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621B1 - 개량형 변배 조정구 - Google Patents

개량형 변배 조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21B1
KR101778621B1 KR1020150119698A KR20150119698A KR101778621B1 KR 101778621 B1 KR101778621 B1 KR 101778621B1 KR 1020150119698 A KR1020150119698 A KR 1020150119698A KR 20150119698 A KR20150119698 A KR 20150119698A KR 101778621 B1 KR101778621 B1 KR 10177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ircumferential surface
bundle
handl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430A (ko
Inventor
임도현
Original Assignee
임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현 filed Critical 임도현
Priority to KR102015011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21B1/ko
Priority to US14/848,163 priority patent/US20170059847A1/en
Publication of KR2017002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4Rearsights with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 G02B23/145Zoom viewf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Lens Barrel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개량형 변배 조정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개량형 변배 조정구는, 조준경의 경통 외주면에 마련되며,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조준경의 내부에 장착된 변배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 뭉치; 회전 뭉치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회전 뭉치와 같이 회전되는 클램프부; 및 클램프부에 마련되어 회전 뭉치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클램프부는 회전 뭉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형 변배 조정구{IMPROVED VARIABLE MAGN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개량형 변배 조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준경의 배율 조정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개량형 변배 조정구에 관한 것이다.
조준경이란 조준용 망원경을 말하는 것으로 소총 등의 총기에 부착하여 원거리 목표물을 크게 보고 정확하게 겨누는 장치이다.
소총의 조준은 일반적으로 목표물을 향한 조준선 정렬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사격의 정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로서 총열의 끝단에 위치한 가늠쇠와 총기 주몸체에 위치한 가늠자를 정렬시킨다.
그런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고, 작은 떨림에도 정렬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조준선 정렬을 위해 사격자는 고도의 집중력을 요한다.
또한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목표물이나 전방 상황보다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고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조준선 정렬은 확보한 목표물을 순간적으로 타격해야하는 사격의 특성에 반해 상대적으로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소총에 조준경을 부착하였다. 이러한 조준경은 망원경의 원리에 좌표선이나 점을 부가한 것으로 별도의 조준선 정렬이 필요없고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배율을 조정하여 원거리의 목표물을 겨눌 수 있다.
종래의 조준경은 몸체가 대물경통, 중부경통, 접안경통의 연속으로 이루어지고, 중부경통에는 변배렌즈가 탑재된 내무뭉치가 마련된다.
여기서 변배렌즈는 중부경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변배전륜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는데 그에 따라 조준경의 배율이 변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배전륜은 조준 자세에서 회전시키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접안경통의 내부로 시선을 집중한 조준 자세에서 손의 촉감만으로 변배전륜의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변배전륜은 소총의 발사 진동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뻑뻑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돌리기 어렵다.
결국 사격자는 변배전륜을 돌리기 위해 접안경통에서 눈을 떼고 조준자세를 흩트린 후 변배전륜을 찾아 한 손으로 힘들게 돌려야 한다.
또한 정교한 초점 조정을 위해 변배전륜을 미세하게 돌려야 하는데 위와 같이 조준자세에서 한 손으로 돌리기 힘든 변배전륜을 미세하게 조작하기란 만만치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11133호(2012.12.05)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회전 뭉치의 절곡단에 경통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막대를 마련하고, 막대를 잡고 회전 뭉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하지만 조준경의 배율 조정은 편리하게 할 수 있지만, 회전 뭉치를 경통에 결합시키는 데 불편한 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11133호(임도현) 2012. 12. 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준경의 배율 조정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개량형 변배 조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준경의 경통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조준경의 내부에 장착된 변배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 뭉치; 상기 회전 뭉치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클램프부; 및 상기 클램프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회전 뭉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배 조정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회전 뭉치의 반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1 클램프; 상기 회전 뭉치의 나머지 반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의 내주면 및 상기 제2 클램프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전 뭉치의 회전 뭉치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가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에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지지암이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외주면에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 바디; 및 상기 손잡이 바디를 상기 손잡이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시야 확보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준경의 내부에 장착된 변배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 뭉치를 클램프부로 감싸고, 클램프부를 회전 뭉치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여 결합 및 분리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뭉치와 일체로 회전되는 클램프부에 손잡이부를 마련한 후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 뭉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준경의 배율 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배 조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량형 변배 조정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부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배 조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량형 변배 조정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부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변배 조정구(1)는, 조준경(10, 도 5 참조)의 경통(12, 도 5 참조) 외주면에 마련되며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조준경(10)의 내부에 장착된 변배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 뭉치(100)와, 회전 뭉치(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회전 뭉치(100)와 같이 회전되는 클램프부(200)와, 클램프부(200)에 마련되어 회전 뭉치(10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되는 손잡이부(300)를 구비한다.
회전 뭉치(100)는, 종래의 변배전륜과 같이 조준경(10)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해 경통(12)의 외주면에 일치하게 장착되어 경통(1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여 조준경(10)의 내부에 장착된 변배렌즈를 수평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회전 뭉치(10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11133호, 미국등록특허공보 US8625211B2에 개시된 회전뭉치(rotation bunch) 또는 변배전륜(Zoom front Wheel)의 구성이 그대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뭉치(100)는 경통(12)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회전 뭉치(100)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뭉치홈(110)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뭉치홈(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삽입 돌기(2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삽입 돌기(240)가 회전뭉치홈(110)에 삽입되므로 손잡이 바디(310)를 잡고 클램프부(200)를 회전시켜 회전 뭉치(100)를 회전시킬 때 회전 뭉치(100)에서 클램프부(200)가 미끄러져 헛도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클램프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뭉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며, 손잡이부(3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어 손잡이부(300)의 회전력을 회전 뭉치(100)로 전달하여 회전 뭉치(1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뭉치(100)의 반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1 클램프(210)와, 회전 뭉치(100)의 나머지 반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 클램프(220)와,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230)를 포함한다.
클램프부(200)의 제1 클램프(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뭉치(100)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반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클램프(21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230)의 체결 통로로 제공되는 체결홀(211)이 마련된다.
나아가 본 실시 에에서 제1 클램프(210)의 외주면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지지암(212)이 마련되고, 이 손잡이 지지암(212)에는 손잡이 바디(31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클램프부(200)의 제2 클램프(220)는, 제 1 클램프와 같이 회전 뭉치(100)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상인 반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클램프(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230)의 하단부가 나사 결합 되는 체결홈(221)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홈(221)에는 체결 부재(230)의 하단부가 나사 결합 되도록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부(200)의 체결 부재(230)는, 도 2에 도시된 제1 클램프(210)의 체결홀(211)을 관통한 후 도 3에 도시된 제2 클램프(220)의 체결홈(221)에 나사 결합 되어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를 회전 뭉치(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230)의 헤드에는, 공구가 삽입되는 홈이 마련될 수 있고, 이 홈은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230)의 하측부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2 클램프(220)의 체결홈(221)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부(2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 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클램프부(200a)와 같이 복수의 삽입 돌기(240)를 마련하고, 이 복수의 삽입 돌기(240)가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회전 뭉치(100)의 외주면에 복수의 회전뭉치홈(110)을 마련하면, 손잡이 바디(310)를 잡고 클램프부(200a)를 회전시킬 때 클램프부(200a)가 회전 뭉치(10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 클램프부(200a)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손잡이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지지암(2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사용자의 손잡이 장소로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지지홈(311)이 마련되며 손잡이 지지암(2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 바디(310)와, 손잡이 바디(310)를 손잡이 지지암(2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핀(320)을 포함한다.
손잡이부(300)의 손잡이 바디(310)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311)은, 사용자의 손가락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 즉 손잡이 바디(310)에 힘을 가하기 위해 손잡이 바디(310)를 손으로 잡을 때의 손가락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 바디(3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바디(31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시야 확보홀(312)이 이격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손잡이 바디(310)가 경통(12)에 수직으로 세워져 시야를 막더라도 복수의 시야 확보홀(312)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손잡이부(300)의 체결핀(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바디(310)와 손잡이 지지암(212)에 마련된 홀에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손잡이부(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를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 5와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는 조준경(10)의 경통(1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 뭉치(100)에 클램프부(200)를 결합 시 클램프부(200)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부(300)가 결합 된 클램프부(200)를 회전 뭉치(100)에 편리하고 빠르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손잡이부(300)가 결합 된 클램프부(200)를 회전 뭉치(100)에 결합한 후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준경(10)의 내부에 마련된 변배렌즈가 수평 이동되어 조준경(10)의 배율 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경통(12)의 전방에는 대물경통(11)이 마련되고, 그 후방에는 접안경통(13)이 마련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조준경의 내부에 장착된 변배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 뭉치를 클램프부로 감싸고, 클램프부를 회전 뭉치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여 결합 및 분리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뭉치와 일체로 회전되는 클램프부에 손잡이부를 마련한 후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 뭉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준경의 배율 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개량형 변배 조정구
100 : 회전 뭉치 110 : 회전뭉치홈
200 : 클램프부 210 : 제1 클램프
211 : 체결홀 212 : 손잡이 지지암
220 : 제2 클램프 221 : 체결홈
230 : 체결 부재 240 : 삽입 돌기
300 : 손잡이부 310 : 손잡이 바디
311 : 지지홈 312 : 시약 확보홀
320 : 체결핀 10 : 조준경
11 : 대물경통 12 : 경통
13 : 접안경통

Claims (5)

  1. 조준경의 경통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조준경의 내부에 장착된 변배렌즈를 이동시키는 회전 뭉치;
    상기 회전 뭉치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 뭉치와 같이 회전되는 클램프부; 및
    상기 클램프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뭉치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회전 뭉치의 반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1 클램프, 상기 회전 뭉치의 나머지 반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의 내주면 및 상기 제2 클램프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전 뭉치의 회전 뭉치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클램프에 마련된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제2 클램프에 마련된 체결홈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는 상기 체결홀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헤드에는 공구가 삽입되는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배 조정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에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지지암이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외주면에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 바디; 및
    상기 손잡이 바디를 상기 손잡이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개량형 변배 조정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시야 확보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변배 조정구.
KR1020150119698A 2015-08-25 2015-08-25 개량형 변배 조정구 KR10177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98A KR101778621B1 (ko) 2015-08-25 2015-08-25 개량형 변배 조정구
US14/848,163 US20170059847A1 (en) 2015-08-25 2015-09-08 Variable magn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98A KR101778621B1 (ko) 2015-08-25 2015-08-25 개량형 변배 조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430A KR20170024430A (ko) 2017-03-07
KR101778621B1 true KR101778621B1 (ko) 2017-09-14

Family

ID=5810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698A KR101778621B1 (ko) 2015-08-25 2015-08-25 개량형 변배 조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59847A1 (ko)
KR (1) KR101778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1252B2 (en) * 2016-09-28 2020-03-17 Burris Company Optical device having removable optical setting lever
DE102016120602A1 (de) * 2016-10-27 2018-05-03 Schmidt & Bender Gmbh & Co. Kg Zielfernrohr mit Verstellhilfe
CN111338072A (zh) * 2020-04-09 2020-06-26 西安现代控制技术研究所 单目目镜转轮手柄结构
USD907160S1 (en) * 2020-06-30 2021-01-05 II Charles A. McCoy Lever for optical scop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33B1 (ko) 2010-05-04 2012-12-11 임도현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59847A1 (en) 2017-03-02
KR20170024430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621B1 (ko) 개량형 변배 조정구
US10365545B2 (en) Adaptable camera support
US10215212B2 (en) Adap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to an optical device
US9658518B2 (en) Video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10785388B2 (en) Camera systems for scopes
US9163902B1 (en) Sight module
US8625211B2 (en) Variable magnification device and telescopic sight using the same
US20190390693A1 (en) Firearm Grip
US10156425B2 (en) Archery sighting device for a mechanical release
US20220239806A1 (en) Scope phone mount
US20090019758A1 (en) Lens to assist in shooting of a gun
JP2001241892A (ja) 照準望遠鏡
JPWO2009139398A1 (ja) 三脚取付け用アダプタ
US9797685B2 (en) Archery sighting device for a mechanical release
US9435994B2 (en) Accessory adapter for simplified target acquisition
US20160252720A1 (en) Binocular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02922U (ko) 초점 조절이 용이한 망원경용 아이피스
ES2326064B1 (es) Dispositivo visor accesorio para armas de fuego.
CN216645077U (zh) 瞄准装置和枪械
CN107667272B (zh) 用于光学装置的分划板固位件
CN220137484U (zh) 一种具有记忆功能的屈光度调节机构及具有其的瞄准镜
US20080278830A1 (en) Clip bracket for binocular and finder
JP2011017812A (ja) 双眼鏡
JP2004348089A (ja) 顕微鏡
JP2011203559A (ja) 双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