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646B1 -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646B1
KR101777646B1 KR1020170015527A KR20170015527A KR101777646B1 KR 101777646 B1 KR101777646 B1 KR 101777646B1 KR 1020170015527 A KR1020170015527 A KR 1020170015527A KR 20170015527 A KR20170015527 A KR 20170015527A KR 101777646 B1 KR101777646 B1 KR 101777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module bracket
girder
type modul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필
오종훈
김종열
유경아
Original Assignee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서하
(주)씨앤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서하, (주)씨앤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를 하나만 사용하여 시공 단가를 낮추고, 지주 상부의 보강을 위한 슬롯형 모듈 브라켓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 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더(10); 상기 거더 하부에 교각마다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지주(20); 및 상기 거더와 지주가 만나는 부분에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TEMPORARY BRIDEG USING SLOT-TYPE MODULE BRACKET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지주를 이용하면서 지주와 거더의 연결부위를 보강한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및 기초로 이루어지는데, 상부구조물은 직접 하중을 지지하며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이고, 하부구조물은 교각ㅇ교대ㅇ앵커 등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기초는 하부구조물 본체에서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고 교량을 고정시킨다.
상부구조물은 통로를 형성하는 바닥구조, 그것을 직접 지지하는 바닥짜임, 본체인 주구조와 교량을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바람ㅇ지진 등의 가로하중에 대항하는 횡구와 대경구로 된다. 이 밖에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와의 사이에는 지승이 설치된다.
하부구조물은 교각과 교대로 나눈다. 교각은 다리 중간부에서 상부구조를 받치고, 교대는 다리 양 끝부분에서 상부구조를 지지하고 뒷면의 토압에도 대항한다. 교각ㅇ교대 모두 철근콘크리트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조로 된 교량은 여러 가지의 공법으로 가설할 수 있으며, 계획 처음부터 형식을 선정ㅇ검토함으로써 설계가 진행되는데, 그 가설공법의 목표는 교량을 정해진 형상으로 마무리할 것, 정해진 힘의 배분상태로 할 것, 합리적이고 안전한 시공을 할 것 등이다.
그리고 기존 교량을 수리하는 경우, 지하철 등 지하 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가설교량을 시공한다. 가설교량은 임시적인 교량으로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시공 후 소정기간 경과 후 제거된다. 이 제거를 위하여 콘크리트는 최소로 사용하고 H형강과 같은강재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가설교량을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평 방향으로 상부 구조물인 거더(10; girder, 주형)가 설치되고 거더(10)들 사이에는 하부 구조물 교각인 지주(20)들이 설치된다. 지주(20)들은 한 위치에 2열씩 구비되며, 지주(20) 상부 측을 보강하기 위하여 브레이싱(50)들이 수평 방향 및 X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거더(10) 상부에는 복공판(12; 覆工板 , road decking panel)이 구비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2) 하부에는 거더(10)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보(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설교량은 하나의 교각마다 지주(20)가 두 개씩 설치되므로 시공 단가가 높고, 두 지주(20) 사이의 브레이싱(50)들을 보강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시공 기간이 늘어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를 하나만 사용하여 시공 단가를 낮추고, 지주 상부의 보강을 위한 슬롯형 모듈 브라켓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 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더(10); 상기 거더 하부에 교각마다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지주(20); 및 상기 거더와 지주가 만나는 부분에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은: 상기 지주(20)에 맞닿으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재(32); 상기 거더(10) 하부와 맞닿으면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평재(34); 상기 수직재(32)와 상기 수평재(34) 사이에 지면에 대하여 45°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재(36)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재(32)와 상기 수평재(34)는 상기 경사재(36)가 결합되는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영역(32a, 34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 위치에, 상기 지주(20)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용 잭(42); 상기 높이 조절용 잭(42)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조절용 잭(42)을 지지하며, 상기 지주(20)를 관통하는 고정핀(44a)에 의하여 고정되는 거치대(44); 및 상기 수직재(32)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지주(20)와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20) 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20)의 두 모서리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하는 브라켓 슬롯(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은, 상기 지주(20)에 상기 거치대(44) 및 높이 조절잭(42)을 좌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주(20)의 일측에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위에서부터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일측에 삽입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의 상기 높이 조절잭(42)을 조정하여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과 상기 지주(20)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지주(20)의 타측에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위에서부터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타측에 삽입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의 상기 높이 조절잭(42)을 조정하여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과 상기 지주(20)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재(32)와 상기 지주(2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지주(20)와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상부에 상기 거더(1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더(10)와 상기 수평재(34)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은 지주를 하나만 사용하여 시공 단가를 낮추고, 지주 상부의 보강을 위한 슬롯형 모듈 브라켓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 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가설교량을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A" 방향에서 본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부분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거더(1)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그 상부에 복공판(12)과 가로보(14)가 구비되는 점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교각으로 지주(20)가 하나씩 구비된다. 이로써 가설교량의 시공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두 개의 지주를 사용하는 종래 교각에 비하여 지주(20) 사이의 간격은 더 감축시킬 필요는 있다. 여기서 거더(1)와 지주(20)는 각각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더(10)와 지주(20)가 만나는 부분에, 직각삼각형 형상의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이 지주(20) 좌우로 구비된다. 이는 지주(20)에 작용하는 거더(10)의 하중을 삼각형 형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가설교량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지주(20)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에는 높이 조절용 잭(42)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잭(42)을 거치하는 거치대(44)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부분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은 수직재(32)와 수평재(34) 및 경사재(36)를 포함하여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수직재(32)는 지주(20)에 맞닿으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수평재(34)는 수직재(32)의 상부 측에서 거더(10) 하부와 맞닿으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경사재(36)의 일측은 수직재(32)의 하부에, 타측은 수평재(34)의 일측에 고정되어, 지면에 대하여 약 45° 각도를 이루면서 경사지게 구비된다. 경사재(36)는 수직재(32)와 수평재(34)의 단부(end)에 고정되지는 않고, 수직재(32)와 수평재(34)의 단부(end)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된다. 이 결과 수직재(32)와 수평재(34)는 경사재(36)가 결합되는 공간으로부터도 외부로 노출된 영역(32a, 34a)을 구비하며, 이 영역으로 인하여 경사재(36)와 수직재(32) 및 수평재(34)가 결합되는 위치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은 시공 과정에서, 지주(20)에 먼저 결합되고 이후에 거더(10)가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의 시공을 위하여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에는 높이 조절용 잭(42)이 지주(20)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이 높이 조절용 잭(42)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44) 역시 지주(20)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높이 조절용 잭(42)은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상하 높이 조절이가능한 것으로, 공지된 잭을 사용할 수 있다. 거치대(44)는 이 잭(42)을 고정하는 것으로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상부면이 평평하게 구비되며, 양쪽 거치대(44)를 지주(20)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핀(44a)이 양쪽 거치대(44)와 지주(2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의 수직재(32)와 수평재(34) 및 경사재(36) 모두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주(20)와 수직재(32), 수평재(34)와 거더(10) 및 수직재(32)와 수평재(34) 및 경사재(36) 각각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볼트 등 고정부재(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은 미리 수직재(32)와 수평재(34) 및 경사재(36)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주(20)에 위쪽에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높이 조절용 잭(42)과 거치대(44)는 그 전부터 지주(20)에 결합되어 있고,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지주(20)에서부터 위쪽에서 끼워 결합한 후 높이 조절용 잭(4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와 지주(20)의 높이를 맞추게 된다.
도 4는 도 2의 "A" 방향에서 본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슬롯형 모듈 브라켓(30)를 지주(20)에 위쪽에서부터 끼워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주(20)와 그 좌우의 수직재(32)의 평면도 형상은 'H'자로, H형강을 이용한 점이 도시된다. 수평재(34) 역시 H형강을 이용하나, 도 4의 평면도 상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으로만 나타난다.
수직재(32)의 네 모서리 중 지주(20)와 맞닿는 부분의 두 모서리에는, 외측 방향 즉 지주(20) 방향을 향하여 단면이 'ㄷ'자 형상인 브라켓 슬롯(38)이 고정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 브라켓 슬롯(38)은 도 3에서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수직재(32)의 상하 높이 전체를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브라켓 슬롯(38)은 지주(20) 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이 'ㄷ'자 형상의 공간에 지주(20)의 두 모서리(좌우 합쳐서는 총 네 모서리)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정확하게는, 지주(20)가 먼저 고정되어 설치된 후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이 설치되므로, 지주(20)에 대하여 슬롯형 모듈 브라켓(30)가 가이드되며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브라켓 슬롯(38)의 'ㄷ'자 형상 공간은 H형강으로 이루어진 지주(20)의 모서리 공간보다 크게 구비되어, 지주(20)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40)에 의하여 지주(20)와 수직재(32)는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에 거치대(44) 및 높이 조절잭(42)을 좌우에 미리 설치한다. 이후 도 5의 (b)와 같이 지주(20)의 오른쪽에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위에서부터 삽입한다(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은 이전부터 미리 조립된 상태이다). 이 때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중 수직재(32)의 브라켓 슬롯(38)에 지주(2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이 이동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도 5의 (c)와 같이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끝까지 삽입하여 높이 조절잭(42)에 하부가 닿도록 한다. 이후 높이 조절잭(42)을 조정하여,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의 상부면과 지주(20)의 상부면 높이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수직재(32)와 지주(20)를 고정부재(40)로 고정시킨다.
그 다음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의 좌측에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역시 위에서부터 삽입한다. 이 때에도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중 수직재(32)의 브라켓 슬롯(38)에 지주(2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이 이동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도 5의 (e)와 같이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끝까지 삽입하여 높이 조절잭(42)에 하부가 닿도록 한다. 이후 높이 조절잭(42)을 조정하여,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의 상부면과 지주(20)의 상부면 높이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수직재(32)와 지주(20)를 고정부재(40)로 고정시킨다.
여기서는 지주(20) 좌우측의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방법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좌우측의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동시에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시공을 모든 지주(20)에 동일하게 실시한 후, 마지막으로 지주(20)와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상부에 거더(10)를 설치한다. 이후 거더(10)와 수평재(34) 역시 고정부재(40)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은, 지주를 하나만 사용하여 시공 단가를 낮추고, 지주 상부의 보강을 위한 슬롯형 모듈 브라켓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 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의 설치용이성 및 시공편의성을 위해 수직재(32), 수평재(34), 경사재(36)들을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한 실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H)은 수직재(32), 수평재(34) 및 경사재(36)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수평재(34) 및 경사재(36)에 길이조절수단(H)을 구비하는 실시는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통사의 기술자가 충분히 유추 실시할 수 있는 것인 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중 수직재(32)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시만을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수직재(보다 바람직하게는 변형된 수직재를 말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수직재로 통일하도록 한다.)는 제1분체(H1)와, 제1분체(H1)에 삽입되는 제2분체(H2)로 이루어지며, 이 제2분체(H2)가 제1분체(H1)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제2수직재의 전체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분체(H1)에는 내삽부(H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내삽부(H11)에 제2분체(H2)가 내삽되어 제1분체(H1)의 일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2분체(H2)가 제1분체(H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1분체(H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H13)가 구비되고, 제2분체(H2)에는 내측돌기(H13)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H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분체(H1)와 제2분체(H2)로 구성되는 제2수직재에는 길이조절수단(H)이 구비되는 바, 이 길이조절수단(H)은 제1분체(H1)에 구비되는 관통공(H40)과, 제2분체(H2)에 구비되는 이동공(H30) 및 관통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제2분체(H2)의 돌출정도를 변경하는 이동부재(H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2분체(H2)에는 이동공(H3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동공(H3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1)와 경사부(H31)에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부(H33)로 이루어지며, 이 수직부(H33)에서 다시 경사부(H31)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결과적으로 경사부(H31)와 수직부(H33)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 번 구비됨에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 이동공(H30)은 공의 형상 또는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제1분체(H1)에는 관통공(H40)이 구비되어 있는 바, 관통공(H4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공(H41)과, 가로공(H41)의 양측에 연통되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세로공(H43) 및 제2세로공(H44)으로 이루어져 그 형상이 'H'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게 된다.
나아가 관통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에 단부가 체결되는 이동부재(H50)가 더 구비되게 되며, 이 이동부재(H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이동부재(H50)는 바디부재(H53)와, 바디부재(H53) 단부에 구비되는 볼베어링(H51), 다른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부재(H55)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H51)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볼베어링(H51)은 이동부재(H50)가 이동공(H30) 내에서 움직일 때 보다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써,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삽입부(H533)가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볼베어링삽입부(H533)는 볼베어링(H51)의 절반 이상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이 볼베어링삽입부(H533) 내에서 볼베어링(H51)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됨으로서 이동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바디부재(H53)의 반대쪽 단부에는 핸들결합부(H5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핸들결합부(H531)에 핸들부재(H55)가 결합되어 하나의 이동부재(H50)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결합부(H531)와 핸들부재(H55)에 구비되는 바디삽입부(H551)는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이 나사결합에 의해 핸들부재(H55)를 회전시키면 핸들결합부(H531)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방향으로 풀어지는 구조로서, 이 구조는 하기에 이동부재(H50)의 동작을 설명할 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제1분체(H1)로부터 제2분체(H2)의 돌출정도를 조절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그 동작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부재(H50)는 관통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에 체결되는 바, 관통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경사부(H31)(우측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사를 갖는 경사부(H31))에 의해 제2분체(H2)는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부재(H50)가 가로공(H41)의 좌측에 위치한 후, 다시 우측방향으로 바로 이동을 시키면, 이동부재(H50)가 앞서 움직인 경사부(H31)를 따라 다시 이동하여 제2분체(H2)가 원위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로공(H4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1세로공(H43) 및 제2세로공(H44)이 각각 구비되는 바, 이동부재(H50)를 제1세로공(H4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재(H50)가 이동공(H30)의 수직부(H33)에 의해 좀 더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후 다시 이동부재(H50)를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이동공(H30)의 다음 경사부(H31)에 초입에 위치하며, 이동부재(H50)를 다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두 번째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여 제2분체(H2)는 다시 한 번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관통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H50)는 이동공(H30)의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하고, 관통공(H40)의 제1및 제2세로공(H44)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공(H30)의 수직부(H33)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제2분체(H2)를 제1분체(H1)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제2분체(H2)를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승하는 방식과 반대로 이동부재(H50)를 움직임으로서 해결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길이가 조정된 제2분체(H2)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핸들부재(H55)에 고정플랜지(H553)를 구비하고 관통공(H40)에 고정플랜지(H553)가 결합되는 고정홈(H46)을 구비함으로서 이를 해결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부재(H55)의 테두리에는 고정플랜지(H553)가 구비되어 있는데, 고정플랜지(H553)는 바디부재(H53)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고정홈(H46)은 관통공(H40)의 가로공(H41) 양 단부에 반원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 홈 또는 공 형상의 것으로 이 반원의 형상의 직경은 핸들부재(H55)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되게 된다.
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바, 핸들부재(H55)를 살짝 풀어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의 내측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 고정플랜지(H553)가 제1분체(H1)의 외면과 떨어진 형상을 이루어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이동부재(H50)를 가로공(H41)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면, 핸들부재(H55)를 조이게 되며, 이렇게 조이면 핸들부재(H55)가 자연스럽게 관통공(H40)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관통공(H40)에 구비되는 고정홈(H46)에 삽입됨으로서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보다 완벽한 고정을 위하여 고정플랜지(H553)에는 제1마그넷(H555)을 구비하고, 고정홈(H46)의 일 측에는 제2마그넷(H557)을 구비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고정홈(H46)에 체결되면 이 제1마그넷(H555)과 제2마그넷(H557)의 자력에 의해 임의로 핸들부재(H5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거더 12 : 복공판
14 : 가로보 20 : 지주
22 : 고정부재 30 : 슬롯형 모듈 브라켓
32 : 수직재 32a : 모서리
34 : 수평재 36 : 경사재
38 : 브라켓 슬롯 40 : 고정부재
42 : 높이 조절 잭 44 : 거치대
50 : 브레이싱

Claims (4)

  1.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더(10);
    상기 거더 하부에 교각마다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지주(20); 및
    상기 거더와 지주가 만나는 부분에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은, 상기 지주(20)에 맞닿으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재(32), 상기 거더(10) 하부와 맞닿으면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평재(34) 및, 상기 수직재(32)와 상기 수평재(34) 사이에 지면에 대하여 45°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재(36)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재(32)와 상기 수평재(34)는 상기 경사재(36)가 결합되는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영역(32a, 34a)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 위치에, 상기 지주(20)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용 잭(42), 상기 높이 조절용 잭(42)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조절용 잭(42)을 지지하며, 상기 지주(20)를 관통하는 고정핀(44a)에 의하여 고정되는 거치대(44) 및, 상기 수직재(32)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지주(20)와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20) 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20)의 두 모서리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하는 브라켓 슬롯(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 수평재 및 경사재 중 어느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분체 및, 상기 제1분체에 내삽되는 제2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체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관통공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제2분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이동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공은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장되는 수직부가 복수 번 반복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경사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공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공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상기 제2분체가 상기 제1분체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3.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으로,
    상기 지주(20)에 상기 거치대(44) 및 높이 조절잭(42)을 좌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주(20)의 일측에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위에서부터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일측에 삽입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의 상기 높이 조절잭(42)을 조정하여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과 상기 지주(20)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지주(20)의 타측에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을 위에서부터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타측에 삽입된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하부의 상기 높이 조절잭(42)을 조정하여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과 상기 지주(20)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재(32)와 상기 지주(2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지주(20)와 상기 슬롯형 모듈 브라켓(30) 상부에 상기 거더(1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더(10)와 상기 수평재(34)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4. 삭제
KR1020170015527A 2017-02-03 2017-02-03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777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27A KR101777646B1 (ko) 2017-02-03 2017-02-03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27A KR101777646B1 (ko) 2017-02-03 2017-02-03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646B1 true KR101777646B1 (ko) 2017-09-13

Family

ID=5996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27A KR101777646B1 (ko) 2017-02-03 2017-02-03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95B1 (ko) * 2019-02-25 2019-10-24 삼호쏘일텍(주)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26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200274807Y1 (ko) 2001-09-18 2002-05-11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교량 슬래브용 조립식 비계 동바리 구조
KR100559765B1 (ko) 2005-07-04 2006-03-10 우경건설 주식회사 아치리브로 보강된 스틸거더와 교차 브레이싱을 생략한하부구조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39232B1 (ko) * 2013-12-30 2014-09-1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수변 데크로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26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200274807Y1 (ko) 2001-09-18 2002-05-11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교량 슬래브용 조립식 비계 동바리 구조
KR100559765B1 (ko) 2005-07-04 2006-03-10 우경건설 주식회사 아치리브로 보강된 스틸거더와 교차 브레이싱을 생략한하부구조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39232B1 (ko) * 2013-12-30 2014-09-1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수변 데크로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95B1 (ko) * 2019-02-25 2019-10-24 삼호쏘일텍(주)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08B1 (ko)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352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RU2704646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модуля станционной двери на платформе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монтажа
KR101777646B1 (ko) 슬롯형 모듈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99111B1 (ko)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US6368022B1 (en) Lifting system for massive constructions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101197548B1 (ko) 위치 가변이 가능한 석재패널 고정장치
CN214219342U (zh) 基于磁悬浮的曲线梁桥横向爬移自动纠偏装置
KR20190071060A (ko) 물탱크용 패드
KR102025511B1 (ko) 수평지 및 경사지에 설치 가능하며 횡대 수평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횡대를 고정하는 조립식 울타리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193470B1 (ko) 교량받침 및 교량의 시공방법
KR101562603B1 (ko) Pc보도육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025213B1 (ko) 앵커볼트 설치용 조립지그
CN216196009U (zh) 一种建筑钢结构施工锁紧装置
KR100538410B1 (ko) 거더 연속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공법
KR101822904B1 (ko) 철도교용 포트받침
CN108755727B (zh) 一种用于安装地脚螺栓式预埋件的装置
KR101931989B1 (ko) 자세 조정이 용이한 지지형 외팔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CN111042574A (zh) 外墙的保护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90083054A (ko) 배전반 신설을 위한 내진보강구조
CN211819445U (zh) 一种支护支柱、支护支柱组件和支护支架装置
CN218952405U (zh) 方便安装的支承梁结构
KR100613414B1 (ko) 교량 중앙분리대의 베이스플레이트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