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31B1 -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 Google Patents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31B1
KR101778131B1 KR1020150187324A KR20150187324A KR101778131B1 KR 101778131 B1 KR101778131 B1 KR 101778131B1 KR 1020150187324 A KR1020150187324 A KR 1020150187324A KR 20150187324 A KR20150187324 A KR 20150187324A KR 101778131 B1 KR101778131 B1 KR 10177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ong
fiber
polyest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893A (ko
Inventor
김춘기
함진수
류승우
황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5018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섬유형 부직포에 있어서,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켜 생성된, 경도가 쇼와 D (Shore D) 8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를 용융하여 스펀본드(Spunbond) 혹은 멜트블로운(Melt Blown) 방사 방법으로 제조된 장섬유형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The Long-Fiber Type With An Elastic Nonwoven And Mask Sheet Using This}
본 발명은 탄성이 우수한 장섬유형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경도가 낮은 탄성발현 수지를 이용한 장섬유 탄성부직포는 신축성과 굽힘강성이 우수하여 굴곡직 얼굴 표면에 피부 밀착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고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부직포는 1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 마스크 등의 의료용 용품, 와이퍼 등의 청소용 용품과 같은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는 종래로부터 다른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실제로 각 분야의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성질이나 구조가 되도록 제조될 필요가 있다.
특히 코스메틱에 있어서 시트 마스크시트용 기재로는 주로 면, 레이온 단섬유를 사용하여 카딩(Carding)공정 후 니들펀칭 혹은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을 통하여 섬유간 결합을 시켜 시트상으로 제조하는 단섬유형 부직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섬유형 부직포는 마스크시트용 기재뿐만 아니라 1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 와이퍼 등의 청소용품, 마스크 등의 의료용품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0263호에서는 케나프 섬유에 면섬유, 레이온 섬유 등이 혼합된 원료로 하여 스펀레이스 공법을 거쳐 부직포를 제조, 마스크 시트로 상용될 수 있다고 소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부직포는 스펀레이스 공법에 의해 다수의 단섬유끼리 엉켜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빛의 난반사 효과로 투명감이 떨어지며, 소재자체에 신축성이 부족하여 피부 밀착성이 떨어지고, 단섬유를 원료로 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3885호에서는 천연섬유 혹은 안티몬이 포함되지 않은(Sb-free) 극세형 단섬유를 원료로 하여 스펀레이스 공법을 거쳐 부직포를 제조, 마스크 시트, 코시트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직포는 두꺼운 체적과 다수의 단섬유끼리 엉켜있는 구조로 인한 난반사효과로 투명감이 떨어지고 부직포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단섬유가 피부 자극을 줄 수 있으며 마스크시트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혀있는 부직포를 펼칠 때 부여되는 외력에 의해 기재가 늘어나면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기며 피부 부착시 굴곡진 부분에서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뜨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외력에 의해서도 변형이 없으면서 유연한 특성 및 신축 특성으로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고, 투명감이 있는 마스크팩용 시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아울러 탄성 부직포는 서로 점도가 다른 폴리머를 심초형(Sheath-Core)이나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복합방사를 통해 단섬유를 제조한 후 카딩(Carding) 공정을 거쳐 니들펀칭이나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데, 압축탄성이나 스트레치(Stretch)가 요구되는 메트리스, 신축성 밴드, 습포제 지지체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섬유 탄성 부직포는 마스크 팩용 기재로 적용시 단섬유 특성상 표면에 피브릴(Fibril)로 인해 피부에 자극을 주며, 단섬유들의 엉킴 때문에 빛의 난반사로 인한 투명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재 자체에 신축성과 회복율이 우수하여 굴곡진 얼굴 표면에 피부 밀착성이 뛰어나고, 섬유간의 엉킴이 적어 투명성이 우수하고, 피브릴(Fibril)이 발생하지 않아 피부에 자극이 없는 장섬유 부직포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화장용 제제(Cosmetic preparation)를 포함시 유연성, 피부밀착성, 투명감이 우수한 마스크시트용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 소재로써 신축성 및 회복율이 우수한 섬유인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프로필렌계 탄성수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섬유형 부직포에 있어서,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켜 생성된, 경도가 쇼와 D (Shore D) 8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를 용융하여 스펀본드(Spunbond) 혹은 멜트블로운(Melt Blown) 방사 방법으로 제조된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저경도 폴리올레핀 수지와 일반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가 쇼와 D(Shore D) 80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용융하여 스펀본드(Spunbond) 혹은 멜트블로운(Melt blown) 방사방법으로 제조된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의 하드세그먼트 중 디올(Diol)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EG), 1,4-부탄디올(1,4-Butanediol),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로 구성된 디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의 하드세그먼트 중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 성분으로 테레프탈산(Tera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icd), 아디핀산(Adipic acid) 및 세바식산 (Sebacic ac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의 소프트 세그먼트인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 대비 5 내지 7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섬유형 부직포는 건조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액체 화장품 제제를 첨가시 투명도(ΔE)가 30 이하인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섬유형 부직포는 섬도가 1 내지 10 d.p.f (denier per fila)이고, 신축율이 20% 이상, 회복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직포는 굽힘 강성이 0.03 g·cm2/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직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나 공중합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방사하여 스펀본드 공정을 통해 제조된 장섬유 탄성부직포를 기재로 한 마스크 시트으로 소재 자체에 신축성과 회복율이 우수하여 굴곡진 얼굴 표면에 피부 밀착성이 뛰어나고, 장섬유 부직포로 인해 섬유간의 엉킴이 적어 투명성이 우수하고, 피브릴(Fibril)이 발생하지 않아 피부에 자극이 없고, 유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장섬유형 탄성부직포를 제조하는 스펀본드방사설비에 관한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탄성을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혹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용융하여 스펀본드(Spunbond) 혹은 멜트블로운(Melt blown) 방사방법으로 제조한 장섬유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유연성, 피부밀착성, 투명감이 우수한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장섬유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 조성물은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 및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과 소프트 세그먼트의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을 축중합시켜 완성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와 에틸렌글리콜(EG)와의 반응에 의한 에스테르교환법(DMT법) 또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EG)의 반응에 의한 직접 에스테르화법(TPA법)에 의한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ET)) 및 BHET의 저분자량의 축합물을 합성하고 에틸렌글리콜(EG)를 제거하면서 용융, 축합중합시킴으로써 분자쇄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먼저 에스테르교환법(DMT법)은 상기 디올(Diol)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EG), 1,4-부탄디올(1,4-Butanediol),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로 구성된 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아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은 테레프탈산(Tera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icd), 아디핀산(Adipic acid) 및 세바식산 (Sebacic ac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Polyol)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 대비 5 내지 7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탄성수지는 경도가 쇼와D(Shore D) 80이하 이고, 융점이 100 내지 220℃ 수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합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섬유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으로 공중합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저경도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고경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마스크 시트 기재로 사용되는 장섬유 탄성부직포를 제조하는 스펀본드 방사설비에 관한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스펀본드 방사설비(100)를 이용한 부직포 공정은 고분자를 연속 필라멘트로 직접 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임으로 예열하여 적층하고 웹을 현성하는 공정과 섬유간의 결합을 증진시키고 형태를 안정화하는 결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 공정에 사용되는 원료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를 스펀본드 기기를 이용하여 장섬유 탄성부직포를 제조하기 전에, 원료 용융 시 도징(Dosing) 투입구 막힘 문제 및 투입구(110)에서 수분에 의한 가수분해 현상을 줄이기 위해 원료를 건조해야 한다. 우선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를 사용하며 고유점도(IV)가 0.6 내지 2.0이고, 용융온도(Tm)가 100 내지 220℃ 인 수지를 교반자(Agitator)가 있는 열풍건조기에서 80℃ 온도에서 3시간 결정화시킨 후,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125℃에서 10시간 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된 폴리에스테르 탄성수지를 투입구(110)에서 용융시킨 후 방사기(120)의 필터장치를 거쳐 방사노즐을 통하여 연속적인 필라멘트로 방사한다. 방사된 필라멘트는 냉각챔버로 이동되면 필라멘트는 챔버를 통과할 때 냉각기류가 필라멘트를 가로질러 유입되어 용융된 필라멘트는 고화된다.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공정에서 연신은 전형적인 섬유방사에 이용되는 고데트 방법과 달리 고속기류가 필라멘트에 평행하게 공급되어 개개의 필라멘트를 연신하게 되므로 단일 공정에 의해 필라멘트의 연신과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방사된 필라멘트 섬유는 네트 컨베이어(130)에 집적된 후 닙 롤러(Nip roller)(140)에서 1차로 압착된 후 켈린더(150) 롤에서 150℃ 온도로 2차 압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에 의해 부직포의 집속성이 부여된 후 권취기(160)에 감겨 장섬유 탄성부직포가 제조된다.
폴리올레핀계 탄성수지를 스펀본드 기기를 이용하여 장섬유 탄성부직포를 제조할 때는 소재 자체의 공정수분율이 낮고 소수성 섬유이기 때문에 원료를 건조할 필요는 없다. 우선 폴리올레핀계 탄성수지를 사용하여 용융온도(Tm)가 100 내지 180℃인 수지를 투입구(110)에서 용융시킨 후 방사기(120)의 필터장치를 거쳐 방사노즐을 통하여 연속적인 필라멘트로 방사한다.
방사된 필라멘트는 냉각챔버로 이동되면 필라멘트는 챔버를 통과할 때 냉각기류가 필라멘트를 가로질러 유입되어 용융된 필라멘트는 고화된다.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공정에서 연신은 전형적인 섬유방사에 이용되는 고데트 방법과 달리 고속기류가 필라멘트에 평행하게 공급되어 개개의 필라멘트를 연신하게 되므로 단일 공정에 의해 필라멘트의 연신과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방사된 필라멘트 섬유는 컨베이어 밸트(130)에 집적된 후 닙 롤러(Nip roller)(140)에서 1차로 압착된 후 켈린더(150) 롤에서 150℃ 온도로 2차 압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에 의해 부직포의 집속성이 부여된 후 권취기(160)에 감겨 폴리올레핀계 장섬유 탄성부직포가 제조된다.
본 발명인 장섬유 탄성부직포는 섬도가 1 내지 10 d.p.f(denier per fila.) 수준이고,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1.5 내지 4 d.p.f 수준이 적당하다. 섬도가 1.5 d.p.f 이하일 경우 신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섬도가 4 d.p.f 이상일 경우 탄성 부직포의 유연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장섬유 탄성부직포는 탄성계수(Modulus)는 2 내지 5 kgf/cm2 수준으로 면이나 셀룰로오스 등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대비 탄성계수가 낮아 유연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장섬유 탄성부직포는 신축율이 20% 이상, 회복율이 40% 이상 발현되고 건조상태에서는 불투명하나, 타공 공정을 거친 후 액체화장용 제제를 탄성부직포 중량의 10배만큼 첨가한 후, 젖은 마스크 팩을 얼굴에 붙였을 때 신축성 및 회복율이 우수하여 마스크 팩이 피부에서 박리되는 시간이 40분 이상이고,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특성상 빛의 난반사가 적어 투명도(ΔE)가 30 이하로 투명성이 우수하고, 단섬유의 돌출로 인한 피부 자극이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직포는 굽힘 강성이 0.03 g·cm2/cm 이하인 것을 특징이 있다.
반면, 단섬유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섬유간 엉킴으로 인해 빛의 난반사가 많아 투명성이 떨어지고, 피브릴이 많아 피부 작극이 심하고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설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 1
도면 1과 같은 구조를 잦는 통상의 스펀본드 방사 설비(100)에서 용융온도(Tm) 182℃, 고유점도(IV) 1.53인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를 원료 투입구(110)에 투입하여 방사 압출기 온도 230℃에서 스펀본드 방사를 진행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의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이용하였으며 다수의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된 필라멘트를 컨베이어 밸트(130)상에 적층하여 30g/m2 중량의 장섬유 탄성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탄성부직포를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을 분석하고, 타공 공정을 거친 탄성부직포에 액체 화장품용 제제(홍삼씨엔텍 제품)를 탄성부직포 중량의 10배만큼 첨가한 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50g/m2 중량의 폴리에스테르계 탄성부직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70g/m2 중량의 폴리에스테르계 탄성부직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도면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통상의 스펀본드 방사 설비(100)에서 용융온도(Tm) 162℃인 공중합 폴리프로필렌(엑슨모빌 제조) 탄성수지를 원료 투입구(110)에 투입하여 방사 압출기 온도 210℃에서 스펀본드 방사를 진행하였다.
다수의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된 필라멘트를 컨베이어 밸트(130)상에 적층하여 50g/m2 중량의 장섬유 탄성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70g/m2 중량의 공중합 폴리프로필렌계 탄성부직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주)태봉에서 제조한 면 스펀레이스 50g/m2 중량의 부직포를 마스크 팩용 기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주)태봉에서 제조한 면 스펀레이스 70g/m2 중량의 부직포를 마스크 팩용 기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주)태봉에서 제조한 셀룰로오스 스펀레이스 50g/m2 중량의 부직포를 마스크 팩용 기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주)태봉에서 제조한 셀룰로오스 스펀레이스 70g/m2 중량의 부직포를 마스크 팩용 기재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의 분석방법으로 신축율, 회복율, 투명성, 피부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신축율
- 신축율 분석방법 : 부직포를 폭 1inch, 길이 15cm 로 절단한 후 한 쪽 끝을 고정한 후 다른 한 쪽에 1kg 추를 매달아 늘어나는 길이를 측정하여 신축율을 분석하였다.
신축율 계산식 = ((늘어난 길이) / (처음 길이)) x 100
◎회복율
- 회복율 분석방법 : 부직포를 폭 1inch, 길이 15cm로 절단한 후 한쪽 끝을 고정시킨 후 다른 한쪽에 1kg 추를 매달아 고정하여 10분 동안 방치한 후 추를 제거한다. 추를 제거한 후 처음 길이 대비 늘어난 길이를 비교하여 회복율을 분석하였다.
회복율 계산식 = (1-((늘어난 길이-처음 길이) / (처음 길이)) x 100
◎투명성
GretagMacbath사(모델:Color-Eye 7000A) 기기를 활용, Col-L,a,b 측정하여 ΔE값으로 평가
- 기준색지를 선택 후 Col-L,a,b 측정
- 마스크 팩용 기재(부직포)를 10cm x 10cm 절단 후 투면한 폴리에틸렌 봉지에 넣은 후,액체화장품용 제제를 기재 중량의 10배만큼 첨가한 후, 폴리에틸렌 봉지를 밀봉, 30분 경과 후 기준색지와 함께 Col-L,a,b 측정
- ΔE = ΔL + Δa + Δb
◎피부부착성(피부밀착성)
마스크 팩용 기재를 타공 후, 액체 화장품용 제제를 기재 중량의 10배만큼 첨가한 후, 젖은 마스크 팩을 5명의 얼굴에 붙인 후 마스크 팩이 피부에서 박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구성
마스크 시트용 기재 폴리에스테르
탄성부직포 웹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탄성부직포 셀롤로우스
미스크팩용 기재중량(g/m2) 30 50 70 50 70 50 70 50 70
액체 화장용 제제
첨가량(g)
3 5 7 5 7 5 7 5 7

물성

신축율(%) 92 87 82 85 82 56 50 57 52
회복율(%) 65 75 85 63 68 15 20 16 21
투명도
(ΔE)
23 24 25 22 24 36 38 35 37
피부부착성(박리시간)(분) 45 50 60 45 50 20 30 22 32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마스크 시트 기재 중량이 클수록 액체 화장용 제제 첨가량(g)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인 실시예 1~3은 탄성부직포의 섬유를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실시예 4,5는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탄성부직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는 면소재와 셀롤로우스를 이용하였다.
물성비교를 보면, 실시예가 신축율(%)이 82~92% 정도인 반면에 비교예는 50%대를 갖는다. 회복율은 더 차이가 나서 실시예는 63~85%를 갖고 비교예는 15~21%로 신축율이 좋지 않다.
상기 신축율과 회복율은 마스크 시트의 탄성력에 관한 것으로 곡면형상의 얼굴에 흡착이 잘 되기 위해서는 신축율과 회복율이 뛰어나야 한다.
또한 투명성과 피부박리성도 마찮가지로 비교예보다는 실시예가 월등히 뛰어남을 알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스펀본드 방사설비 110: 투입구
120: 방사기 130: 네트컨베이어
140: 닙 롤러(Nip Roller) 150: 켈린더 롤러(Calender Roller))
160: 권취기

Claims (9)

  1. 장섬유형 부직포에 있어서,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켜 생성된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를 용융하여 스펀본드(Spunbond) 혹은 멜트블로운(Melt Blown) 방사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디올은 에틸렌글리콜 (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EG), 1,4-부탄디올(1,4-Butanediol) 및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디카르본산은 테레프탈산(Tera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icd), 아디핀산(Adipic acid) 및 세바식산 (Sebacic ac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며,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 대비 5 내지 70중량%인 것을 특징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수지는 경도가 쇼와 D (Shore D) 80 이하, 고유점도(IV)가 0.6 내지 2.0이고, 용융온도(Tm)가 100 내지 220℃이며,
    섬도가 1.5 내지 4 d.p.f (denier per fila)이고, 탄성계수(Modulus)는 2 내지 5 kgf/cm2이며, 신축율이 80% 이상, 회복율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형 부직포는 건조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액체 화장품 제제를 첨가시 투명도(ΔE)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형 부직포는 굽힘 강성이 0.03 g·cm2/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형 부직포.
  9. 제1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장섬유형 부직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마스크 시트.
KR1020150187324A 2015-12-28 2015-12-28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KR10177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24A KR101778131B1 (ko) 2015-12-28 2015-12-28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24A KR101778131B1 (ko) 2015-12-28 2015-12-28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93A KR20170077893A (ko) 2017-07-07
KR101778131B1 true KR101778131B1 (ko) 2017-09-27

Family

ID=5935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24A KR101778131B1 (ko) 2015-12-28 2015-12-28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164A (ko) 2021-09-17 2023-03-24 이원석 전방향 신축을 위한 염색 방법 및 이에 의한 섬유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46A1 (ko)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JP2019047910A (ja) * 2017-09-08 2019-03-28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マスク、フェイスマスク、装着材及び貼り付け材
CN114622344B (zh) * 2021-11-04 2023-08-25 浙江安顺化纤有限公司 一种无纺布的干法制备方法及其在面膜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861A (ja) * 2001-12-10 2003-06-20 Toyobo Co Ltd 伸縮性不織布及び伸縮性複合不織布
JP2012072535A (ja) 2010-08-30 2012-04-12 Asahi Kasei Fibers Corp 柔軟性のある長繊維不織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861A (ja) * 2001-12-10 2003-06-20 Toyobo Co Ltd 伸縮性不織布及び伸縮性複合不織布
JP2012072535A (ja) 2010-08-30 2012-04-12 Asahi Kasei Fibers Corp 柔軟性のある長繊維不織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164A (ko) 2021-09-17 2023-03-24 이원석 전방향 신축을 위한 염색 방법 및 이에 의한 섬유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93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6860B (zh) 从多组分纤维生产的非织造织物
EP0606362B1 (en) Sulfonated polyesters and their use in compostable products such as disposable diapers
KR101297865B1 (ko) 부직 웹에 사용하기 위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CN101784711B (zh) 多组分生物可降解纤丝及其制成的无纺纤网
KR101778131B1 (ko) 장섬유형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시트
JP3748572B2 (ja) 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KR101109868B1 (ko) 설포폴리에스터로부터의 수분산성 및 다성분 섬유
KR101311060B1 (ko) 부직 웹에 사용하기 위한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코폴리에스테르
KR101297937B1 (ko) 부직 웹에 사용하기 위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CN104520484B (zh) 制造短切微纤维的方法
TW200301192A (en) High bulk composite sheets and method for preparing
CN103443357A (zh) 包含短切微纤维的混合物和由其制备的纤维制品
CN104145053A (zh) 包含短切微纤维的最终产品
KR20070096754A (ko) 생분해성 부직웹을 갖는 흡수용품
KR20130132442A (ko) 웨트 랩 조성물 및 관련 방법
JP2003003334A (ja) 捲縮性複合繊維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KR101972808B1 (ko)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608004A (zh) 可拉伸的复合片材和制造方法
KR101894727B1 (ko) 신축 회복률 및 피부 밀착성이 우수한 리프팅 마스크 시트
KR101822643B1 (ko) 폴리에스테르계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의류용 신축심지
CN1478015A (zh) 可生化降解的共聚酯非织造布
KR101894726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탄성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합성피혁
KR101827454B1 (ko) 장섬유형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합성피혁
KR101343735B1 (ko) 섬유 형성용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JPH11138727A (ja) フィルムラミネー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