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133B1 -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 Google Patents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133B1
KR101211133B1 KR1020100041935A KR20100041935A KR101211133B1 KR 101211133 B1 KR101211133 B1 KR 101211133B1 KR 1020100041935 A KR1020100041935 A KR 1020100041935A KR 20100041935 A KR20100041935 A KR 20100041935A KR 101211133 B1 KR101211133 B1 KR 10121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rrel
scope
bundl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421A (ko
Inventor
임도현
Original Assignee
임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현 filed Critical 임도현
Priority to KR102010004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133B1/ko
Priority to US13/011,728 priority patent/US8625211B2/en
Publication of KR2011012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elescop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격자가 조준경으로 목적물을 조준한 상태에서 손쉽게 조준경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는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준경 경통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링(Ring) 형상이고 외부 둘레 일측에 회전단이 구비된 회전뭉치와 상기 회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막대를 포함하는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을 제공한다.
그 결과, 조준자세를 유지하면서 조준경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어 즉각적으로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한 손으로 조준경의 배율을 쉽고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최대한 조준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하기 위해 구비된 막대는 조준경의 경통을 따라 눕게 회전시켜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DEVICE FOR VARIABLE MAGNIFICATION AND TELESCOPIC SIGH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격자가 조준경으로 목표물을 조준한 상태에서 손쉽게 조준경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는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조준경이란 조준용 망원경을 말하는 것으로 소총 등의 총기에 부착하여 원거리 목표물을 크게 보고 정확하게 겨누는 장치이다.
여기서 소총(小銃, rifle)이란 강선이 있는 총열에 탄환을 사용하여 견착 사격하는 개인 화기로서 정교한 조준으로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총의 조준은 일반적으로 목표물을 향한 조준선 정렬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사격의 정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로서 총열의 끝단에 위치한 가늠쇠와 총기 주몸체에 위치한 가늠자를 정렬시킨다.
그런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고, 작은 떨림에도 정렬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조준선 정렬을 위해 사격자는 고도의 집중력을 요한다.
또한,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목표물이나 전방 상황보다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고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조준선 정렬은 확보한 목표물을 순간적으로 타격해야하는 사격의 특성에 반해 상대적으로 소요 시간이 길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소총에 조준경을 부착하였다.
이러한 조준경은 망원경의 원리에 좌표선이나 점을 부가한 것으로 별도의 조준선 정렬이 필요없고 저배에서 고배로 배율을 조정하여 원거리의 목표물을 겨눌 수 있다.
그 개략적인 구조를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조준경은 몸체가 대물경통(10), 중부경통(20), 접안경통(210)의 연속으로 이루어지고, 대물경통(10)에는 대물뭉치(11), 중부경통(20)에는 크리크뭉치(21) 및 내부뭉치(23), 접안경통(30)에는 접안뭉치(31) 및 망선뭉치(33)를 포함한다.
이때, 대물뭉치(11), 내부뭉치(23), 접안뭉치(31) 각각에는 광학렌즈가 탑재되고 내부뭉치(23)에는 변배렌즈(25)가 탑재된다.
여기서, 변배렌즈(25)는 중부경통(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변배전륜(27)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는데 그에 따라 조준경의 배율이 변한다.
즉, 조준경의 배율은 변배전륜(27)의 회전으로 조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배전륜(27)은 조준자세에서 회전시키기가 어렵다.
이유는 접안경통(30) 내부로 시선을 집중한 조준자세에서 손의 촉감만으로 변배전륜(27)의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변배전륜(27)은 소총의 발사 진동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뻑뻑하게 장치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돌리기가 어렵다.
결국, 사격자는 변배전륜(27)을 돌리기 위해 접안경통(30)에서 눈을 떼고 조준자세를 흐트려뜨린 후 변배전륜(27)을 찾아 한 손으로 힘들게 돌려야 한다.
또한, 정교한 초점 조정을 위해 변배전륜(27)을 미세하게 돌려야 하는데 위와 같이 조준자세에서 한 손으로 돌리기 힘든 변배전륜(27)을 미세하게 조작하기란 만만치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총을 견착한 조준자세를 그대로 취하면서 한 손으로 조준경의 배율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준경의 초점 조정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는 조준경 경통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링(Ring) 형상이고 외부 둘레 일측에 회전단이 구비된 회전뭉치; 및 상기 회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단은 상기 회전뭉치로부터 상방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막대의 말단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방과 일측방이 개구된 몸체; 및 상기 일측방에 이웃하는 양측방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상기 막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중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내면은 상기 회전뭉치로부터 수직 상방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단의 내부에 실장된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막대의 말단과 접촉하는 수평의 밀림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대의 말단 모서리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조준경은 상기에 기재된 변배조정구; 상기 변배조정구가 장착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의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변배조정구의 조정에 따라 수평 이동하는 변배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은 조준자세를 유지하면서 조준경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어 즉각적으로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한 손으로 조준경의 배율을 쉽고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최대한 조준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하기 위해 구비된 막대는 조준경의 경통을 따라 눕게 회전시켜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준경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를 이용한 조준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의 회전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를 이용한 조준경의 수납을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도 1을 참고하여 설명된 종래 조준경의 구성 중 불가피하게 인용되는 것은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이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일측에 회전단(110)이 구비된 회전뭉치(120), 회전단(110)에 연결된 막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배조정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200)의 경통 중 이미 언급된 종래의 변배전륜(27)과 동일한 위치에 변배전륜(27)을 대체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뭉치(120)는 회전을 통해 경통(210) 내부의 변배렌즈(25)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막대(130)는 회전뭉치(1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100)는 막대(130)를 한 손으로 잡고 회전뭉치(12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준자세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한 손으로 조준경(200)의 배율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준경의 배율 조정시 목표물의 조준을 그대로 유지하여, 배율 조정 후 목표물을 신속하게 타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막대(130)는 조준경(200)의 경통(210)과 대면하게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경통(210)에 밀착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위치되어 막대(130)는 조준경(200) 내지 이를 부착한 소총(미도시)의 수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100)는 바람직하게는 조준경(200)의 일부 부품으로서 조준경(200)에 일체화되고 별도로 탈부착 되지 않는다.
각각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회전뭉치(120)는 종래의 변배전륜(27)과 같이 조준경(200)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경통(210)의 외주면에 일치하게 장치되어 상기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조준경(200) 내부에 장치된 변배렌즈(25)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200)의 경통(210) 외주면을 에두르는 링(Ring) 형태이다.
이때, 회전뭉치(120)의 외부 둘레 일측에는 회전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뭉치(120)는 경통(210)의 외주면에 헐겁지 않게 장착되어 회전뭉치(120)가 소총의 발사 진동에 임의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단(110)은 회전뭉치(120)에 막대(1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뭉치(120)에서 상방 돌출되고 내부에 막대(130)의 말단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111)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11)는 상방과 일측방이 개구되고 상기 일측방에 이웃하는 양측방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축(112)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몸체(111)는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방을 제외한 세 측방에 배치되고 회전뭉치(120)의 외부 둘레 중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상방 돌출된 제1,2,3측벽(114, 115, 116)과 제1, 3측벽(114, 116)에 회전축(112)이 수평으로 고정되는 관통공(113)을 포함한다.
따라서, 막대(130)는 제1,2,3측벽(114, 115, 116) 사이로 말단이 수용되고 회전축(112)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개구된 상기 상방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일측방으로 눕게 회전된다.
이때, 막대(130)는 바람직하게는 한 손으로 용이하게 잡고 돌릴 수 있는 소정의 길이로 마련되되, 조준경(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누웠을 때 접안경통(30) 보다 길게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한다.
그 결과, 막대(130)가 세워지면 회전뭉치(120)를 돌리는 손잡이가 되고 눕게 되면 조준경(200)의 경통(210)과 밀착 또는 이와 유사하게 배치되어 수납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제2측벽(115)은 세워진 막대(130)의 직립을 지지할 수 있게, 바람직하게는 회전뭉치(120)로부터 수직으로 상방 연장된 내면을 제공하고 상기 내면에는 세워진 막대(130)의 일면이 밀착된다.
또한, 제1,3측벽(114, 116)의 사이 간격은 막대(130)의 폭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막대(130)에 힘을 가해 회전뭉치(120)를 돌릴 때 유격없이 회전력을 회전뭉치(1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12)은 바람직하게는 제1,3측벽(114, 116) 및 막대(130)의 말단을 가로질러 관통하고, 막대(130)는 회전축(112)에 헐겁지 않게 연결되어 소총의 발사 진동에 막대(13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위와 같은 막대(130)의 임의 회동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밀림단(117)이 장치될 수 있다.
밀림단(117)은 회전단(110)의 내부에 실장되어 상하 이동하고 하부에 마련된 탄성수단(118)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는 힘을 제공받는다.
이때, 탄성수단(118)은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막대(130)의 말단은 바람직하게는 각 모서리가 직각되고 막대(130)의 회동에 따라 말단의 끝면(131) 또는 측면(132)이 밀림단(117)에 밀착된다.
따라서, 밀림단(117)은 탄성수단(118)으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막대(130)가 직립한 경우 접촉된 끝면(131)을 밀어 올려 막대(130)의 직립을 고정하고, 막대(130)가 수평 회전된 경우 측면(132)을 밀어 올려 막대(130)의 수평을 고정한다.
이때, 제2측벽(115)의 내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130)의 각진 모서리가 저촉되지 않고 회동하게 유동홈(119)이 타공될 수 있으나, 유동홈(119)을 생략하고 막대(130)의 각진 모서리를 소정의 폭으로 모따기하는 것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밀림단(117)에 의해 막대(130)는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수평과 수직 2개의 자세를 취하도록 고정되고 소총의 발사 진동에도 해당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회전단(110)은 회전뭉치(1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회전뭉치(120)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일측 내부로 만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배조정구(100)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이때, 이미 언급된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부분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격을 위해 소총을 견착하기에 앞서 막대(130)를 회전시켜 제2측벽(115)의 내면에 밀차되게 세운다.
이 상태에서 목표물을 포착하면 한 손으로는 소총(미도시)의 총목을 파지하고 조준경(200)을 통해 상기 목표물을 겨냥하는 조준자세를 취한 다음, 다른 한 손으로는 막대(130)를 잡아 돌리며 조준경(200)의 배율 및 초점을 조정한다.
그 후, 조정이 마무리되면 바로 방아쇠를 당겨 목표물을 타격한다.
이때, 다른 위치와 다른 거리의 또 다른 목표물이 포착되면 소총(미도시)을 겨눈 자세에서 다시금 한 손으로 막대(130)를 잡아 돌려 조준경(200)의 배율 및 초점을 조정하고 즉각적으로 또 다른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사격자는 소총(미도시)을 견착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막대(130)를 잡아 돌리는 것으로 바로바로 목표물의 위치와 거리에 따라 조준경(200)의 배율 및 초점을 재조정하여 사격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사격을 마무리한 다음, 조준경(200) 내지 이를 부착한 소총(미도시)을 이동하거나 보관할 때 막대(13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 걸치적거리지 않게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수납가방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0: 대물경통 11: 대물뭉치
20: 중부경통 21: 크리크뭉치
23: 내부뭉치 25: 변배렌즈
27: 변배전륜 30: 접안경통
31: 접안뭉치 33: 망선뭉치
100: 변배조정구 110: 회전단
111: 몸체 112: 회전축
113: 관통공 114: 제1측벽
115: 제2측벽 116: 제3측벽
117: 밀림단 118: 탄성수단
119: 유동홈 120: 회전뭉치
130: 막대 131: 끝면
132: 측면 200: 조준경
210: 경통

Claims (6)

  1. 조준경 경통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링(Ring) 형상이고 외부 둘레 일측에 회전단이 구비된 회전뭉치; 및
    상기 회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막대를 포함하고,
    회전단의 내부에 실장된 탄성수단; 및
    상기 탄성수단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막대의 말단과 접촉하는 수평의 밀림단을 더 포함하는 변배조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은
    상기 회전뭉치로부터 상방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막대의 말단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방과 일측방이 개구된 몸체; 및
    상기 일측방에 이웃하는 양측방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상기 막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변배조정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 상기 경통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내면은 상기 회전뭉치로부터 수직으로 상방 연장된 변배조정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대의 말단 모서리가 모따기 된 변배조정구.
  6. 청구항 1 내지 3 또는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변배조정구;
    상기 변배조정구가 장착되는 경통; 및
    상기 경통의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변배조정구의 조정에 따라 수평 이동하는 변배렌즈를 포함하는 조준경.
KR1020100041935A 2010-05-04 2010-05-04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KR10121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35A KR101211133B1 (ko) 2010-05-04 2010-05-04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US13/011,728 US8625211B2 (en) 2010-05-04 2011-04-15 Variable magnification device and telescopic sigh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35A KR101211133B1 (ko) 2010-05-04 2010-05-04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421A KR20110122421A (ko) 2011-11-10
KR101211133B1 true KR101211133B1 (ko) 2012-12-11

Family

ID=4539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935A KR101211133B1 (ko) 2010-05-04 2010-05-04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25211B2 (ko)
KR (1) KR101211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30A (ko) 2015-08-25 2017-03-07 임도현 개량형 변배 조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3813B2 (en) 2012-09-13 2017-06-20 Christopher V. Beckman Targeting adjustments to control the impact of breathing, tremor, heartbeat and other accuracy-reducing factors
US10591252B2 (en) * 2016-09-28 2020-03-17 Burris Company Optical device having removable optical setting lever
DE102016120602A1 (de) * 2016-10-27 2018-05-03 Schmidt & Bender Gmbh & Co. Kg Zielfernrohr mit Verstellhilfe
USD923739S1 (en) * 2017-03-03 2021-06-29 Eotech, Llc Rifle scope
US11464113B2 (en) 2019-02-15 2022-10-04 Lg Magna E-Powertrain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SD907160S1 (en) * 2020-06-30 2021-01-05 II Charles A. McCoy Lever for optical scop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8324A (en) 1969-01-09 1971-03-09 Colt S Inc Battle sight for an auxiliary projectile launcher
US5406733A (en) 1993-07-19 1995-04-18 Tarlton; A. Mac Firearm leveling device
JP2009520945A (ja) 2005-12-21 2009-05-28 マシューズ,ニコラス,デビッド,ジョン ライフルスコープおよび整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875A (en) * 1990-06-20 1993-01-19 Berry Jr Waldo A Scope adjustment for firearms
US5521757A (en) * 1991-09-03 1996-05-28 Olson; Kevin Adjustment lever for attachment to a scope adjustment 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8324A (en) 1969-01-09 1971-03-09 Colt S Inc Battle sight for an auxiliary projectile launcher
US5406733A (en) 1993-07-19 1995-04-18 Tarlton; A. Mac Firearm leveling device
JP2009520945A (ja) 2005-12-21 2009-05-28 マシューズ,ニコラス,デビッド,ジョン ライフルスコープおよび整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30A (ko) 2015-08-25 2017-03-07 임도현 개량형 변배 조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05951A1 (en) 2012-05-03
US8625211B2 (en) 2014-01-07
KR20110122421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133B1 (ko) 변배조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US10317171B2 (en) System for sight adjustment
US8015744B1 (en) Folding rear sight with dual purpose sighting elements
US8074394B2 (en) Riflescope with image stabilization
AU2016320833B2 (en) Dynamic laser marker display for aimable device
ES2921177T3 (es) Sistema de puntería de arma de fuego con telémetro y método para adquirir un blanco
RU252449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направления прицеливания для винтовок и короткоствольного оружия и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US20160102941A1 (en) Sight Assembly
US8407924B2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WO2014148766A1 (ko) 비동축형 견착부와 조준기를 갖는 굴절형 화기
US20130298438A1 (en) Method of Movement Compensation for a Weapon
US10254080B2 (en) Trajectory correcting device and sight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314283A1 (en) Telescopic gun sight with magnification-invariant reticle
US20150268459A1 (en) Linear Power Adjustment Mechanism For Telescopic Sights For Firearms
US20170059847A1 (en) Variable magnification device
JP7263373B2 (ja) 照準点情報を計算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389045B2 (en) Aiming device for guns
CN116235019A (zh) 具有归零锁定的转台
KR20220159954A (ko) 줌 셀
EP4285070A1 (en) Alignment mechanism
RU2631156C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и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с её применением
RU2568955C1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US20210164758A1 (en) Riflescope with Optical Aiming Corrector
RU2589434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бокового наклона оружия оптическим прицелом
RU2534504C1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