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998B1 -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998B1
KR101776998B1 KR1020150078320A KR20150078320A KR101776998B1 KR 101776998 B1 KR101776998 B1 KR 101776998B1 KR 1020150078320 A KR1020150078320 A KR 1020150078320A KR 20150078320 A KR20150078320 A KR 20150078320A KR 101776998 B1 KR101776998 B1 KR 10177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pressure
isostatic pressing
processed produc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574A (ko
Inventor
요시카즈 기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5014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Isostatic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Isostatic presses
    • B30B11/002Isostatic press chambers; Press sta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에서의 CIP 처리 후에 압력 용기를 용기 이동 대차에 의해 승강 장치까지 수평 이동시킨다. 압력 용기 내의 바스켓을 승강 수단에 의해 상승시킨다. 바스켓은 팔레트를 컨베이어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승이 정지된다. 팔레트에 적재된 처리 완료된 처리품을 바스켓으로부터 컨베이어 상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팔레트에 적재된 처리 전의 처리품을 컨베이어로부터 바스켓 상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처리품을 저장한 바스켓은 승강 수단에 의해 하강되어 압력 용기 내에 삽입 끼움되고, 용기 이동 대차에 의해 베이스까지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 시간을 단축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규모를 억제함으로써 저비용 또한 공간 절약을 실현하고,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실현한다.

Description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PROCESSED ITEM TRANSPORTATION SYSTEM OF ISOSTATIC PR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온간이나 냉간에서 등방압 가압 처리를 행하는 등방압 가압 장치에 의해 처리된 처리품을 반송하기 위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 등의 액체를 압력 매체로 하고, 주로 높은 등방압력을 분체에 가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냉간 등방압 가압법(CIP)에 의해 사용되는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는, 세라믹스나 분말 야금의 분야에서 유력한 성형 방법으로서 이용되고, 널리 공업적으로 사용된다.
이 등방압 가압 장치는, 고압의 액체를 가두기 위한 압력 용기가 사용되고, 압력 용기의 내부에는, 처리되는 처리품이 수용된다. 그리고, 등방압 가압 장치에 의해 온간이나 냉간에서 등방압 가압 처리가 행해진 처리품은, 반송 시스템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여기서, 등방압 가압 장치에 사용되는 처리품 반송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핸들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등방압 가압 장치에서 처리되는 처리품을 버킷에 저장하고, 처리품을 저장한 버킷을, 핸들링 장치에 의해, 적재부, 세정부, 상방으로부터 버킷을 수용 가능한 성형 용기를 구비하는 정수압 가압부(압력 용기에 상당), 취출부의 각 부에 승강 가능하게 현수 보유 지지하여 반송한다. 핸들링 장치는, 정수압 가압부의 상방을 통하도록 배치된 반송 대차와, 반송 대차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버킷을 착탈 가능하게 현수 지지하는 척 장치를 구비하고, 버킷을 현수 보유 지지하여 수평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 등의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2-20794호 공보
그러나, 인용 문헌 1의 기술에서는, 핸들링 장치에 의해 버킷을 현수하여 반송하기 위해, 핸들링 장치는, 버킷의 승강 동작에 더하여, 다른 스테이션으로의 수평 이동이 필요해지므로, 반송 시간이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가대가 커져, 컨베이어 등도 포함하면 넓은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는 점에서, 반송 시스템이 복잡하고 대규모로 되어, 제작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핸들링 장치가 버킷을 현수하여 반송하는 구성이므로, 핸들링 장치의 설치 개소가 높은 곳이며, 메인터넌스 작업의 대부분이 고소 작업으로 되어, 부담이 많고, 메인터넌스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송 시간을 단축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규모를 억제함으로써 저비용 또한 공간 절약을 실현하고,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온간이나 냉간에서 등방압 가압 처리가 행해지는 처리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을 내부에 수납하는 압력 용기와, 상기 압력 용기에 등방압을 가하는 승압 장치를 구비하는 등방압 가압 장치와, 상기 등방압 가압 장치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동 탑재된 상기 처리품 및 상기 바스켓에 이동 탑재하는 상기 처리품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경로와, 상기 바스켓을 상기 반송 경로와 상기 등방압 가압 장치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바스켓째로 승강 장치에 의해 등방압 가압 장치로부터 반송 경로로 이동된 처리품은 반송 경로에 이동 탑재된다. 또한, 승강 장치에 의해 등방압 가압 장치로부터 반송 경로로 이동된 바스켓 내에는, 반송 경로에 있는 처리품이 이동 탑재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의 승강 장치에 의해서만, 바스켓째로 처리품을 등방압 가압 장치와 반송 경로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있는 점에서, 크레인 등을 사용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반송 시스템의 규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송 시간을 단축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저비용 및 공간 절약을 실현하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처리품이 대형화될수록 이 효과가 커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상기 압력 용기를 상기 승압 장치와 상기 승강 장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승압 장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반송 경로가 승압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서, 압력 용기와 승강 장치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이동 장치에 의해 승압 장치와 승강 장치 사이에서 압력 용기 자체를 이동시키고, 승강 장치에 의해 압력 용기 내로부터 바스켓째로 처리품을 반송 경로로 이동함으로써, 반송 시스템의 규모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처리품을 상기 반송 경로의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반송 경로에 이동 탑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승강 장치에 의해 등방압 가압 장치로부터 반송 경로로 이동된 바스켓 내에 수용된 처리품은 개구부를 통해, 반송 경로에 이동 탑재된다. 또한, 승강 장치에 의해 등방압 가압 장치로부터 반송 경로로 이동된 바스켓 내에는, 개구부를 통해, 반송 경로에 있는 처리품이 이동 탑재된다. 따라서, 바스켓과 반송 경로 사이의 처리품의 수수가, 개구부와 반송 경로의 위치를 맞추는 것만으로 즉시 가능하게 되므로, 반송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상기 반송 경로에 상기 처리품을 이동 탑재함과 함께, 상기 반송 경로로부터 상기 바스켓에 상기 처리품을 이동 탑재하는 매니플레이터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바스켓과 반송 경로 사이의 처리품의 수수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상기 반송 경로는, 복수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반송 경로는, 상기 승강 장치의 위치에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1개의 등방압 가압 장치에 대해 복수의 처리품을 반송할 수 있음과 함께, 1개의 등방압 가압 장치로부터 복수의 반송처로 반송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상기 반송 경로 또는 상기 승강 장치에, 상기 바스켓을 상기 반송 경로에 이동 탑재하기 위한 수평 이동 장치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수평 이동 장치에 의해 바스켓째로 승강 장치로부터 반송 경로에 이동 탑재하여 반송하므로, 처리품에 관한 내부 치수의 제약 조건이 없어져, 대형화된 처리품을 등방압 가압 장치로부터 반송 경로로 이동시킴과 함께, 반송 시간을 더 단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상기 반송 경로에는, 처리품 세정 설비와 수분 제거 설비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처리품의 반송뿐만 아니라, 처리품 세정 설비에 있어서의 처리품의 세정이나, 수분 제거 설비에 있어서의 처리품의 수분 제거도 포함한 고도의 반송 시스템을 반송 경로의 도중에 설치함으로써,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상에서 등방압 가압 장치에 의한 처리품의 처리를 모두 자동으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품의 세정에 의해 예를 들어 냉간 등방압 가압 처리에 있어서의 압력 매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 제거에 의해 작업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반송 시간을 단축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규모를 억제함으로써 저비용 또한 공간 절약을 실현하고,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반송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X-X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반송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X-X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반송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X-X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반송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X-X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반송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X-X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반송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X-X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반송 경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구체적인 일례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것은,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의 적용 한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은, 하기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한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에서는, 성형을 수반하는 분말 야금, 및 세라믹스 및 카본의 성형 가공 등에 사용되는 냉간 등방압 가압법(CIP)에 의해 사용되는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를 등방압 가압 장치로서 설명한다.
도 1∼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은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와, 후술하는 처리품(13a, 13b)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 라인(반송 경로)(23)과, 후술하는 바스켓(11)을 컨베이어 라인(23)과 등방압 가압 장치(22)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는 처리품이 수용된 바스켓(11)을 내부에 수납 가능한 압력 용기(1)와, 압력 용기(1)에 등압력을 가하는 승압 장치(21)를 구비한다.
승압 장치(21)는 프레스 프레임(3), 베이스(4), 하부 덮개(6), 상부 덮개(7), 코터(8)를 구비한다. 프레스 프레임(3) 및 베이스(4)는 고정되어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지만, 상부 덮개(7)를 통해 압력 용기(1)에 등방압을 가하기 위한 압력원이 구비된다. 압력원으로서, 예를 들어, 압력 용기(1)의 중심축선과 동축선 상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압력 용기(1) 내에 끼움 분리 가능한 피스톤과, 프레스 프레임(3)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가압용 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다. 그 외의, 압력 용기(1)의 중심축선과 동축선 상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가압 펌프와, 가압 펌프를 제어하는 압력 제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프레스 프레임(3)의 압력 용기(1)와 대향하는 측에는, 압력 용기(1) 내에 출입되어 압력 용기(1)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상부 덮개(7)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터(8)는 상부 덮개(7)에의 작용 축력의 지지를 프레스 프레임(3)과의 사이에서 행하도록, 프레스 프레임(3)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4)의 압력 용기(1)와 대향하는 측에는, 압력 용기(1) 내에 출입되어 압력 용기(1)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하부 덮개(6)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 덮개(6) 및 압력 용기(1)는 용기 이동 대차(이동 장치)(2)에 탑재된다.
용기 이동 대차(2)는 베이스(4)로부터 후술하는 승강 장치까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대차 레일 가대(이동 장치)(5) 상을, 하부 덮개(6) 및 압력 용기(1)를 탑재한 상태에서, 베이스(4)와 승강 장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용기 이동 대차(2)는 이동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용기 이동 대차(2)의 베이스(4)와 승강 장치 사이의 수평 이동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이동 대차(2)는 대차 레일 가대(5) 상의 베이스(4)측의 소정 위치와 승강 장치측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4)측의 소정 위치는, 압력 용기(1)가 승압 장치(21)에 의해 등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이다. 또한, 승강 장치측의 소정 위치는 압력 용기(1)가 승강 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한 위치이다. 승강 장치는 베이스(4)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대차 레일 가대(5)를 작게 하여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고무제의 형틀(이하 「고무형」이라고 함)에 충전된 세라믹스, 금속, 카본 등의 분말인 처리품(13a, 13b)을 팔레트(12a, 12b)에 적재한 상태에서 압력 용기(1)에 수납 가능한 바스켓(11)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냉간 등방압 가압법에 의해 처리를 행할 때에는, 압력 용기(1) 중에는 물 등의 액체를 압력 매체가 충전되고, 압력 매체로서 등방성을 유지하면서 가압하여, 처리품(13a, 13b)을 성형하는 것이다.
바스켓(11)의 측면에는 팔레트(12a, 12b)에 적재된 상태의 처리품(13a, 13b)을, 후술하는 컨베이어 라인(23)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바스켓(11)과 컨베이어 라인(23) 사이에서 이동 탑재할 때에, 바스켓(11) 내의 기둥 등의 구조물이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개방된 개구부(11a)가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부(11a)는 컨베이어 라인(23)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 방향의 전후로 2개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완료된 처리품(13b)을 바스켓(11)으로부터 반출함과 동시에,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전의 처리품(13a)을 바스켓(11)에 반입할 수 있다.
컨베이어 라인(23)은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 및 대차 레일 가대(5)의 상방에 설치되고, 처리품(13a, 13b)을 팔레트(12a, 12b)에 적재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9)와 컨베이어(9)를 고정 설치하는 컨베이어 가대(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컨베이어 라인(23)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승강 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바스켓(11)을 통과시키기 위한 바스켓(11)의 형상보다도 약간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과구(16)를 구비한다. 또한, 통과구(16)는 컨베이어 라인(23)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아니라, 컨베이어 라인(23)에 인접하도록, 컨베이어 라인(23)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설치하여, 컨베이어 라인(23)에 이동 탑재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컨베이어(9)는 바스켓(11) 내에 수용된 처리품(13a, 13b)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며, 벨트 컨베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라인(23)의 통과구(16)의 근방에는 팔레트(12a, 12b)에 적재된 상태의 처리품(13a, 13b)을, 후술하는 컨베이어 라인(23)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바스켓(11)과 컨베이어 라인(23) 사이에서 이동 탑재하는 이동 탑재 수단으로서 매니플레이터를 설치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이동 탑재 수단으로서 매니플레이터를 설치한 경우는, 바스켓(11)과 컨베이어 라인(23) 사이의 처리품(13a, 13b)의 수수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탑재 수단은 수작업이어도 된다.
또한, 컨베이어 라인(23)의 반송 도중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처리품(13a, 13b)을 세정하는 처리품 세정 설비와, 처리품(13a, 13b)을 수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설비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처리품(13a, 13b)의 반송뿐만 아니라, 처리품 세정 설비에 있어서의 처리품(13a, 13b)의 세정이나, 수분 제거 설비에 있어서의 처리품(13a, 13b)의 수분 제거도 포함한 고도의 반송 시스템을 컨베이어 라인(23)의 도중에 설치하여,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상에서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에 의한 처리품(13a, 13b)의 처리를 모두 자동으로 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품(13a, 13b)의 세정에 의해 예를 들어 냉간 등방압 가압 처리에 있어서의 압력 매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 제거에 의해 작업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승강 장치는 용기 이동 대차(2)에 탑재되어 이동된 압력 용기(1)의 상단부로부터, 바스켓(11)을 빼내어, 바스켓(11)을 컨베이어 라인(23)과 등방압 가압 장치(22)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것이며, 크레인, 리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승강 장치는 압력 용기(1) 내에 바스켓(11)이 삽입 끼움되는 위치로부터, 처리품(13a, 13b)을 적재한 팔레트(12a, 12b)를 바스켓(11)과 컨베이어(9) 사이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위치의 사이에서 승강된다.
다음에,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에 의한 처리품의 반송의 수순에 대해,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12b)에 적재된 상태에서 바스켓(11) 내에 수용되어 압력 용기(1)에 수납된 처리 전의 처리품(13b)은 압력 용기(1) 중에 압력 매체가 충전되고, 프레스 프레임(3) 내의 압력원에 의해 등방압이 가해져,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에 의한 냉간 등방압 가압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 용기 이동 대차(2)는 대차 레일 가대(5)의 베이스(4)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품(13b)의 후속으로 냉간 등방압 가압 처리가 행해지는 처리 전의 처리품(13a)은 팔레트(12a)에 적재된 상태에서, 컨베이어(9)에 의해, 컨베이어(9) 상의 통과구(16)의 근방에 반송된다. 또한, 처리 전의 처리품(13a) 및 팔레트(12a)는, 도 1의 (b)에 있어서,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에 있어서의 처리품(13b)의 냉간 등방압 가압 처리가 종료되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터(8)가 상부 덮개(7) 상으로부터 수평 이동되고[도 2의 (b)에 도시하는 지면 좌측의 위치], 상부 덮개(7)가 압력 용기(1)로부터 제거되어 상방으로 승강된다. 그 후, 압력 용기(1)는 용기 이동 대차(2)에 의해, 대차 레일 가대(5)를 베이스(4)로부터 승강 장치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용기 이동 대차(2)는 대차 레일 가대(5)의 승강 장치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대차 레일 가대(5)의 승강 장치측의 소정 위치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도 2의 (a)에 도시하는 지면 깊이 방향 및 도 2의 (b)에 도시하는 지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컨베이어 라인(23)에 형성된 통과구(16)와 거의 겹치는 위치로 된다. 또한, 처리 전의 처리품(13a) 및 팔레트(12a)는, 도 2의 (b)에 있어서,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장치는 용기 이동 대차(2)에 탑재되어 이동된 하부 덮개(6) 상의 압력 용기(1)의 상단부로부터, 바스켓(11)을 빼내어, 바스켓(11)을, 컨베이어 라인(23)에 형성된 통과구(16)를 통과시켜, 처리 완료된 처리품(13b)을 적재한 팔레트(12b)를 컨베이어(9)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여기서, 컨베이어 라인(23)에 형성된 통과구(16)는 승강 장치에 의해 상승된 바스켓(11)에 의해 막힌다. 또한, 처리 전의 처리품(13a) 및 팔레트(12a)는, 도 3의 (b)에 있어서,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작업 또는 이동 장치(도시하지 않은 매니플레이터)에 의해, 처리 완료된 처리품(13b)이 팔레트(12b)에 적재된 상태에서, 바스켓(11)의 개구부(11a)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의 반송 방향 쪽[도 4의 (a)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반출하고, 컨베이어(9) 상에 적재시킨다. 그 후, 수작업 또는 이동 장치에 의해, 처리 전의 처리품(13a)이 팔레트(12a)에 적재된 상태에서, 컨베이어(9)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의 반송 방향[도 4의 (a)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개구부(11a)를 통해 바스켓(11)에 반입하여 적재시킨다. 이때,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스켓(11)은 승강 장치 상으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다음에, 승강 장치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전의 처리품(13a)을 적재한 팔레트(12a)를 저장한 바스켓(11)을 하강시켜, 컨베이어 라인(23)에 형성된 통과구(16)를 통과시켜, 압력 용기(1)의 상단부로부터, 압력 용기(1) 내에 바스켓(11)을 삽입 끼움한다. 여기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라인(23)에 형성된 통과구(16)는 승강 장치에 의해 바스켓(11)이 하강되어 개방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이동 대차(2)에 의해, 대차 레일 가대(5) 상을 승강 장치로부터 베이스(4)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용기 이동 대차(2)는 대차 레일 가대(5)의 베이스(4)측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처리 전의 처리품(13a)에 대해,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에 있어서의 냉간 등방압 가압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완료된 처리품(13b)을 적재한 팔레트(12b)는 컨베이어 라인(23)에 의해 컨베이어(9) 상을 반송되어, 컨베이어 라인(23)의 도중에 설치된 처리품 세정 설비나 수분 제거 설비에 보내진다.
이후는, 도 1로 되돌아가,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에 의해 냉간 등방압 가압 처리가 행해진 팔레트(12a) 상의 처리가 완료된 처리품(13a)이, 팔레트(12b) 상의 처리가 완료된 처리품(13b)과 마찬가지로 하여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으로 반송됨과 함께, 새롭게 컨베이어 라인(23) 상에 준비된 팔레트 상의 처리 전의 처리품이, 팔레트(12a) 상의 처리 전의 처리품(13a)과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라인(23)으로부터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은, 바스켓(11)째로 승강 장치에 의해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이동된 처리품(13a, 13b)은 컨베이어(9)에 이동 탑재된다. 또한, 승강 장치에 의해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이동된 바스켓(11) 내에는, 컨베이어(9)에 있는 처리품이 이동 탑재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의 승강 장치에 의해서만, 바스켓(11)째로 처리품(13a, 13b)을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와 컨베이어 라인(23)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있는 점에서, 크레인 등을 사용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반송 시스템의 규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처리품(13a, 13b)에 관한 내부 치수의 제약 조건이 없어져, 대형화된 처리품(13a, 13b)을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반송 시간을 단축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저비용 및 공간 절약을 실현하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처리품(13a, 13b)이 대형화될수록 이 효과가 커진다.
또한, 승강 장치에 의해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이동된 바스켓(11) 내에 수용된 처리품(13b)은 개구부(11a)를 통해, 컨베이어(9)에 이동 탑재된다. 또한, 승강 장치에 의해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부터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이동된 바스켓(11) 내에는 개구부(11a)를 통해, 컨베이어(9)에 있는 처리품(13a)이 이동 탑재된다. 따라서, 바스켓(11)과 컨베이어 라인(23) 사이의 처리품(13a, 13b)의 수수가, 개구부(11a)와 컨베이어(9)의 위치를 맞추는 것만으로 즉시 가능하게 되므로, 반송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승압 장치(21)가 고정되어 있거나, 컨베이어 라인(23)이 승압 장치(21)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서, 압력 용기(1)와 승강 장치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용기 이동 대차(2)에 의해 승압 장치(21)와 승강 장치 사이에서 압력 용기(1) 자체를 이동시키고, 승강 장치에 의해 압력 용기(1) 내로부터 바스켓(11)째로 처리품(13b)을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이동함으로써, 반송 시스템의 규모를 더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한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에서는, 등방압 가압 장치로서, 냉간 등방압 가압법에 의해 사용되는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를 적용하고 있었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등방압 가압 장치는, 온간 등방압 가압법에 의해 사용되는 온간 등방압 가압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에서는, 컨베이어 라인(23)을 1열 구비하는 것이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라인을 컨베이어 라인(14)과 컨베이어 라인(15)의 2열 구비하고, 승강 장치가 구비되는 통과구(16)의 위치에서 교차시킨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컨베이어 라인은, 1열, 2열로 한정되지 않고, 2열 이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1개의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에 대해 복수의 처리품을 반송할 수 있음과 함께, 1개의 냉간 등방압 가압 장치(22)로부터 복수의 반송처로 반송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20)에서는, 승강 장치에 의해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상승시킨 바스켓(11) 내의 처리품(13b)을 적재한 팔레트(12b)를 컨베이어(9) 상에 적재하여 컨베이어 라인(23)에 의해 반송하는 것이지만,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승강 장치에 의해 컨베이어 라인(23)으로 상승시킨 바스켓(11) 자체를 컨베이어(9) 상에 적재하여 컨베이어 라인(23)에 의해 반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바스켓(11)을 컨베이어(9)에 이동 탑재하기 위한 수평 이동 장치[스트로크는 컨베이어(9) 상에 올라탈 때까지의 최단 거리이어도 됨]를 승강 장치나 컨베이어(9)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스켓(11)에 개구부(11a)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해, 바스켓(11)째로 반송함으로써 내부 치수의 제약 조건이 없어져, 최대한의 처리품 체적을 반송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스켓(11)을 승강하여 이동 탑재하는 것이 1개의 승강 장치(승강 및 수평 이동)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반송 시스템을 소규모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때에, 후속으로 처리하는 처리 전의 처리품은, 별도의 바스켓(11) 내에 저장되어 컨베이어 라인(23) 상에서 준비된다.

Claims (7)

  1. 온간이나 냉간에서 등방압 가압 처리가 행해지는 처리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을 내부에 수납하는 압력 용기와, 상기 압력 용기에 등방압을 가하는 승압 장치를 구비하는 등방압 가압 장치와,
    상기 등방압 가압 장치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등방압 가압 처리된 처리품을 반출하고 상기 바스켓에 등방압 가압 처리 전의 처리품을 반입하도록, 상기 처리품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경로와,
    상기 바스켓을 상기 반송 경로와 상기 등방압 가압 장치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등방압 가압 처리된 처리품을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반출하는 방향과 상기 등방압 가압 처리 전의 처리품을 상기 바스켓에 반입하는 방향이 동일한,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를 상기 승압 장치와 상기 승강 장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하는,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처리품을 상기 반송 경로의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반송 경로에 이동 탑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상기 반송 경로에 상기 처리품을 이동 탑재함과 함께, 상기 반송 경로로부터 상기 바스켓에 상기 처리품을 이동 탑재하는 매니플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는, 복수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반송 경로는, 상기 승강 장치의 위치에서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 또는 상기 승강 장치에, 상기 바스켓을 상기 반송 경로에 이동 탑재하기 위한 수평 이동 장치를 구비하는,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에는, 처리품 세정 설비와 수분 제거 설비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설치되는,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KR1020150078320A 2014-06-06 2015-06-03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KR101776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7624A JP6199240B2 (ja) 2014-06-06 2014-06-06 等方圧加圧装置の処理品搬送システム
JPJP-P-2014-117624 2014-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574A KR20150140574A (ko) 2015-12-16
KR101776998B1 true KR101776998B1 (ko) 2017-09-19

Family

ID=5488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320A KR101776998B1 (ko) 2014-06-06 2015-06-03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99240B2 (ko)
KR (1) KR101776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2683A1 (en) * 2016-05-25 2017-11-30 Quintus Technologies Ab Arrangement and method for handling a load for isostatic pressure trea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7579A (ja) * 2007-06-15 2008-12-25 Sumitomo Heavy Industries Techno-Fort Co Ltd 金型交換設備
JP2013111598A (ja) * 2011-11-28 2013-06-10 Kobe Steel Ltd 乾式冷間等方圧加圧装置の成形型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2911Y2 (ko) * 1972-10-31 1978-08-15
JPS6220794U (ko) * 1985-07-17 1987-02-07
JPS6220794A (ja) 1985-07-19 1987-01-2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船外機の運転装置
JPS63197877A (ja) * 1987-02-12 1988-08-1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熱間等方圧プレス設備における被処理物搬送装置
JP3859945B2 (ja) * 2000-07-28 2006-12-20 日機装株式会社 等方加圧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3997100B2 (ja) * 2002-03-11 2007-10-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等方圧加圧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等方圧加圧方法
JP2004148338A (ja) * 2002-10-29 2004-05-27 Kobe Steel Ltd 等方圧加圧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7579A (ja) * 2007-06-15 2008-12-25 Sumitomo Heavy Industries Techno-Fort Co Ltd 金型交換設備
JP2013111598A (ja) * 2011-11-28 2013-06-10 Kobe Steel Ltd 乾式冷間等方圧加圧装置の成形型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9240B2 (ja) 2017-09-20
KR20150140574A (ko) 2015-12-16
JP2015229186A (ja)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5822A1 (ja) 搬送物の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KR20130143592A (ko) 오버헤드 로봇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
CN108367450A (zh) 工件输送系统以及工件输送方法
JP6179457B2 (ja) アンダードライブ式プレス機のワーク搬送装置
CN107921529B (zh) 铸造装置
KR101588765B1 (ko) 차량용 휠 로딩 시스템 및 이에 구비된 휠 로딩장치
WO2017006606A1 (ja) レーザ加工機、レーザ加工方法、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KR101972730B1 (ko) 진공 처리 장치
CN108033267A (zh) 金属板材搬运工艺
TW201604100A (zh) 貨櫃昇降搬運裝置
TW201604096A (zh) 貨櫃昇降搬運裝置
KR101776998B1 (ko) 등방압 가압 장치의 처리품 반송 시스템
JP2009299117A (ja) 防錆処理設備
JP2006346679A (ja) ボルスター段替装置
JP2006315008A (ja) 注湯済枠付砂鋳型の解枠装置及び解枠方法
CN210677945U (zh) 一种多规格模具坯料切割设备
KR101770470B1 (ko) 형틀로부터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탈형 방법
JPS58100024A (ja) パレツト荷積装置
TW201710636A (zh) 連續熱處理設備
JP2011110571A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当該ワーク搬送装置を使用した製品搬送システム
CN205061013U (zh) 一种烧结砖卸砖后自动编组装车装置
JP2004216404A (ja) プレス生産装置およびプレス方法
CN102530522A (zh) 用于对承载器加载以物品的手动方法和装置
CN204777168U (zh) 排列贮锭输送机
KR20200094429A (ko) 핸들링로봇을 이용한 프레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