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82B1 - 내화물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내화물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82B1
KR101778182B1 KR1020160095509A KR20160095509A KR101778182B1 KR 101778182 B1 KR101778182 B1 KR 101778182B1 KR 1020160095509 A KR1020160095509 A KR 1020160095509A KR 20160095509 A KR20160095509 A KR 20160095509A KR 101778182 B1 KR101778182 B1 KR 10177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ion
refractory
pipe
form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9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12Shells or casings; Supports therefor
    • F27B1/14Arrangements of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06Linings or walls formed from bricks or layer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pecific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내화물 시공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는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포머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장착부 상부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회전장치; 회전장치로부터 연장되며 회전장치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용기 내면과 포머 사이로 내화물원료를 투입하는 투입안내부; 및 투입안내부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화물 시공장치{REFRACTORY WALL INSTAL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용해로와 같은 용기의 내벽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내화물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가열방식으로 금속을 용해하는 용해로는 노체에 설치되어 내열시멘트층에 의해 보호되는 가열코일을 구비하고, 가열코일 내측에 용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화물에 의해 마련되는 내벽을 포함한다.
내벽을 이루는 내화물은 용해하는 금속의 온도, 성질 등과 관련하여 선택되며, 내화도가 높아 고온에서도 열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로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내벽은 분말 형태의 내화물이 시멘트층 내면에 투입된 후 가열에 의해 소결됨으로써 도가니형태로 성형된다.
용해로 내화물은 사용 횟수의 증가함에 따라 내화물의 마모 및 침식이 발생하므로 주기적으로 유지보수작업을 한다. 즉 기존의 내화물을 제거한 후 새로운 내벽이 형성되도록 내화물을 축조한다.
내화물을 축조할 때는 용해로 내측에 포머(former)을 넣고, 포머와 용해로 내벽 사이로 분말형태의 내화물원료를 투입해 다져준다. 하지만, 통상적인 내화물 축조방식은 내화물원료가 불균일한 압력으로 투입되거나 공기층을 포함되는 등 균일한 축조가 어려웠다. 공기층이 포함되면 내화물의 소결과정에서 공기층이 팽창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크랙은 내열시멘트층 및 가열코일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기의 내벽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물 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포머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상부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회전장치; 상기 회전장치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장치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사이로 내화물원료를 투입하는 투입안내부; 및 상기 투입안내부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장착부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투입안내부와 연계된 투입경로가 마련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링기어; 상기 링기어에 치합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공급부는 그 내부에 내화물원료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부재 위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투입경로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저장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저장통과 상기 투입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급되는 내화물원료를 걸러주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안내부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입경로와 연통된 제1투입관부; 상기 제1투입관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사이로 내화물원료를 안내하며, 신축에 의해 하단의 높이가 조절되는 제2투입관부; 상기 제1투입관부 내에 설치된 나선이송부재; 및 상기 나선이송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관부는, 상기 제1투입관부에 연결된 고정관; 상기 고정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신장에 의해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 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승강관; 및 상기 승강관을 승강시켜 상기 승강관의 하단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물 시공장치는 상기 승강관에 설치되어 축조되는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짐장치는, 상기 승강관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부재; 및 상기 승강관에 설치되어 상기 다짐부재를 동작시키는 다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짐구동부는, 상기 승강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짐부재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다짐부재를 승강시키는 캠; 상기 캠의 축에 설치된 피동기어; 상기 승강관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안내부가 회전할 때 상기 포머의 외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링; 및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짐부재는 하단에 복수의 에어배출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물 시공장치는 상기 투입안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축조되는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이 상기 포머의 중심과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포머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상승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승강부재 상부의 상기 지지축에 나사결합되며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임너트;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상기 포머의 상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제1지지링크; 및 한쪽이 상기 각 제1지지링크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링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포머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사이로 내화물원료를 투입하는 투입안내부; 상기 투입안내부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및 상기 투입안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축조되는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장치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는 투입안내부가 포머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는 가운데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내화물의 축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는 내화물의 축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다짐장치가 동작하여 축조되는 내화물 상부를 다져주기 때문에 균일하고 안정적인 내화물의 시공이 가능할 뿐아니라, 다짐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에어배출침이 내화물에 포함된 에어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축조된 내화물이 소결과정에서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는 공급되는 내화물원료가 스크린에 의해 걸러지기 때문에 축조과정에서 덩어리나 불순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해 내화물을 양호하게 축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가 용해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의 다짐장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로, 다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시공장치가 용해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내화물 시공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로(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노체(11)와, 내열시멘트층(12)에 의해 보호되도록 노체(11)에 설치되는 가열코일(13)과, 용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열시멘트층(12) 내면에 축조되는 내화물(14)을 포함한다. 내화물(14)은 분말형태의 내화물원료가 내열시멘트층(12) 내면에 축조된 후 가열에 의해 소결됨으로써 용탕을 수용하는 내벽을 이룬다.
용해로(10)의 내화물(14)은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모나 침식이 발생한다. 내화물(14)의 마모나 침식이 심할 경우에는 기존 내화물을 제거한 후 새로운 내벽이 형성되도록 내화물(14)을 시공하는데, 본 실시 예의 내화물 시공장치(100)는 도 1의 예처럼 용해로(10) 내에 새로 내화물(14)을 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내화물 시공장치(100)가 용해로(10) 내부에 내화물(14)을 축조하는데 이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내화물 시공장치(100)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화물(14)은 용해로(10) 내면 뿐 아니라 용탕을 운반하는 래들과 같은 용기 내부에도 축조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의 내화물 시공장치(100)는 이처럼 다양한 용기 내에 내화물을 축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내화물 시공장치(100)는 용해로(10)와 같은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포머(20, former)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해로(10)와 포머(20)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 내화물원료를 투입해 내화물(14)을 축소할 수 있다. 포머(20)는 원통형태일 수 있다. 포머(20)의 내측 상부에는 내화물 시공장치(100)의 장착을 위한 지지판(21)이 설치될 수 있다.
내화물 시공장치(100)는 포머(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110), 장착부(110) 상부에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장치(120), 회전장치(120)로부터 연장되며 용해로(10) 내면과 포머(20)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 내화물원료를 투입하는 투입안내부(130), 투입안내부(130)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장치(120)는 장착부(110)의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투입안내부(130)의 내부와 연계되는 투입경로(122)가 마련된 원통형 회전부재(121)와, 이 회전부재(121)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과 장착부(110) 상부 사이에 마련되는 롤러나 베어링 같은 회전안내부(1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는 회전부재(121)의 하측 외면에 설치된 링기어(125), 링기어(125)와 치합된 피니언기어(126), 장착부(110)에 고정된 상태로 피니언기어(126)를 회전시키는 모터(12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는 모터(127)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기어(126)가 링기어(125)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회전구동부의 일 예를 제시하는 것일 뿐 회전구동부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구동부는 회전부재(12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장착부(110)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장치(120)의 회전부재(1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판형태의 지지부재(111), 지지부재(111)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지지축(112), 지지축(112)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113), 승강부재(113)에 상승력을 부여하도록 승강부재(113) 하측의 지지축(112) 외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114), 승강부재(113) 상부의 지지축(112)에 나사결합되며 조임과 풀림 동작에 의해 승강부재(113)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임너트(115)를 구비한다.
또 장착부(110)는 지지축(112)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111)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부가 포머(20)의 상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제1지지링크(116), 한쪽이 각 제1지지링크(116)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승강부재(1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지지링크(116)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링크(117)를 포함한다.
장착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지지링크(116) 하단부가 포머(20)의 상측 내면과 지지판(21)이 만나는 구석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조임너트(115)를 조여 승강부재(113)를 하강시킴으로써 각 제1지지링크(116) 하단부가 사방으로 균일하게 벌어지면서 포머(20) 상부에 견고히 결속될 수 있다. 즉 장착부(110)는 조임너트(115)의 조임에 의해 승강부재(113)가 하강하고, 승강부재(113)의 하강에 의해 복수의 제2지지링크(117)가 복수의 제1지지링크(116) 하단부를 외측으로 밀어 벌어지도록 하므로 포머(20) 상부에 견고히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110)는 도 2의 예처럼 포머(20)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설치된 회전부재(121)의 중심이 포머(20)의 중심과 정확히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장착부(110)는 조임너트(115)를 역으로 풀어 승강부재(113)를 상승시킴으로써 결속을 해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머(2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조임너트(115)를 풀면, 탄성부재(114)가 승강부재(113)를 밀어 올리고, 승강부재(113)의 상승에 의해 제2지지링크(117)가 제1지지링크(116)를 안쪽으로 당기기 때문에 장착부(110)의 결속이 해제된다.
원료공급부(150)는 회전부재(121) 위에 탑재되며 그 분말형태의 내화물원료가 채워지는 원통형 원료저장통(151)을 포함할 수 있다. 원료저장통(151)은 회전부재(121) 위에 탑재된 상태이므로 회전부재(121)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한다. 또 그 하부에는 회전부재(121)의 투입경로(122)로 내화물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는 덩어리나 불순물을 걸러줄 수 있는 스크린(152)이 설치된다. 투입안내부(130)로 공급되는 내화물원료가 스크린(152)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고른 분말형태의 내화물원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크린(152)은 도 2의 예처럼 원료저장통(150) 하부에 마련되거나 회전부재(121) 내부의 투입경로(122)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원료공급부(150)가 회전부재(121) 위에 탑재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나, 원료공급부(15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공급부(150)는 회전부재(121)와 이격된 위치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공급관로를 통해 회전부재(121)의 투입경로(122)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투입안내부(130)는 회전부재(12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회전부재(121)의 투입경로(122)와 연통된 제1투입관부(131), 제1투입관부(1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용해로(10) 내면과 포머(20) 사이로 내화물원료의 투입을 안내하며 신축에 의해 하단의 높이가 조절되는 제2투입관부(132), 제1투입관부(131) 내에 설치된 나선이송부재(133), 나선이송부재(133)를 구동하는 구동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선이송부재(133)를 구동하는 구동부(134)는 회전부재(121)의 중심과 원료저장통(151)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34a), 원료저장통(151) 상부에 설치된 모터(134b), 상호 치합 상태에서 모터(134b)의 축과 회전축(134a) 상부를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베벨기어(134c)와 제2베벨기어(134d), 상호 치합 상태에서 회전축(134a)과 나선이송부재(133)의 축을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베벨기어(134e)와 제4베벨기어(134f)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4b)의 회전력은 제1베벨기어(134c), 제2베벨기어(134d), 회전축(134a), 제3베벨기어(134e), 제4베벨기어(134f)를 통해 나선이송부재(133)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134)의 동작에 의해 나선이송부재(133)가 회전하면, 회전부재(121)의 투입경로(122)로 공급된 내화물원료가 제1투입관부(131)를 통하여 제2투입관부(132)로 공급될 수 있고, 이어서 제2투입관부(132)를 통하여 용해로(10)와 포머(20)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나선이송부재(133)를 구동하는 구동부(134)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회전부재(121) 내에 설치되어 나선이송부재(133)를 직접 회전시키는 모터이거나, 제2투입관부(132)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나선이송부재(133)를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도 있다.
제2투입관부(132)는 제1투입관부(131)의 단부에 연결된 고정관(132a), 고정관(132a)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방으로 신장되어 용해로(10)와 포머(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승강관(132b), 승강관(132b)을 승강시켜 승강관(132b)의 하단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고정관(132a) 상부에는 점검 등을 위해 개폐 가능한 커버(132c)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장치(1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관(132a)의 외측에 고정된 실린더부(141)와, 실린더부(141)로부터 신장되며 그 단부가 승강관(132b)에 연결된 신장로드(142)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 일 수 있다. 여기서는 유압실린더 형태의 승강장치(140)를 예시하고 있지만, 승강장치(14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랙기어방식, 이송나사방식 등일 수 있다.
승강관(132b)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조되는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장치(16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짐장치(160)는 승강관(132b)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동작에 의해 포설된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부재(161)와, 승강관(132b)에 설치되어 다짐부재(161)를 동작시키는 다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짐부재(161)는 승강관(132b) 외면에 고정된 지지브래킷(16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포설되는 내화물에 포함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복수의 에어배출침(161a)을 구비한다. 또 다짐부재(161) 외면에는 다짐부재(161)에 상승력을 부여하도록 코일스프링형태의 탄성부재(163)가 설치된다.
다짐구동부는 승강관(132b)에 설치된 축(16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에 형성된 굴곡진 캠면(164a)이 다짐부재(161)의 상단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다짐부재(161)를 승강시키는 캠(164), 캠(164)의 축(165)에 설치된 피동기어(166), 승강관(132b)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부재(121)와 함께 투입안내부(130)가 회전할 때 포머(20)의 외면과 접하여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링(168), 피동기어(166)와 치합된 상태로 회전링(168)에 결합된 구동기어(16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짐구동부는 내화물원료의 투입과정에서 용해로(10)와 포머(20) 외면 사이로 진입한 승강관(132b)이 선회하며서 이동하면 포머(20)의 외면과 접하는 회전링(168)이 마찰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링(168)의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167) 및 피동기어(166)를 매개로 캠(164)이 회전한다. 캠(164)의 회전은 다짐부재(161)의 승강시키고, 승강하는 다짐부재(161)가 축조되는 내화물(14) 상부를 다져줌으로써 내화물(14)의 균일한 축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다짐부재(161) 하부에 마련된 복수의 에어배출침(161a)이 축조되는 내화물(14)에 포함된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써 추후 내화물(14)의 소결과정에서 내화물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화물(14)의 고른 축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내화물 시공장치(100)의 동작 및 이를 이용해 용해로 내에 내화물(14)을 축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화물(14)을 축조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로(10) 내부에 먼저 포머(20)를 설치한 후, 포머(20)의 상부에 내화물 시공장치(100)를 장착한다. 내화물 시공장치(100)를 장착할 때는 장착부(110)를 포머(20) 상부에 위치시킨 후 조임너트(115)를 조여 승강부재(113)를 하강시킴으로써 복수의 제1지지링크(116)가 벌어져 포머(20) 상부에 결속되도록 한다.
장착부(110)가 결속되면, 장착부(100)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재(121)의 중심이 포머(20)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투입안내부(130)가 회전하더라도 투입안내부(130)의 승강관(132b)이 포머(20)와 간섭없이 포머(20) 외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내화물 시공장치(100)를 설치한 후에는 원료공급부(150)에 내화물원료를 채우고 내화물 시공장치(100)를 가동시킨다. 이때 회전부재(121)는 회전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고, 투입안내부(130)도 회전부재(121)와 함께 회전한다. 투입안내부(130)의 제2투입관부(132)는 승강에 의해 용해로(10) 내면과 포머(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아울러 나선이송부재(133)가 동작하여 회전부재(121)의 투입경로(122)로 흘러내린 내화물원료를 투입안내부(130)의 제2투입관부(132)로 이송시키므로 용해로(10)와 포머(20) 사이의 공간으로 내화물원료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내화물 시공장치(100)는 투입안내부(130)가 포머(20)의 외측을 따라 회전하는 가운데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내화물(14)의 축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내화물(14) 축조를 진행하면서 내화물(14)의 높이가 증가하면 투입안내부(130)의 승강관(132b)을 점차 상승시켜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시공과정에서 승강관(132b) 하단의 높이는 다짐장치(160)의 다짐부재(161)가 축조되는 내화물(14) 상면을 다질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한다.
내화물(14)의 축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다짐장치(160)의 다짐부재(161)는 승강하면서 축조되는 내화물(14) 상부를 다져준다. 따라서 더욱 균일한 시공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다짐부재(161) 하부에 마련된 복수의 에어배출침(161a)은 내화물(14)에 포함된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써 축조된 내화물이 소결과정에서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 에어배출침(161a)의 동작에 의해 빈공간이나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내화물(14)이 양호하게 축조될 수 있다.
10: 용해로, 20: 포머,
100: 내화물 시공장치, 110: 장착부,
120: 회전장치, 121: 회전부재,
130: 투입안내부, 131: 제1투입관부,
132: 제2투입관부, 132a: 고정관,
132b: 승강관, 133: 나선이송부재,
140: 승강장치, 150: 원료공급부,
151: 원료공급통, 152: 스크린,
160: 다짐장치, 161: 다짐부재,
161a: 에어배출침, 164: 캠,
168: 회전링.

Claims (21)

  1.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포머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상부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회전장치;
    상기 회전장치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장치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사이로 내화물원료를 투입하는 투입안내부; 및
    상기 투입안내부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장착부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투입안내부와 연계된 투입경로가 마련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안내부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입경로와 연통된 제1투입관부와, 상기 제1투입관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사이로 내화물원료를 안내하며, 신축에 의해 하단의 높이가 조절되는 제2투입관부와, 상기 제1투입관부 내에 설치된 나선이송부재 및 상기 나선이송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링기어;
    상기 링기어에 치합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는 그 내부에 내화물원료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부재 위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투입경로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저장통을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저장통과 상기 투입경로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급되는 내화물원료를 걸러주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관부는,
    상기 제1투입관부에 연결된 고정관;
    상기 고정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신장에 의해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 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승강관; 및
    상기 승강관을 승강시켜 상기 승강관의 하단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에 설치되어 축조되는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장치를 더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장치는,
    상기 승강관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부재; 및
    상기 승강관에 설치되어 상기 다짐부재를 동작시키는 다짐구동부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구동부는,
    상기 승강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짐부재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다짐부재를 승강시키는 캠;
    상기 캠의 축에 설치된 피동기어;
    상기 승강관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안내부가 회전할 때 상기 포머의 외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링; 및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부재는 하단에 복수의 에어배출침을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안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축조되는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장치를 더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장치는,
    상기 투입안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부재; 및
    상기 투입안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짐부재를 동작시키는 다짐구동부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구동부는,
    상기 투입안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짐부재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다짐부재를 승강시키는 캠;
    상기 캠의 축에 설치된 피동기어;
    상기 투입안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안내부가 회전할 때 상기 포머의 외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링; 및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부재는 하단에 복수의 에어배출침을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이 상기 포머의 중심과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포머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화물 시공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상승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승강부재 상부의 상기 지지축에 나사결합되며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임너트;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상기 포머의 상부에 지지되는 복수의 제1지지링크; 및
    한쪽이 상기 각 제1지지링크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링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링크;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8.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포머의 상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 내면과 상기 포머사이로 내화물원료를 투입하는 투입안내부;
    상기 투입안내부로 내화물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및
    상기 투입안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축조되는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짐장치는 상기 투입안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내화물원료를 다져주는 다짐부재 및 상기 다짐부재를 동작시키는 다짐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짐구동부는 상기 투입안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짐부재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다짐부재를 승강시키는 캠과, 상기 캠의 축에 설치된 피동기어와, 상기 투입안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안내부가 움직일 때 상기 포머의 외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링 및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링에 결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부재는 하단에 복수의 에어배출침을 포함하는 내화물 시공장치.
KR1020160095509A 2016-07-27 2016-07-27 내화물 시공장치 KR10177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09A KR101778182B1 (ko) 2016-07-27 2016-07-27 내화물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09A KR101778182B1 (ko) 2016-07-27 2016-07-27 내화물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182B1 true KR101778182B1 (ko) 2017-09-14

Family

ID=5992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509A KR101778182B1 (ko) 2016-07-27 2016-07-27 내화물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8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6515B (zh) 物料供给装置和晶体生长系统
RU2525957C1 (ru) Загрузочн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шахтной печи для обжига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90007361A (ko) 액상 금속 이송 용기를 예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
KR101778182B1 (ko) 내화물 시공장치
CN111465723B (zh) 再装填管、原料供给装置、单晶提拉装置、再装填管的使用方法、再装填方法及单晶提拉方法
KR101149293B1 (ko) 래들의 필러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US20140272746A1 (en) Carbon baking furnace with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sacrificial medium and anodes through the baking path
EP0176497B1 (de) Elektroschmelzofen
KR20150004841A (ko) 고로로의 원료 장입 방법
EP0746737B1 (de) Beschickungsvorrichtung für lichtbogenofen
US20200149817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CN111868466B (zh) 用于活性合金和金属的密封倾斜倾倒电感应炉
KR101597261B1 (ko) 원료의 장입 레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L157918B1 (pl) Urzadzenie do zaladowywania pieca szybowego PL PL PL PL PL PL PL
KR20140120535A (ko) 상승관 내화연와 보수장치
CN1071608C (zh) 在铸桶和连续浇铸分配器之间液态钢的流量控制装置和方法
KR101987654B1 (ko)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CN1184460A (zh) 制备熔铸耐火材料的方法
KR102045536B1 (ko) 용해로의 내화물 축조장치
CN209326471U (zh) 一种烟花外筒填药生产线
KR101765696B1 (ko) 로터리 킬른형 시험장치
EP0719402A1 (de) Schrotteinschmelz-elektro-lichtbogenofen
CN209740248U (zh) 一种加料机搬运装置
CN210036283U (zh) 一种供料装置及包含该供料装置的炉窑
CN215572049U (zh) 一种烧结炉的二次加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