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290B1 -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290B1
KR101778290B1 KR1020150178937A KR20150178937A KR101778290B1 KR 101778290 B1 KR101778290 B1 KR 101778290B1 KR 1020150178937 A KR1020150178937 A KR 1020150178937A KR 20150178937 A KR20150178937 A KR 20150178937A KR 101778290 B1 KR101778290 B1 KR 10177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uch
coordinates
display uni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059A (ko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5017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2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핫키가 배치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를 터치한 것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의해 터치가 감지되면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지점의 좌표에 대응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되, 복수의 핫키 중 특정 핫키에 대응하는 좌표가 상시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핫키의 좌표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터치만을 인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ELECTRONIC BOARD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교육 환경은 디지털 환경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디지털 교과서가 보급되고,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한 교육 환경도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칠판을 대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칠판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전자칠판은 화면 상에 강의내용 또는 발표 내용의 문서를 띄우고, 판서 및 글쓰기 기능을 제공하는 등 강의에 필요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이나 펜 등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강의를 하다보면, 필요한 각종 기능을 수행할 때 뿐만 아니라 강의 내용을 강조하고자 하는 등의 여러 목적에 의해 전자칠판의 표시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터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터치들에 반응하여 표시부가 동작을 하게 되면, 화면이 전환되거나 불필요한 선이나 글씨가 판서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강의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게 될 수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 1은 잠금해제창에 활성화영역을 배치하고 활성화 영역에 검색어 입력칸을 배치함으로써 잠금 수단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터넷 검색이 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 보호와 더불어 신속한 인터넷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즉, 선행기술1은 잠금해제창이라는 특별한 창이 실행된 후에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기 강의 중 터치 입력에 대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선행기술 2는 핫키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핫키를 터치하면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핫키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특정한 핫키에 따라 표시부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판서 등을 수행할 수 없어 강의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4025 (2014.10.24. 공개) (선행특허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2557 (2005.03.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중 불필요한 터치 입력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 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핫키가 배치되어 있으며,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가 터치된 지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와 상기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를 비교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여 터치수행부로 전송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전송된 터치신호에 대응하여 터치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대한 터치에 따라 센서부의 IR 송신부에서 송신하는 적외선을 IR 수신부에서 수신하지 못하였을 시에, 상기 센서부는 표시부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생성하여 제어부의 연산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의 연산부가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핫키가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터치수행부로 전송하여 표시부가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핫키가 배치되어 있으며,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가 터치된 지점을 파악하고 상기 터치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와 상기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를 비교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여 터치수행부로 전송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전송된 터치신호에 대응하여 터치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수행부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대한 터치에 따라 센서부의 IR 송신부에서 송신하는 적외선을 IR 수신부에서 수신하지 못하였을 시에, 상기 센서부는 표시부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의 연산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연산부가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연산부가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핫키가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터치수행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 중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의 터치수행부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잠금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특정 핫키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가 반응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자칠판을 터치하더라도 전자칠판이 터치에 반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전자칠판 사용 중 불필요한 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칠판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칠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칠판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칠판(100)은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핫키(130)가 배치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10), 표시부(110)를 터치한 것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200), 센서부(200)에 의해 터치가 감지되면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지점의 좌표에 대응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되, 복수의 핫키 중 특정 핫키에 대응하는 좌표가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핫키의 좌표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한 터치만을 인식하도록 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전자칠판(100)의 터치에 대응하여 글씨나 선, 그림 등을 표시하거나 인터넷 검색, 프린트, 화면 잠금, 전자칠판의 오프 등의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LCD, PDP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부(110)의 좌측에는 복수의 핫키(13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핫키(1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핫키(130)는 인터넷검색, 프린트, 화면 잠금, 전자칠판의 오프 등의 특정한 동작을 표시하며,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 복수의 핫키(130) 중 하나를 터치하여 인터넷검색, 프린트, 화면 잠금, 전자칠판(100)의 오프 중 어느 하나의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핫키(130)가 표시하는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핫키(130) 중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되면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 외의 다른 지점의 터치를 통한 동작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를 터치하고 나서 표시부(110)를 터치하더라도 표시부(110)에 터치에 따른 화면 전환이나 선 표시, 선이 지워지는 것 등의 일련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의 터치만이 처리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표시부(110)의 표면을 스캔하여 표시부(110)에 터치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표시부(110)의 터치로 인해 발생되는 센싱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표시부(110)의 표면을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0)는 표시부(110)에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은 표시부(110)의 테두리 부분일 수 있다. 센서부(200)는 적외선을 송신하는 IR 송신부(210)와 IR 송신부(210)에서 송신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IR 수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10)의 상부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에 IR 송신부(210)가 배치되고 표시부(110)의 하부 테두리와 좌측 테두리에 IR 수신부(22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IR 수신부(220)에서 적외선이 수신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면 표시부(110)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을 하고 표시부(110)가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0)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에는 터치가 입력된 지점의 좌표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지점의 좌표는 표시부(110)의 하부테두리를 X 축으로 하고 좌측 테두리를 Y 축으로 설정을 하여 생성할 수 있다. IR 송신부(210)와 IR 수신부(220)는 표시부(110)의 베젤(120)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300)는 센서부(200)로부터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핫키들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고 센싱신호를 통해 전달받은 좌표와 저장되어 있는 좌표를 비교하여 핫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핫키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면 핫키가 눌리는 것이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하고, 핫키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각 핫키에 대응하는 인터넷검색, 프린트, 화면 잠금, 전자칠판의 오프 등의 특정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0)는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에 의해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을 하면,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만을 활성화시키고 표시부(110)의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시켜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를 터치한 것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을 터치하더라도 터치된 것에 대해 표시부(110)에서 반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는 메모리(310)와,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핫키에 대한 좌표와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를 비교하여 센싱신호에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연산부(320)와, 터치신호를 전달받아 터치신호에 대응하여 전자칠판(100)의 표시부(110)에 터치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수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0)는 복수의 핫키에 대한 각각의 좌표정보를 저장하여 연산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메모리(310)는 각 핫키 별로 X 축 좌표, Y 축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310)에 저장되는 하나의 핫키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는 하나의 좌표가 아니라 복수의 좌표일 수 있다. 또한, 터치된 좌표들의 정보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좌표의 평균값과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핫키의 좌표를 비교할 수 있다.
연산부(320)는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지점에 대한 좌표정보와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핫키에 대한 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지점에 대한 좌표정보에 핫키에 대한 좌표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싱신호에 핫키에 대응되는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연산부(320)는 핫키가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0)는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가 눌린 회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0)는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저장하고 핫키(131)가 한번 눌리면 플래그를 세팅하여 1을 저장하고 다시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눌리면 플래그를 리셋시켜 0을 저장하여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된 횟수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320)는 핫키가 눌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을 하면 터치좌표들을 이용하여 선 등을 그리거나 그려져 있는 선을 지우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20)는 복수의 핫키(130) 중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을 하면 연산부(320)는 터치신호를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된 후에 펜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전자칠판(100)의 표시부(110)를 터치하더라도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이 표시부(110)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20)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도 연산을 계속 수행 할 수 있고 다시 화면 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면 터치신호를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연산부(320)는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만이 활성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터치수행부(330)로 터치신호를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수행부(330)는 연산부(320)로부터 입력받는 터치신호에 대응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터치수행부(330)는 연산부(320)에 의해 생성된 터치신호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터치된 것으로 연산부(320)에서 판단을 하면 터치수행부(330)는 활성화된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를 제외한 터치에 대해서 터치신호를 전달받지 않게 되어 표시부(110)가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수행부(330)는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가 눌린 횟수에 대응하여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고, 활성화 되면 표시부(110)가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비활성화되면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131)를 제외한 터치 입력에 반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칠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칠판(100)은 표시부(110)의 터치 지점에 대한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S400) 터치 지점에 대한 좌표 인식은 센서부(200)에서 표시부(110)의 표면을 스캔하여 파악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적외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스캔할 수 있으며, 표시부(110)의 상측테두리와 우측테두리에 적외선 송신기(210)를 배치하여 적외선을 송신하고 표시부(110)의 하부 테두리와 좌측 테두리에 적외선 수신기(220)를 배치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적외선 송신기(210)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함으로써 표시부(110)를 스캔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10)의 일 지점을 펜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터치하면 펜이나 손가락에 의해 송신된 적외선이 하부 테두리와 좌측 테두리에 있는 적외선 수신기(220)에서 각각 수신하지 못한 지점이 발생하게 되어 터치를 파악하고, 표시부(110)의 하부 테두리를 X 축으로 하고 좌측 테두리를 Y 축이라고 설정하여 터치 지점의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지점에 대한 좌표와 복수의 핫키의 좌표들을 비교할 수 있다.(S410) 터치지점에 대한 좌표는 센서부(200)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핫키의 좌표들은 전자칠판(100)에서 저장할 수 있다. 전자칠판(100)은 메모리(310)를 구비하고 메모리(310)에 복수의 핫키들에 대한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지점에 대한 좌표에 대응하여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20)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은 표시부(110)에 선을 그리거나 지울 수 있도록 하여 판서를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핫키가 터치된 것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지점에 대한 좌표가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의 좌표이면, 표시부의 화면잠금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430) 표시부의 화면잠금상태는 메모리(310)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10)가 화면잠금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110)의 화면잠금상태를 해제하고, 표시부(110)가 화면잠금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110)가 화면잠금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310)가 화면잠금상태인 경우에는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만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100: 전자칠판 110: 표시부
120: 배젤 130: 핫키
200: 센서부 300: 제어부

Claims (8)

  1.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핫키(130)가 배치되어 있으며,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110)와; 상기 표시부(110)가 터치된 지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센서부(200); 및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복수의 핫키(130)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는 메모리(310)와; 상기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핫키(130)에 대한 좌표와 상기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를 비교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여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하는 연산부(320); 및 상기 연산부(320)로부터 전송된 터치신호에 대응하여 터치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수행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110)에 대한 터치에 따라 센서부(200)의 IR 송신부(210)에서 송신하는 적외선을 IR 수신부(220)에서 수신하지 못하였을 시에, 상기 센서부(200)는 표시부(110)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110)에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생성하여 제어부(300)의 연산부(32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00)의 연산부(320)가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메모리(310)에 저장된 복수의 핫키(130)에 대한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310)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310)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핫키가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하여 표시부(110)가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표시부(110)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320)는 상기 센싱신호에 상기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터치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320)는 상기 센싱신호에 상기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터치수행부(3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비활성화신호를 상기 터치수행부(33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표시부(110)의 X 축과 Y축으로 각각 적외선을 송신하는 IR 송신부(210)와, 상기 IR 송신부(210)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IR 수신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5.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핫키(130)가 배치되어 있으며,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110)와; 상기 표시부(110)가 터치된 지점을 파악하고 상기 터치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200); 및 상기 복수의 핫키(130)에 대한 좌표를 저장하는 메모리(310), 상기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핫키(130)에 대한 좌표와 상기 센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좌표를 비교하여 터치신호를 출력하여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하는 연산부(320), 및 상기 연산부(320)로부터 전송된 터치신호에 대응하여 터치 결과를 표시하는 터치수행부(330)로 구성된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10)에 대한 터치에 따라 센서부(200)의 IR 송신부(210)에서 송신하는 적외선을 IR 수신부(220)에서 수신하지 못하였을 시에, 상기 센서부(200)는 표시부(110)에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110)에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의 연산부(320)로 전송하는 단계(S4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연산부(320)가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메모리(310)에 저장된 복수의 핫키(130)에 대한 좌표와 비교하는 단계(S410)와;
    상기 제어부(300)의 연산부(320)가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310)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310)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정 핫키가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터치수행부(330)로 전송하는 단계(S420); 및
    상기 전송되어진 터치된 지점의 좌표에 상기 메모리(310)에 저장된 특정 핫키의 좌표 중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300)의 터치수행부(330)가 상기 표시부(110)의 화면잠금상태로 판단하는 단계(S430)를 포함하여 상기 화면잠금에 대응하는 특정 핫키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110)가 반응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110)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구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10)의 화면잠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30)에서, 상기 표시부(110)가 화면잠금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110)의 화면잠금상태를 해제하고, 표시부(110)가 화면잠금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110)가 화면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구동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320)는,
    상기 센싱신호에 상기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터치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며;
    상기 센싱신호에 상기 특정 핫키의 좌표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터치수행부(3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비활성화신호를 상기 터치수행부(33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구동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표시부(110)의 X 축과 Y축으로 각각 적외선을 송신하는 IR 송신부(210)와, 상기 IR 송신부(210)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IR 수신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구동방법.
KR1020150178937A 2015-12-15 2015-12-15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7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37A KR101778290B1 (ko) 2015-12-15 2015-12-15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37A KR101778290B1 (ko) 2015-12-15 2015-12-15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59A KR20170071059A (ko) 2017-06-23
KR101778290B1 true KR101778290B1 (ko) 2017-09-13

Family

ID=5928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937A KR101778290B1 (ko) 2015-12-15 2015-12-15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74B1 (ko)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KR102603508B1 (ko) 2023-05-12 2023-11-17 (주) 아하 전력 효율성이 향상된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50B1 (ko) * 2010-09-10 2011-01-10 김철곤 다기능성 멀티 전자칠판의 설치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50B1 (ko) * 2010-09-10 2011-01-10 김철곤 다기능성 멀티 전자칠판의 설치 및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74B1 (ko)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KR102603508B1 (ko) 2023-05-12 2023-11-17 (주) 아하 전력 효율성이 향상된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59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2737B2 (ja) 情報表示装置
US20180074686A1 (en) Content Relocation on a Surface
US9430145B2 (en) Dynamic text input using on and above surface sensing of hands and fingers
US1071922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20044143A1 (en) Optical imaging secondary input means
US20100328232A1 (en) Touch Screen Cursor Presentation Preview Window
US20170083229A1 (en) Magnifying display of touch input obtained from computerized devices with alternative touchpads
US943629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perating a keyboard
KR101778290B1 (ko) 전자칠판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10157032A1 (en) Writing Apparatus with Electronic Soft Pen Brush
JP2008009856A (ja) 入力装置
US1062081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018397B1 (ko) 멀티 터치에서 발생하는 허상의 제거가 가능한 적외선 터치스크린 장치
US20120162262A1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401681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KR10156178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100899035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KR20180016780A (ko)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KR1020231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착탈식 터치 패널 장치
KR101538788B1 (ko) 전자칠판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1404812B1 (ko) 전자칠판
US20160062643A1 (en) Computer Input Device
KR20180074833A (ko) 지시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프리젠테이션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JP6473680B2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入力表示方法
KR101404811B1 (ko) 보드 확장형 전자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