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511B1 - 가스화기용 인젝터 - Google Patents

가스화기용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511B1
KR101777511B1 KR1020160055023A KR20160055023A KR101777511B1 KR 101777511 B1 KR101777511 B1 KR 101777511B1 KR 1020160055023 A KR1020160055023 A KR 1020160055023A KR 20160055023 A KR20160055023 A KR 20160055023A KR 101777511 B1 KR101777511 B1 KR 10177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ansfer
gas supply
gas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협
신동훈
유승열
조창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2Pneumatic feeding arrangements, i.e. by air bl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53Heating the gasifier by injecting hot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25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solids treatment
    • C10J2300/1628Ash post-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006Fuel distribution and transport systems for pulverulent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는, 주입구, 이송 경로, 및 배출구 순서대로 미분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쪽의 내측면에 붙은 미분 연료를 분리시키기 위한 기체 공급관; 및 상기 이송관의 측면과 상기 기체 공급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공급관에서 주입되는 기체의 유속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로 형성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화기용 인젝터{A GASIFIER INJECTOR}
아래의 실시예는, 미분 연료 배출구 쪽에 공기를 분사시키기 위한 가스화기용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석탄 가스화 복합발전(IGCC :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이란 석탄을 가스화한 후 이를 이용하여 복합발전소를 운전하는 발전기술을 말한다. 즉, 석탄을 고온, 고압 아래에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한 합성가스로 전환한 뒤 합성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과 황 화합물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천연가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정제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 기술인 것이다.
IGCC는 석탄으로부터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공정, 합성가스에 포함된 입자 및 황 화합물 등을 제거하여 청정한 합성가스를 만드는 정제공정 및 가스 터빈과 스팀 터빈으로 구성된 복합발전 공정 등으로 나누어진다.
석탄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기는 고정층 가스화기, 유동층 가스화기, 분류층 가스화기 등으로 분류된다.
고정층 가스화기는 미분탄이 반응기의 상부에서 공급되어 서서히 하부로 내려오며 증기 및 산화제는 하부에서 공급되어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미분탄이 상승가스에 의해 순차적으로 건조, 휘발, 가스화, 연소반응 등의 과정을 거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층 가스화기는 높은 열회수, 높은 탄소 전환율(carbon conversion),낮은 산화제 요구량, 양호한 부하 조절성 등의 우수성을 가지고 있으나 가스화기내에서의 석탄 체류시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대용량화 하기는 어렵다.
유동층 가스화기는 가스화기 내부로 공급되는 미분탄이 산화제와 유동화 상태에서 반응하여 석탄가스를 생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유동층 가스화기내에서는 미분탄과 가스가 균일하게 혼합되므로 열전달 및 물질전달이 고정층 가스화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일어나므로 대용량화가 가능하다.
분류층 가스화기는 미분탄과 산화제가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며, 미분탄과 산화제 및 증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가스화기내에 유입된다. 이러한 분류층 가스화기는 다른 형태의 가스화기(고정층 및 유동층 가스화기)에 비해서산소 요구량이 많고 고온에서 석탄가스화 반응이 진행되므로 석탄중의 회분(ash)은 주로 용융 상태로 중력에 의해 가스화기 하부로 흘러내려와 냉각되어 고체 상태의 슬래그(slag)로 방출된다. 분류층 가스화기의 경우는 탄소 전환율이 특히 좋으며 석탄의 가스화기내 체류시간이 매우 짧아서 대용량화가 가능하다. 분류층 가스화기에 있어서 산소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공기분리장치가 추가로 요구되어 상당히 많은 전력이 필요하게 되나 단위부피당 열용량이 고정층 및 유동층 가스화기에 비해 높기 때문에 대용량의 발전설비용 가스화기 제작에도 다른 형태의 가스화기에 비해 가장 용이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1??0112519호는 가스화기 내에서 미분탄의 가스화 반응을 일으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석탄 가스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스화 반응이 완료되지 못하여 상기 가스화기 외부의 촤 용기에 회분형태로 배출된 석탄 촤를, 다시 상기가스화기에 공급하여 재순환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촤 재순환을 위한 석탄 가스화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송관의 배출구의 내측면에 달라붙는 미분탄 연료를 떼어내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송관의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는, 일 단에 형성되는 미분 연료의 주입구, 타 단에 형성되는 미분 연료의 배출구, 및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 연장하는 이송 경로를 포함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의 측면과 상기 기체 공급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공급관에서 주입되는 기체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경로 형성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경로 형성관은 상기 이송관의 측면을 감싸는 폐쇄된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경로 형성관은 상기 기체 공급관으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모이기 위한 도입부; 및 상기 도입부에 위치된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벤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경로 형성관은, 상기 도입부와 벤츄리부 사이를 구분하는 분리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분리벽은 상기 이송관의 주입구로부터 배출구 쪽으로 원주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벤츄리부는 상기 분리벽과 상기 이송관의 외측벽 사이의 틈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도입에 주입된 공기는, 상기 벤츄리부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상승하여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의 이송 경로는 중력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관의 주입구는 상측에,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는, 주입구, 이송 경로, 및 배출구 순서대로 미분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쪽의 내측면에 붙은 미분 연료를 분리시키기 위한 기체 공급관; 및 상기 이송관의 측면과 상기 기체 공급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공급관에서 주입되는 기체의 유속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로 형성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관의 배출구로 공기를 분사하여 이송관의 배출구에 붙은 미분탄 연료를 떼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관의 배출구가 막히거나 유속이 느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애쉬 트레이를 구비한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체공급관이 없는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주입구 및 배출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경로 형성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배출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스화기의 가스화 공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공정을 통해 수행된다.
첫째로, 예열 공정은, 등유 및 기타 연료를 사용하여 가스화기 내부의 온도를 승온 공정으로써, 석탄 가스화의 경우 약 1000도 까지 승온시킨다.
둘째로, 승온 공정은, 가스화 반응에서 사용하는 연료(석탄, 바이오 매스 혹은 폐기물)을 완전연소 시켜 가스화기 내부의 온도를 가스화에 적적한 온도까지 승온 시키는 공정으로, 석탄 가스화의 경우 약 1600도 까지 승온시킨다.
셋째로, 가스화 공정은, 가스화 연료로부터 일산화 탄소, 수소 등 합성가스를 추출하는 공정으로, 석탄 가스화의 경우 약 1500도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1)는 가스화 공정에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써, 상당히 고온 고압 상태에서 미분탄 연료가 주입구(11)를 통해 주입된다.
가스화기용 인젝터(1)는, 이송관(10), 이송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로 형성관(20), 경로 형성관(20)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 공급관(30), 및 기체 공급관(30)에 기체를 공급하는 호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10)의 상측에는 미분탄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가 배치되고, 이송관(10)의 하측에는 주입된 연료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3)가 배치된다.
기체 공급관(30)으로부터 주입된 기체는, 경로 형성관(20)에서 유속이 증가된 후에, 이송관(10)의 배출구(13) 쪽으로 방출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와 달리, 애쉬 트레이를 구비한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기체공급관이 없는 가스화기는 내부에서 생성되는 석탄 연소 후 재(ash)를 가스화기 내부에서 배출하기 위해 가스화기 하단부에 애쉬 트레이(Ash Tray)를 설치하여 가스 화기 가동을 정지 후 애쉬(ash)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설치된 애쉬 트레이(Ash Tray)는 가스화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손실이 발생하여 고온을 유지해야하는 가스화기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가스화를 위한 온도까지 상승하기 위해서는 열에너지 손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연료 투입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중 애쉬(Ash Tray) 부근의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을 상회하므로 안전상의 문제로 가스화기의 작동을 중지하고 충분히 온도를 낮춘 후에 애쉬(Ash_를 제거해야 하므로, 가스화기의 재가동을 위해서는 다시 오랜 시간의 예열 및 승온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상시 운전을 해야하는 시설에서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3(a)은 기체공급관이 없는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주입구(11)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3 (b)는 기체공급관이 없는 가스화기용 인젝터의 배출구(13)의 단면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미분탄 연료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송관을 통과하여 이송시 이송관 벽면과의 마찰로 미분탄 연료가 벽면에 붙어서 연료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미분 연료 인젝터는 미분 석탄을 이송함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하는 기체(공기)의 흐름에 따라 미분 연료을 함께 이송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송관 내부의 공급 기체가 흐름은 이송관 단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흐름을 만들므로 유속이 이송관의 단면적에 반비례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주입구(11)에서 연료가 정상적으로 주입되더라도, 배출구(13)에서 도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의 내측면에 연료가 붙게 되어서, 전체적으로 배출구(13)의 지름이 감소할 수 있어서, 원활한 유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단면적이 작은 이송관을 사용해야 나나, 앞서 설명한 미분 연료의 막힘 현상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미분연료의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단면적이 큰 이송관을 사용하는 경우 유속이 느려지고 미분 연료가 공급되는 연소 공간의 압력이 높은 경우 미분연료의 역류 현상등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공급관(30) 및 경로 형성관(20)이 구비된 가스화기용 인젝터(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1)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송관(10)의 이송 경로(12)는 중력방향(G)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중력방향(G)을 기준으로, 이송관(10)의 주입구(11)는 상측에, 이송관(10)의 배출구(13) 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구(11)를 통해서 주입된 미분탄 연료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배출구(13) 쪽으로 하강될 수 있다.
미분 연료를 연소공간으로 공급하는 경우 연소실의 압력이 이송관 및 미분연료 공급장치의 압력 보다 높은 경우 연료의 역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빠른 유속으로 역류를 방지하고자 이송관의 단면적을 작게하는 경우 연료의 막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관(10)의 배출구의 단면적을 넓히지 않고도 이송관 내측면으로의 빠른 유속을 유지하게 되면, 연료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 공급관(30)으로부터 주입된 기체는, 경로 형성관(20)에서 경로가 변경되면서 유속이 증가하고, 배출구(13)를 향하는 이송 경로(12)의 내측면에 대하여 분사될 수 있다.
경로 형성관(20)은 이송관(10)의 측면을 감싸는 폐쇄된 고리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기체 공급관(30)은 경로 형성관(20)의 측면 중 어느 한 지점에만 주입되게 되면, 경로 형성관(20)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이송관(10)의 배출구(13)의 내측면 전체를 타고 배출되므로, 이송관(10)의 배출구(13)의 내측 벽면에 붙은 미분탄 연료 입자를 균일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1)의 경로 형성관(20)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경로 형성관(20)은, 기체 공급관(30)으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모이기 위한 도입부(21), 도입부(21)에 수집된 기체가 통과하면서 유속을 증가되는 벤츄리부(23), 및 도입부(21)와 벤츄리부(23) 사이를 구분하는 분리벽(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입부(21)는 상측에 배치되고 벤츄리부(23)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부분과, 하측에 배치되고 기체가 회전하면서 수집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입부(21)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체 공급관(30)은 도입부(21)의 'ㄷ'자 형상의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벤츄리부(23)의 입구는 도입부(21)의 상단과 연결되고, 출구은 이송관(10)의 측면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벤츄리부(23)는 분리벽(22)과 이송관(10)의 외측벽 사이의 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리벽(22)은 이송관(10)의 상측 주입구로부터 하측 배출구 쪽으로 이송관(10)의 원주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벤츄리부(23)의 입구는 이송관(10)의 원주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출구는 이송관(10)의 측면 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벤츄리부(23)의 출구가 이송관(10)의 외측 벽에 형성되도록 이송관의 측면은 경사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4)의 경사 슬로프는, 분리벽(22)의 기울어진 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분리벽(22)의 상단에는 일정한 형태로 꺾인 코너(222)가 형성될 수 있고, 코너(222)는 기체 공급관(30)으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도입부(21)에 잘 모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벤츄리부(23)는 도입부(21)의 공간에 비하여 상당히 작은 공간을 가지므로, 도입부(21)에 도입된 기체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하여 벤츄리부(23)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비약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화기용 인젝터(1)의 배출구(13)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벤츄리부(23)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급격하게 상승된 기체는, 이송관(10)의 내측 벽면을 타고 흐르고, 이후 이송관(10)의 배출구(13)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기체가 이송관(10)의 내측 벽면을 타고 흐를 때, 기체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므로, 이송관(10)의 내측 벽면에 붙어있는 미분탄 연료를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13)가 막히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송관(10)의 배출구(13)에는, 가스화기 배출구(13)에 인접하도록 배출팬(F)을 설치하여, 떨어져 나간 미분탄의 원활한 배출을 보조할 수 있다. 배출팬(F)과 배출구(13) 사이에는 일정한 틈을 두어서, 미분탄 연료가 잘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1차적으로, 밴츄리부(23)를 통과한 공기가 미분탄 연료의 배출을 돕고, 2차적으로 배출팬(F)이 미분탄 연료의 배출을 보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가스화기용 인젝터(1)는 벤츄리 튜브의 원리를 이용하여 이송관 벽면을 따라 빠른 유속을 만들어서 단면적이 작은 이송관에서도 연료의 막힘 현상없이 미분연료를 원활히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벤츄리부(23)가 이송관(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빠른 유속을 만들어 주므로 연료와 이송 관 벽면 사이의 마찰을 줄여 주어 벽면에 미분탄 연료가 붙어서 막히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또한 연료가 공급되는 연소실의 압력이 대기압 보다 높아도 역류 현상없이 연료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애쉬(Ash Tray)를 없애고, 가스화기 하단부를 단열재 및 내화재로 마감할 수 있으므로, 가스화기 내부의 열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스화기 가동 중에도 애쉬(Ash)를 제거 가능하므로 가스화기의 가동을 중지할 필요가 없으며, 온도의 하강 현상이 심하지 않으므로 예열 및 승온 공정 없이 바로 가스화 공정으로 가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가스화기용 인젝터
10 : 이송관
20 : 경로 형성관
30: 기체 공급관

Claims (10)

  1. 일 단에 형성되는 미분 연료의 주입구, 타 단에 형성되는 미분 연료의 배출구, 및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 연장하는 이송 경로를 포함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관; 및
    상기 이송관의 측면과 상기 기체 공급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공급관에서 주입되는 기체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경로 형성관;
    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 형성관은,
    상기 기체 공급관으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모이기 위한 도입부;
    상기 도입부에 위치된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벤츄리부; 및
    상기 도입부와 벤츄리부 사이를 구분하는 분리벽;
    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 형성관은 상기 이송관의 측면을 감싸는 폐쇄된 고리 형태를 가지는 가스화기용 인젝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이송관의 주입구로부터 배출구 쪽으로 원주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가스화기용 인젝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부는 상기 분리벽과 상기 이송관의 외측벽 사이의 틈에 형성되는 가스화기용 인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에 주입된 공기는, 상기 벤츄리부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상승하여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쪽으로 분사되는, 가스화기용 인젝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이송 경로는 중력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관의 주입구는 상측에,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는 하측에 배치되는 가스화기용 인젝터.
  10. 주입구, 이송 경로, 및 배출구 순서대로 미분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배출구쪽의 내측면에 붙은 미분 연료를 분리시키기 위한 기체 공급관; 및
    상기 이송관의 측면과 상기 기체 공급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공급관에서 주입되는 기체의 유속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로 형성관;
    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 형성관은,
    상기 기체 공급관으로부터 주입된 기체가 모이기 위한 도입부;
    상기 도입부에 위치된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벤츄리부; 및
    상기 도입부와 벤츄리부 사이를 구분하는 분리벽;
    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 형성관은 상기 이송관의 측면을 감싸는 폐쇄된 고리 형태를 가지는 가스화기용 인젝터.
KR1020160055023A 2016-05-04 2016-05-04 가스화기용 인젝터 KR10177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023A KR101777511B1 (ko) 2016-05-04 2016-05-04 가스화기용 인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023A KR101777511B1 (ko) 2016-05-04 2016-05-04 가스화기용 인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511B1 true KR101777511B1 (ko) 2017-09-11

Family

ID=5992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023A KR101777511B1 (ko) 2016-05-04 2016-05-04 가스화기용 인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51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7162B1 (fr) Procédé de combustion en boucle chimique avec deux zones de réaction successives et une zone de séparation et installation utilisant un tel procédé
US10465133B2 (en) Device with dilated oxidation zone for gasifying feedstock
KR20100015559A (ko) 가스화기
US8829262B2 (en) Method for gasifying feedstock
EP2948658B1 (en) Method and device for gasifying feedstock
EP0161970A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de matière en lit fluidisé circulant
JP2014526672A (ja) 還元領域におけるアッシュと粒子の除去を含むケミカルループ燃焼方法とそれを使用するプラント
US20120055089A1 (en) System and process for gasifying biomass products
US20060180459A1 (en) Gasifier
US10851319B2 (en) 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77511B1 (ko) 가스화기용 인젝터
JP5738147B2 (ja) スラリー搬送装置
JP6008082B2 (ja) ガス化装置及びガス化方法
JP2004212032A (ja) 流動層ガス化炉
JP2005232262A (ja) 固形バイオマス燃料のガス化装置及び方法
JP5379548B2 (ja) ガス化設備の原料投入装置
EP3505602A1 (en) Gasification system
WO2007097729A1 (fr) Installation énergétique technologique destinée au traitement de carburant solide
JP5595089B2 (ja) ガス化炉及びボイラ設備
EP3604483A1 (en) Gas reformer furnace
PL231641B1 (pl) Zgazowarka pionowo-pozioma ze złożem stały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