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003B1 -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003B1
KR101778003B1 KR1020170005991A KR20170005991A KR101778003B1 KR 101778003 B1 KR101778003 B1 KR 101778003B1 KR 1020170005991 A KR1020170005991 A KR 1020170005991A KR 20170005991 A KR20170005991 A KR 20170005991A KR 101778003 B1 KR101778003 B1 KR 10177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safety
accident
sound
safety devic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제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제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에이엔제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0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교통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안전장치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빛을 조사하는 표시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통안전장치가 설치된 지점의 소리를 수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소리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 기 저장된 음압값과 비교를 통해 주행중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Description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Traffic safety apparatus and traffic safety system}
본 실시예는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남녀노소 누구나 운전하는 시대가 되었고, 이에 대응하여 자동차 산업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다른 OECD 선진국들과 비교해 볼 때, 교통안전에 관한 지표에 있어 대부분의 지표에서 하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자동차 사고는 단순 접촉, 후방 접촉을 포함하는 차량 간 직접 사고도 있지만, 최근에는 이미 사고가 발생한 지역에서 추가로 진행되는 2차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특히, 2차 사고는 후방 여러 차량에 사고 발생에 대한 알림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되면, 사고차량은 비상삼각대를 세우거나 각종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들에 2차 사고방지를 위한 사고 표시를 한다. 그러나, 사고 피해자는 신속하게 알림 수칙을 이행하기 어렵고, 사고 조치를 위한 인원들이 출동하는 데에도 일정 시간이 소모된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2016년 7월 한국도로공사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차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행동요령”을 준수하라고 권고하고 있으나, 이는 온전히 사고 발생으로 급박한 상황에 있는 “운전자”의 적극적인 행동이 요구되는 것으로, 2차 사고 방지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발생 사실을 후방 차량들에 표시하여, 2차 사고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장치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빛을 조사하는 표시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통안전장치가 설치된 지점의 소리를 수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소리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 기 저장된 음압값과 비교를 통해 주행중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안전시스템은 자동차가 주행중인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소리를 수신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입력된 소리 정보를 기초로 자동차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빛을 조사하는 표시부; 및 외부서버와 유, 무신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된 사고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소리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 기 저장된 음압값과 비교를 통해 주행중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소리를 통해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고 발생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수신되는 소리는 특정 주파수로 변환되어 기 저장 음압값과 비교되므로,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정확한 감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는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빛의 색을 식별하여, 운전중인 도로에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2차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2016년 7월 한국도로공사의 보도자료.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장치의 적용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 정보의 획득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평상 시와 사고 시의 음압 크기를 주파수로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시스템의 사고 감지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장치의 적용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장치 본체의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장치(100)는 도로(R)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로(R)는 차량이 운행되는 길로써, 일 예로 고속도로 일 수 있다. 상기 교통안전장치(100)는 도로(R)에서 차량의 주행 영역과 이격된 영역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식별될 수 있다.
상기 교통안전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경로 상에서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교통안전장치(100)는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도로(R)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교통안전장치(100)는 인접한 교통안전장치와 상호 간격(L)을 형성하며, 차량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정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L)은 도로교통법 상 표지판의 설치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90)는 일단이 지면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10)가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1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90)의 지지 높이는 운전자로 하여금 상기 본체(110)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20, 130)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0, 130)는 제1 케이스(120)와 제2 케이스(1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제1 케이스(120)와 상기 제2 케이스(1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케이스(130)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을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 케이스(120)의 측면 일부는 상기 제2 케이스(130)의 측면 일부를 덮어, 상기 각 케이스(120, 13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20)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25)을 통해 후술할 표시부(142)의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20)의 측면에는 센서부(122)와, 스위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2)와 상기 스위치(40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1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을 위한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120)의 전면에는 상기 구동부(140)가 안착된다.
상기 센서부(122)는, 상기 교통안전장치(100)가 설치되는 외부의 소리를 감지한다. 즉, 상기 센서부(122)는 외부 소리의 음압과 주파수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MIC)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22)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소리로는, 상기 교통안전장치(100)가 설치되는 지점의 차량 주행소리 또는 차량 사고소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400)를 조작하는 사용자라 함은, 상기 교통안전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에서, 사고를 목격한 자 또는 사고 발생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위치(400)가 조작되면, 제어부(200, 도 4참조)는 사고 사실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400)를 통해, 사고 발생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는 표시부(142)와, 상기 표시부(142)의 배면에 결합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44)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4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표시부(142)는, 운전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빛을 조사한다. 이 때, 조사되는 빛의 색상은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2)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은 적색, 황색, 녹색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20)에는 상기 표시부(142)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홀이(125)이 형성되므로, 운전자는 용이하게 빛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42)의 전면에는 빛이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렌즈(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150)는 빛의 투과를 위한 투명성 재질로 형성되어, 빛의 확산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시스템의 블록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 정보의 획득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며, 도 6은 평상 시와 사고 시의 음압 크기를 주파수로 비교한 그래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시스템(101)은, 제어부(200), 센서부(122), 표시부(142), 통신부(300) 및 스위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교통안전시스템(101)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상기 교통안전시스템(101)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통안전시스템(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구동함으로써, 상기 교통안전시스템(101)의 구동을 위한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통안전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44)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교통안전장치(100)와 다른 서버 사이, 복수의 교통안전장치 중 일 교통안전장치와 다른 교통안전장치의 유,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교통안전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교통안전장치(100)는 외부 서버, 인접한 교통안전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서버라 함은, 상기 교통안전장치(100)가 설치된 지점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 사고 수습을 위한 사고대책반 서버, 군 또는 경찰서를 포함하는 관공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통안전장치(100)에서 사고 감지 시,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외부서버에서 사고 발생에 관한 내용을 조기에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통안전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2)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빛을 조사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표시부(142)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하여, 인접한 교통안전장치 간에 조사되는 빛이 서로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22)는 상기 교통안전장치(100)의 외부 소리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122)에 입력된 소리 정보는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수신된 상기 소리 정보를 통해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22)에서 수신되는 소리 정보는,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증가시키기 위해, 증폭기(amp)에서 신호 증폭과 노이즈 제거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Bandpass-Filter를 통해 수신된 소리의 설정 주파수 대역이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주파수 대역이라 함은, 평상 시 상기 센서부(122)에서 수신되는 소리의 음압과 사고 발생 시 상기 센서부(122)에서 수신되는 소리의 음압이 차이가 발생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평상 시라 함은 사고 발생 되지 않은 자연 상태, 즉 상기 교통안전장치(100)가 위치한 도로에 차가 원할히 주행중인 상태를 의미한다. 주파수 대역이 변환된 소리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통해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도 중 평상 시 음압 선도(1)와 사고 발생 시 음압 선도(2)를 하나의 그래프에 구분하여 표시할 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사고 발생의 음압이 평상 시 음압 보다 높은 구간 A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A구간의 주파수 대역은 1KHz 이상 5KHz 미만인 구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A구간에서 사고 발생 시 음압이 평상 시 음압보다 높은 수치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22)에서 수신된 소리를 상기 A구간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기 저장된 평상 시 음압과 비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22)를 통해 수신된 소리의 음압이 설정 주파수 대역에서 기 저장 음압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된 소리의 음압이 설정 주파수 대역에서 기 저장 음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발생 시 음압이 평상 시 음압 보다 높은 것은, 사고 발생에 의한 충돌음, 스키드음에 의한 것으로서, 도 6에 표시된 선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교통안전시스템(101)의 사고 감지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안전시스템의 사고 감지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센서부(122)가 상기 교통안전장치(100)가 설치된 지점의 소리를 감지한다(S510). 이 때, 감지되는 소리로는 상기 교통안전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소리로서, 차량 주행 소리, 자연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22)에서 수신된 소리 정보를 기 저장 음압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다(S520). 전술한 바와 같이, 사고 발생 시 음압과 평상 시 음압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차이가 발생되므로, 상기 제어부(200)는 전술한 소리 변환과정을 통해 수신된 소리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되는 주파수 대역은 1KHz 이상 5KHz 미만인 구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00)는 변환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수신 소리 음압을 기 저장된 음압과 비교한다(S530).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소리의 음압이 설정 주파수 대역에서 기 저장 음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센서부(122)가 계속적으로 외부 소리를 감지한다.
그러나, 수신된 소리의 음압이 설정 주파수 대역에서 기 저장 음압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외부서버로 사고발생 정보가 송신된다(S540). 이로 인해, 상기 외부서버의 관리자는 해당 지점에 사고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필요에 따른 조치를 조기에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표시부(142)에서 표시되는 빛의 색을 조절한다. 상세히, 상기 표시부(142)는 적색, 녹색, 황색의 3 종류의 색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녹색은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 즉 정상상태에서 조사되는 빛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적색은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위치한 상기 교통안전장치(100)에서 표시되는 빛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상기 황색은 사고가 발생된 지점은 아니지만, 사고가 발생된 지점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교통안전장치에서 표시되는 빛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도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교통안전장치 중 사고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제 1 거리 이내에 위치한 교통안전장치의 표시부(142)는 적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제 1 거리를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지만 제 2 거리 이내에 위치한 지점에서는 황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거리를 벗어난 지점에 위치한 교통안전장치는 정상상태의 빛, 즉 녹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제 2 거리보다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짧은 거리로 이해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표시부(142)에서 표시되는 빛의 색을 식별하여, 운전중인 도로에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2차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교통안전장치(100)는 상기 센서부(122)에서 수신되는 소리 외에도, 사고지점에 위치한 특정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교통안전장치(100)에는 상기 스위치(400)가 구비되므로, 특정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00)은 동일하게 사고 발생 사실을 외부서버로 송신(S540)하고, 인접한 교통안전장치의 표시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빛을 조사하는 표시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통안전장치가 설치된 지점의 소리를 수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소리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 기 저장된 음압값과 비교를 통해 주행중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1KHz 이상 5KHz 미만 이고,
    제어부는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센서부에서 수시된 소리의 음압값이 상기 기 저장된 음압값 이하일 경우에는 정상상태라고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소리의 음압값이 상기 기 저장된 음압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사고 발생을 감지하며,
    상기 교통안전장치는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교통안전장치는 상기 도로의 일측에서 상호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주행중인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복수의 상기 교통안전장치의 각 표시부 중에서,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제 1 거리 이내에 위치한 교통안전장치의 표시부는 적색의 빛을 조사하고,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제 1 거리 이상 제 2 거리 이내에 위치한 교통안전장치의 표시부는 황색의 빛을 조사하며,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제 2 거리 이외에 위치한 교통안전장치의 표시부는 녹색의 빛을 조사하는 교통안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사고 발생 시, 외부서버 또는 인접한 다른 교통안전장치와 유, 무신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안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고 발생에 관한 정보 입력을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교통안전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05991A 2017-01-13 2017-01-13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 KR10177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91A KR101778003B1 (ko) 2017-01-13 2017-01-13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91A KR101778003B1 (ko) 2017-01-13 2017-01-13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003B1 true KR101778003B1 (ko) 2017-09-13

Family

ID=5996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91A KR101778003B1 (ko) 2017-01-13 2017-01-13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1437A1 (en) * 2018-02-22 2019-08-29 Sean Huntley An adaptive and adaptable message displa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816A (ja) * 1999-07-28 2001-02-16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事故音検出回路
JP2007286857A (ja) * 2006-04-17 2007-11-01 Sekisui Jushi Co Ltd 事故監視システム
KR101412101B1 (ko) * 2014-04-24 2014-06-27 주식회사 시스피아 Cctv 음원추적용 음향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816A (ja) * 1999-07-28 2001-02-16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事故音検出回路
JP2007286857A (ja) * 2006-04-17 2007-11-01 Sekisui Jushi Co Ltd 事故監視システム
KR101412101B1 (ko) * 2014-04-24 2014-06-27 주식회사 시스피아 Cctv 음원추적용 음향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1437A1 (en) * 2018-02-22 2019-08-29 Sean Huntley An adaptive and adaptable message displa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4754A (zh) 碰撞警告系统
JP6540689B2 (ja) レーダーモジュール、輸送機器、及び物体識別方法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JP6320327B2 (ja) 車両侵入警報システム
CN103794072A (zh) 向车辆驾驶员发出超过限速警报的方法和车辆
US20140104053A1 (en) Vehicle occupancy and restraint status indication and driver distraction system
WO2019163980A1 (ja) 危険行為解消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40076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a vehicle
WO2017115931A1 (ko) 자동차의 내외부 의사 소통 시스템
KR101719976B1 (ko) 주변 상황 적응형 고속도로 경보 시스템
KR101778003B1 (ko) 교통안전장치 및 교통안전시스템
US20060176190A1 (en)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US10017106B2 (en) Cell phone texting exter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EP3128497A1 (en) Device for alerting on the approaching of emergency vehicles
KR101689080B1 (ko)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KR101485044B1 (ko) 발광 신호 수신 및 광 조사를 통한 차량 위치 알림 장치
KR101516223B1 (ko) 차량의 충격 감지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2010044632A (ja) 車両用警報装置
KR101670018B1 (ko) 차량 사고 감지 및 사고 처리 시스템
KR101690511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9895B1 (ko) 차량 운전자의 비상 알림 시스템
KR102175359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US20110221610A1 (en) Smart chip radio
KR20160119345A (ko) Its 시스템 내장형 사고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264522B1 (ko) 무선송수신기를이용한다용도무선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