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773B1 -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773B1
KR101776773B1 KR1020160077084A KR20160077084A KR101776773B1 KR 101776773 B1 KR101776773 B1 KR 101776773B1 KR 1020160077084 A KR1020160077084 A KR 1020160077084A KR 20160077084 A KR20160077084 A KR 20160077084A KR 101776773 B1 KR101776773 B1 KR 10177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enclosure
speaker
vehicl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조립체는 스피커유닛과, 스피커유닛의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로 차체에 장착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인클로저는 스피커유닛 후면공간과 차체 외부를 연결해 스피커유닛 후면 음을 차체 외부로 방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SPEAKER ASSEMBLY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피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스피커유닛이 박스형태로 된 인클로저(Enclosure)에 장착됨으로써 양호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의 음향은 진동판 전면에서 발생하는 음과 진동판 후면에서 발생한 음이 간섭되어 왜곡될 수 있는데, 인클로저는 전면 음과 후면 음의 간섭을 방지해 양호한 음향 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피커는 차량에 장착할 경우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부피가 큰 인클로저는 큰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차량 실내공간처럼 협소한 곳에 장착하기 어렵고, 차량의 중량과 원가를 상승시키기도 한다. 그렇다고 인클로저의 크기를 줄이는 것도 한계가 있다. 인클로저가 너무 작으면 양호한 음향 출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부피와 중량을 줄이면서도 양호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피커유닛과,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로 차체에 장착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공간과 상기 차체 외부를 연결해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 음을 상기 차체 외부로 방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는 외면이 상기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스피커장착부에 수용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스피커장착부에 형성된 연통공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조립체는 상기 인클로저 테두리부와 상기 플로어패널 사이를 밀봉시키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부는 상기 차체 외부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통로부가 마련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한쪽이 상기 스피커유닛 테두리에 밀봉 결합되고, 다른 쪽이 상기 차체에 밀봉 결합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부는 덕트형태로 마련되고, 내부의 통로를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조립체는 상기 통로부 내에 설치되어 굴절통로를 형성하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피커유닛과,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음의 방출을 위한 통로부가 마련된 인클로저를 갖춘 스피커조립체; 및 상기 인클로저의 장착을 위해 차체에 마련되며, 상기 인클로저의 통로부를 상기 차체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이 형성된 스피커장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피커유닛을 갖춘 스피커조립체와,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면 음을 차체의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형성된 연통공을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조립체는 스피커유닛 후면부에 결합되는 인클로저가 스피커유닛 후면공간과 차체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로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인클로저의 크기를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한 상태로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조립체는 인클로저가 스피커유닛 전면 음과 후면 음을 격리시킬 뿐 아니라 통로부를 통하여 스피커유닛 후면 음을 차체의 외부로 방출시키기 때문에 양호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조립체를 갖춘 차량는 플로어패널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하여 스피커유닛 후면 음을 차체 외부로 방출시키기 때문에 차체의 플로어패널이 스피커유닛의 전면 음과 후면의 간섭을 차단하는 배플(baffle)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와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스피커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를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를 차체의 스피커장착부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의 인클로저를 위에서 내려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의 인클로저를 아래에서 올려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스피커장착부 저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의 인클로저에 마련된 통로부의 변형 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의 스피커유닛과 인클로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와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스피커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스피커조립체를 분해한 상태와 차체의 스피커장착부에 장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서 스피커유닛의 "전면", "전면부", "전방" 이라는 용어는 스피커유닛으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는 방향(차량 실내 측)에 위치하는 구성이나 공간 상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후면", "후면부", "후방" 이라는 용어는 그 반대 편에 위치하는 구성이나 공간 상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화살표 A방향을 "전방", 그 반대 편을 "후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100)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유닛(110)과, 스피커유닛(110)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로 차체(10)의 스피커장착부(20)에 장착되는 인클로저(130)를 포함한다.
스피커장착부(20)는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차체(10)의 사이드실(11)과 인접하는 플로어패널(12, 승차공간 바닥)에 마련될 수 있다. 또 스피커장착부(20)는 스피커조립체(100)을 장착할 때 인클로저(130)의 후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플로어패널(12) 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하방으로 함몰되는 수용공간(2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스피커장착부(20)가 차체(10)의 플로어패널(12)에 마련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스피커장착부(2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장착부(20)는 차체(10)의 다른 위치에도 마련될 수 있고, 그 형태나 방향이 변할 수도 있다.
스피커유닛(11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1), 프레임(111)의 내측에 설치된 진동판(112), 진동판(112) 전방에 설치되어 진동판(112)을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113), 자기회로부(11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4), 진동판(112) 중심부에 설치되며 자기회로부(113) 쪽 외면에 보이스코일(116)이 감긴 보빈(115), 보빈(115)을 지지하는 댐퍼(11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1)은 전면과 후면, 경사진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콘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11) 내측에 설치되는 진동판(112)도 대략 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진동판(112)은 둘레가 유연소재로 된 에지부(112a)에 의해 프레임(111)의 테두리부(111a)에 진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심부가 원통형 보빈(115)의 외면에 결합된다. 진동판(112)과 연결된 보빈(115)은 댐퍼(11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축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또 보빈(115)은 보이스코일(116)이 감긴 쪽이 자기회로부(113)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댐퍼(117)는 원판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동심원형태로 된 다수의 주름을 구비하여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17)는 둘레가 프레임(111)에 고정되고 중심부가 보빈(115)에 고정됨으로써 보빈(115)과 진동판(112)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부재(114)는 진동판(112)의 전방 중심부에 배치된 자기회로부(113)를 지지한다. 통상적인 스피커유닛은 자기회로부가 진동판 후방 중심부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3의 예는 인클로저(130)에 수용되는 스피커유닛(110) 후면부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기회로부(113)가 진동판(112) 전방에 위치하는 스피커유닛(110)을 채용하고 있다.
지지부재(114)는 중심부에 자기회로부(113)를 지지한 상태에서 둘레가 프레임(111)의 테두리부(111a)에 고정됨으로써 자기회로부(1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14)에는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다수의 음향배출공(11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진동판(112)의 음향은 스피커유닛(110)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자기회로부(1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4) 중심부에 고정된 원통형 요크(113a)와, 요크(113a) 내부에 축방향으로 적층된 제1자석(113b), 플레이트(113c), 제2자석(11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석(113b), 제2자석(113d), 플레이트(113c) 외면은 요크(113a)의 내면과 이격됨으로써 보빈(115)의 보이스코일(116)이 진퇴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한다. 제1자석(113b)과 제2자석(113d)은 요크(113a) 및 플레이트(113c)와 더불어 보이스코일(116)이 진입한 공극에 반발 자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스피커유닛(110)은 보이스코일(116)에 음성전류를 인가하면 보빈(115)이 진동하고, 보빈(115)의 진동은 진동판(112)을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한다. 진동판(112) 전면에서 발생하는 음은 스피커유닛(110) 전방으로 출력되어 차량의 승차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고, 진동판(112) 후면에서 발생하는 음은 프레임(111)의 통공(111b)을 통하여 스피거유닛(110) 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인클로저(130)는 스피커유닛(110)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후면부가 차체(10) 플로어패널(12)에 마련된 스피커장착부(2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클로저(130)는 스피커유닛(110) 후면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32)을 가지는 커버부(131)와, 커버부(13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테두리부(133)를 구비한다. 즉 스피커유닛(110) 후면부를 덮는 용기의 형태다.
인클로저(130)의 테두리부(13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이 스피커유닛(110)의 프레임(111) 테두리부(111a)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고, 다른 쪽이 차체의 플로어패널(12)에 밀봉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인클로저(130) 테두리부(133)와 플로어패널(12) 사이에는 밀봉 결합을 위한 밀봉부재(134)가 설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130) 테두리부(133)는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복수의 고정나사 체결에 의해 스피커유닛(110)과 결합될 수 있고, 아울러 차체(10)의 플로어패널(12)에 고정될 수 있다.
인클로저(130)는 스피커유닛(110) 후면 음을 차체(10)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차체(10)의 스피커장착부(20)는 인클로저(130)를 장착할 때 통로부(140)와 연결되는 연통공(23)을 구비한다. 이는 덕트형태의 통로부(40)가 연통공(23)에 연결됨으로써 스피커유닛(110)의 후면공간이 차체(10)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예처럼, 연통공(23)은 차체(10)의 플로어패널(12) 내측과 외측이 연통하도록 스피커장착부(20)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140)는 이러한 연통공(23)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인클로저(130) 양측으로부터 연통공(23) 쪽으로 각각 연장되며, 그 단부가 스피커장착부(20) 내면에 밀봉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인클로저(130)의 커버부(131)와 일체로 마련된 덕트형 통로부(140)를 제시하고 있으나. 통로부(14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로부(140)는 인클로저(130)와 연통공(23)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별도로 마련되어 설치되는 관체, 주름관, 덕트 등일 수 있다. 반대로 스피커장착부(20)의 연통공(23)과 인클로저(130)의 커버부(131) 후면이 밀착되는 환경일 경우, 통로부(140)는 단지 인클로저(130)의 커버부(131)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스피커장착부(20)의 연통공(23)은 도 1, 도 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패널(12)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구멍이 군집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연통공(23)은 공기나 음향의 통과를 허용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이 차체(10) 외부로부터 통로부(4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차체(10) 하부의 충격물(자갈 등)로부터 인클로저(130)의 통로부(140)를 보호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이러한 형태의 연통공(23)을 제시하였으나, 연통공(23)은 스크린, 그릴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통로부(140) 내에 그릴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연통공(23)은 통로부(140)에 대응하는 크기로 완전히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인클로저(130)의 통로부(140)에는 차체(10)의 외부로부터 인클로저(130) 내측으로 먼지 등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141)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141)는 공기와 음향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먼지 등 이물이 인클로저(13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141)는 금속, 수지, 직물 등 다양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141)는 인클로저(130)의 통로부(14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추후 교환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제작된 후 통로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141)는 단지 먼지 등 이물이 인클로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 외에도, 우천 시 차량 하부의 빗물 등이 통로부(14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해하는 방벽의 기능도 한다.
이러한 인클로저(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유닛(110) 후면부에 결합되어 스피커유닛(110) 후면 음과 전면 음을 격리시키기 때문에 스피커유닛(110) 전면 음과 후면 음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실내 측으로 양호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인클로저(130)의 통로부(140)는 스피커유닛(110) 후면공간과 차체(10)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스피커유닛(110) 후면 음을 차체(10)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인클로저(130)는 그 내용적을 최소화하여 부피를 줄이면서도 양호한 음향 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인클로저(130)의 통로부(140)는 스피커유닛(110) 후면 음이 플로어패널(12) 하측 공간(외부)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차체(10)의 플로어패널(12)이 스피커유닛(110)의 전면 음과 후면의 간섭을 차단하는 배플(baffle)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클로저(130)는 스피커유닛(110) 후면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32, 공명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 부피와 중량을 줄일 수 있고, 협소한 차량의 실내 공간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스피커조립체(100)를 차량에 장착할 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스피커유닛(110)의 후면부를 인클로저(130)의 수용공간(132)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인클로저(130)의 테두리부(133)와 스피커유닛(110) 프레임(111)의 테두리부(111a)를 밀봉상태로 결합시킨다.
스피커유닛(110)과 인클로저(130)를 결합한 후에는 인클로저(130)의 통로부(140)가 차체(10)의 스피커장착부(20)에 마련된 연통공(23)과 대응하도록 인클로저(130) 후면부를 스피커장착부(20)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고정나사를 체결해 스피커조립체(100)를 차체(10)의 플로어패널(12)에 고정시킨다.
이처럼 스피커조립체(100)를 설치하면, 인클로저(130)의 대부분이 차체(10)의 스피커장착부(20)에 수용되므로 스피커조립체(100)의 설치에 따른 차량 내 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설치과정에서 인클로저(130)의 테두리부(133)와 플로어패널(12) 사이에는 밀봉부재(134)를 개재시킴으로써 차체(10) 외부의 습기가 차량의 승차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피커조립체(100)가 스피커장착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피커유닛(110)의 후면부는 연통공(23) 및 통로부(140)을 통하는 외기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유닛의 진동판(112), 댐퍼(117), 프레임(111) 등은 자체가 방수소재로 마련되거나, 표면에 방수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인클로저(130)에 마련된 통로부(40)의 변형 예들을 보여준다.
도 7의 통로부(140)는 굴절통로(143)를 형성하는 제1격판(144a)과 제2격판(14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격판(144a)과 제2격판(144b)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통로부(140)의 마주하는 내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인클로저(13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통로부(140)와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제1격판(144a)과 제2격판(144b)은 굴절통로(143)를 형성함으로써 인클로저(130) 내 공명공간의 음압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음역대의 음이 풍성하게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격판(144a)과 제2격판(144b)은 일부 중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체(10) 하부의 노면에서 튀어오르는 빗물 등이 인클로저(13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해 인클로저(130) 내부의 스피커유닛(110)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격판(144a)과 제2격판(144b)을 이용해 굴절통로(143)를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굴절통로(143)는 적어도 하나의 격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격판이 굴절되거나 밴딩될 수도 있다.
도 8의 통로부(140)는 통로부(140) 내에 진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굴절통로(145c)를 형성하는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형태로 마련되는 부재(145)의 내부에 굴절통로(145c)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격판(145a,145b)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필요에 따라 굴절통로(145c)의 폭이나 격판(145a,145b)의 길이가 다른 것으로 부재(145)를 교체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스피커유닛(110)의 출력을 고려해 양호한 음향 출력이 가능하도록 굴절통로(145c)를 형성하는 부재(145)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굴절통로(145c)를 형성하는 부재(145)는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145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유형의 스피커유닛(210)과 이에 결합되는 인클로저(230)를 갖춘 스피커조립체(200)를 나타낸다.
도 9의 스피커유닛(210)은 프레임(211), 진동판(212), 보이스코일(216)이 감긴 보빈(215), 댐퍼(217)를 구비한다. 또 진동판(212) 후방 중심부에 설치되며, 자석(213a)과 두 플레이트(213b,213c)를 갖춘 자기회로부(213)를 포함한다.
도 9의 예에서 인클로저(230)는 스피커장착부(20)의 연통공(23)과 연결되는 통로부(240)를 구비하고, 스피커유닛(210) 후면 쪽에 마련된 자기회로부(213)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하는 자기회로 지지부(235)를 포함한다. 자기회로 지지부(235)는 자기회로부(213)를 수용한 상태에서 지지하므로 스피커유닛(210)과 인클로저(230)의 안정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는 도 3의 예처럼 자기회로부(113)가 진동판(112) 전방에 위치하는 스피커유닛(110) 뿐 아니라, 도 9의 예처럼 자기회로부(213)가 진동판(212) 후방에 위치하는 스피커유닛(210)도 채용할 수 있다. 자기회로부(213)가 진동판(212) 후방에 위치하는 스피커유닛(210)을 채용하면서도 인클로저(230)의 부피나 줄일 수 있고, 설치에 따른 차량 실내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10: 차체, 12: 플로어패널,
20: 스피커장착부, 23: 연통공,
100: 스피커조립체, 110: 스피커유닛,
111: 프레임, 112: 진동판,
113: 자기회로부, 114: 지지부재,
115: 보빈, 116: 보이스코일,
117: 댐퍼, 130: 인클로저,
131: 인클로저 커버부, 133: 인클로저 테두리부,
134: 밀봉부재, 140: 통로부,
141: 필터, 143, 145c: 굴절통로.

Claims (13)

  1. 스피커유닛과,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로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스피커장착부에 장착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공간과 상기 스피커장착부에 형성된 연통공을 연결해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 음을 상기 차체 외부로 방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덕트형태로 마련되며, 내부 통로가 굴절되도록 마주하는 내면으로부터 상호 이격상태로 각각 연장되며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1격판과 제2격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 테두리부와 상기 플로어패널 사이를 밀봉시키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차체 외부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통로부가 마련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한쪽이 상기 스피커유닛 테두리에 밀봉 결합되고, 다른 쪽이 상기 차체에 밀봉 결합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6. 삭제
  7. 스피커유닛과,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로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스피커장착부에 장착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공간과 상기 스피커장착부에 형성된 연통공을 연결해 상기 스피커유닛 후면 음을 상기 차체 외부로 방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그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진입 설치되고 굴절통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격판을 갖춘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77084A 2016-06-21 2016-06-21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 KR10177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84A KR101776773B1 (ko) 2016-06-21 2016-06-21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84A KR101776773B1 (ko) 2016-06-21 2016-06-21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773B1 true KR101776773B1 (ko) 2017-09-08

Family

ID=5992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084A KR101776773B1 (ko) 2016-06-21 2016-06-21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7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5090A1 (en) * 2018-01-18 2019-07-24 Alpine Electronics, Inc. In-vehicle speaker
WO2021068028A1 (en) * 2019-10-10 2021-04-15 Blueprint Acoustics Pty Ltd Improved loudspeaker assembly and system for vehicles
KR20220098495A (ko) * 2021-01-04 2022-07-12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케이 양방향 듀얼 스피커를 이용한 가상 엔진사운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7546A (ja) * 2013-04-12 2014-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ピーカー装置
JP2015139144A (ja) * 2014-01-23 2015-07-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スピー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7546A (ja) * 2013-04-12 2014-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ピーカー装置
JP2015139144A (ja) * 2014-01-23 2015-07-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スピーカ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5090A1 (en) * 2018-01-18 2019-07-24 Alpine Electronics, Inc. In-vehicle speaker
JP2019125962A (ja) * 2018-01-18 2019-07-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スピーカ
CN110062304A (zh) * 2018-01-18 2019-07-26 阿尔派株式会社 车载用扬声器
US10462555B2 (en) 2018-01-18 2019-10-29 Alpine Electronics, Inc. In-vehicle speaker
JP7004436B2 (ja) 2018-01-18 2022-01-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スピーカ
WO2021068028A1 (en) * 2019-10-10 2021-04-15 Blueprint Acoustics Pty Ltd Improved loudspeaker assembly and system for vehicles
EP4042712A4 (en) * 2019-10-10 2023-11-01 Blueprint Acoustics Pty Ltd IMPROVED SPEAKER ARRANGEMENT AND SYSTEM FOR VEHICLES
KR20220098495A (ko) * 2021-01-04 2022-07-12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케이 양방향 듀얼 스피커를 이용한 가상 엔진사운드 시스템
KR102455143B1 (ko) 2021-01-04 2022-10-17 주식회사 에이티에스케이 양방향 듀얼 스피커를 이용한 가상 엔진사운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362B1 (ko) 초슬림형 스피커 모듈
US8708092B2 (en) Speaker device
US11368784B2 (en) Receiver unit having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and compensation structure for low frequency
US9025790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loudspeaker system in vehicle
JP2019531647A (ja) 車両用拡声器システム
KR101776773B1 (ko) 차량용 스피커조립체 및 이를 갖춘 차량
KR102639808B1 (ko) 음향장치 및 전자장치
CN107645584B (zh) 紧急通报系统用免提通话装置
US11528563B2 (en) Hybrid receiver having fixing bracket for drivers
CN114071296A (zh) 具有压力均衡结构的接收器
US7907742B2 (en) Exciter for directly vibrating board and speaker apparatus used the same
CN114095818B (zh) 一种耳机
KR101952906B1 (ko)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CN114697829A (zh) 具有前置低音导管部的双向接收器
KR102442977B1 (ko) 드라이버 고정용 브라켓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리시버
JPWO2011052080A1 (ja) スピーカ装置
EP3346724B1 (en) Vehicle speaker system
KR102577024B1 (ko) 기압 평형 구조를 구비하는 리시버
CN109862465B (zh) 车载音箱以及汽车
EP4227937A1 (en) 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
US20230217156A1 (en) Loudspeaker
KR102161637B1 (ko)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KR20240060040A (ko) 무선 이어폰 및 리시버 모듈
JP2006303578A (ja) スピーカー装置
KR101782416B1 (ko) 사이드실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춘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