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635B1 - 전자사격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사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635B1
KR101777635B1 KR1020160167647A KR20160167647A KR101777635B1 KR 101777635 B1 KR101777635 B1 KR 101777635B1 KR 1020160167647 A KR1020160167647 A KR 1020160167647A KR 20160167647 A KR20160167647 A KR 20160167647A KR 101777635 B1 KR101777635 B1 KR 10177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laser
bullet
light emitting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에스명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명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명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30Gun-lay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격자의 격발에 의해 실탄이 발사되는 총기장치; 총기장치의 총열에 결합되어 있으며, 총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총열 조준 궤적을 파악하는 3D 모션 감지 센서; 상기 총기장치에서 발사된 실탄이 도달하면, 레이저광 센싱을 통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하는 표적장치;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사격자용 모니터; 및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상기 사격자용 모니터에 표시하고,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주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격시스템{Electronic shooting system}
본 발명은 전자사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수 총기의 일측에 3D 마우스 장치를 구비하고, 3D 마우스 장치와 사격자용 모니터를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총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사된 탄두가 표적장치를 관통할 때 관통한 위치를 정확하기 감시하고 이를 증폭, 연산절차를 통해 정확한 탄착위치를 산출하여 사수에게 실시간으로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수의 사격조준능력 향상과 효과적인 사격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전자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 연습시스템은 사격장의 일측에 거리별로 각각 표적지가 세워진 상태에서 사수가 원하는 거리의 표적지를 조준한 뒤 격발하게 되면, 탄환이 표적지에 맞게 된다. 이때 사격이 끝난 후 표적지를 수거하여 표적지에 형성된 탄착점을 확인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통상적으로, 사격 전에 거리별 실거리 영점 획득을 위해 영점 사격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격 연습시스템은 실거리 사격 후 탄착점을 확인하게 위해서는 표적지를 수거하여 표적지에 형성된 탄착점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탄착점 확인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이로 인해 사격 시간이 길어지거나, 탄착에 따른 사격시 자세의 문제점 및 이를 개선하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4107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격자(사수)의 총기장치의 일측에 3D 모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3D 모션 감지 센서와 사격자용 모니터를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총기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격발된 탄두가 표적장치를 관통하면 탄두가 관통한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증폭, 연산절차를 통해 정확한 탄착위치를 검출하여 사격자에게 실시간으로 사격자용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수의 사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사격방법을 제시하는 전자사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종이표적을 이용하여 단순한 사격을 하는 방법에서 전자사격시스템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전자사격시스템 관련 기술을 개발하여 사격시스템의 현대화를 추진하여 사격의 방법과 시스템의 기술개발을 통하여 사격기술의 향상과 시스템의 과학화를 이루어 사격시스템의 기술적 수준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으로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격자의 격발에 의해 실탄이 발사되는 총기장치; 총기장치의 총열에 결합되어 있으며, 총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총열 조준 궤적을 파악하는 3D 모션 감지 센서; 상기 총기장치에서 발사된 실탄이 도달하면, 레이저광 센싱을 통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하는 표적장치;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사격자용 모니터; 및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상기 사격자용 모니터에 표시하고,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주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적장치는, 제1측 프레임, 상기 제1측 프레임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된 제2측 프레임, 상기 제2측 프레임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측 프레임과 대향되는 제3측 프레임, 및 상기 제3측 프레임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측 프레임과 대향되는 제4측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제1측 프레임, 제2측 프레임, 제3측 프레임, 및 제4측 프레임에 의해 중앙이 관통된 사각틀 형태의 사각틀 표적 부재; 상기 제1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3측 프레임을 향해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제1발광부, 상기 제2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4측 프레임을 향해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제2발광부, 상기 제3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측 프레임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레이저 제1발광부와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는 레이저 제1수광부, 및 상기 제4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4측 프레임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레이저 제2발광부와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는 레이저 제2수광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센싱부; 및 상기 레이저 제1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이 상기 레이저 제1수광부로 수광되는 형태와 상기 레이저 제2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이 상기 레이저 제2수광부로 수광되는 형태를 이용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하는 실탄 탄착 지점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제1발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발광센서가 상기 제1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제2발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발광센서가 상기 제2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제1수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수광센서가 상기 제3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제2수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수광센서가 상기 제4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탄 탄착 지점 파악부는, 실탄의 탄두가 상기 사각틀 표적 부재의 관통 지점을 통과할 때 실탄의 탄두의 검출해상도를 1/100ns의 속도로 스캔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실탄 탄착 지점을 상기 3D 모션 감지 센서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이용하여 사격자의 사격 자세를 교정하는 안내 정보인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는 고벽 분석부; 상기 총열 조준 궤적, 실탄 탄착 지점, 및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사격자용 모니터에 제공하는 표시 제공부; 및 상기 총열 조준 궤적, 실탄 탄착 지점, 및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알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벽 분석부는, 상기 총열 조준 궤적에 따른 총열이 가리키는 조준 지점과 실제 사격에 의한 실탄 탄착 지점과의 차이를 고려하여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격자의 총기의 총열 일측에 3D 모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3D 모션 감지 센서와 사수용 모니터를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총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사된 실탄의 탄알이 표적장치에 마련된 레이저 센서에 의해 정확한 탄착 위치를 산출하여 사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격시 표적을 조준할 때 총구의 표적에 대한 조준 궤적을 3D 모션 감지 센서로 추적하여 총구의 표적 조준 궤적 및 격발 시점 등의 정보를 사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사격자가 자신의 사격 능력 향상과 효과적인 사격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격자가 격발 후 발사된 실탄이 표적틀에 장착된 레이저 센서에 의해 탄착점을 연산하고 이를 사격자에게 실시간으로 모니터를 통하여 사격자에게 제공하고 사격에 따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격자의 사격시 문제점을 제공하여 사격자의 사격시 개선방안을 확인함으로서 효율적인 사격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사격시 사격자가 표적을 조준할 때 자신이 어떤 형태로 표적을 조준하는지를 검출하여 사수용 모니터를 통하여 사수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서, 사격자 자신이 사격시 행해지는 조준 및 격발에 자세한 정보를 사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사격시에 행해지는 잘못된 부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사격결과를 모니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본인의 사격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격에 따른 결과를 운용프로그램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어 데이터화된 사격결과를 활용하여 사격술 향상에 필요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어 사격 기술의 향상 및 사격의 저변 확대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격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탄이 표적장치를 관통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격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탄이 표적장치를 관통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사격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기장치(100), 3D 모션 감지 센서(110), 표적장치(200), 사격자용 모니터(300), 및 주제어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총기장치(100)는 총열 내 위치한 실탄을 사격자의 방아쇠 구동에 따라 표적지로 발사되게 하고, 표적장치(200)는 사격자의 격발에 의해 실탄이 탄착되면 레이저 센싱에 의해 탄착 위치를 추적하고, 주제어 장치(400)는 고벽 분석 등을 수행하고 이를 중앙통제장치(500)로 전송한다. 중앙통제장치(500)는, 사격의 전 과정을 통제하는 시스템이다. 이하 상술한다.
총기장치(100)는, 사격자의 격발에 의해 실탄이 발사되는 총기를 말한다. 총기장치(100)는, 실탄 장전이 있은 후 사격자의 격발에 의하여, 장전된 실탄이 총열을 따라서 총구를 통하여 외부로 격발된다. 따라서 총열 내 위치한 실탄이 사격자의 방아쇠 구동에 따라 표적지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 여기서 총열이라 함은 끝단에 총구가 마련되어 있다.
3D 모션 감지 센서(110)는, 총기장치(100)의 총열에 결합되어 있으며, 총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총열 조준 궤적을 파악한다. 3D 모션 감지 센서(110)는,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이 x,y,z축의 3축의 움직임 방향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사격자가 조준 시작 시점에 3D 모션 감지 센서(110)의 버튼을 누를 경우, 조준 시작 시점의 위치가 기준점이 되어 그 이후의 총열 조준 궤적이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3D 모션 감지 센서(110)에서 파악되는 실탄 탄착 지점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주제어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무선 통신은,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표적장치(200)는, 총기장치(100)에서 발사된 실탄이 도달하면, 레이저광 센싱을 통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한다. 이를 표적장치(200)는, 사격자의 격발에 따라 실탄이 탄착되도록 사각틀 표적 부재(210)가 부착 또는 고정되고, 사수의 발사된 실탄의 표적지 관통시 레이저 센싱을 통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표적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적 부재(210), 레이저 센싱부(220), 및 실탄 탄착 지점 파악부(230)를 포함한다.
표적 부재(2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 프레임(210a), 제1측 프레임(210a)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된 제2측 프레임(210b), 2측 프레임(210b)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제1측 프레임(210a)과 대향되는 제3측 프레임(210c), 및 제3측 프레임(210c)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제2측 프레임(210b)과 대향되는 제4측 프레임(210d)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측 프레임(210a), 제2측 프레임(210b), 제3측 프레임(210c), 및 제4측 프레임(210d)에 의해 중앙이 관통된 사각틀 형태를 가진다.
레이저 센싱부(220)는, 제1측 프레임(210a)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제3측 프레임(210c)을 향해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제1발광부(220a), 제2측 프레임(210b)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제4측 프레임(210d)을 향해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제2발광부(220b), 제3측 프레임(210c)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제1측 프레임(210a)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도록 레이저 제1발광부(220a)와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는 레이저 제1수광부(220c), 및 제4측 프레임(210d)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4측 프레임(210d)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도록 레이저 제2발광부(220b)와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는 레이저 제2수광부(220d)를 포함한다. 이러한 레이저 제1발광부(220a), 레이저 제2발광부(220b), 레이저 제1수광부(220c), 및 레이저 제2수광부(220d)의 전면은, 즉, 실탄이 도달하는 전면은 방탄 처리되어 레이저 발광부(220a,220b)와 레이저 수광부(220c,220d)가 실탄 탄착에 의한 혹시 모를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제1발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발광센서가 제1측 프레임(210a)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레이저 제2발광부(220b)는, 직경 1mm의 레이저 발광센서가 상기 제2측 프레임(210b)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레이저 제1수광부(220c)는, 직경 1mm의 레이저 수광센서가 상기 제3측 프레임(210c)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레이저 제2수광부(220d)는, 직경 1mm의 레이저 수광센서가 상기 제4측 프레임(210d)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도록 한다. 따라서 직경 1mm의 소형의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일렬로 배치하여 실탄이 사각틀의 표적 부재(210)의 중심의 관통 영역을 통과할 때 실탄의 탄두의 탄착 지점을 스캔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탄 탄착 지점 파악부(230)는, 레이저 제1발광부(220a)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이 레이저 제1수광부(220c)로 수광되는 형태와, 레이저 제2발광부(220b)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이 레이저 제2수광부(220d)로 수광되는 형태를 이용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적 부재(210)의 일측 프레임에 마련된 레이저 발광부(220a,220b)를 두어서 레이저를 내측을 향해 발광하고, 대향된 타측 프레임에 마련된 레이저 수광부(220c,220d)에서 이를 수신함으로써, 사격자(사수)가 발사한 실탄의 탄두가 표적 부재(210)의 사각틀 중심을 통과할 때 탄두의 통과 위치를 추적하여 이를 실탄 탄착 지점으로 파악하다. 탄두에 의해 레이저광이 반사되어 수광되지 않는 지점을 파악하여, 탄착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실탄 탄착 지점 파악부(230)는, 실탄의 탄두가 사각틀 표적 부재(210)의 관통 지점을 통과할 때 실탄의 탄두의 검출해상도를 1/100ns의 속도로 스캔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하도록 한다. 따라서 오차를 최소로 한 정확한 실탄 탄착 지점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사격자용 모니터(300)는, 사격자의 근처에 있는 모니터로서, 사격자가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이다. 사격자용 모니터(300)는, LCD패널, LED패널, 터치스크린패널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패널이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사격자용 모니터(300)는,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에 대한 정보는, 주제어 장치(400)로부터 제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총열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한 궤적이 총열 조준 궤적으로서 사격자용 모니터(300)에 표시되며, 동시에 격발시에 실탄 탄착 지점이 실시간으로 표시됨으로서, 사격자는 상호 비교를 통해 확인할수 있게 된다.
주제어 장치(400)는 표적장치(200)와 사격자용 모니터(300)를 제어하는 모듈로서,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사격자용 모니터(300)에 표시하고,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중앙통제장치(500)로 전송한다. 즉, 표적장치(200)에서 수신된 실탄 탄착 지점에 대한 정보와 3D 모션 감지 센서(110)로부터 수신하는 총열 조준 궤적을 하나의 영상에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사격자용 모니터(3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중앙통제장치(500)로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참고로 중앙통제장치(500)는, 전자사격 시스템의 사격의 전과정을 통제하는 시스템이다.
나아가 주제어 장치(400)는, 사격자의 나쁜 사격자세를 고칠 수 있도록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격자들은 몸에 굳어져서 고치기 어려운 버릇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군대에서는 고벽(痼癖)이라고도 한다.
주제어 장치(400)는, 이러한 고벽으로 인한 나쁜 사격자세를 교정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주제어 장치(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벽 분석부(410), 표시 제공부(420), 및 알림 제공부(430)를 포함한다.
고벽 분석부(410)는,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이용하여 사격자의 사격 자세를 교정하는 안내 정보인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한다. 즉, 열 조준 궤적에 따른 총열이 가리키는 조준 지점과 실제 사격에 의한 실탄 탄착 지점과의 차이를 고려하여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열 조준 궤적에 따라서 총열이 가리키는 지점이 (x,y)={5,7}인데 반해, 실제 사격에 의한 실탄 탄착 지점이 {X,Y}={5,9}인 경우, 원래 조준보다 상측으로 '2' 더 이동되어 실탄 탄착이 됨을 알려주며, 따라서 조준시에 '2' 정도 아래로 낮추어서 조준하도록 하는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 제공부(420)는, 총열 조준 궤적, 실탄 탄착 지점, 및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사격자용 모니터(300)에 제공한다. 알림 제공부(430)는, 총열 조준 궤적, 실탄 탄착 지점, 및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중앙통제장치(500)로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 총열 조준 궤적, 실탄 탄착 지점, 및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모니터에 제공하거나, 또는 중앙통제장치(500)로 제공함에 있어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총기장치
200:표적장치
300:사격자용 모니터
400:주제어 장치
500:중앙통제장치

Claims (7)

  1. 사격자의 격발에 의해 실탄이 발사되는 총기장치;
    총기장치의 총열에 결합되어 있으며, 총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총열 조준 궤적을 파악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총기장치에서 발사된 실탄이 도달하면, 레이저광 센싱을 통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하는 표적장치;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사격자용 모니터; 및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상기 사격자용 모니터에 표시하고,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주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장치는,
    제1측 프레임, 상기 제1측 프레임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된 제2측 프레임, 상기 제2측 프레임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측 프레임과 대향되는 제3측 프레임, 및 상기 제3측 프레임의 일단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측 프레임과 대향되는 제4측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제1측 프레임, 제2측 프레임, 제3측 프레임, 및 제4측 프레임에 의해 중앙이 관통된 사각틀 형태의 사각틀 표적 부재;
    상기 제1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3측 프레임을 향해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제1발광부, 상기 제2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4측 프레임을 향해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제2발광부, 상기 제3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측 프레임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레이저 제1발광부와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는 레이저 제1수광부, 및 상기 제4측 프레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2측 프레임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레이저 제2발광부와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는 레이저 제2수광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센싱부; 및
    상기 레이저 제1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이 상기 레이저 제1수광부로 수광되는 형태와 상기 레이저 제2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이 상기 레이저 제2수광부로 수광되는 형태를 이용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하는 실탄 탄착 지점 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센싱부는 실탄이 도달하는 전면은 방탄 처리되고,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총열 조준 궤적을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주제어 장치는,
    상기 총열 조준 궤적 및 실탄 탄착 지점을 이용하여 사격자의 사격 자세를 교정하는 안내 정보인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는 고벽 분석부;
    상기 총열 조준 궤적, 실탄 탄착 지점, 및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사격자용 모니터에 제공하는 표시 제공부; 및
    상기 총열 조준 궤적, 실탄 탄착 지점, 및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알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벽 분석부는,
    상기 총열 조준 궤적에 따른 총열이 가리키는 조준 지점과 실제 사격에 의한 실탄 탄착 지점과의 차이를 고려하여 사격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레이저 제1발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발광센서가 상기 제1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제2발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발광센서가 상기 제2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제1수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수광센서가 상기 제3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제2수광부는, 직경 1mm의 레이저 수광센서가 상기 제4측 프레임의 내측벽을 따라서 일렬로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실탄 탄착 지점 파악부는,
    실탄의 탄두가 상기 사각틀 표적 부재의 관통 지점을 통과할 때 실탄의 탄두의 검출해상도를 1/100ns의 속도로 스캔하여 실탄 탄착 지점을 파악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격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67647A 2016-12-09 2016-12-09 전자사격시스템 KR10177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47A KR101777635B1 (ko) 2016-12-09 2016-12-09 전자사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47A KR101777635B1 (ko) 2016-12-09 2016-12-09 전자사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635B1 true KR101777635B1 (ko) 2017-09-12

Family

ID=5992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647A KR101777635B1 (ko) 2016-12-09 2016-12-09 전자사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5044A (zh) * 2018-10-16 2019-01-01 内蒙古机集团宏远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弹着点识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14B1 (ko) * 2012-10-04 2013-03-07 신명호 스크린 사격술 훈련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14B1 (ko) * 2012-10-04 2013-03-07 신명호 스크린 사격술 훈련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5044A (zh) * 2018-10-16 2019-01-01 内蒙古机集团宏远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弹着点识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630B1 (ko) 사격 모바일 게임 시스템
US8074555B1 (en) Methodology for bore sight alignment and correcting ballistic aiming points using an optical (strobe) tracer
US10648775B2 (en) Apparatus for correcting ballistic aim errors using special tracers
US201900638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shooting evaluation
US9057582B2 (en) Simulation system
WO2018056001A1 (ja)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472445B1 (ko) 무장 시스템 및 무장 유니트의 제어방법
KR101200350B1 (ko) 사격 시스템
KR101996499B1 (ko) 실탄 사격 훈련 시스템
KR101777635B1 (ko) 전자사격시스템
KR101551698B1 (ko) 다수 총기 무선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314179B1 (ko) 영상 사격 훈련 장치
JP6555804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759469B1 (ko) 스크린 사격술 훈련 시스템
KR102088412B1 (ko) 레이저 사격 시스템
US10281239B2 (en) Aiming-assistance method and device for laser guidance of a projectile
KR101621396B1 (ko) 무장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80001067A (ko) 광선총과 스크린을 이용한 사격장치
KR20140112117A (ko) 무선 실내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JP7160607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US202200499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ot analysis
JP7116650B2 (ja) ヘリコプタ用誘導弾回避訓練装置
KR20200008776A (ko) 레이더 전자사격 시스템
KR101912754B1 (ko) 사격용 표적 표시 시스템
US202103727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ot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