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170B1 -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170B1
KR101875170B1 KR1020160145656A KR20160145656A KR101875170B1 KR 101875170 B1 KR101875170 B1 KR 101875170B1 KR 1020160145656 A KR1020160145656 A KR 1020160145656A KR 20160145656 A KR20160145656 A KR 20160145656A KR 101875170 B1 KR101875170 B1 KR 10187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re
unit
flam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582A (ko
Inventor
정호연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갑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1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체감형 소방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화재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레이저 빔 조사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화재 영상에 상기 레이저 빔 조사부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소화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스크린을 촬영하여 스크린으로 조사된 레이저 빔의 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스크린에 조사된 화재 영상과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화재 영상에 포함된 화염의 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본체와 영상 출력부 사이에 형성되어 영상 출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영상 출력부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열방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출력부에서 영상 출력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본체의 내부 프로그램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난체험 또는 소방훈련과 관련하여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등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통상 실제 상황에 근접하는 화재상황을 시뮬레이터를 통해 재현하여 소방관들이 소방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일반인들이 화재현장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체험 시설을 일반인 모드와 전문가 모드로 전환 가동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나 성인 등의 일반인 및 소방관등의 재난전문가의 훈련에 호환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체험 교육 시스템이 있다. 상기 재난체험 교육 시스템은 국내 등록 특허공보 등록특허 10-0865028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국내 등록 특허공보 등록특허 10-0865028호는 단순하게 화재 등의 재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화재의 진압을 체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하는 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체감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크게 배양시킬 수 있으며, 내부 프로그램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크린에 조사된 화재 영상에 소화기를 반응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상기 화재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레이저 빔 조사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화재 영상에 상기 레이저 빔 조사부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소화기;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을 촬영하여 상기 스크린으로 조사된 레이저 빔의 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에 조사된 화재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영상에 포함된 화염의 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영상 출력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 출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출력부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열방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3D 화염 표현을 위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해당 영상을 영상 출력부로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입자 이미지를 포함하되, 상기 입자 이미지는 상기 화염의 크기에 따른 화염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염이 옮겨 붙는 과정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미지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 되면 옮겨질 발화점에 작은 크기의 입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염 이미지는
Figure 112016107478413-pat00001
의 확률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Sp(t)는 시간 t일때의 입자 이미지의 크기,
Figure 112016107478413-pat00002
는 설정된 양, Smax는 미리 지정된 입자 이미지의 크기임)
상기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스크린의 측면 또는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영상에 포함된 화염의 크기에 상응하는 열풍이 분사되도록 상기 열풍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부가 출력하는 화재영상에 메인컴퓨터가 화염영상을 출력한 상태에서 화재진압을 체험하고자 하는 어린이 또는 성인 체험자가 소화기를 이용하여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하는 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체감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크게 배양시킬 수 있다. 또한, 역 소방서, 소방 방재청, 어린이 체험장, 전국 유치원, 어린이집 등을 포함한 국내 소방관련 관공서에서 어떤 시간, 어떤 상황에서도 화재진압체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순수 국산기술을 사용하여 개발 생산이 가능하기에 해외장비를 수입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저렴한 단가에 유통이 가능하여 어느 교육시설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출력부가 분리되어 내부 열에 의해 발생되는 프로그램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화재 영상의 변화를 표시하여 체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뮬레이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뮬레이터의 후면을 도시한 후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스크린(110), 소화기(30), 열풍기(70), 조명부(80) 및 시뮬레이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린(110)은 시뮬레이터(100)에서 출력되는 화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소화기(30)는 스크린(110)에 표시된 화재 영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소화기(30)는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30)의 형태를 가지며, 무게 등이 동일한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소화기(30)는 소화분말 배출구측에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빔 조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레이저 빔 조사부는 소화기(30)의 분사 노즐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빔 조사부는 시뮬레이터(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레이저 밈 조사부의 동작을 시뮬레이터(1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열풍기(70)는 열선 코일과 팬을 구비하여, 열기를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열풍기(70)는 화염 영상의 크기에 상응하여 열풍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풍기(70)는 스크린(110)에 출력되는 화염 영상이 작아지면 열기의 세기도 약해지고, 화염 영상이 커지면 열기의 세기도 강해 지도록 제어부(5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열풍기(7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풍기(70)는 스크린(110)에 표시된 화재 영상의 화염의 개수대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열풍기(70)는 체험자에게 각각의 화염 영상의 크기대로 열기의 세기가 다른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열풍기(70)는 화재 현장의 화염의 열기를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조명부(80)는 화재 영상에 표시된 화염 영상의 크기에 상응하여 밝기가 조절된다. 조명부(80)는 화염 영상의 크기가 작아지면 밝기도 줄어들고, 화염 영상이 커지면 밝기도 밝아질 수 있다. 조명부(80)는 밝기의 가변 효과를 증감시켜주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조명부(80)는 화재 현장에 생동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시뮬레이터(100)는 스크린(110)에 화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터(100)는 전방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0)가 구비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100)는 미리 저장된 화재 영상을 스크린(110)에 출력하며, 촬영부(20)에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다음 화재 영상을 스크린(11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뮬레이터(100)는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스크린(110)에 출력된 화재 영상과 촬영부(20)에서 촬영한 영상을 비교하여 화면에 레이저 빔의 위치를 비교하여 다음 화재 영상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빔의 위치가 화재 영상의 특정 영역에 위치할 경우에 화염의 크기가 작아지는 화재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터(100)는 다음 화재 영상을 스크린(110)에 출력하기 이전에 촬영부(20)에서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레이저 빔의 위치별 시간에 따라 다음 화재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100)는 레이저 빔이 화염의 범위내에 위치할 때까지 소화기(30)의 동작 신호를 소화기(30)에 출력한다. 시뮬레이터(100)는 레이저 빔이 화염의 범위에 위치하면, 소화기(30)의 정지 신호를 소화기(30)에 출력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100)는 열풍기(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뮬레이터(100)는 촬영된 화염 영상의 크기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 신호를 출력한다.
시뮬레이터(100)는 조명부(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뮬레이터(100)는 촬영된 화염 영상의 크기에 따라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의 도 2및 도 3을 참조하여 시뮬레이터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시뮬레이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뮬레이터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시뮬레이터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후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시뮬레이터(100)는 본체(60), 영상 출력부(10), 촬영부(20), 스피커부(90), 저장부(40), 제어부(50) 및 지지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버튼, 볼륨 버튼, 스피커 조절 버튼 등의 버튼부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60)는 촬영부(20), 스피커부(90), 저장부(40), 제어부(50) 등을 탑재할 수 있다. 본체(60)는 촬영부(20), 스피커부(90), 저장부(40), 제어부(50) 등의 구성요소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부(67)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0)는 저장부(40)에 저장된 화재 영상을 스크린(110)에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0)는 프로젝터 장치가 쓰일 수 있다.
이때, 영상 출력부(10)는 본체(6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영상 출력부(10)는 구동시 많은 열이 발생되므로 제어부(50)와 같이 설치될 경우 제어부(50)의 구성회로들이 자체열과 영상 출력부(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오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영상 출력부(10)는 본체(6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출력부(10)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열방출부(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열방출부(14)는 영상 출력부(10)의 후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팬 등의 강제 공기순환 장치가 형성될 수 있고, 영상 출력부(1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0)는 후면측에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거나, 거리조절 또는 상하, 좌우의 위치조절을 위한 버튼들(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부(10)와 본체(60)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부(18)를 구비한다.
지지부(1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부(10)와 본체(60)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지지부(18)는 360도 회전가능하며, 상하로 소정의 각도록 틸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촬영부(20)는 스크린(110)을 촬영하여 제어부(50)에 전송한다. 촬영부(20)는 통상의 촬영부(20)는 동영상 또는 순간 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0)는 스크린(110)을 격자형태의 미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분된 영역에 레이저 빔을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촬영부(20) 대신 레이저 빔 등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장부(40)는 스크린(110)에 표시될 화재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화염의 범위와 각 화염의 범위에 상응하는 배경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화재 발생 그래픽소프트웨어, 레이저 빔 위치 추적 소프트웨어, 소화기 제어용 소프트웨어 등의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40)는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쉬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40)는 3D 화염 표현을 위하여 복수의 2D 이미지를 저장하며, 제어부(5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40)는 복수의 입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입자 이미지는 화염의 크기에 따른 이미지 또는 소화액이나 소화분말의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65)은 시뮬레이터(100)의 작동 버튼이다. 전원 버튼의 작동은 적외선 센서에 의한 외부 리모컨을 이용할 수 있다. 전원 버튼은 본체(60)의 뒷쪽면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 버튼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리에 의해 상단면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부(90)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부(90)는 본체(6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부(90)는 체험자가 소리를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도록 소화기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볼륨 버튼은 스피커의 소리를 제어할 수 있다. 볼륨 버튼은 사용자의 편리에 의해 상단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화재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0)의 동작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면 촬영부(20)의 동작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화재 영상과 레이저 빔이 표시된 화염 영상을 비교하여 다음 화재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고, 화염의 크기에 상응하여 열풍기(70) 및 조명부(80)의 동작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실제 화재와 유사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3D 화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실제 화재 발생시 불이 점점 커지고 주변에 옮겨 붙는 상황을 표현하도록 화재 영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3D 화재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2D 이미지를 겹쳐지게 출력하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50)는 2D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화염 이미지 또는 다른 이미지 등의 입자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하여 입자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화염 영상이 동영상처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스크린에 출력되는 영상에 일정 시간 동안 배경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입자 이미지를 겹쳐지게 출력한다. 이때, 입자 이미지는 화염 이미지이다. 이후, 화재가 실시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화염의 크기가 큰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50)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수학식 1과 같이 화염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도록 점진적으로 이미지 크기가 큰 화염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Figure 112016107478413-pat00003
여기서, Sp(t)는 시간 t일때의 입자 이미지의 크기,
Figure 112016107478413-pat00004
는 설정된 양, Smax는 미리 지정된 입자 이미지의 크기임.
제어부(50)는 화염이 옮겨 붙는 과정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미지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 되면 옮겨질 발화점에 작은 크기의 입자 이미지를 출력한다. 제어부(50)는 발화점에 작은 크기의 입자 이미지 출력시 미리 지정된 위치 또는 랜덤하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옮겨진 발화점의 화염은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지속적으로 화염의 크기가 커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50)는 입자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실시간의 화재가 확산되는 상황을 실감나게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레이저 빔의 위치를 대비하여 화염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입자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소화기(30)가 동작함에 따라, 스크린(110)에 출력된 영상에서 레이저 빔의 위치를 이전 촬영된 영상과 대비하여 검출하고, 레이점 빔의 위치가 화염의 위치와 일치할 경우 점진적으로 작은 크기의 화염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소화기(30)가 작동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미리 저장된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의 분사 영상도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촬영부(20)에서 전송된 이전 영상의 레이저 빔의 위치와 현재 영상의 레이저 빔의 위치를 대비하고, 두 영상 사이의 시간을 계산한다. 제어부(50)는 영상 사이의 누적된 시간에 따라 화염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점진적으로 입자 이미지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소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사용자들이 게임 형식으로 소화기 사용 또는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소화기(30)를 구비하여 두 소화기(30)의 사용자의 경쟁을 유도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화재 진압을 한 사용자에게 점수 또는 승리 등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부가 출력하는 화재 영상에서 화재 진압을 체험하고자 하는 어린이 또는 성인 체험자가 소화기를 이용하여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하는 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체감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크게 배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출력부가 분리되어 내부 열에 의해 발생되는 프로그램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화재 영상의 변화를 표시하여 체험효과를 높일 수 있다.
10: 영상 출력부
18: 지지부
20: 촬영부
30: 소화기
40: 저장부
50: 제어부
60: 본체
70: 열풍기
80: 조명부
90: 스피커부
100: 시뮬레이터
110: 스크린

Claims (5)

  1. 스크린에 조사된 화재 영상에 소화기를 반응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상기 화재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레이저 빔 조사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화재 영상에 상기 레이저 빔 조사부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소화기;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을 촬영하여 상기 스크린으로 조사된 레이저 빔의 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에 조사된 화재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화재 영상에 포함된 화염의 크기를 가변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영상 출력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 출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출력부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열방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3D 화염 표현을 위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해당 영상을 영상 출력부로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입자 이미지를 포함하되, 상기 입자 이미지는 상기 화염의 크기에 따른 화염 이미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염이 옮겨 붙는 과정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미지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 되면 옮겨질 발화점에 작은 크기의 입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이미지는
    Figure 112017084096302-pat00005
    의 확률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여기서, Sp(t)는 시간 t일때의 입자 이미지의 크기,
    Figure 112017084096302-pat00006
    는 설정된 양, Smax는 미리 지정된 입자 이미지의 크기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측면 또는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영상에 포함된 화염의 크기에 상응하는 열풍이 분사되도록 상기 열풍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160145656A 2016-11-03 2016-11-03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87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656A KR101875170B1 (ko) 2016-11-03 2016-11-03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656A KR101875170B1 (ko) 2016-11-03 2016-11-03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82A KR20180049582A (ko) 2018-05-11
KR101875170B1 true KR101875170B1 (ko) 2018-07-05

Family

ID=6218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656A KR101875170B1 (ko) 2016-11-03 2016-11-03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972A (ko) 2019-11-22 2021-06-0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훈련 장치 및 훈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67B1 (ko) 2019-05-16 2019-09-11 권귀옥 소방 훈련용 교보재 세트
KR102452515B1 (ko) * 2020-08-27 2022-10-07 정성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482B2 (ja) * 1990-06-27 1999-04-12 株式会社京都科学 消火器操作練習装置
JP2016126271A (ja) * 2015-01-08 2016-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482B2 (ja) * 1990-06-27 1999-04-12 株式会社京都科学 消火器操作練習装置
JP2016126271A (ja) * 2015-01-08 2016-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972A (ko) 2019-11-22 2021-06-0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훈련 장치 및 훈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82A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8778A1 (ko)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US201700534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a Virtual Reality User of Real World Objects
KR101875170B1 (ko)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US20040113887A1 (en) partially real and partially simulated modular interactive environment
KR102137040B1 (ko) 혼합현실 기반의 화재환경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시뮬레이션 방법
KR100729632B1 (ko) 열연기 탈출체험시스템
KR20170090276A (ko) 가상현실 소방체험 시스템
CN106652625A (zh) 交互式虚拟现实消防训练系统
JP6259890B1 (ja) 据え置き型警備装置
KR101285630B1 (ko) 소방 훈련용 장치
KR102212241B1 (ko) 혼합현실 기반의 소방 체험 시스템
KR100969515B1 (ko) 시뮬레이션 런닝머신 시스템
KR101715819B1 (ko) 체감형 소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517292B1 (ko) 혼합 현실을 이용한 가상 화재 대응 교육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207282036U (zh) 一种用于混合现实应急演练系统的体验馆
KR101511600B1 (ko) 간이 설치형 화재 체험실
US20180280748A1 (en) Training system
KR20190112895A (ko) 화재진압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TWM551505U (zh) 休閒裝置
JPH0457086A (ja) 消火器操作練習装置
JPH10156047A (ja) 空中遊泳シアター
KR20100033103A (ko) 열차 안전사고 체험 장치
KR102321015B1 (ko) 스카이워크 영상 제어시스템
KR101254855B1 (ko) 극장용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 및 극장용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의 이벤트신호 입력 방법
JP2008185639A (ja) 模擬消火訓練用標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