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557B1 -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557B1
KR101778557B1 KR1020160110145A KR20160110145A KR101778557B1 KR 101778557 B1 KR101778557 B1 KR 101778557B1 KR 1020160110145 A KR1020160110145 A KR 1020160110145A KR 20160110145 A KR20160110145 A KR 20160110145A KR 101778557 B1 KR101778557 B1 KR 10177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server
fire
signal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준희
김준우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비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to KR102016011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은, 소화기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감지장치를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무선공유기; 및 통신망을 통해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의 작동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재현과정에서 훈련자에게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시킬 수 있고, 소화훈련과정이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감지, 통제 및 기록되도록 이루어지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FIRE EXTINGUISHER USAGE SENSING SYSTEM AND FIRE EXTINGUISHER USAGE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재현과정에서 훈련자에게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화활동(extinguish active)의 첫걸음은 연소반응을 억제해서 인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다음은 반응(反應)을 종결시키는 활동으로 옮기게 된다.
화재는 초기에 제어와 진화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요망되며, 이것을 초기소화라고 한다. 화재의 조기발견과 통보 및 소화활동의 신속이 요구되며,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자동적인 경보기와 고정소화설비의 설치나 초기소화설비의 준비와 취급훈련을 철저하게 도모해야 한다.
화재란 인위적으로 제어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연소반응이라 할 수 있으므로 소화활동의 첫째는 반응을 억제해서 인위적인 제어 하에 두는 것이며, 결국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한 활동을 소화활동이라고 한다.
화재반응의 초기는 반응량도 적고 발생열량도 적기 때문에 제어와 진화와는 거의 한개 활동으로 끝난다. 소위 초기소화이며 이 시기에 화재를 제압하는 것이 소화의 이상이다. 조기 발견과 신속한 활동이 필요하며 경보기, 자동소화설비의 완비가 요망된다.
소화활동에 가장 주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은 화학공장 등 각종 공장의 화재다. 화재 반응계가 단순한 가연물과 산소의 혼합계에 멈추지 않고, 공장 내의 각종 기재와 소화용의 재료와의 반응이 합쳐지며 또 소화제가 효력을 상실하거나 또는 반대로 반응을 조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리 개개 공장 등에서 취급하는 물질에 대해서 소화방법을 잘 검토해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소화방법의 검토는 일반화재에 대해서도 중요하며 소화의 실제적인 원칙은 연소의 화학이 아니고 소화활동의 예비적인 훈련이라고 할 수도 있다.
소화활동은 화재형태,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발생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소화약재와 소화방법을 사용하여야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소화훈련이 요구된다.
그러나 사실상 정기적인 소화훈련은 소방공무원들만 실시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은 소화기의 사용방법조차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일반인들도 쉽게 접하여 소화방법을 익힐 수 있는 가상 소화훈련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7953호에는 모의 소방훈련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127953호는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화재발생시 행동요령과 실제 화재발생 상황이 포함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동영상이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원격조절하는 셋탑박스와, 동영상에 포함된 경보와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앰프 및 스피커를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동영상 표시 중에 모니터를 향해 연무를 분사할 수 있게 구비된 복수의 연무소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 내부에 다양한 화재상황과 화재대응요령이 포함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수용시키고, 실제로 연무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을 체험하도록 하여 피교육생이 응급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7953호의 모의 소방훈련 시스템은 훈련자가 모니터 앞에서 정지한 상태로 수행됨에 따라, 실제 화재현장의 긴박한 분위기를 재연하지 못하고 소화과정을 단순히 숙지시키는 형태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훈련자는 긴장감 및 집중력이 감소한 상태에서 형식적으로 훈련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소화방법을 제대로 숙지하게 되면, 실제 화재상황 발생시 불길을 초기에 진압함으로써, 인명과 재화의 크나큰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실제 화제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하여 집중된 상태에서 몸으로 체득하게 하고, 동시에 훈련과정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18306호 (등록일: 2015.04.30)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7953호 (등록일: 2012.03.12)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재현과정에서 훈련자에게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시킬 수 있고, 소화훈련과정이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감지, 통제 및 기록되도록 이루어지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화기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무선공유기;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기의 작동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호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상기 소화기의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는 버튼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 및 상기 버튼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감지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화기의 나팔에는 레이저 포인터가 설치되고,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출력장치; 및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서버에 신호를 송신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공유기는 제1 무선공유기 및 제2 무선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공유기 또는 상기 제2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감지장치의 신호 수신시 상기 제1 무선공유기 및 상기 제2 무선공유기에 개별할당된 아이피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화기에 장착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안내장치의 작동을 통해 상기 소화기의 작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안전핀의 분리를 안내하는 핀안내장치; 상기 소화기의 호스의 작동을 안내하는 호스안내장치; 상기 소화기의 레버의 작동을 안내하는 레버안내장치; 및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핀안내장치, 상기 호스안내장치 및 상기 레버안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내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화기에 설치된 감지제어부가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무선공유기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되는 접속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감지제어부의 접속을 확인하고 상기 소화기의 호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소화기의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는 버튼센서의 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대기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버튼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기의 작동정보를 기록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한 출력장치가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화재표시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버튼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소화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감지제어부에 상기 소화기의 나팔에 설치된 레이저 포인터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저작동단계; 상기 출력장치와 함께 설치된 광검출기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서버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단계; 및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한 출력장치가 화재발생 표시를 해제하는 표시해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화단계는, 상기 서버가 안내제어부에 상기 소화기의 안전핀의 분리를 안내하는 핀안내장치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안내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소화기의 안전핀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확인단계; 상기 서버가 안내제어부에 상기 호스의 작동을 안내하는 호스안내장치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안내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울기센서의 기울기 변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확인단계; 상기 서버가 안내제어부에 상기 레버의 작동을 안내하는 레버안내장치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3 안내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버튼센서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3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과 무선공유기를 통해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의 작동정보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기록함으로써, 화재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재현과정에서 훈련자에게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시킬 수 있고, 소화훈련과정이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감지, 통제 및 기록되도록 이루어지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에서 신호 및 정보가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
도 3은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의 소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의 소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은, 화재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재현과정에서 훈련자에게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시킬 수 있고, 소화훈련과정이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감지, 통제 및 기록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에서 신호 및 정보가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 도 3은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의 소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의 소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은, 화재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면서도, 재현과정에서 훈련자에게 소화기(1)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감지장치(100), 무선공유기(200), 서버(300), 출력장치(400), 광검출기(500) 및 안내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은 인공구조물이나 자연구조물에 설치되어 인공구조물이나 자연구조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훈련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을 가진 3층 주택건물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장치(100)는 소화기(1)의 작동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감지센서(110), 기울기센서(120), 버튼센서(130) 및 감지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센서(110), 기울기센서(120), 버튼센서(130) 및 감지제어부(140)는 소화기(1)마다 장착된다.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에 사용되는 소화기(1)는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소화기(1-1), 제2 소화기(1-2) 및 제3 소화기(1-3)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S10)은 실제 화재를 재연하지 않는 형태의 화재진압훈련에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화기(1)는 레버를 조작하더라도 소화약제(extinguishing agent)가 분출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110)는 소화기(1)에서 안전핀의 분리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안쪽에서 안전핀에 의해 눌린 형태로 설치된 버튼 형식의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훈련자가 소화기(1)에서 안전핀을 분리하면 안전핀에 의해 눌리던 버튼 형식의 센서가 돌출되며, 이 신호는 감지제어부(140)에 의해 서버(300)로 송신된다.
기울기센서(120)는 소화기(1) 호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또는 나팔에 장착된다. 호스는 평상시 소화기(1)에 결합된 후크 등에 의해 유동이 차단된 상태로 보관된다. 감지제어부(140)는, 기울기센서(120)가 평상시 대비 대략 45도에서 60도 이상의 기울기 차이를 측정하는 경우 서버(300)로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호스는 평상시 소화기(1)에 결합된 후크 등에 의해 유동이 차단된 상태로 보관되고, 소화기(1)가 운반되는 경우에도 소화기(1)는 대체로 세워진 상태로 운반되므로, 훈련과정에서 훈련자가 호스를 후크 등으로부터 분리하기 전까지 감지제어부(140)가 기울기센서(120)에 의한 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버튼센서(130)는 소화기(1)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또는 아래쪽 레버에 장착된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버튼센서(130)가 아래쪽 레버에 장착된 것으로 설명하면) 버튼센서(130)는, 훈련자가 소화약제의 분출을 위해 레버를 조작하기 전까지 버튼센서(130)는 작동하지 않으며, 훈련자가 소화약제의 분출을 위해 레버를 조작하면 위쪽 레버에 의해 눌려 이 신호는 감지제어부(140)에 의해 서버(300)로 송신된다.
감지제어부(140)는 감지센서(110), 기울기센서(120) 및 버튼센서(130)의 신호를 수신하고 서버(300)와 정보를 주고받는 구성으로서, MCU(micro controller unit)로 이루어져 서버(3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감지제어부(140)에는 무선공유기(200)와 연결되도록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이 탑재된다. 감지제어부(140)는 소화기(1)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공유기(200)는 감지장치(100), 출력장치(400), 광검출기(500) 및 안내장치(600)를 통신망(N)에 접속시키는 구성으로서, 화재진압훈련이 수행되는 장소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도 1에는 각층 및 옥상에 제1 무선공유기(210), 제2 무선공유기(220), 제3 무선공유기(230) 및 제4 무선공유기(24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복수의 무선공유기(200)에는 서로 다른 IP 주소가 설정된다. 복수의 무선공유기(200)에 서로 다른 IP 주소가 설정되면, 화재진압훈련시 (소화기(1)마다 설치된) 감지제어부(140)가 각각의 무선공유기(200)에 접속되거나 접속해제되는 정보를 서버(300)가 수신하여 무선공유기(200)의 IP 주소를 통해 소화기(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에게 복잡한 동선을 유도하는 화재진압훈련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원격지에서 통신망(N)을 통해 감지장치(1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1)의 작동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출력장치(400) 및 안내장치(600)에 작동신호를 송신하고, 감지장치(1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1) 및 출력장치(400)의 작동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게 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장치(400)는 서버(300)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구조물의 벽면 등에 영상을 비추는 영상출력장치(400)인 프로젝터(projector)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 가상선 사각형 부분은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화재영상이 벽면에 표시되는 영역(이하 '출력영역')을 의미한다.
출력장치(400)는 화재진압훈련이 수행되는 장소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도 1에는 각층 및 옥상에 제1 출력장치(410), 제2 출력장치(420), 제3 출력장치(430) 및 제4 출력장치(44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각각의 출력장치(400)는 무선공유기(200)와 연결되도록 무선랜카드가 탑재된 모델로 구비되며, 서버(300)의 제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검출기(500)는 레이저 포인터(LP)의 빛을 감지하여 서버(300)에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서, 출력영역의 중앙에 설치된다. 레이저 포인터(LP)는 소화기(1)의 나팔에 설치된다.
따라서 훈련자가 소화기(1)의 호스를 출력영역으로 향하게 조작하면, 광검출기(500)가 레이저 포인터(LP)의 빛을 감지하여 이 신호를 서버(300)에 송신하게 된다. 광검출기(500)는 공지된 기술로서, 광검출기(500)가 빛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술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장치(600)는 소화기(1)의 작동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핀안내장치(610), 호스안내장치(620), 레버안내장치(630) 및 안내제어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핀안내장치(610), 호스안내장치(620), 레버안내장치(630) 및 안내제어부(640)는 소화기(1)마다 장착된다. 핀안내장치(610), 호스안내장치(620) 및 레버안내장치(630)는 빛을 발광하는 장치나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LED 모듈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핀안내장치(610)는 소화기(1)의 안전핀의 분리를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핀의 옆쪽에 설치된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훈련자는 핀안내장치(610)의 발광을 통해 '지금이 안전핀을 분리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호스안내장치(620)는 소화기(1)의 호스의 작동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또는 나팔에 장착된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훈련자는 호스안내장치(620)의 발광을 통해 '지금이 호스를 조작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레버안내장치(630)는 소화기(1)의 레버의 작동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또는 아래쪽 레버에 장착된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훈련자는 레버안내장치(630)의 발광을 통해 '지금이 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안내제어부(640)는 통신망(N)을 통해 서버(300)의 신호를 수신하여 핀안내장치(610), 호스안내장치(620) 및 레버안내장치(6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MCU(micro controller unit)로 이루어져 서버(3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안내제어부(640)에는 무선공유기(200)와 연결되도록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이 탑재된다. 안내제어부(640)는 소화기(1)에 장착된다. 화재진압훈련 과정에서 서버(300)는 안내장치(600)의 작동을 통해 소화기(1)의 작동을 안내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술한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을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S10)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S10)은 접속단계(S100), 대기단계(S200) 및 수신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단계(S100)는 소화기(1)에 설치된 감지제어부(140)가 서버(300)와 통신망(N)으로 연결된 무선공유기(200)를 통해 통신망(N)에 접속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에서 감지장치(100)와 안내장치(600)가 장착된 소화기(1), 무선공유기(200), 출력장치(400) 및 광검출기(500)는 접속단계(S100) 이전에 화재진압훈련이 이루어지기로 계획된 인공구조물 또는 자연구조물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이 옥상을 가진 3층 주택건물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소화기(1-1), 제1 무선공유기(210), 제1 출력장치(410) 및 제1 광검출기(510)는 1층에 배치되고, 제2 소화기(1-2), 제2 무선공유기(220), 제2 출력장치(420) 및 제2 광검출기(520)는 2층에 배치되며, 제3 소화기(1-3), 제3 무선공유기(230), 제3 출력장치(430) 및 제3 광검출기(530)는 3층에 배치되고, 제4 무선공유기(240), 제4 출력장치(440) 및 제4 광검출기(540)는 옥상에 배치된다. 이때 무선공유기(200)는 층마다 출력장치(400) 및 광검출기(500)와 인접한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선공유기(210), 제2 무선공유기(220), 제3 무선공유기(230) 및 제4 무선공유기(240)는 접속단계(S100) 이전에 IP 주소가 개별 할당된 상태로 통신망(N)에 접속된다.
초기 화재가 발생하는 위치 및 형태, 그리고 화재가 발전하는 형태 및 속도는 구조물의 형태, 구조물의 재질, 환풍 형태 등 구조물마다 서로 다르다. 따라서 화재발생을 미리 대비하는 화재진압훈련은 구조물마다 구조물의 형태, 구조물의 재질, 환풍 형태 등을 파악하여 서로 다른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
아래에서는 3층 주택건물의 화재진압훈련 계획의 하나의 예(이하 '주택용 A 계획')로서, 화재가 3층의 오른쪽 방에서 시작되어 옥상 및 1층의 오른쪽 구역으로 발전한 상태를 가상하여 모의한 형태로 설명하고자 한다. 주택용 A 계획은 제3 소화기(1-3)로 3층 및 옥상의 화재를 진압한 후, 제1 소화기(1-1)로 1층의 화재를 진압하는 훈련계획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장치(100)와 안내장치(600)가 장착된 소화기(1), 무선공유기(200), 출력장치(400) 및 광검출기(500)가 건물에 설치된 후 각각의 전원(배터리 또는 건물전원)을 켜면, 감지장치(100), 무선공유기(200), 출력장치(400), 광검출기(500) 및 안내장치(600)가 서버(300)와 통신망(N)으로 연결된 무선공유기(200)를 통해 각각 통신망(N)에 접속되면서 접속단계(S100)가 개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속단계(S100)가 개시되면, 서버(300)와 연결된 관리자의 화면에는 소화기(1)에 설치된 감지장치(100)가 통신망(N)에 접속된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활성화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계(S100) 이후에는 대기단계(S200)가 수행된다. 대기단계(S200)는 서버(300)가 감지제어부(140)의 접속을 확인하고 소화기(1)의 호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120)와 소화기(1)의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는 버튼센서(130)의 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이다.
대기단계(S200) 이후에는 수신단계(S300)가 수행된다. 수신단계(S300)는, 서버(300)가 기울기센서(120)와 버튼센서(1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1)의 작동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로서, 화재표시단계(S310), 소화단계(S320), 레이저작동단계(S330), 신호송신단계(S340) 및 표시해제단계(S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재단계는 서버(300)의 신호를 수신한 출력장치(400)가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 따라 3층에 설치된 제3 출력장치(430)가 제3 광검출기(530)가 설치된 벽을 향해 화재 영상(이하 '3층 화재 영상')을 조사하고, 1층에 설치된 제1 출력장치(410)가 제1 광검출기(510)가 설치된 벽을 향해 화재 영상(이하 '1층 화재 영상')을 조사하며, 옥상에 설치된 제4 출력장치(440)가 제4 광검출기(540)가 설치된 벽을 향해 화재 영상(이하 '옥상 화재 영상')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출력장치(400)는 화재를 표현하는 음향을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단계(S320)는 서버(300)가 기울기센서(120)와 버튼센서(130)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1 안내단계(S321), 제1 확인단계(S322), 제2 안내단계(S323), 제2 확인단계(S324), 제3 안내단계(S325) 및 제3 확인단계(S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안내단계(S321)는, 서버(300)가 안내제어부(640)에 핀안내장치(61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핀안내장치(610)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은 안내제어부(640)는 LED 모듈로 구비된 핀안내장치(61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시킨다.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서는 서버(300)가 먼저 제3 소화기(1-3)에 장착된 안내제어부(640)에 핀안내장치(61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훈련자는 제3 소화기(1-3)에 장착된 핀안내장치(610)의 발광을 통해 '지금이 안전핀을 분리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제1 확인단계(S322)는, 서버(300)가 소화기(1)의 안전핀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10)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제1 안내단계(S321)가 개시된 후 훈련자가 제3 소화기(1-3)의 안전핀을 이탈시키면, 이를 감지한 감지센서(110)의 신호가 감지제어부(140)로부터 통신망(N)을 통해 서버(300)로 전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내단계(S323)는, 서버(300)가 안내제어부(640)에 호스안내장치(62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호스안내장치(620)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은 안내제어부(640)는 LED 모듈로 구비된 호스안내장치(6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시킨다.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서는 서버(300)가 제3 소화기(1-3)에 장착된 안내제어부(640)에 호스안내장치(62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훈련자는 제3 소화기(1-3)에 장착된 호스안내장치(620)의 발광을 통해 '지금이 호스를 조작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제2 확인단계(S324)는, 서버(300)가 기울기센서(120)의 기울기 변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제2 안내단계(S323)가 개시된 후 훈련자가 제3 소화기(1-3)의 호스를 3층 화재 영상을 향해 조준하면, 이를 감지한 기울기센서(120)의 기울기 변화 신호가 감지제어부(140)로부터 통신망(N)을 통해 서버(300)로 전달된다.
제3 안내단계(S325)는, 서버(300)가 안내제어부(640)에 레버안내장치(63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레버안내장치(630)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은 안내제어부(640)는 LED 모듈로 구비된 레버안내장치(63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시킨다.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서는 서버(300)가 제3 소화기(1-3)에 장착된 안내제어부(640)에 레버안내장치(63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훈련자는 제3 소화기(1-3)에 장착된 레버안내장치(630)의 발광을 통해 '지금이 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제3 확인단계(S326)는, 서버(300)가 버튼센서(130)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제3 안내단계(S325)가 개시된 후 훈련자가 제3 소화기(1-3)의 레버를 작동시키면, 이를 감지한 버튼센서(130)의 작동 신호가 감지제어부(140)로부터 통신망(N)을 통해 서버(300)로 전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확인단계(S326) 이후에는 레이저작동단계(S330)가 수행된다. 레이저작동단계(S330)는, 서버(300)가 감지제어부(140)에 소화기(1)의 나팔에 설치된 레이저 포인터(LP)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서는 제3 소화기(1-3)에 설치된 감지제어부(140)가 서버(300)의 신호를 송신하여 레이저 포인터(LP)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도 4 참조)
레이저작동단계(S330) 이후에는 신호송신단계(S340)가 수행된다. 신호송신단계(S340)는 광검출기(500)가 레이저 포인터(LP)의 빛을 감지하여 서버(300)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서는 제3 광검출기(530)가 3층 화재 영상을 조준한 레이저 포인터(LP)의 빛을 감지하여 서버(300)에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신호송신단계(S340) 이후에는 표시해제단계(S350)가 수행된다. 표시해제단계(S350)는 서버(300)의 신호를 수신한 출력장치(400)가 화재발생 표시를 해제하는 단계로서,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서는 제3 출력장치(430)가 화재발생 표시를 해제하게 된다.
이후, 훈련자는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 따라 제3 소화기(1-3)를 들고 옥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훈련자가 옥상으로 이동하여 제3 소화기(1-3)의 감지제어부(140)가 제4 무선공유기(240)에 접속되면, 제3 소화기(1-3)를 사용하여 옥상 화재 영상을 진압하기 위한 제3 안내단계(S325), 제3 확인단계(S326), 레이저작동단계(S330), 신호송신단계(S340) 및 표시해제단계(S350)가 다시 한번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훈련자는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 따라 제3 소화기(1-3)를 옥상에 놓고 1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훈련자가 1층으로 이동하면, 제1 소화기(1-1)를 사용하여 1층 화재 영상을 진압하기 위한 소화단계(S320), 레이저작동단계(S330), 신호송신단계(S340) 및 표시해제단계(S350)가 다시 한번 수행된다.
1층 화재 영상까지 진압하면, 상술한 주택용 A 계획에 따른 화재진압훈련이 완료된다. 화재진압훈련이 완료된 후, 소화기(1), 무선공유기(200), 출력장치(400) 및 광검출기(500)는 회수되어, 차후 화재진압훈련이 실시되는 다른 구조물에 다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S10)의 각 단계에서 감지장치(100), 무선공유기(200), 출력장치(400), 광검출기(500) 및 안내장치(600) 각각이 서버(30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은 정보는 서버(300)에 모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S10)에 따른 화재진압훈련을 여러 구조물에서 진행하게 되면, 서버(300)에는 훈련자별, 구조물별, 화제진압계획별로 정리할 수 있는 화재진압훈련의 방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축적되며, 이를 통해 좀 더 효율적인 화제진압계획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과 무선공유기를 통해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의 작동정보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기록함으로써, 화재상황 및 소화활동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재현과정에서 훈련자에게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정확히 숙지시킬 수 있고, 소화훈련과정이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감지, 통제 및 기록되도록 이루어지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1 : 소화기 400 : 출력장치
1-1 : 제1 소화기 410 : 제1 출력장치
1-2 : 제2 소화기 420 : 제2 출력장치
1-3 : 제3 소화기 430 : 제3 출력장치
LP : 레이저 포인터 440 : 제4 출력장치
N : 통신망 500 : 광검출기
100 : 감지장치 510 : 제1 광검출기
110 : 감지센서 520 : 제2 광검출기
120 : 기울기센서 530 : 제3 광검출기
130 : 버튼센서 540 : 제4 광검출기
140 : 감지제어부 600 : 안내장치
200 : 무선공유기 610 : 핀안내장치
210 : 제1 무선공유기 620 : 호스안내장치
220 : 제2 무선공유기 630 : 레버안내장치
230 : 제3 무선공유기 640 : 안내제어부
240 : 제4 무선공유기
300 : 서버
S10 :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S100 : 접속단계
S200 : 대기단계
S300 : 수신단계
S310 : 화재표시단계
S320 : 소화단계
S321 : 제1 안내단계
S322 : 제1 확인단계
S323 : 제2 안내단계
S324 : 제2 확인단계
S325 : 제3 안내단계
S326 : 제3 확인단계
S330 : 레이저작동단계
S340 : 신호송신단계
S350 : 표시해제단계

Claims (9)

  1. 소화기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무선공유기;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기의 작동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기의 나팔에는 레이저 포인터가 설치되고,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의 벽면에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출력장치; 및
    훈련자가 상기 소화기의 호스를 상기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벽면을 향하게 조작하면,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서버에 신호를 송신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장치는 화재진압훈련이 수행되는 장소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호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상기 소화기의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는 버튼센서; 및
    상기 기울기센서 및 상기 버튼센서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감지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유기는 제1 무선공유기 및 제2 무선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공유기 또는 상기 제2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감지장치의 신호 수신시 상기 제1 무선공유기 및 상기 제2 무선공유기에 개별할당된 아이피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에 장착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안내장치의 작동을 통해 상기 소화기의 작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안전핀의 분리를 안내하는 핀안내장치;
    상기 소화기의 호스의 작동을 안내하는 호스안내장치;
    상기 소화기의 레버의 작동을 안내하는 레버안내장치; 및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핀안내장치, 상기 호스안내장치 및 상기 레버안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내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7. 소화기에 설치된 감지제어부가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무선공유기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되는 접속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감지제어부의 접속을 확인하고 상기 소화기의 호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소화기의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는 버튼센서의 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대기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버튼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기의 작동정보를 기록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한 출력장치가 구조물의 벽면에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화재표시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울기센서와 상기 버튼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소화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감지제어부에 상기 소화기의 나팔에 설치된 레이저 포인터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저작동단계;
    훈련자가 상기 소화기의 호스를 상기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벽면을 향하게 조작하면, 상기 출력장치와 함께 설치된 광검출기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빛을 감지하여 상기 서버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단계; 및
    상기 서버의 신호를 수신한 출력장치가 화재발생 표시를 해제하는 표시해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장치는 화재진압훈련이 수행되는 장소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단계는,
    상기 서버가 안내제어부에 상기 소화기의 안전핀의 분리를 안내하는 핀안내장치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안내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소화기의 안전핀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확인단계;
    상기 서버가 안내제어부에 상기 호스의 작동을 안내하는 호스안내장치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안내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기울기센서의 기울기 변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확인단계;
    상기 서버가 안내제어부에 상기 레버의 작동을 안내하는 레버안내장치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제3 안내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버튼센서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3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KR1020160110145A 2016-08-29 2016-08-29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KR10177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45A KR101778557B1 (ko) 2016-08-29 2016-08-29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45A KR101778557B1 (ko) 2016-08-29 2016-08-29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557B1 true KR101778557B1 (ko) 2017-09-18

Family

ID=6003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45A KR101778557B1 (ko) 2016-08-29 2016-08-29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14A (ko) * 2019-12-20 2021-06-30 조민지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20220109020A (ko) * 2021-01-28 2022-08-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마트 화재 알림 소화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14A (ko) * 2019-12-20 2021-06-30 조민지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102278554B1 (ko) * 2019-12-20 2021-07-16 조민지 발광형 안내 장치를 구비한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20220109020A (ko) * 2021-01-28 2022-08-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마트 화재 알림 소화기 시스템
KR102558126B1 (ko) * 2021-01-28 2023-07-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스마트 화재 알림 소화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4339B2 (ja)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US11951344B2 (en) Fire simulator
CN111317940A (zh) 一种森林自动灭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1049635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消防系统
KR101778557B1 (ko) 소화기 사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사용 감지 방법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7131362A (ja) エレベーターの避難運転装置
CN112439151B (zh) 一种模拟火源、模拟灭火器及仿真灭火教学系统
EP34039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utdoor evacuation guidance using an uav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008778A1 (ko)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13487929A (zh) 一种vr多人协作模拟灭火方法
KR101875170B1 (ko)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09821178B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消防系统
WO2011015562A1 (en) Method for training the use of fire-fighting equipment
JP2010046316A (ja) 消火システム
CN111161585A (zh) 消防互动体验系统及其互动体验控制方法
KR20200137145A (ko) 소방 훈련 평가용 교보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 훈련 평가 방법
CN211787632U (zh) 消防互动体验系统
KR100758559B1 (ko) 화재 진압 교육 시스템
KR20200045236A (ko)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방법, 시스템
KR20100033103A (ko) 열차 안전사고 체험 장치
KR102158414B1 (ko) 화재안전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CN113648585A (zh) 一种模拟消防演练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