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392B1 -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392B1
KR101776392B1 KR1020150117858A KR20150117858A KR101776392B1 KR 101776392 B1 KR101776392 B1 KR 101776392B1 KR 1020150117858 A KR1020150117858 A KR 1020150117858A KR 20150117858 A KR20150117858 A KR 20150117858A KR 101776392 B1 KR101776392 B1 KR 10177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layer
adhesive
disposed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622A (ko
Inventor
전춘섭
Original Assignee
전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춘섭 filed Critical 전춘섭
Priority to KR102015011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3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09J7/0289
    • H01L51/50
    • C09J2201/3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써, 발포수지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제 2점착층 보다 낮은 점착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는 피착면과의 호적한 밀착성, 재박리성, 재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박리시 잔사를 남기는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TACKY TAP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점착력을 낮게 하여 재작업성을 현격히 향상시키면서도, 고온, 다습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점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콘버젼스와 유비쿼터스로 대변되는 정보기술의 혁명으로 전자기기의 발전이 눈부시게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이 가운데 핵심은 정보를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의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천연색 구현이 가능하며, 빠른 응답속도, 낮은 소비전력, 자발광성, 발광효율, 넓은 시야각 및 박형화가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높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OLED는 보통 유리기판에 증착된 유기발광소자가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며 화면을 출력하는 자발광성을 갖기 때문에, 기존 LCD와는 다르게 백라이트유닛(BLU)을 필요치 않는다.
하지만, 유리기판만으로는 OLED의 충분한 구조적 강도 및 안전성을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기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재형상의 백커버 혹은 백플레이트를 후면에 접착소재를 이용해 밀착시키는 경우가 많다.
한편,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LCD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다르게 유리기판과 백커버 사이에 틈새 없이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OLED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시 유리기판에 증착된 OLED 발광 소자의 빛에너지, 빛에너지에서 변환되는 열에너지가 백커버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백커버의 온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OLED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부수기재 등은 보통 고가이므로, 부품 고정시나 제조 후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에, 호적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재작업성 요청도 높다.
종래의 OLED와 백커버의 접착에 사용되던 소재로는 1 세대인 아크릴 폼 테이프 및 2 세대인 고무자석을 이용한 접착소재 등이 있다.
여기서, 1 세대인 아크릴 폼 테이프는 백커버와 접착시 완전한 접착을 이루어, 재 작업이 불가능한 소재라는 문제점이 있다.
2 세대인 고무자석을 이용한 접착 소재는, 고무자석의 한 쪽면에 아크릴 폼 테이프가 적층 된 형상으로, 아크릴 폼 테이프면이 백커버와 접착되고, 고무자석면이 OLED 패널에 부착되어 자기력에 의해서 결합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자석에 의한 결합방식은 재작업성은 뛰어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정 시 패널의 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며, 아크릴 폼 테이프 및 고무자석을 이중으로 사용하므로, 상당한 제조비용 증가를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패널 접착소재의 경우 재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방법을 고려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으나, 이렇게 제조된 점착테이프는 고온/다습의 환경에서 그 점착성이 떨어지거나, 접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밀림현상이 발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율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에는 강도와 고온, 다습의 환경에서도 접착력이 떨어지지 않아 디스플레이 패널의 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재작업성이 우수한 점착소재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는 주로 고가의 복합소재가 채용되고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공정시 재작업성이 뛰어나며, 고온 다습한 가혹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는 발포수지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제 2점착층 보다 낮은 점착력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 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천연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발포수지 일 수 있으며,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0.2 내지 2.5mm 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점착층은 ASTM D3330에 따른 90˚ 박리강도가 100 내지 350 gf/inch, 180˚ 박리강도가 100 내지 250 gf/inch 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점착층의 유동응력은 1.0 내지 5.0 kgf/cm2 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점착층의 두께는 0.5 내지 30 μm 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점착층은 PET 필름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아크릴계 수지인 제 3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점착층의 두께는 0.01 내지 0.5 mm 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점착층은 ASTM D3330에 따른 90˚ 박리강도가 200 내지 1000 gf/inch, 180˚ 박리강도가 250 내지 1000 gf/inch 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 테이프 상에 배치된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테이프는, 발포수지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제 1면에 배치된 제 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제 2면에 배치된 제 2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제 2점착층보다 낮은 점착력을 가지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고, 상기 제 2점착층은 상기 보강부재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점착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테이프에 따르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재작업성이 뛰어나며, 재작업시 잔사를 남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테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테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에 상세하게 설명된 실시예 등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고,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도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므로,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표현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점착테이프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10)는 기재층(100), 제 1점착층(200) 및 제 2점착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의 제 1점착층(200) 및 제 2점착층(300)의 점착력, 박리강도는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점착층(200)은 상기 제 2점착층(300)의 점착력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점착테이프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는 상기 제 1점착층 또는 제 2점착층 상에 이형지(400)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지(40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인 예시를 들자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합성 수지 필름, 종이, 부직포, 천, 발포 시트나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한 올레핀 처리, 실리콘계 처리, 장쇄 알킬계 처리, 불소계 처리 등의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점착테이프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는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기재층의 구조적 강도를 지지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합성 수지 필름, 종이, 부직포, 천, 발포 시트나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재층은 상기 제 1점착층(200) 및 제 2점착층(300)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는 공지의 재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바람직한 예시를 들자면, 합성수지 필름, 합성수지 시트, 부직포, 섬유구조체, 유리섬유 보강재, 종이, 금속박, 발포수지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포수지의 재질로써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릴렌,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발포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수지의 조성물에는 차광효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주석, 아조염료, 니그로신, 페릴렌, 아닐렌블랙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지된 흑색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수지의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을 벗어나는 범위가 아니라면, 표면윤활제, 레벨링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부식방지제, 중합금지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금속분, 커플링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가공유 및 점착부여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사용자의 용도 내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0.2 내지 2.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를 OLED 기판의 점착용 등으로 사용할 시, 상기 기재층의 두께 범위를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두께가 2.5mm 초과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 제조되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없고, 반대로 0.2mm 미만의 두께를 갖게 되는 경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점착층들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워져 재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점착층(200)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 OLED 패널 등과 같은 피착면에 직접적인 점착이 이루어지는 층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각종 전자기기 접합 공정 시에, 피착면으로부터 접합에 실패한 경우에 우수한 재박리 및 재작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1점착층(200)은 그 조성물 또는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이들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써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으로 이루어진 단량체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층의 응집력이 우수하고 과도한 점착력 향상을 억제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기기, 하우징, 금속, 유리 등에 대해 양호한 밀착성과 재박리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점착층(200)의 두께는 0.5 내지 30 μ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μm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점착층의 두께가 0.5 μm 이하인 경우, 구조적 강도가 매우 떨어지며, 반대로 30 μm 이상인 경우 점착력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재박리성 및 재작업성의 큰 효과 증진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제 1점착층(200)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써,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1점착층(200)을 형성할 때, 피착면과의 높은 밀착성과 재박리성 및 재작업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 조성물로써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점착부여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점착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점착층(200)이 부품(피착면)으로부터 박리 될 때, 점착층과 부품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박리대전을 방지하지 위해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점착층(200)을 형성하는 점착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을 벗어나는 범위가 아니라면, 표면윤활제, 레벨링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부식방지제, 중합금지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금속분, 커플링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가공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사용자의 용도 내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점착층(200)은 ASTM D3330에 따른 90˚ 박리강도 100 내지 350 gf/inch, 180˚ 박리강도는 100 내지 250 gf/inch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 박리강도는 130 내지 260 gf/inch, 180˚ 박리강도는 130 내지 220 gf/inch 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점착층(200)의 박리강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중, 최대 박리강도 범위를 초과 하게 된다면,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의 재작업성 효과가 줄어들게 되며, 반대로 최소 박리강도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 1점착층의 점착력이 부족하여, 작업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점착층(200)의 유동응력은 1.0 내지 5 kgf/cm2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kgf/cm2 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점착층(200)이 상기 유동응력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정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밀림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점착층의 도포 형성 방법으로는 점착테이프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공지의 도포방법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를 들면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쉬, 스프레이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다이 코팅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점착층의 코팅 방법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점착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 백커버, 보강부재 등과 같은 피착면에 직접적으로 점착이 이루어지는 층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각종 전자기기 접합 공정시에, 피착면으로부터 접합에 실패한 경우에 우수한 재박리 및 재작업성을 나타내는 점착층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제 2점착층은 상기 전술한 제 1점착층(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공지의 아크릴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상에 직접적으로 코팅한 형상이거나, 또는 합성수지 필름, 합성수지 시트, 부직포 등을 기재로 양면에 점착성 조성물이 코팅된 공지의 양면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배치되는 아크릴계 점착층을 포함하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 중 상기 제 2착층은 바람직하게 PET 필름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지지층(310) 및 상기 지지층(310)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아크릴계 수지인 제 3점착층(320, 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제 2점착층(300)의 두께는 0.01 내지 0.5 mm 일 수 있다.
상기 제 2점착층(300)은 ADTM D3330에 따른 90˚박리강도는 200 내지 1000 gf/inch,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gf/inch 일 수 있고, 180˚박리강도는 250 내지 1000 gf/inch,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550 gf/inch 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2점착층(300)의 박리강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재작업성이 급격히 감소되며, 점착력이 부족하여 작업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테이프, 및 상기 점착테이프 상에 배치된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테이프는 상기 전술한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이며, 상기 점착테이프는 발포수지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 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 배치된 제 2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제 2점착층보다 낮은 점착력을 가지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고, 상기 제 2점착층은 상기 보강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판, 수지시트 등의 공지의 보강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점착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전면 발광형, 후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일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정공저지층, 전자저지층, 발광보조층, 버퍼층, 광효율개선층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개의 층 이상이 더 적층될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때, 상기 제 1전극은 애노드(양극)이고, 상기 제 2전극(180)은 캐소드(음극)일 수 있으며, 인버트형의 경우에는 상기 제 1전극이 캐소드(음극)이고 상기 제 2전극이 애노드(양극)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 및 점착테이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각종 전자장치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자장치는 현재 또는 장래의 유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휴대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 PDA, 전자사전, PMP, 리모콘, 네비게이션, 게임기, 각종 TV, 컴퓨터 등 각종 모든 가전,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에 서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A. 제 1점착층용 용액의 제조
먼저, 베이스 수지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환류기, 교반기 및 질소가스투입기가 구비된 반응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 및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아세톤, 헥세인류, 케톤류, 알코올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용매 1종 이상을 125중량부 투입하고, 주기적으로 질소가스를 투입하면서 60℃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중합반응개시제로써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1 중량부를 반응용기에 더 투입한 후 60℃ 온도조건에서 6시간 동안 중합반응을 실시하여, 약 700,0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 베이스 수지 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에, 중합반응 마친 상기 베이스 수지 중합체에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실란커플링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 후 실온에서 냉각하여 제 1점착층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B. 제 2점착층의 제조
먼저, 점착용 베이스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환류기, 교반기 및 질소가스투입기가 구비된 반응용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6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9중량부, 아크릴산 단량체 11중량부를 중합시켜 고분자 아크릴레이트 점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12 μm의 두께를 갖는 공지의 PET 필름 기재의 양면에 상기 고분자 아크릴레이트 점착 용액을 20 μm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 ℃에서 4분간 가열 건조 및 에이징하여 양면에 점착층을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C. 발포 기재층의 제조
먼저, 폴리올로써의 에틸렌글리콜과 1,4 부테인 디올 글리콜을 1 대 1 중량비로 아디프산 축합 중합반응 시켜 혼합용액을 만든다. 이어서, 상기 혼합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로써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상기 혼합용액 100중량부 대비 18중량부를 투입하고, 70 ℃에서 반응시킨 후, 상기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1mm의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제조하였다.
D. 점착 테이프의 제조
상기 발포 기재층 일면에 상기 제조된 제 1점착층 용액을 6.5 μm의 두께로 코팅한 후, 다른 일면에는 상기 제조된 제 2점착층용 양면테이프를 적층한 후, 100℃에서 4분간 가열건조 및 에이징하여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물성시험 및 평가>

박리강도(gf/inch)

전단하중
유동응력
(Kgf/cm2)

할렬시험






실시예 1




제 1
점착층
90 Al면 160


5일 이상 추가 떨어지지 않음
A 1.92
도장면 260
B 2.23
180 Al면 200
C 1.30
도장면 152

제 2
점착층
90 Al면 400
5일 이상 추가 떨어지지 않음

5일 이상 추가 떨어지지 않음
도장면 340
180 Al면 450
도장면 420
잔사 내열 내습열
X X X
시험예 1: 박리강도시험
미국 시험 재료 협회의 ASTM D3330 박리강도 실험법에 의거하여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 제 1점착층 및 제 2점착층의 박리강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를 300mm x 25.4 mm 의 길이로 재단하여 각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조된 시편을 도장면(박리강도측정 표준 도장판) 및 알루미늄판에 접착시킨 후 각각 2 Kg 롤러로 각 방향으로 2회 왕복하여 박리강도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박리강도 시험용 샘플을 상온에서 60분간 방치한 후, 300 mm/min의 속도로 90˚ 및 180˚ 박리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시험예 2: 전단하중시험(Static Shear, Holding Power)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의 전단하중 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를 25.4mm x 25.4 mm의 길이로 재단하여 각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조된 시편을 SUS면 및 도장면에 접착시킨 후 각각 2 Kg 롤러로 각 방향으로 2회 왕복하여 전단하중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60도의 온도, 90%의 습도의 조건 및 500g의 무게를 갖는 추를 매달아 전단하중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시예 1의 경우 추를 매단지 5일 이상이 경과하여도, 추가 낙하하거나 점착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발견할 수 없어,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는,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시 또는 제조공정 후에 다분히 발생할 수 있는 패널 밀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시험예 3: 동적인장시험 (Dynamic Tensile, Dynamic Shear Strength)
미국 시험 재료 협회의 ASTM D1002 시험법에 의거하여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의 제 1점착층의 동적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를 1 x 1 inch의 길이로 재단하여 각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그 후, 테스트 지그(Test Jig)를 각각의 시편에 체결시키고, 2 Kg의 롤러로 2회 왕복하여 압착한 후 A. 상온의 조건에서 1분 B. 상온의 조건에서 24시간 C. 60도, 90%의 습도를 갖는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동적인장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고, 동적인장 시험용 샘플을 제작한 후 1분 이내로 12.7mm/min의 속도로 동적인장(유동응력)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시예 1의 경우 A. 상온의 조건에서 1분 B. 상온의 조건에서 24시간 C. 60도, 90%의 습도를 갖는 조건에서 24시간 동안의 조건에서 모두 1 kgf/cm2 이상의 안정적인 유동응력을 보여,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에 이용시, 그 패널의 작업 중 혹은 작업 후에도 패널 뒤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할렬시험 (Cleavage Test)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의 제 2점착층의 할렬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를 25 x 25 mm의 길이로 재단하여 각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그 후, 제조된 시편을 도장면에 접착시킨 후 각각 4.5lb 롤러로 각 방향으로 1회 왕복하여 할렬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80도의 고온조건 및 500g의 무게를 갖는 추를 매달고 방치하여, 추가 떨어지는 시간을 평가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는 추를 매단지 5일 이상이 경과하여도, 추가 낙하하거나 점착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발견할 수 없었다.
시험예 5: 잔사 평가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의 제 1점착층 및 제 2점착층의 잔사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한 후, 도장면에 점착시킨 후 60도의 온도 및 90%의 습도를 갖는 공간에 5일 동안 방치하고, 점착된 테이프를 제거한 후, 도장면 표면에 잔사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평가하였고, 그 시험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이때 잔사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는 ×, 잔사가 관찰된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는 박리하였을 때 잔사가 거의 남지 않아, 내잔사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는,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시 재박리, 재작업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내열 평가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의 제 1점착층 및 제 2점착층의 내열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1 의 점착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한 후, 이것을 도장면에 첩부한 후, 온도 50 ℃에서 5kg/cm2 × 20분의 조건으로 오토클레이브를 실시하였다. 그 후, 온도 90 ℃의 환경 하에서 120시간 방치한 후의 그 외관을 관찰하였고, 그 시험결과는 상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이때, 점착테이프의 발포 또는 박리가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로 표시하고, 발포 또는 박리가 관찰된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는 점착면에 발포현상, 블리스터링 현상 또는 박리현상이 거의 관찰 되지 않았다.
시험예 7: 내습열 평가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방법으로 제작한 점착테이프의 제 1점착층 및 제 2점착층의 내습열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한 후, 이것을 도장면에 첩부한 후, 온도 50 ℃에서 5kg/cm2 × 20분의 조건으로 오토클레이브를 실시하였다. 온도 60 ℃, 상대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120시간 방치한 후의 그 외관을 관찰하였고, 그 시험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이때, 점착테이프의 발포 또는 박리가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로 표시 하고, 발포 또는 박리가 관찰된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시예 1의 점착테이프는 점착면에 발포현상, 블리스터링 현상 또는 박리현상이 거의 관찰 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점착테이프 100: 기재층
200: 제 1점착층 300: 제 2점착층
310: 지지층 320: 제 3점착층
330: 제 3점착층 410: 이형지
420: 이형지

Claims (14)

  1. 발포수지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점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제 2점착층 보다 낮은 점착력을 가지고,
    상기 발포수지는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주석, 아조염료, 니그로신, 페릴렌 및 아닐렌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흑색안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점착층은 ASTM D3330에 따른 90°박리강도가 100 내지 350 gf/inch이고, ASTM D3330에 따른 180°박리강도가 100 내지 250 gf/inch이며, 유동응력은 1.0 내지 5 kgf/cm2이고,
    상기 제2점착층은 ASTM D3330에 따른 90°박리강도가 200 내지 1000 gf/inch이며, ASTM D3330에 따른 180°박리강도가 250 내지 1000 gf/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및 천연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0.2 내지 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점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점착층의 두께는 0.5 내지 30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점착층은 PET 필름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아크릴계 수지인 제 3점착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점착층의 두께는 0.01 내지 0.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11. 삭제
  12. 삭제
  13.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제1항에 따른 점착테이프; 및
    상기 점착테이프 상에 배치된 보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테이프는 발포수지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제 1면에 배치된 제 1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제 2면에 배치된 제 2점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제 2점착층보다 낮은 점착력을 가지며,
    상기 제 1점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고,
    상기 제 2점착층은 상기 보강부재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제 1전극;
    상기 제 1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점착층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17858A 2015-08-21 2015-08-21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6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58A KR101776392B1 (ko) 2015-08-21 2015-08-21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58A KR101776392B1 (ko) 2015-08-21 2015-08-21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22A KR20170022622A (ko) 2017-03-02
KR101776392B1 true KR101776392B1 (ko) 2017-09-07

Family

ID=5842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858A KR101776392B1 (ko) 2015-08-21 2015-08-21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42A1 (ko) * 2020-08-04 2022-02-10 로저스코포레이션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을 위한 전도성 폼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44B1 (ko) 2017-12-22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243326A (zh) * 2018-10-24 2019-01-18 苏州益邦电子材料有限公司 自保护式铭牌
CN110305599B (zh) * 2019-07-03 2021-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膜及显示装置
CN117757372A (zh) * 2023-12-08 2024-03-26 皇冠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密封胶黏剂组合物、胶黏剂、胶带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274A (ja) *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274A (ja) * 2008-04-15 2009-11-05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前板用粘着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42A1 (ko) * 2020-08-04 2022-02-10 로저스코포레이션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을 위한 전도성 폼 테이프
KR20220017213A (ko) * 2020-08-04 2022-02-11 로저스코포레이션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을 위한 전도성 폼 테이프
KR102386575B1 (ko) * 2020-08-04 2022-04-15 로저스코포레이션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을 위한 전도성 폼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22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392B1 (ko)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6594606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KR100973385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표시장치에 대한 터치패널의 접착 고정 방법
TWI595066B (zh) 光學壓感黏著片、光學膜及顯示裝置
KR101888199B1 (ko) 점착 테이프
JP6152319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TWI440687B (zh) 粘結劑組合物、粘結片及觸控面板
KR20130105524A (ko) 양면 점착 시트
JP2015165023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70125344A (ko) 양면 코팅 테이프
JP2003342542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170091028A (ko) 양면 점착 시트 및 그 이용
US20130101819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KR20140011981A (ko) 점착 시트, 전기 또는 전자 기기 부재 적층체 및 광학 부재 적층체
JP2019070102A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90039861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6068543B2 (ja) 液晶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5520785B2 (ja) 絶縁テープ
JP6256670B1 (ja) 接着シート及び物品
KR20200067250A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102589157B1 (ko) 점착 시트
JP2014055235A (ja) 両面粘着シート
KR20190039864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190064460A (ko) 점착 시트
KR102607273B1 (ko)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