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237B1 - 필터 - Google Patents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237B1
KR101777237B1 KR1020110055129A KR20110055129A KR101777237B1 KR 101777237 B1 KR101777237 B1 KR 101777237B1 KR 1020110055129 A KR1020110055129 A KR 1020110055129A KR 20110055129 A KR20110055129 A KR 20110055129A KR 101777237 B1 KR101777237 B1 KR 10177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s
cartridge
filter cartrid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112A (ko
Inventor
김대환
노진환
박지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23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B01D27/06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Abstract

본 발명은, 막 형태로 제공되되, 적층되는 제1, 제2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와 제2 필터가 적층된 상태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필터는, 상기 제1, 제2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을 가두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를 이중 필터 형태로 제공하여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들을 필터카트리지와 필터하우징 사이 공간 또는 필터카트리지 내부에 가둬지도록 구성하여 불순물들이 필터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FILTER}
본 발명은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이중 형태로 제공하여 필터의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들을 특정 공간에 가둬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불순물들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또는 수처리에 사용되는 필터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물 또는 기타 액체를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을 남기고 순수한 물 또는 기타 액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반복하여 실행할 경우 필터의 표면에는 불순물이 계속하여 부착되어 쌓이게 되거나 필터가 미세하게 손상됨으로써 필터의 능력이 시간이 갈수록 저하된다. 따라서,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정수 또는 수처리의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가 장착된 필터카트리지를 필터 홀더에 장착하여 사용하다가 필터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필터 홀더에서 기존의 필터카트리지를 빼고 새로운 필터카트리지를 간단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필터카트리지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카트리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회 절곡된 형상의 여과막 필터(110)를 원반형의 홀더(120) 사이에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코어(130)를 장착한 형태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00)는, 시간당 처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회 절곡된 형상의 여과막 필터(110)를 사용하여 여과막 필터(110)의 표면적을 넓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00)의 여과막 필터(110)는 평판 형상의 막을 여러 번 지그재그형으로 절곡하고, 상기 막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을 융착하여 고정한 것이다. 이때, 융착부(112)의 단부는 필터카트리지(100)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00)에 의해 입수공(122)을 통해 필터카트리지(100)로 들어온 원수가 코어(130)를 통해 흘러가서 필터를 거쳐 걸러진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필터를 통과하는 원수는 일반적인 필터의 표면뿐만 아니라 융착부(112) 및 단부(113)를 통해서도 일부가 지나가게 된다.
한편, 필터카트리지(100)의 제조과정에서 융착부(112) 및 단부에는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이 발생하는데, 특히 단부(113)에는 여과막 필터(110)의 절단 과정에서 많은 미세한 분진이 발생한다. 이러한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들이 부착되어 있다가, 필터에 의해 걸러진 정수와 함께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필터만을 사용하여 정수하므로 정수능력이 미흡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필터카트리지를 제1, 제2 필터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이중 필터 형태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상 제1, 제2 필터의 단부 및 융착부에서 발생하는 불순물들을 필터카트리지와 필터하우징 사이 공간 또는 필터카트리지 내부에 가둬지도록 구성하여 불순물들이 필터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막 형태로 제공되되, 적층되는 제1, 제2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와 제2 필터가 적층된 상태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필터는, 상기 제1, 제2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을 가두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필터는, 각각 막의 일측과 타측이 융착되어 단면이 폐단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제2 필터의 융착부는, 내측 또는 외측의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필터를 결합토록 제공되는 분리부재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제1, 제2 필터의 융착부가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중공된 형태로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필터는, 전하를 띠는 나노섬유를 주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필터카트리지 및 상기 필터카트리지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제공되는 필터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 내부 또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하우징의 사이 공간에 가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필터의 융착부는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의 유로는 상기 제1 필터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2 필터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 내부에 가둬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필터의 융착부는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의 유로는 상기 제1 필터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2 필터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하우징 사이 공간에 가둬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에 의하면, 필터카트리지를 제1, 제2 필터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이중 필터 형태로 제공하여 정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의 제조과정상 제1, 제2 필터의 융착부에서 발생하는 불순물들을 필터카트리지와 필터하우징 사이 공간 또는 필터카트리지 내부에 가둬지도록 구성하여 불순물들이 필터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필터카트리지가 구비되는 필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필터카트리지가 구비되는 필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의 일 실시예와 이를 구비하는 필터(2)를 각각 나타내고, 도 3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의 다른 실시예와 이를 구비하는 필터(2)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는 크게 이중 필터와 상기 이중 필터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세부 구성에 의해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을 가둬 불순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는 막 형태로 제공되되, 정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제1, 제2의 이중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2 필터(10)(20)는 부직포뿐만 아니라 정수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원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제2 필터(10)(20)는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필터(20)가 제1 필터(10)의 상층에 배치되고, 제1 필터(10)와 제2 필터(20)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부재(30a)(30b)를 통해 결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필터(10)(20)는 평판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수와 접촉되는 필터의 표면적을 넓혀 정수 처리 용량을 향상시키도록 주름진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는 제1 필터(10)와 제2 필터(20)가 적층되어 결합한 상태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3를 참조하면, 제1 필터(10)와 제2 필터(20)가 분리부재(30a)(30b)를 통해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필터(10)의 하부와 제2 필터(20)의 상부에 각각 지지부(40a)(40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 하부 지지부(40b)(40a) 사이에 제1, 제2 필터(10)(20)의 결합체가 구비되는 형태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제2 필터(10)(20)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코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 제1, 제2 필터(10)(20)는 각각 막의 일측과 타측이 융착되어 단면이 폐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22)는, 내측 또는 외측의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제2 필터(10)(20)는 융착되는 일측과 타측이 모두 내측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융착되어 단면이 폐단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필터(10)(20)의 일측과 타측이 모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일측과 타측의 마주하는 면을 융착하여 원통형의 필터를 형성한다.
한편,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필터(10)(20)의 일측과 타측이 모두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일측과 타측의 마주하는 면을 융착하여 원통형의 필터를 형성한다.
즉,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22)는 모두 폐단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모두 폐단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22)를 동일 방향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 내부의 유로에 따라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22) 및 단부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을 필터카트리지(1)와 필터하우징(50) 사이 공간 또는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 가두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카트리지(1)의 실시예들과 이러한 필터카트리지(1)가 구비되는 필터(2)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과정상 융착부 및 단부에는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이 발생하여 묻어 있다. 특히, 단부에는 필터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이 많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이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필터(2)의 일 실시예는, 상기에 설명된 필터카트리지(1) 및 상기 필터카트리지(1)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제공되는 필터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2)는, 상기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와 상기 필터하우징(50)의 사이 공간에 가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의 필터(2)는, 필터하우징(50) 내부에 도 2에 도시된 융착부(12a)(22a)가 필터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필터카트리지(1)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이러한 도 4의 필터(2) 내부의 유로를 설명하면, 원수가 필터하우징(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유입구(52a)로부터 제1 필터(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원수는 제1 필터(10)를 외측방향으로 통과한다.
그리고, 통과된 정수는 필터하우징(5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이동된 정수는 제2 필터(20)를 내측 방향으로 통과한 후 필터하우징(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출구(52b)를 통해 유출된다.
한편, 필터카트리지(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2 필터(10)(20)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지지부(40b)와 하부 지지부(40a)가 상하에서 결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원수가 필터하우징(50)의 유입구(52a)로부터 제1 필터(10)로 유입되고, 정수가 필터하우징(50)의 유출구(52b)를 통해 제2 필터(20)로부터 유출되기 위해서는 상, 하부 지지부(40b)(40a)는 중공된 형태로서 각각 유출공(42b) 및 유입공(4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필터(2)는,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a)(22a)가 모두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로는 제1 필터(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필터하우징(50)의 상부로, 그리고 제2 필터(2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한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은 필터하우징(50)의 상부로 이동되되, 제2 필터(20)에 의해 걸러져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필터하우징(50)과 필터카트리지(1) 사이의 공간에 갇히게 된다.
반면, 상기한 유로와 반대로 필터하우징(50) 상부의 유출구(52b), 제2 필터(20), 제1 필터(10) 및 필터하우징(50) 하부의 유입구(52a)를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한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은 필터하우징(50) 하부로 이동되되, 제1 필터(10)에 의해 걸러져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필터하우징(50)과 필터카트리지(1) 사이의 공간에 갇히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터카트리지(1)는 필터하우징(50)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카트리지(1)의 상, 하부 지지부(40b)(40a)와 필터하우징(50)의 상, 하부가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각각에 돌출부와 홈부가 구비되어 돌출부가 홈부에 끼워져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필터(2)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에 설명된 필터카트리지(1) 및 상기 필터카트리지(1)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제공되는 필터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2)는, 상기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 가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의 필터(2)는, 필터하우징(50) 내부에 도 3에 도시된 융착부(12b)(22b)가 필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필터카트리지(1)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이러한 도 5의 필터(2) 내부의 유로를 설명하면, 원수가 필터하우징(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유입구(52a)로부터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원수는 제1 필터(10)를 내측 방향으로 통과한다.
그리고, 통과된 정수는 분리부재(30b)를 통해 제2 필터(2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정수는 제2 필터(20)를 외측 방향으로 통과한 후 필터하우징(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출구(52b)를 통해 유출된다.
한편, 필터카트리지(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2 필터(10)(20)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지지부(40b)와 하부 지지부(40a)가 상하에서 결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원수가 필터하우징(50)의 유입구(52a)로부터 유입된 후 제1 필터(10)의 면을 통과해 유입되고, 제2 필터(20)의 면을 통과한 후 필터하우징(50)의 유출구(52b)로부터 유출되기 위해서는 상, 하부 지지부(40b)(40a)는 막혀있는 원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수가 제1 필터(10) 내부에서 분리부재(30b)를 통해 제2 필터(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분리부재(32b)는 중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10)에서 제2 필터(20)로의 유로는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서 형성되어야 하므로, 필터카트리지(1) 설치시 분리부재(30b)에 의해 필터하우징(50) 내부가 상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필터하우징(50) 내부에 필터카트리지(1) 설치시 분리부재(30b)의 외주면(34)과 필터하우징(50)의 돌출된 내주면(54)이 밀착 결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은 나사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부재(30b)의 외주면(34)과 필터하우징(50)의 돌출된 내주면(54)의 결합 구성은 도시된 나사결합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분리부재(30b)의 외주면(34)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필터하우징(50)의 돌출된 내주면(54)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지는 형태도 가능하며, 정수가 새지 않도록 고무패킹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필터하우징(50) 내부의 공간이 분리되어 분리부재(30b)의 중공부(32)를 통해서만 정수가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필터(2)는,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b)(22b)가 모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로가 필터하우징(50) 하부에서 제1 필터(10)의 내측 방향으로, 그리고 필터하우징(50) 상부에서 제2 필터(2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한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은 필터하우징(50)의 상부로 이동되되, 제2 필터(20)에 의해 걸러져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 갇히게 된다.
반면, 상기한 유로와 반대로 필터하우징(50) 상부에서 제2 필터(20)의 내측 방향으로, 그리고 필터하우징(50) 하부에서 제1 필터(10) 외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한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은 필터하우징(50) 하부로 이동되되, 제1 필터(10)에 의해 걸러져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 갇히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2)는, 필터 하우징 내부의 유로 방향에 따라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22)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 또는 이물질이 필터하우징(50)과 필터카트리지(1) 사이 공간이나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 갇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이 필터(2)의 유출구(52b)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터(2)를 계속하여 사용하여 상기의 미세한 분진 또는 이물질이 필터하우징(50)과 필터카트리지(1) 사이 공간이나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 많이 쌓인 경우에는 필터카트리지(1)를 필터하우징(50)으로부터 분리하여 쉽게 상기의 미세한 분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제1, 제2 필터(10)(20)로서, 전하를 띠는 나노 파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노 파이버 필터는 나노 섬유(nano fiber)를 주소재로 제작된 것으로서 표면에 전하를 띠고 있으며, 광물질, 유기물질, 금속, 박테리아, DNA 또는 바이러스 등을 걸러낼 수 있는 것으로, 마이크론 크기에서 나노 크기의 입자까지도 처리 가능하다.
특히, 나노 파이버 필터는 막 자체의 공극이 작을 뿐만 아니라 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세균 및 바이러스의 제거에 탁월한 성능을 갖는다.
더욱이, 나노 파이버 필터는 전술한 월등한 정수 능력에 더해서, 역삼투막 필터에 비해 처리할 수 있는 유속이 커서,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양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축수로 버려지는 물도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터(1)는 이러한 전하를 띠고 있는 나노 파이버 필터 중에서 높은 전기 양전성을 갖고 있는 나노 알루미나 파이버 필터가 바람직하지만, 나노 파이버 필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필터카트리지 2 ... 필터
10, 20 ... 제1, 제2 필터 12, 22 ... 융착부
30a, 30b ... 분리부재 32 ... 중공부
40, 40a, 40b ... 지지부 42a ... 유입공
42b ... 유출공 50 ... 필터하우징
52a ... 유입구 52b ... 유출구

Claims (8)

  1. 막 형태로 제공되되, 적층되는 제1, 제2 필터(10)(20)와, 상기 제1 필터(10)와 제2 필터(20)가 적층된 상태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부(40)를 포함하는 필터카트리지(1); 및
    상기 필터카트리지(1)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제공되는 필터하우징(5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 내부 또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하우징(50)의 사이 공간에 가둬지며,
    상기 제1, 제2 필터(10)(20)는, 각각 막의 일측과 타측이 융착되어 단면이 폐단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의 일측과 타측이 융착되어 형성된, 상기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22)는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50) 내부의 유로는 상기 제1 필터(10)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2 필터(2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 내부에 가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2. 막 형태로 제공되되, 적층되는 제1, 제2 필터(10)(20)와, 상기 제1 필터(10)와 제2 필터(20)가 적층된 상태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부(40)를 포함하는 필터카트리지(1); 및
    상기 필터카트리지(1)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제공되는 필터하우징(5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필터(10)(20)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 내부 또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하우징(50)의 사이 공간에 가둬지며,
    상기 제1, 제2 필터(10)(20)는, 각각 막의 일측과 타측이 융착되어 단면이 폐단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의 일측과 타측이 융착되어 형성된, 상기 제1, 제2 필터(10)(20)의 융착부(12)(22)는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50) 내부의 유로는 상기 제1 필터(10)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2 필터(2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필터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1)와 상기 필터하우징(50) 사이 공간에 가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필터(10)(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필터를 결합토록 제공되는 분리부재(30a)(3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필터(10)(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필터를 결합토록 제공되는 분리부재(3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재(30b)는, 중공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필터(10)(20)는, 전하를 띠는 나노 파이버를 주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55129A 2011-06-08 2011-06-08 필터 KR10177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29A KR101777237B1 (ko) 2011-06-08 2011-06-08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29A KR101777237B1 (ko) 2011-06-08 2011-06-08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12A KR20120136112A (ko) 2012-12-18
KR101777237B1 true KR101777237B1 (ko) 2017-09-11

Family

ID=4790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129A KR101777237B1 (ko) 2011-06-08 2011-06-08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04B1 (ko) * 2019-05-03 2019-11-18 송홍준 차량설치용 미세먼지흡착장치
KR102574556B1 (ko) * 2020-11-25 2023-09-04 박학수 수전금구용 복합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720A (en) 1986-03-17 1988-04-05 Nelson Industries Inc. Pleated filter element having improved side seam se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720A (en) 1986-03-17 1988-04-05 Nelson Industries Inc. Pleated filter element having improved side seam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12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6043B2 (en) Filter cartridge
JP6212511B2 (ja) 生物システムに用いるプレフィルタシステム
EP2695657B1 (en) Compressed air purifier
KR102138010B1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KR101912869B1 (ko) 정수기용 일체형 uf-세디먼트 필터
KR101777237B1 (ko) 필터
CN205099488U (zh) 复合滤芯及具有其的净水设备
KR20150025526A (ko) 정수필터
KR200462817Y1 (ko) 필터하우징의 호환성이 가능한 정수필터
KR101270788B1 (ko) 수처리용 필터카트리지
KR101744557B1 (ko) 필터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필터
CN211688680U (zh) 一种利用磁场净化不纯水的滤水器
JP2010214235A (ja) 濾過膜、膜モジュールおよび水処理装置
KR20140118576A (ko)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KR102164890B1 (ko) 중력식 정수장치
JP2006000798A (ja) イオン交換フィルタ
KR101409903B1 (ko) 정수기
KR200296368Y1 (ko) 이중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카트리지
CN214360581U (zh) 单前置单后置复合滤芯
KR200478985Y1 (ko) 정수기 필터
CN213475642U (zh) 一种生物分离用的复合喷熔滤芯
CN212854776U (zh) 一种新型结构的多介质过滤器
KR101317615B1 (ko) 공기정화기의 필터 구조
CN207769429U (zh) 一种增加容尘量的w形空气过滤模块
KR20180046210A (ko) 중력식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