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751B1 -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751B1
KR100766751B1 KR1020070069961A KR20070069961A KR100766751B1 KR 100766751 B1 KR100766751 B1 KR 100766751B1 KR 1020070069961 A KR1020070069961 A KR 1020070069961A KR 20070069961 A KR20070069961 A KR 20070069961A KR 100766751 B1 KR100766751 B1 KR 100766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current
rtu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열
Original Assignee
(주)화진티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진티엔아이 filed Critical (주)화진티엔아이
Priority to KR102007006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된 전원으로 강수량, 하천수위 등을 파악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의 관리국이 태양전지의 이상여부, 배터리의 충전량, 내부기기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원량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부가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는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의 배터리(251)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RTU(300)로 공급하는 충전지(200)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상기 충전지(200)에 공급되는 전원상태 및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강우량 계측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강우량 정보를 원격 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국(700)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처리하는 RTU(300)와;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상기 충전지에 공급되는 전원 상태값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표시되는 전원부(400)로 이루어져 강수량 및 하천 수위를 전송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200)는,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류감시부(220)와;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와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압감시부(230)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251) 및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부(252)를 포함하는 충전조절부(250)와; 상기 충전조절부(250)의 앞단에서 태양전지모듈(15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태양전지 시험부(240)와; 상기 배터리(251)의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압검출부(26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RTU(3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류검출부(27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전압보다 낮을 경우 RTU(300)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저전압검출 차단부(290);를 포함하며,
상기 RTU(300)는, 충전지(200)의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에서 검출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전달받는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에 설치된 계측센서로부터 강우량 정보를 전달받는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와;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센서로부터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100)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318)와; 상기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의 전압값 및 전류값, 강수량 값, 하천수위 값을 디지털값으로 변경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와; 상기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로부터 전달받은 강우량 정보와,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값 배터리(251)의 충전 전원값, RTU(300)로 공급되는 전원값, 하천수위 센서 입력부(317) 로부터 입력받은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내부표시부(340) 표시 및 도어 개방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며, RTU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30)와; 상기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충전지(200)로부터 전달된 각각의 전류값 전압값 및 강우량 값을 TRS 망, 위성망, CDMA망 또는 홍수경보용 VHF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로 전송하는 원격송수신부(320)와 및 강우량 정보, 현 하천수위 정보, 하천위험수위 정보를 표시하는 내부표시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경보장치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선택하는 신호선택부(410)와; 상기 신호선택부(410)에서 선택에 의해 상기 검출된 전류 혹은 전압 신호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4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전원을 이용한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충방전 상태뿐 아니라 태양전지모듈의 작동여부를 원격지의 관리국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수위관측, 강우관측, 태양전지, 원격관리, 충방전

Description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The Water Level /Rainfall Observation Equipment Which Required Remote Electric Power Control in real time}
본 발명은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된 전원으로 강수량, 하천수위 등을 파악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원격지의 관리국이 태양전지의 이상 여부, 배터리의 충전량, 내부기기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원량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원격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이나 하천의 범람을 감시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교각 주변에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초기의 수위/강우 관측 장치는 상용전원을 사용하였으나 낙뢰나 써지(Surge) 등의 위험으로 근래에 들어서는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통상적인 수위/강우 관측 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 264928호(고안의 명칭 : 하수량측정 전송장치)와 같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10); 상기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반(20);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플로트식의 수위/강우 관측 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지시값을 2진부호로 검출하는 유량계(40); 상기 유량계(40)와 상호간에 기계적 접점으로 연결되어 상기 2진 부호에 의한 접점신호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원격소장치(50); 상기 접점신호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2 원격소장치(60); 및 상기 접점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량환산 프로그램에 의해 유량을 환산하는 중앙컴퓨터(70)로 구성된다. 상기 고안과 같이 태양전지를 이용한 종래의 수위/강우 관측 장치는 낙뢰와 써지로부터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으나, 태양전지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수위/강우 관측 장치 내부기기의 전원사용이 급증하거나 또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이상으로 배터리의 전원이 충분한지 여부를 원격지의 관리부에서 알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홍수 등 재난시에 하천의 수위 등을 원격 관리국에 전송하고, 필요시 대피 명령 등 경보메시지를 출력이 가능하도록 원격지의 관리국에서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태양전지 동작여부,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전지 모듈의 작동여부,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및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동작 여부를 원격지의 관리부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로부터 충전되는 배터리 및 경보장치 내부 기기의 동작에 따라 소모되는 전원의 양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수위/강우 관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의 배터리(251)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RTU(300)로 공급하는 충전지(200)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상기 충전지(200)에 공급되는 전원상태 및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강우량 계측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강우량 정보를 원격 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국(700)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처리하는 RTU(300)와;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상기 충전지에 공급되는 전원 상태값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표시되는 전원부(400)로 이루어져 강수량 및 하천 수위를 전송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200)는,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류감시부(220)와;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와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압감시부(230)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251) 및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부(252)를 포함하는 충전조절부(250)와; 상기 충전조절부(250)의 앞단에서 태양전지모듈(15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태양전지 시험부(240)와; 상기 배터리(251)의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압검출부(26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RTU(3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류검출부(27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전압보다 낮을 경우 RTU(300)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저전압검출 차단부(290);를 포함하며,
상기 RTU(300)는, 충전지(200)의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에서 검출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전달받는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와; 상기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디지털값으로 변경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에 설치된 계측센서로부터 강우량 정보를 전달받는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와;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센서로부터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100)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318)와; 상기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 로부터 전달받은 강우량 정보와,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값 배터리(251)의 충전 전원값, RTU(300)로 공급되는 전원값, 하천수위 센서 입력부(317)로부터 입력받은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내부표시부(340)에 상기 정보들을 표시하며, 도어 개방시 백라이트를 발광시키는 중앙제어부(330)와; 상기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충전지(200)로부터 전달된 각각의 전류값 전압값, 강우량 정보, 하천수위 정보를 TRS 망, 위성망, CDMA망 또는 홍수경보용 VHF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로 전송하는 원격송수신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경보장치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선택하는 신호선택부(410)와; 상기 신호선택부(410)에서 선택에 의해 상기 검출된 전류 혹은 전압 신호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의 배터리(251)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RTU(300), 앰프(500), 스피커(600)로 공급하는 충전지(200)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상기 충전지(200)에 공급되는 전원상태 및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강우량 센서로부터 전송된 강우량 정보, 계측센서로부터 전송된 하천수위 정보를 원격 제어국(700)으 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국(700)으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처리하는 RTU(300)와; 상기 RTU(300)의 처리에 따라 경보방송을 수행하는 앰프(500) 및 스피커(600)와;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상기 충전지에 공급되는 전원 상태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표시하는 전원부(400)로 이루어져 재난시 경보메시지를 방송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200)는,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류감시부(220)와;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와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압감시부(230)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251) 및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부(252)로 구성되는 충전조절부(250)와; 상기 충전조절부(250)의 앞단에서 태양전지모듈(15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태양전지 시험부(240)와; 상기 배터리(251)의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압검출부(26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RTU(3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류검출부(270)와; 배터리(251)에서 앰프(500) 및 스피커(6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3전류검출부(28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전압보다 낮을 경우 RTU(300), 앰프(500) 및 스피커(600)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저전압검출 차단부(290);를 포함하며,
상기 RTU(300)는, 충전지(200)의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 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제3전류검출부(280)에서 검출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전달받는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에 설치된 계측센서로부터 강우량 정보를 전달받는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와;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센서로부터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100)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318)과; 상기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의 전압값 및 전류값, 강수량 값, 하천수위 값을 디지털값으로 변경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와; 상기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로부터 전달받은 강우량 정보와,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값 배터리(251)의 충전 전원값, RTU(300) 앰프(500) 스피커(600)로 공급되는 전원값, 하천수위 센서 입력부(317)로부터 입력받은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내부표시부(340)의 정보표시 및 도어개방시 발광소자의 발광, 상기 원격제어국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스피커(600)에서 경보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메모리(360) 및 음성신호처리부(35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30)와; 상기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충전지(200)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전류 전압정보, 강우량 정보, 하천수위 정보를 TRS 망, 위성망, CDMA망 또는 홍수경보용 VHF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제어국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받는 원격송수신부(320)와; 상기 원격제어국(700)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360)에 저장된 경보메시지, 원격제어국로부터 전송된 문자가 음성으로 변환된 경보메시지 또는 원격제어국 에서 압축되어 전송되는 음성 경보메시지를 스피커(600)에서 출력되도록 음성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350);와 재난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다양한 경보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360) 및 강우량 정보, 현 하천수위 정보, 하천위험수위 정보를 표시하는 내부표시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앰프(500)는 RTU(300)의 음성처리부(350)로부터 전달된 경보메시지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600)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600)는 앰프(500)로부터 전송된 경보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제3전류검출부(280) 중 어느 하나를 경보장치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선택하는 신호선택부(410)와; 상기 신호선택부(410)의 선택에 의해 상기 검출된 전류 혹은 전압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격지에 떨어져 설치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의 작동 상태,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원격관리국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고장과 동시에 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로 인해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내부 기기의 구동에 의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일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기기로 전송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어 완전방전에 따른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외형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는 충전지(200), RTU(Remote Terminal Unit)(300), 상기 수위/강우 관측 장치 상부에 태양전지 모듈(150)로 구성된다.
기존의 충전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와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충전지(200)는 상기 배터리 및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충전조절부(250) 이외에,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류, 전압)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및 배터리(251)의 충전전압이 정상적인지를 여부를 검사하는 제2전압검출부(260),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하는 RTU(300)가 방전하는 방전량을 검출하는 제2전류검출부(27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지(200)는 배터리의 충전완료를 검사하기 위하여 충전조절부(250) 앞단에 태양전지 시험부(240)를, 배터리(251)로부터 RTU로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저전압 검출 차단부(29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수위/강우 관측 장치는 강수량 및 하천의 범람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원격제어국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항상 충분하고 안정적으로 RTU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만약 태양전지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다면 충전지 및 RTU(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원격제어국(700)은 배터리(251)의 충방전 상태 뿐 아니라 충전 전원의 근원이 되는 태양전지모듈(150)의 상태까지도 감시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24V로 가정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만약 공급전압이 12V나 기타 다른 전압이라면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그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 된다.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배터리(251)로 공급되는 전원은 제1전류검출부(220) 및 제1전압검출부(230)를 통하여 검출된다.
제1전류검출부(220)는 도 7과 같이 10A/125mV 션트(shunt)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221)와, 125mV를 2.5V로 증폭하는 제1전압변환부(222)와, 상기 제1전압증폭부(222)의 전압을 버퍼(223)를 지나 50mV로 감압하는 제2전압변환부(2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의 전류검출부(221)에서 검출된 신호는 상기 버퍼(223)에서 RTU(300)의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 입력되고, 원격제어국(700)에서는 RTU에서 전송된 상기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태양전지모듈(210)에서 배터리(251)로 공급되는 전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전압변환부(224)의 출력신호는 전원부(500)의 신호선택부(510)로 전송되며, 신호선택부(510)에서 함체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전원부(500)의 표시부(520)에서 50mV/10A 스케일로 태양전지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표시된다. 상기 전류검출부(221)의 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전압검출부(230)는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며, 그 구성은 상기 전류검출부(221)가 없는 제1전류검출부(220)와 유사하다. 상기 검출된 전압은 감지부에서 RTU의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 입력되고, 50mV로 신호선택부(510)로 전송되며, 신호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전원부(500)의 표시부(520)에서 50mV/50V 스케일로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압이 표시된다. 도 9는 상기 제1전압검출부의 일 실시예이다.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조절부(250)의 배터리(251)가 충전되며, 이때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과충전방지부(252)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251)는 충전완료시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충전조절부로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태양전지 모듈이 정상인지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충전조절부(250) 앞단에 태양전지 시험부(240)를 구비한다. 태양전지 시험부는 접지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태양전지 모듈을 점검하고자 할 때에 스위치를 접점상태로 변환하여 전류가 태양전지 시험부(240)로 흐르는지 여부로서 태양전지 모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충전조절부(250)의 배터리는 과충전방지부(252)에 의하여 과충전되지 않지만 저충전될 수 있고, 수위/강우 관측 장치내의 송수신장비 및 방송장비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충전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15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1전류검출부 및 제1전압검출부와 유사하게 배터리(251)의 충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를 구비한다.
제2전압검출부(260)는 제1전압검출부(23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며, 검출된 전압은 요구되는 전압(2.5V)으로 변환되어 RTU의 충전 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 입력되고, 또한 50mV로 변환되어 신호선택부(510)로 전송된다.
제2전류검출부(270)는 제1전류검출부(2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배터리로부터 RTU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RTU의 구동으로 인하여 방전되는 배터리의 방전량을 검출한다. 검출된 전류는 요구 전압(2.5V)으로 변환된 후 RTU의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 입력되고, 또한, 50mV로 변환되어 신호선택부(510)로 전송된다.
한편, 전원부(400)의 신호선택부(410)는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로부터 출력된 검출값 중 어느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며, 상기 표시부(420)는 상기 신호선택부(410)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검출된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여 준다. 상기 표시부(420)를 통하여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관리자는 태양전지 모듈의 이상 유무,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재에서 알 수 있듯이, 충전기(200)는 태양전지 모듈(150)에서 배터리(251)로 공급되는 전원, 배터리(251)의 충전양, 배터리에서 RTU를 구동함으로써 방전되는 방전량을 검출하여 이를 원격제어국(700)에 송신함으로써, 수위/강우 관측 장치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원격제어국(700)은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충전지의 충방전 상태여부, 태양전지모듈의 정상적인 작동여부, 측정된 강우량, 하천수위 등을 원격제어국(700)에 전송하는 RTU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 RTU(300)는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 도어개폐감지부(318), 원격송수신부(320), 중앙제어부(330), 내부표시부(340)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는 충전지(200)의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에서 검출한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전달받는다.
상기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에 설치된 강우량 계측센서로부터 강우량 정보를 전송받는다.
상기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는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센서로부터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다.
상기 도어 개폐감지부(318)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100)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한다. 수위/강우 관측 장치(100) 도어가 개방되면 RTU 외면이 발광처리되어 내부표시부(340)를 통하여 표시되는 하천의 수위, 하천의 위험수위 등을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는 상기 충전지(200)로부터 전달되는 전 압값 또는 전류값, 강우량 값, 하천 수위값을 디지털로 변환된다.
상기 원격송수신부(320)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서 원격제어국(70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RTU에서 원격제어국으로 송신하는 데이터에는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 입력되는 충전지(200)의 검출정보,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로 입력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의 강우량 정보 및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로 입력되는 하천의 수위 정보가 있다. 원격송수신부(320)는 TRS 망, 위성망, CDMA망, VHF 망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원격제어국(700)으로 전달되고, 원격제어국(700)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상태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의 강우량, 하천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RTU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30)는 입력되는 충전지 상태 감시 데이터, 강우량 데이터 및 하천 수위 데이터를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수위/강우 관측 장치도어가 개방되면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며,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수행할 준비상태로 변경한다.
상기 내부표시부(340)는 현재 강수량, 하천수위, 하천의 위험수위 등이 표시되며, 수위/강우 관측 장치 관리자가 수위/강우 관측 장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자동으로 발광되어 야간에도 내부표시부의 표시내용을 쉽게 알 수 있다.
전원부(4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선택하는 신호선택부(410)와; 상기 신호선택부(410)의 선택에 의해 상기 검출된 전류 혹은 전압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420)와; 태양전지 모듈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입력전원 차단부(430)와, RTU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출력전원차단부(440)로 구성된다.
[제2실시예]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충전지(200)와 RTU(3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는 제1실시예의 태양전지 모듈(150), 충전지(200), RTU(300), 전원부(400)를 포함하고, 이에 부가하여 하천의 범람과 같은 위험에 따른 경보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도록 앰프(500) 및 스피커(6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지(200)는 제1실시예에 제3전류검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지(200)는 그 내부 구성요소, 즉 태양전지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로 구성되는 충전조절부(250)와,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류, 전압)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및 배터리(251)의 충전전압이 정상적인지를 여부를 검사하는 제2전압검출부(260),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하는 RTU(300)가 방전하는 방전량을 검출하 는 제2전류검출부(270), 배터리의 충전완료를 검사하기 위하여 충전조절부(250) 앞단에 구비되는 태양전지 시험부(240)의 구성 및 기능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저전압 검출 차단부(290)는 배터리(251)에서 RTU로 공급되는 전압에 부가적으로 앰프(500) 및 스피커(600) 등 방송장비로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제2실시예의 충전지(200)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앰프(500)가 방전하는 방전양을 검출하는 제3전류검출부(28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제3전류검출부(280)는 제1전류검출부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배터리로부터 앰프(400), 스피커(600) 등 방송장비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방송장비의 구동으로 인하여 방전되는 배터리의 방전량을 검출한다.
상기와 같은 제3전류검출부(280)가 추가됨으로써 제2실시예의 전원부(400)의 신호선택부(410)는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제3전류검출부(280)로부터 출력된 검출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RTU(300)는 제1실시예에 경보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 처리부(350), 메모리(3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원격송수신부(320)는 원격제어국(700)에서 전송하는 문자 또는 음성의 경보메시지 또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경보메시지를 방송하라는 명령을 수신받는다. 또한, 중앙제어부(330)는 스피커(600)를 통하여 경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원격송수신부(320)로 수신된 원격제어국(700)의 명령에 따라 음성신호 처리부(350)와 메모리(360)를 제어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RTU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는 충전지(200)의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제3전류검출부(280)에서 검출한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전달받는다.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 도어개폐감지부(318)의 구성 및 기능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충전지에서 전달되는 전압값 또는 전류값, 강우량 값, 하천수위값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에서 디지털로 변환된다.
상기 원격송수신부(320)에서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제3전류검출부의 정보가 포함된 것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원격제어국(700)으로 전달되고, 원격제어국(700)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상태,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의 강우량, 하천수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원격제어국(700)은 상기 데이터 중에서 강우량 및 하천수위에 따라 필요한 경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명령은 원격송수신부(320)를 거쳐 중앙제어부(330)에서 처리된다.
제2실시예에 추가되는 음성신호처리부(350)는 원격제어국(700)으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처리한다. 원격제어국(700)에서 RTU로 전송되는 명령은, RTU의 메모리(360)에 저장된 경보메시지를 스피커(60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녹음방송출력명령과, 경보메시지를 문자로 전송하여 이를 음성으로 변환(TTS)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문자경보방송출력명령과, 원격제어국(700)의 서버에 저장된 음성 경보메시지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RTU에서 이를 압축해제하여 경보메시지를 방송하는 음성방송출력명령이 있다. 음성신호처리부(350)의 음성처리부(351)는 상기 원격제어국(700)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중에서 음성방송출력명령을 처리하며, 원격제어국에서 전송된 음성 압축 경보 메시지를 풀어 음성출력부(354)로 전송한다. 음성신호처리부(350)의 녹음처리부(352)는 상기 원격제어국(700)으로부터 RTU의 메모리(360)에 저장된 경보메시지를 출력하라는 명령에 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360)에서 독출된 메시지를 음성처리하여 음성출력부(354)로 전송한다. 음성신호처리부(350)의 실시간 음성복원처리부(353)는 원격제어국(700)으로부터 전달된 문자경보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TTS) 음성출력부(354)로 전송한다. 음성출력부(354)는 상기 음성처리부(351), 녹음처리부(352) 및 실시간 음성복원처리부(353)로부터 전달받은 음성경보메시지를 스피커(6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앰프(500)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360)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의 강우량, 하천 수위, 태양전지모듈 및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에 따라 출력할 경보 메시지, 상태정보 메시지 및 RTU 로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RTU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30)는 입력되는 충전지 상태 감시 데이터 및 강우량 데이터를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하 고, 상기 원격제어국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또한, 수위/강우 관측 장치 도어가 개방되면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며,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수행할 준비상태로 변경한다.
앰프(500)는 하나의 통합 앰프로 설치될 수도 있고, 프리앰프(510) 및 메인앰프(520)로 분리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통상적인 앰프의 기능과 동일하게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이퀄라이징하여 스피커(600)로 전달한다. 앰프는 또한 수위/강우 관측 장치 관리자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직접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음성입력부(마이크 입력부)가 구비되어 있다.
스피커(600)는 앰프(500)로부터 전달된 음성경보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하여 홍수 등 재난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의 수위/강우 관측 장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충전지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RTU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충전지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RTU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전류검출부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도7의 전류검출부의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전압검출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위/강우 관측 장치 200 : 충전지, 300 : RTU, 500 : 앰프,
400 : 전원부, 600 : 스피커, 700 : 원격제어국

Claims (3)

  1.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의 배터리(251)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RTU(300)로 공급하는 충전지(200)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상기 충전지(200)에 공급되는 전원상태 및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강우량 계측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강우량 정보를 원격 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국(700)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처리하는 RTU(300)와;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상기 충전지에 공급되는 전원 상태값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표시되는 전원부(400)로 이루어져 강수량 및 하천 수위를 전송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200)는,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류감시부(220)와;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와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압감시부(230)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251) 및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부(252)를 포함하는 충전조절부(250)와; 상기 충전조절부(250)의 앞단에서 태양전지모듈(15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태양전지 시험부(240)와; 상기 배터리(251)의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압검출부(26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RTU(3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류검출부(27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전압보다 낮을 경우 RTU(300)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저전압검출 차단부(290);를 포함하며,
    상기 RTU(300)는, 충전지(200)의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에서 검출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전달받는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에 설치된 계측센서로부터 강우량 정보를 전달받는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와;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센서로부터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100)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318)와; 상기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의 전압값 및 전류값, 강수량 값, 하천수위 값을 디지털값으로 변경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와; 상기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로부터 전달받은 강우량 정보와,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값 배터리(251)의 충전 전원값, RTU(300)로 공급되는 전원값, 하천수위 센서 입력부(317)로부터 입력받은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내부표시부(340) 표시 및 도어 개방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며, RTU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30)와; 상기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충전지(200)로부터 전달된 각각의 전류값 전압값 및 강우량 값을 TRS 망, 위성망, CDMA망 또는 홍수경보용 VHF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로 전송하는 원격송수신부(320)와 및 강우량 정보, 현 하천수위 정보, 하천위험수위 정보를 표시하는 내부표시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중 어느 하나를 경보장치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선택하는 신호선택부(410)와; 상기 신호선택부(410)에서 선택에 의해 상기 검출된 전류 혹은 전압 신호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2.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의 배터리(251)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RTU(300), 앰프(500), 스피커(600)로 공급하는 충전지(200)와; 상기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상기 충전지(200)에 공급되는 전원상태 및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강우량 센서로부터 전송된 강우량 정보, 계측센서로부터 전송된 하천수위 정보를 원격 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국(700)으로부터 전달된 명령을 처리하는 RTU(300)와; 상기 RTU(300)의 처리에 따라 경보방송을 수행하는 앰프(500) 및 스피커(600)와; 충전지(200)의 충방전 상태,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상기 충전지에 공급되는 전원 상태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표시하는 전원부(400)로 이루어져 재난시 경보메시지를 방송하는 수위/강우 관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200)는,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류감시부(220)와;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와 RTU(300)로 출력하는 제1전압감시부(230)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251) 및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부(252)로 구성되는 충전조절부(250)와; 상기 충전조절부(250)의 앞단에서 태양전지모듈(15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태양전지 시험부(240)와; 상기 배터리(251)의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압검출부(26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RTU(3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2전류검출부(270)와; 배터리(251)에서 앰프(500) 및 스피커(600)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신호선택부(410) 및 RTU(300)로 출력하는 제3전류검출부(280)와; 상기 배터리(251)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전압보다 낮을 경우 RTU(300), 앰프(500) 및 스피커(600)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저전압검출 차단부(290);를 포함하며,
    상기 RTU(300)는, 충전지(200)의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제3전류검출부(280)에서 검출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전달받는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 주변에 설치된 계측센서로부터 강우량 정보를 전달받는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와;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센서로부터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는 하천 수위 센서 입력부(317)와; 수위/강우 관측 장치(100)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318)과; 상기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의 전압값 및 전류값, 강수량 값, 하천수위 값을 디지털값으로 변경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5)와; 상기 강우량 수수구 센서 입력부(316)로부터 전달받은 강우량 정보와, 충전지 전원 검출 입력부(310)로부터 전달받은 태양전지 모듈(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값 배터리(251)의 충전 전원값, RTU(300) 앰프(500) 스피커(600)로 공급되는 전원값, 하천수위 센서 입력부(317)로부터 입력받은 하천 수위 정보를 전달받아 원격송수신부(320)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으로 전송하고, 내부표시부(340)의 정보표시 및 도어개방시 발광소자의 발광, 상기 원격제어국으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스피커(600)에서 경보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메모리(360) 및 음성신호처리부(35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30)와; 상기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충전지(200)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전류 전압정보, 강우량 정보, 하천수위 정보를 TRS 망, 위성망, CDMA망 또는 홍수경보용 VHF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원격제어국(700)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제어국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받는 원격송수신부(320)와; 상기 원격제어국(700)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360)에 저장된 경보메시지, 원격제어국로부터 전송된 문자가 음성으로 변환된 경보메시지 또는 원격제어국에서 압축되어 전송되는 음성 경보메시지를 스피커(600)에서 출력되도록 음성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350);와 재난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다양한 경보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360) 및 강우량 정보, 현 하천수위 정보, 하천위험수위 정보를 표시하는 내부표시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앰프(500)는 RTU(300)의 음성처리부(350)로부터 전달된 경보메시지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600)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600)는 앰프(500)로부터 전송된 경보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1전류검출부(220), 제1전압검출부(230), 제2전압 검출부(260), 제2전류검출부(270), 제3전류검출부(280) 중 어느 하나를 경보장치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선택하는 신호선택부(410)와; 상기 신호선택부(410)의 선택에 의해 상기 검출된 전류 혹은 전압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TU의 음성신호처리부(350)는,
    중앙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360)에 저장된 음성 경보메시지를 독출하는 녹음처리부(352)와, 원격제어국(700)에서 전송되는 압축된 음성 경보메시지를 압축해제하는 음성처리부(351)와, 원격제어국(700)에서 전송되는 문자메지시를 음성으로 변환(TTS)하는 실시간 음성복원 처리부(353)와, 상기 녹음처리부(352), 음성처리부(351), 실시간 음성복원처리부(353)로부터 처리된 음성경보메시지를 앰프(500)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KR1020070069961A 2007-07-12 2007-07-12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KR10076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61A KR100766751B1 (ko) 2007-07-12 2007-07-12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61A KR100766751B1 (ko) 2007-07-12 2007-07-12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751B1 true KR100766751B1 (ko) 2007-10-15

Family

ID=3942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61A KR100766751B1 (ko) 2007-07-12 2007-07-12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75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43B1 (ko) 2008-11-14 2009-02-11 (주)화진티엔아이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를 활용한 기상관측시스템
KR100998893B1 (ko) * 2010-08-05 2010-12-07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미소전류 충전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경보시스템
KR101157554B1 (ko) * 2011-12-23 2012-06-18 (주)리버앤씨 자동유량측정제어시스템
KR101219506B1 (ko) 2010-09-13 2013-02-18 대한민국 강우 및 수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43999B1 (ko) 2019-04-22 2019-11-12 (주)미래로택 홍수 예/경보를 위한 브레이니 rtu 및 이를 이용한 강우 예측 방법과 화재/침수 관련 알람 전송 방법
CN112558190A (zh) * 2020-12-17 2021-03-26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用于城市暴雨洪涝的水位雨量一体监控系统
CN113267232A (zh) * 2021-06-28 2021-08-17 张炜 一种公路涵洞暴雨水淹警示应急系统和应急方法
KR102393039B1 (ko) * 2021-11-08 2022-05-02 (주)씨텍 숏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발생 사전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826A (ko) * 2000-12-18 2002-06-24 최광남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보음 발생장치
JP2004288132A (ja) 2003-01-27 2004-10-14 Nippon Safety System Kenkyusho 広域警報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られる警報受信装置
KR20050068709A (ko) * 2003-12-30 2005-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해감시 시스템
JP2006215906A (ja) 2005-02-04 2006-08-17 Shinko Electric Co Ltd 被災害時情報提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被災害時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826A (ko) * 2000-12-18 2002-06-24 최광남 태양전지를 이용한 경보음 발생장치
JP2004288132A (ja) 2003-01-27 2004-10-14 Nippon Safety System Kenkyusho 広域警報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られる警報受信装置
KR20050068709A (ko) * 2003-12-30 2005-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해감시 시스템
JP2006215906A (ja) 2005-02-04 2006-08-17 Shinko Electric Co Ltd 被災害時情報提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被災害時情報提供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43B1 (ko) 2008-11-14 2009-02-11 (주)화진티엔아이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를 활용한 기상관측시스템
KR100998893B1 (ko) * 2010-08-05 2010-12-07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미소전류 충전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경보시스템
KR101219506B1 (ko) 2010-09-13 2013-02-18 대한민국 강우 및 수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1157554B1 (ko) * 2011-12-23 2012-06-18 (주)리버앤씨 자동유량측정제어시스템
KR102043999B1 (ko) 2019-04-22 2019-11-12 (주)미래로택 홍수 예/경보를 위한 브레이니 rtu 및 이를 이용한 강우 예측 방법과 화재/침수 관련 알람 전송 방법
CN112558190A (zh) * 2020-12-17 2021-03-26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用于城市暴雨洪涝的水位雨量一体监控系统
CN112558190B (zh) * 2020-12-17 2021-10-22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用于城市暴雨洪涝的水位雨量一体监控系统
CN113267232A (zh) * 2021-06-28 2021-08-17 张炜 一种公路涵洞暴雨水淹警示应急系统和应急方法
KR102393039B1 (ko) * 2021-11-08 2022-05-02 (주)씨텍 숏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발생 사전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751B1 (ko)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이 구비된 수위/강우 관측 장치
KR100766744B1 (ko)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을 갖춘 무인 재해 음성 경보장치
CN106546801B (zh) 一种漏电传感器、高压配电箱及电动车
EP2166642A4 (en) BATTERY CONDITION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US20090119068A1 (en) Communicating faulted circuit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AU2012214105B2 (en) Wirelessly networked fluid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20070089467A (ko) 맨홀 감시용 무선시스템
EP2637071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maintenance d&#39;une installation électrique
JP2010193679A (ja) 電力遮断装置
CN102055218A (zh) 电池状态监视电路及电池装置
KR101511061B1 (ko) 전원 상태 자동 기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방법
JP5570897B2 (ja) 端末網制御装置およびテレメータシステム
CN210802603U (zh) 一种分布式水位测量报警系统
KR20060027488A (ko) 배터리단자 단락알람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N203204114U (zh) 一种基于开口检流器的直流接地报警器
WO2012146619A1 (fr) Système de protection et de supervision d&#39;un circuit de distribution d&#39;énergie électrique à courant continu
JP5431417B2 (ja) 停電検出システムおよび停電範囲判定方法
AU2014202604B2 (en) Wirelessly networked fluid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211697968U (zh) 具备电网监测及报警功能的能源网关
CN202903949U (zh) 线路故障无线报警装置
CN107037362A (zh) 一种直流充电机纹波监测装置
CN102561743A (zh) 移动式服务器机房
CN207410005U (zh) 一种节能电网电压电流检测保护装置
KR100356342B1 (ko) 수질 오염 경보장치
TW200743283A (en) Lithium-battery protection method and it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