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569B1 -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569B1
KR101776569B1 KR1020170015941A KR20170015941A KR101776569B1 KR 101776569 B1 KR101776569 B1 KR 101776569B1 KR 1020170015941 A KR1020170015941 A KR 1020170015941A KR 20170015941 A KR20170015941 A KR 20170015941A KR 101776569 B1 KR101776569 B1 KR 10177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pawl
push rod
operation le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훈
Original Assignee
대신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대신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17001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5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1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pull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configured to fundamentally prevent a sharp part of a sawtooth of a pawl from coming in contact with a sharp part of a sawtooth of a ratchet, and to firmly engage the pawl with the ratchet, such that the pawl is quickly returned with respect to the ratchet. The parking brake device includes: a support plate (10); a ratchet (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 rotary shaft (30)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ratchet (20) such that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ratchet (20) can be penetrated; an activation lever (40)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the rotary shaft (30); a pawl (50) mounted on the activation lever (40) and engaged with the ratchet (20); and a lock releasing portion (60) provided on the activation lever (40).

Description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0001]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과 래칫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이 맞닿는 경우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고 래칫에 폴이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하면서 래칫에 대해 폴이 신속하게 리턴되도록 하는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a case So that the pawls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parking brake device for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정차시키거나 또는 주차 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핸드브레이크(Hand brake)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Side brake)라고 불리기도 한다.Generally, a parking brake device such as a vehicle is used for stopping or parking the vehicle, which is also called a hand brake or a side brake.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차량의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뒷바퀴 또는 앞바퀴 등을 제동하는 역할을 한다.The parking brake unit functions to maintain the vehicle in a stopped state and serves to brak the rear wheel, the front wheel, etc.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park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상기한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브레이크 드럼, 슈 및 스프링을 구비하여 주차 브레이크 슈를 주차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켜 차량의 바퀴를 제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king brake may include a parking brake drum, a shoe, and a spring to closely contact the parking brake shoe with the parking brake drum, thereby brak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종래의 통상적인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전방일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된 래칫과, 상기 래칫의 톱니에 맞물려 걸리는 폴과, 일측에 상기 폴의 중간부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브레이크케이블의 일단을 회전시켜 브레이크케이블을 당기도록 일측이 상기 래칫에 힌지결합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폴의 일단에 연결되어 폴을 회동시키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푸시로드를 밀어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레버의 선단에 설치되는 푸시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A conventional conventional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es a ratchet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fixed to a vehicle body, a pawl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ratchet, a pair of pawls pivo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pawl, A push rod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wl to pivot the pawl; And a push button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and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operation lever to push and move the push rod.

이러한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작동레버를 상승시키면 상기 작동레버에 일단이 연결된 브레이크케이블이 당겨져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상기 폴이 래칫의 톱니에 결려 파킹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vehicle parking brake apparatus, when the operating lever is raised, the brake cable,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at one end, is pulled to operate the parking brake, and the pawl maintains the parking state in the teeth of the ratchet.

한편, 파킹상태를 해제하면, 작동레버를 잡고 푸시버튼을 누르면 이에 연결된 푸시로드가 폴의 일측을 밀어 상기 폴을 래칫의 톱니로부터 해제되면서 파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king state is release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while holding the operation lever, the push rod connected to the push lever pushes one side of the pawl to release the parking state from the ratchet by releasing the pawl from the ratchet.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폴의 톱니가 래칫의 톱니에 맞물리는 작동 중에 폴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과 래칫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이 맞닿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톱니의 단부끼리 맞닿는 경우에 파킹 상태가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고 조그만 외력이 가해지면 흘러내리면서 파킹 상태가 해제되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ar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when the teeth of the pawl engage with the teeth of the ratchet, a sharp part of the teeth of the pawl and a sharp part of the teeth of the ratchet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rking state is not appropriately maintained, and when a small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parking state is released while flowing down,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또한, 래칫에서 폴이 해제되는 경우에 래칫에 폴이 리턴될 때 간섭이 상대적으로 심하여 리턴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pawl is released from the ratch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turn operation is not performed smoothly because the interference is relatively severe when the pawl is returned to the ratchet.

등록특허 제1601054호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2016.03.02.)Registered Patent No. 1601054 "Vehicle Parking Brake" (Ma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폴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과 래칫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이 맞닿는 경우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고 래칫에 폴이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하면서 래칫에 대해 폴이 신속하게 리턴되도록 하는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having a pawl that is quickly returned to the ratchet with the pawl being firmly engaged with the ratchet so that the pointed portion of the tooth of the pawl and the pointed portion of the tooth of the ratchet ar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And a parking brak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래칫에서 폴이 해제되는 경우에 래칫에 폴이 리턴될 때 래칫에 대한 폴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minimizes the interference of the pawls with respect to the ratchet when the pawl is returned to the ratchet when the pawl is released from the ratch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에 하단이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차량에 하단이 장착되고, 상단 외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톱니가 소정의 각도로 상부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래칫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래칫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케이블이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래칫의 외측면으로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 연장된 후에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장착되는 제1 힌지핀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힌지핀에 설치되는 제1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하단의 걸림톱니가 상기 래칫의 톱니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폴과; 상기 작동레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눌림 조작에 의해 상기 폴을 회전시켜 상기 폴에 의한 상기 래칫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ar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plate having a lower end mounted on a vehicle; A ratchet having a lower end mounted on a vehicle a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teeth inclined to an upper side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n upper end outer circumference;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to penetrate the support plate and the ratchet horizontally and connected to the brake cable; An operating lever mounted on the rotary shaft to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ratchet and extending to an upper side and then bent horizontally; And a first torsion spring installed on the first hinge pin rotatably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by a first hinge pin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A pole that is sexually close; A fixed release portion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lever, for releasing the ratchet by the pawl by rotating the pawl by a pressing opera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작동레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폴의 상단이 끼워지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가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로드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작동레버에 장착되는 제2 힌지핀과, 상기 제2 힌지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를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푸시로드의 중앙 부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수평장공과, 상기 수평장공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작동레버에 장착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fixed release portion of the "par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rod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ration lever and rounded, A second torsion spring installed on the second hinge pi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ro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second torsion spring installed on the second hinge pin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rod in a clockwise direction, A horizontal slot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push rod and a stop pin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in a state interposed in the horizontal slot and restric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r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상기 폴은, 그 상단에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결합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결합턱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푸시로드의 하단에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wl of the " par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jaw which is roundly formed in an arcuate shap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n engaging groove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at a lower end of the engaging groove and relatively larger than the engaging ja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상기 래칫은, 상기 톱니를 포함하는 상단 일부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분리기어부와, 상기 래칫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기어부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턱과, 상기 끼움턱의 일측으로 상기 분리기어부의 외측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끼움턱이 끼워지도록 상기 래칫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의 일측으로 상기 장착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래칫에 형성되는 장착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톱니의 각도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상기 톱니의 골의 하단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골의 하단을 지나는 직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톱니의 좌측면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각도이고 8 내지 16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atchet of the "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unit which is formed so that a part of an upper end including the teeth is separated; And a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ratchet so as to fit the fitting jaw.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t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Wherein an angle of the saw tooth is set such that an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ooth of the tooth at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and a lin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ooth at the left side And an angle between the straight lines passing through the surface is 8 to 16 degre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폴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과 래칫의 톱니의 뾰쪽한 부분이 맞닿는 경우가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래칫에 폴이 견고하게 맞물리면서 래칫에 대해 폴이 신속하게 리턴되며, 그에 따라 래칫과 폴의 작동상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undamentally prevented from the case where the pointed portion of the teeth of the ratchet and the pointed portion of the teeth of the ratchet are prevented from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ole is quickly returned to the ratchet with the pole firmly engaged with the ratchet, The precision and stability of operation of the ratchet and the pawl ar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래칫에서 폴이 해제되는 경우에 래칫에 폴이 리턴될 때 래칫에 대한 폴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pawl with respect to the ratchet is minimized when the pole is returned to the ratchet when the pole is released from the ratch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ure 1,
3 is a schematic outline view of a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ure 3,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4,
FIG. 6 is a schematic outline view of a parking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ure 6,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지지플레이트(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래칫(2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0)와 래칫(20)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의 단부에 장착되는 작동레버(40)와, 상기 작동레버(40)에 설치되고 상기 래칫(20)에 맞물리는 폴(50)과, 상기 작동레버(40)에 설치되는 고정해제부(60)를 포함한다.1 to 7 are schematic views of a parking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10, a ratchet 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 support plate 10, a ratchet 20, An operating lever 40 mounted on an end of the rotary shaft 30 and a pawl 50 mounted on the operating lever 40 and engaged with the ratchet 20, And an unlocking portion 60 installed on the operation lever 40.

상기 지지플레이트(10)는 차량에 하단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래칫(20)과 함께 상기 회전축(30)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차량에 장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a place where the rotary shaft 30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ratchet 20 and a portion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상기 래칫(2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으로 차량에 하단이 장착되고 상단 외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톱니(21)가 소정의 각도로 상부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10)와 함께 상기 회전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톱니(21)에 상기 폴(50)이 맞물려 상기 작동레버(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ratchet 20 has a lower end mounted on the vehicle a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a plurality of teeth 21 formed at an angle to the upper side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10 so that the rotary shaft 30 is rotatably supported while the pawl 50 is engaged with the teeth 21 so that the operating lever 40 can be fixed.

상기 래칫(20)은 상기 톱니(21)를 포함하는 상단 일부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분리기어부(22)와, 상기 래칫(20)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기어부(22)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턱(23)과, 상기 끼움턱(23)의 일측으로 상기 분리기어부(22)의 외측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장착홈(24)과, 상기 끼움턱(23)이 끼워지도록 상기 래칫(20)에 형성되는 끼움홈(25)과, 상기 끼움홈(25)의 일측으로 상기 장착홈(24)에 끼워지도록 상기 래칫(20)에 형성되는 장착턱(26)을 더 포함한다.The ratchet 20 includes a separator unit 22 formed to be separated fro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atchet 20 including the tooth 21 and a ratchet 20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parator unit 22 in correspondence with the ratchet 20 A mounting groove 24 formed at one side of the fitting jaw 23 so as to be depres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parator unit 22 and a mounting groove 24 formed at one side of the fitting jaw 23 to receive the ratchet 20 And a mounting jaw (26) formed on the ratchet (20) so as to be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4) at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25).

상기 분리기어부(22)는 상기 래칫(20)의 톱니(21)를 별도로 제작한 후에 상기 래칫(20)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톱니(21)의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eparator unit 22 is attached to the ratchet 20 after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teeth 21 of the ratchet 20 so that the teeth 21 can be easily replaced .

상기 끼움턱(23)은 상기 끼움홈(25)에 끼워져 상기 래칫(20)에 대한 상기 분리기어부(22)의 조립 및 장착이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장착홈(24)은 상기 장착턱(26)이 끼워져 상기 래칫(20)에 대한 상기 분리기어부(22)의 조립 및 장착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fitting jaw 23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25 so that the separating unit 22 can be assembled and attached to the ratchet 20 easily and firmly. The mounting jaw 26 is fitted so that the assembling and mounting of the separator unit 22 with respect to the ratchet 20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상기 톱니(21)의 각도(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의 중심에서 상기 톱니(21)의 골의 하단(b)을 지나는 직선(a)과 상기 골의 하단을 지나는 직선(a)의 우측에 위치하는 톱니(21)의 좌측면을 지나는 직선(c) 사이의 각도이고 8 내지 16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ngle A of the saw tooth 21 is set such that the straight line a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b of the tooth of the tooth 21 at the center of the rotary shaft 30 and the lower end of the tooth And the straight line c passing through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tooth 21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raight line a passing through is 8 to 16 degrees.

이와 같이 상기 톱니(21)가 소정의 각도(A)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폴(50)의 걸림톱니(53)의 뾰쪽한 부분과 래칫(20)의 톱니(21)의 뾰쪽한 부분이 맞닿는 경우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는 상기 폴(50)의 걸림톱니(53)는 상기 회전축(30)의 중심과 일치되는데 반하여 상기 래칫(20)의 톱니(21)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상부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The tooth 21 is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 so that the pointed portion of the engaging teeth 53 of the pawl 50 and the pointed portion of the tooth 21 of the ratchet 20 The contact is prevented from occurring. This is because the catching teeth 53 of the pawl 50 ar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rotary shaft 30 while the teeth 21 of the ratchet 20 are inclined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shaft.

상기 회전축(3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와 래칫(20)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케이블(B)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레버(40)가 장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작동레버(40)의 각회전 운동으로 상기 브레이크케이블(B)이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rotary shaft 30 is rotatably installed to horizontally penetrate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ratchet 20 and is connected to the brake cable B to provide a portion where the operation lever 40 is mounted So that the brake cable B can be pulled by each rotational movement of the operating lever 40.

상기 작동레버(40)는 상기 래칫(20)의 외측면으로 상기 회전축(30)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 연장된 후에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상단부를 손으로 파지하고 상부측으로 들어 올리거나 하부측으로 내리면서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그 작동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operation lever 40 is mounted on the rotary shaft 30 to the outer side of the ratchet 20 and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and then bent horizontally. The operator grips the upper end of the ratchet 20 by hand, So that the parking brake can be operated or released.

상기 폴(50)은 상기 작동레버(40)에 장착되는 제1 힌지핀(51)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4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힌지핀(51)에 설치되는 제1 비틀림스프링(52)에 의해 하단의 걸림톱니(53)가 상기 래칫(20)의 톱니(2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톱니(21)에 상기 걸림톱니(53)가 맞물리면서 상기 작동레버(40)를 상기 래칫(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awl 50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40 by a first hinge pin 51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40 and installed on the first hinge pin 51 The engaging teeth 53 of the lower end are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21 of the ratchet 20 by the first torsion spring 52 so that the engaging teeth 53 engage with the teeth 21, And serves to fix the operation lever 40 to the ratchet 20.

상기 제1 힌지핀(51)은 상기 폴(50)을 상기 작동레버(40)에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비틀림스프링(52)은 그 일단이 상기 폴(50)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작동레버(40)에 걸려 상기 작동레버(40)에 대해 상기 폴(5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폴(50)이 상기 래칫(20)의 톱니(2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first hinge pin 51 hinges the pole 50 to the operation lever 40. The first torsion spring 52 has one end engaged with the pawl 50, The pawl 50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operating lever 40 by the operating lever 40 so that the pawl 50 is resilien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21 of the ratchet 20 .

상기 고정해제부(60)는 상기 작동레버(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전자의 눌림 조작에 의해 상기 폴(50)을 회전시켜 상기 폴(50)에 의한 상기 래칫(20)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xed release portion 60 is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lever 40 and rotates the pawl 50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driver to fix the ratchet 20 by the pawl 50 It releases it.

이와 같은 상기 고정해제부(60)는 상기 작동레버(40)의 내측에 구비되고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폴(50)의 상단이 끼워지는 푸시로드(61)와, 상기 푸시로드(61)가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작동레버(40)에 장착되는 제2 힌지핀(62)과, 상기 제2 힌지핀(62)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61)를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비틀림스프링(63)과, 상기 푸시로드(61)의 중앙 부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수평장공(64)과, 상기 수평장공(64)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작동레버(40)에 장착되고 상기 푸시로드(61)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핀(65)을 포함한다.The push rod 61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ration lever 40 an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ush rod 6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awl 50 is inserted. A second hinge pin 62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40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push rod 61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lower end of the push rod 61, A second torsion spring 6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rod 61 in the clockwise direction, a horizontal slot 64 formed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ush rod 61, And a stop pin 65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40 and restric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rod 61.

운전자가 상기 푸시로드(61)의 상단을 누르면 상기 푸시로드(61)가 상기 정지핀(65)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평장공(64)을 따라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단이 상기 제2 힌지핀(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폴(50)을 상기 제1 힌지핀(5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폴(50)의 걸림톱니(53)를 상기 래칫(20)의 톱니(21)에서 해제시킨다. 상기 푸시로드(61)는 운전자가 상단을 눌러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폴(50)을 회전시켜 상기 폴(50)의 상기 래칫(20)에 대한 맞물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힌지핀(62)은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단을 상기 작동레버(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푸시로드(61)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폴(5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driver pushes the upper end of the push rod 61, the push rod 61 moves horizontally rearward along the horizontal slot 64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top pin 65, The lower end of the push rod 61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second hinge pin 62 to rotate the pole 50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hinge pin 51, 50 of the ratchet 20 are released from the teeth 21 of the ratchet 20. The push rod 61 allows the operator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pawl 50 with the ratchet 20 by rotating the pawl 50 while the driver pushes the upper end and moves backward. The second hinge pin 62 rotatably mounts the lower end of the push rod 61 to the operation lever 40 so that the push rod 61 can be rotated about the lower end So that the pole 5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rod 61 can be rotated.

상기 제2 비틀림스프링(63)은 그 일단이 상기 푸시로드(61)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작동레버(40)에 걸려 상기 작동레버(40)에 대해 상기 푸시로드(6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푸시로드(61)가 운전자에 의해 이동된 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장공(64)은 상기 정지핀(65)에 걸리어 상기 푸시로드(61)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On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63 is engaged with the push rod 61 and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operation lever 40 to elastically press the push rod 61 against the operation lever 40 So that the push rod 61 can be resiliently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push rod 61 is moved by the driver. The horizontal slot 64 serves to limi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rod 61 by engaging with the stop pin 65.

상기 폴(50)은 그 상단에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결합턱(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해제부(60)는 상기 결합턱(54)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단에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5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결합홈(66)을 더 포함한다.The pawl 5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step 54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awl 50 so as to be rounded in an arcuate shape and the pawl 61 is coupled to the pawl 50 so that the coupling step 54 is fitted, And an engaging groove 66 formed in an arc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protrusion 54 and relatively larger than the engaging protrusion 54.

상기 결합턱(54)은 상기 결합홈(66)에 끼워져 상기 폴(50)이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푸시로드(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폴(5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홈(66)은 상기 결합턱(5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예를 들어 2 내지 3mm 정도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66)에 대하여 상기 결합턱(54)의 간섭이 최소화된다.The pawl 5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of the push rod 61 while the pawl 5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rod 61 by being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66. [ So that it can be rotated. The engaging groove 66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engaging jaw 54, for example, about 2 to 3 mm, so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engaging jaw 54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groove 66 is minimized do.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지플레이트
20 : 래칫
21 : 톱니 22 : 분리기어부
23 : 끼움턱 24 : 장착홈
25 : 끼움홈 26 : 장착턱
30 : 회전축
40 : 작동레버
50 : 폴
51 : 제1 힌지핀 52 : 제1 비틀림스프링
53 : 걸림톱니 54 : 결합턱
60 : 고정해제부
61 : 푸시로드 62 : 제2 힌지핀
63 : 제2 비틀림스프링 64 : 수평장공
65 : 정지핀 66 : 결합홈
B : 브레이크케이블
10: Support plate
20: ratchet
21: tooth 22: separator fisher
23: fitting jaw 24: mounting groove
25: fitting groove 26: mounting jaw
30:
40: Operation lever
50: Paul
51: first hinge pin 52: first torsion spring
53: engaging teeth 54: engaging jaw
60:
61: push rod 62: second hinge pin
63: second torsion spring 64: horizontal slot
65: stop pin 66: engaging groove
B: Brake cable

Claims (4)

차량에 하단이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으로 차량에 하단이 장착되고, 상단 외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톱니(21)가 회전축(30)의 중심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부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래칫(2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0)와 래칫(20)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케이블이 연결되는 회전축(30)과;
상기 래칫(20)의 외측면으로 상기 회전축(30)에 장착되고, 상부측으로 연장된 후에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작동레버(40)와;
상기 작동레버(40)에 장착되는 제1 힌지핀(51)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4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힌지핀(51)에 설치되는 제1 비틀림스프링(52)에 의해 하단의 걸림톱니(53)가 상기 래칫(20)의 톱니(2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폴(50)과;
상기 작동레버(40)의 내측에 설치되고, 눌림 조작에 의해 상기 폴(50)을 회전시켜 상기 폴(50)에 의한 상기 래칫(20)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해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해제부(60)는,
상기 작동레버(40)의 내측에 구비되고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폴(50)의 상단이 끼워지는 푸시로드(61)와,
상기 푸시로드(61)가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작동레버(40)에 장착되는 제2 힌지핀(62)과,
상기 제2 힌지핀(62)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61)를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비틀림스프링(63)과,
상기 푸시로드(61)의 중앙 부위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수평장공(64)과,
상기 수평장공(64)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작동레버(40)에 장착되고 상기 푸시로드(61)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핀(65)을, 포함하며,
상기 폴(50)은,
그 상단에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결합턱(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해제부(60)는,
상기 결합턱(54)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푸시로드(61)의 하단에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5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결합홈(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칫(20)은,
상기 톱니(21)를 포함하는 상단 일부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분리기어부(22)와,
상기 래칫(20)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기어부(22)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턱(23)과,
상기 끼움턱(23)의 일측으로 상기 분리기어부(22)의 외측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장착홈(24)과,
상기 끼움턱(23)이 끼워지도록 상기 래칫(20)에 형성되는 끼움홈(25)과,
상기 끼움홈(25)의 일측으로 상기 장착홈(24)에 끼워지도록 상기 래칫(20)에 형성되는 장착턱(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톱니(21)의 각도는,
회전축(30)의 중심에서 상기 톱니(21)의 골의 하단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골의 하단을 지나는 직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톱니(21)의 좌측면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각도이고 8 내지 16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
A support plate (10) having a lower end mounted on the vehicle;
A ratchet 20 having a lower end mounted on a vehicle a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a plurality of teeth 21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a center of the rotary shaft 30, and;
A rotating shaft 30 rotatably installed to penetrate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ratchet 20 horizontally and to which a brake cable is connected;
An operating lever 40 mounted on the rotary shaft 3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atchet 20 and extending upwardly and then bent horizontally;
A first torsion spring 51 installed on the first hinge pin 51 and rotata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40 by a first hinge pin 51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40, A pawl 50 whose lower end engaging claws 53 elastical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21 of the ratchet 20;
(60)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lever (40) and rotating the pawl (50) by a pressing operation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ratchet (20) by the pawl (50); Including,
The fixed disengagement portion (60)
A push rod 61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lever 40 and formed to be round and having an upper end of the pawl 50 at the lower end thereof,
A second hinge pin 62 which penetrates a lower portion of the push rod 61 and is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40 so that the push rod 61 can be rotated about the lower end,
A second torsion spring (63) installed on the second hinge pin (62)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rod (61) in a clockwise direction,
A horizontal slot 64 formed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ush rod 61,
And a stop pin (65) mounted on the operation lever (40) while being fitted in the horizontal slot (64) and restric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rod (61)
The pole (50)
And a coupling step (54) formed on the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rounded in an arcuate shape,
The fixed disengagement portion (60)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groove (66) roundly formed in an arc shape at a lower end of the push rod (61)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step (54) and relatively larger than the engaging step (54)
The ratchet (20)
A separator unit 22 formed so that a part of an upper end including the teeth 21 is separated,
A fitting jaw 23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parator unit 22 corresponding to the ratchet 20,
A mounting groove 24 formed at one side of the fitting jaw 23 so as to be reces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parator unit 22,
A fitting groove 25 formed in the ratchet 20 so that the fitting jaw 23 is inserted,
(26) formed on the ratchet (20) so as to fit into the mounting groove (24) at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25)
The angle of the teeth (21)
The angle between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ry shaft 30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ooth of the tooth 21 and the left side of the tooth 21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ooth is 8 to 16 And a parking brake device for a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15941A 2017-02-06 2017-02-06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776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41A KR101776569B1 (en) 2017-02-06 2017-02-06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41A KR101776569B1 (en) 2017-02-06 2017-02-06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569B1 true KR101776569B1 (en) 2017-09-19

Family

ID=6003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941A KR101776569B1 (en) 2017-02-06 2017-02-06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5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1039B1 (en) 2022-01-14 2023-05-30 Hyundai Motor Company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247A (en) * 2008-07-14 2010-01-28 Otsuka Koki Co Ltd Parking brake device
JP2013233859A (en) * 2012-05-09 2013-11-21 Nissan Motor Light Truck Co Ltd Looseness preventing structure of parking brake and parking brake including the looseness preven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247A (en) * 2008-07-14 2010-01-28 Otsuka Koki Co Ltd Parking brake device
JP2013233859A (en) * 2012-05-09 2013-11-21 Nissan Motor Light Truck Co Ltd Looseness preventing structure of parking brake and parking brake including the looseness prevent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1039B1 (en) 2022-01-14 2023-05-30 Hyundai Motor Company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KR20230109847A (en) 2022-01-14 2023-07-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363A (en) Parking brake assembly
WO2014041817A1 (en) Bicycle-fork support device
KR101776569B1 (en) Parking brake apparatus for a vehicle
JP2527612B2 (en) Operating device for parking brake
CA2377009A1 (en) Parking brake device for vehicle
JPH08169320A (en) Automatic cable adjusting mechanism for parking brake device
US11377168B2 (en) Brake caliper
JP2927716B2 (en) Caster locking device
US3077790A (en) Cable brake for trucks
JP2008525247A (en) Vehicle parking brake
JP3971676B2 (en) Twin wheel casters
JP2571719B2 (en) Steering lock device
JP4667174B2 (en) Parking brake
KR101465799B1 (en) Parking brak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S6313970Y2 (en)
KR200300494Y1 (en)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lever for vehicles
KR100246678B1 (en) Pedal parking brake
JP3772387B2 (en) Parking brake device
KR200300495Y1 (en)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 lever for vehicles
KR200144774Y1 (en) Cultivator brake pedal
KR20220010102A (en) Noise reduction device for vehicle parking brake
KR100463451B1 (en)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lever for vehicles
JP2585733B2 (en) Manual parking brake device
JPS5851105Y2 (en) Quick release device for side-pull brakes
JP2001114080A (en) Brak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