무선 통신 모뎀 및 무선 통신 모뎀 제어 방법
JP7261628B2 (ja) 住宅設備の制御システム及び住宅設備の制御方法
JP2016170087A (ja) 地盤変位観測システム、及び地盤変位観測方法
KR100271534B1 (ko) 강우시 자동으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